KR200354591Y1 - 분절식 칫솔 구조 - Google Patents

분절식 칫솔 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54591Y1
KR200354591Y1 KR20-2004-0007668U KR20040007668U KR200354591Y1 KR 200354591 Y1 KR200354591 Y1 KR 200354591Y1 KR 20040007668 U KR20040007668 U KR 20040007668U KR 200354591 Y1 KR200354591 Y1 KR 200354591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oothbrush
segment
segmented
head portion
pres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4-0007668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장하진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태평양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태평양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태평양
Priority to KR20-2004-0007668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54591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54591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54591Y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6BRUSHWARE
    • A46BBRUSHES
    • A46B7/00Bristle carriers arranged in the brush body
    • A46B7/06Bristle carriers arranged in the brush body movably during use, i.e. the normal brushing action causing movement
    • AHUMAN NECESSITIES
    • A46BRUSHWARE
    • A46BBRUSHES
    • A46B9/00Arrangements of the bristles in the brush body
    • A46B9/02Position or arrangement of bristles in relation to surface of the brush body, e.g. inclined, in rows, in groups
    • A46B9/025Position or arrangement of bristles in relation to surface of the brush body, e.g. inclined, in rows, in groups the bristles or the tufts being arranged in an angled position relative to each other
    • AHUMAN NECESSITIES
    • A46BRUSHWARE
    • A46BBRUSHES
    • A46B2200/00Brushes characterized by their functions, uses or applications
    • A46B2200/10For human or animal care
    • A46B2200/1066Toothbrush for cleaning the teeth or dentures

Landscapes

  • Brush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치아 세정시 치아 형태에 따라 헤드부가 다단 분절되어 청결하면서도 편안한 양치가 가능하게 한 분절식 치솔 구조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은 헤드부(10)가 자유로이 분절되어질 수 있도록 분절부재(11)에 의해 3등분 분할되어 있되, 상기 헤드부(10)의 중간부(132)가 위측으로 볼록하게 형성되어 있고, 상기 분절부재(11)가 연질고무(12)로 씌워져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절식 칫솔 구조를 제공하는데 있다.

Description

분절식 칫솔 구조{a structure of toothbrush with bend type}
본 고안은 칫솔모가 식모되어 있는 헤드부가 분절되어지는 칫솔에 관한 것으로, 특히 헤드부가 다단으로 분절되게 하여 청결하면서도 편안한 양치가 가능하게 한 분절식 칫솔 구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음식을 섭취한 후 치아에 끼여 있는 음식물 찌꺼기를 제거하여 입에서 음식냄새가 나는 것을 방지함과 동시에 치아의 청결을 유지시켜 치아가 상하게 되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상기와 같이 구강내의 음식물 찌꺼기를 제거하는 데에는 주로 칫솔을 사용하게 된다.
치아를 닦는 칫솔은 그성능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다양한 형태로 제작되어진다.
그중에서도 칫솔질을 할때 칫솔모를 가지는 헤드부가 치아의 형태에 따라 또는 사용자의 양치 방향에 유동되어지는 분절칫솔이 있는데 이 분절식 칫솔은 2분절식과 3분절식 및 4분절이상인 다분절식이 있다.
도1∼도9a까지는 헤드부가 2분절되는 칫솔이다.
도1은 독일특허 제87/05474호의 칫솔이고, 도2는 유럽특허 제92/17092호의 칫솔이며, 도3은 유럽특허 제92/17093호의 칫솔이고, 도4는 독일의장등록 제93/03155호의 칫솔이며, 도5는 미국특허 제5,373602호의 칫솔이고, 도6은 국내공개실용신안 제96-26579호의 칫솔이며, 도7a,b,c,d은 국내특허 제32499호의 칫솔이고, 도8는 국내공개특허 제1998-14116호의 칫솔이며, 도9a는 국내실용신안등록 제188833호의 칫솔로써 다양하게 착안되어 있음을 알 수 있다.
도9b∼도12까지는 헤드가 3분절되는 칫솔이다.
도10은 프랑스특허 제2,652,245호의 칫솔이고, 도11은 국내공개특허 제1999-85141호 칫솔이며, 도12는 국내공개실용신안 제96-26579호 칫솔로써, 다양하게 착안되어 있음을 알 수 있다.
도13∼18은 헤드부가 4분절 이상 분절되는 칫솔이다.
도13은 유럽특허 제96/02165호의 칫솔이고, 도14는 미국특허 제647,916호의 칫솔이며, 도15는 미국특허 제3,188,672호의 칫솔이고, 도16은 국내공개실용신안 제71-844호의 칫솔이며, 도17은 국내공개실용신안 제 1995-261호의 칫솔이고, 도18은 유럽특허 제97/25900호의 칫솔로써, 4분절 이상 분절되는 칫솔이 다양하게 착안되어 있음을 알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헤드부가 분절되어지는 분절칫솔은 헤드부가 치아의 상태에 따라 분절되므로 일정한 형태로 정형화되어 있는 일반 칫솔에 비하여 치아 및 구강내부를 깨끗하게 세척할 수 있는 장점을 가지고 있다.
본 고안은 헤드부가 2분절되는 칫솔과 3분절되는 칫솔의 단점을 보완한 것으로, 헤드부를 3분절로 나누고, 분절된 헤드부의 중간부분이 칫솔모가 식모되는 쪽으로 볼록하게 휘어져 있어 치솔모가 치아에 서로 다른 마찰력을 가지고 밀착되어질 수 있게 하여 치아를 더욱 청결하게 닦아 낼 수 있는 기능성을 더욱 상향시킨 분절식 칫솔 구조를 제공하는데 있다.
도1은 종래 2분절칫솔의 구조도.
도2는 종래 2분절 칫솔의 다른 예시도.
도3은 종래 2분절 칫솔의 또 다른 실시예시도.
도4는 종래 2분절 칫솔의 또 다른 실시예시도.
도5는 종래 2분절 칫솔의 또 다른 실시예시도.
도6은 종래 2분절 칫솔의 또 다른 실시예시도.
도7a,b,c,d는 종래 2분절 칫솔의 또 다른 실시예시도.
도8는 종래 2분절 칫솔의 또 다른 실시예시도.
도9a는 종래 2분절 칫솔의 또 다른 실시예시도.
도9b는 종래 3분절 칫솔의 구조도.
도10은 종래 3분절 칫솔의 다른 실시예시도.
도11a,b는 종래 3분절 칫솔의 또 다른 실시예시도.
도12은 종래 3분절 칫솔의 또 다른 실시예시도.
도13는 종래 4분절 이상의 다분절 칫솔의 구조도.
도14는 종래 4분절 이상의 다분절 칫솔의 다른 실시예시도.
도15은 종래 4분절 이상의 다분절 칫솔의 또 다른 실시예시도.
도16은 종래 4분절 이상의 다분절 칫솔의 또 다른 실시예시도.
도17은 종래 4분절 이상의 다분절 칫솔의 또 다른 실시예시도.
도18은 종래 4분절 이상의 다분절 칫솔의 또 다른 실시예시도.
도19는 본 고안에 따른 분절칫솔의 분절부재에 연질고무를 씌우지 않은 상태의 측면 구성도.
도20은 도19의 분절부재에 연질고무를 씌운 상태의 본 고안 분절칫솔로 치아 세정시 변형되는 상태를 나타낸 예시도.
도21는 본 고안에 따른 분절칫솔의 연질고무를 씌운 상태의 다른 실시예의 측면 구성도.
도22는 도21의 분절부재에 연질고무를 씌운 상태의 본 고안 분절칫솔로 치아 세정시 변형되는 상태를 나타낸 예시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사용된 부호 설명 ※
10 : 헤드부 11,16 : 분절부재
12,17 : 연질고무 131 : 선단부재
132 : 중간부 133 : 기단부
14 : 손잡이 15 : 칫솔모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의 구성은, 분절부재에 의해 분절되어지고, 치아 세척용 칫솔모가 식모되어 있는 헤드부와, 헤드부로부터 연장형성되어 있는 손잡이로 이루어진 분절식 칫솔에 있어서,
상기 헤드부(10)가 자유로이 분절되어질 수 있도록 분절부재(11)에 의해 3등분 분할되어 있되, 상기 헤드부(10)의 중간부(132)가 위측으로 볼록하게 형성되어 있고, 상기 분절부재(11)가 연질고무(12)로 씌워져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에 따른 또 다른 실시예로서는 상기 헤드부(10)와 손잡이(14) 사이가부분이 분절부재(16)에 의해 자유로이 분절되어 질 수 있도록 형성되어 있고, 분절부재(16)가 연질고무(17)에 의해 씌워져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명세서에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19는 본 고안에 따른 분절칫솔의 부절부재(11)에 연질고무(12)를 씌우지 않은 상태의 측면 구성도이고, 도20은 도19의 분절부재에 연질고무를 씌운상태의 본 고안 분절칫솔로 치아 세정시 변형되는 상태를 나타낸 예시도이다.
도시된 본 고안의 분절식 칫솔을 이용하여 치아를 닦을때 헤드부(10)가 분절부재(11)에 의하여 치아의 형태에 따라 변형되어지면서 치아를 닦아 내게 된다.
즉, 헤드부(10)가 분절부재(11)에 의해 연결 형성되어 있어서 자유롭게 변형이 이루어지게 되고, 입 안쪽에 위치한 어금니를 닦을때 선단부(131)가 위로 경사져 있어 칫솔모(15)가 어금니 표면에 긴밀하게 밀착되어질 수 있게 된다.
상기와 같이 선단부(131)가 위로 경사져 있어 칫솔모(15)가 어금니 표면에 긴밀하게 밀착되어짐과 동시에 칫솔질할때에는 도20에서와 같이 연질고무(12)가 있는 분절부가 외측으로 휘어져 치아에 대하여 칫솔모(15)가 탄력적으로 밀착되어질 수 있을 뿐 아니라, 칫솔모(15)가 벌어지면서 치밀도가 낮아져 칫솔모(15)가 치간사이로 파고들어가 치간사이에 낀 이물질을 좀더 쉽게 제거할 수 있다.
또한 내측으로 볼록하게 휘어진 헤드부(10)의 중간부(132)에 식모된 칫솔모(15)의 길이가 달라 양치시 치아에 서로 다른 마찰력을 가지고 칫솔모(15)가 밀착되어져 치아를 더욱 청결하게 닦아 낼 수 있게 된다.
도21은 본 고안에 다른 분절칫솔의 분절부재에 연질고무를 씌우지 않은 상태의 다른 실시예의 측면구성도이며, 도22는 도21의 분절부재에 연질고무를 씌운 상태의 본 고안 분절칫솔로 치아 세정시 변형되는 상태를 나타낸 예시도이다.
도21과 도22에 도시한 다른 실시예는 도19와 도20에 도시한 본 고안의 실시예에 중간부(132)와 기단부(133)가 연결되어 있고, 분절부재(11)에는 연질고무(12)가 씌워져 있으며 헤드부(10)의 기단부(133)와 손잡이(14)도 분절부재(16)로 연결되고 분절부재(16)에는 연질고무(17)가 씌워진다.
이와같이된 본 고안 실시예는 손잡이(14)와 헤드부(10)가 분절부재(16)에 의해 자유롭게 변형되어져 보다 편안하게 양치질을 할 수 있는 것이다.
이상과 같은 본 고안은 상술한 특성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고안의 요지를 벗어남 없이 당해 고안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경 실시가 가능할 것이다.
상기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분절식 칫솔은, 헤드부의 선단부(131)와 기단부(133)가 중간부(132)를 향해 경사져 있어 어금니와 같이 입 안쪽에 위치하는 치아에 긴밀하게 밀착되어 치아를 깨끗하게 닦아낼 수 있는 장점을 가지고 있고, 헤드부가 분절부에 의해 외측으로 휘어짐이 발생할때 에는 칫솔모의 밀도가 낮아져 치간 사이로 치솔모가 쉽게 파고들어가는 것어서 치간 사이의 이물질을 효과적으로 제거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헤드부의 중간부(132)가 위측으로 볼록하게 휘어져 있어 중간부분에 식모된 칫솔모의 길이가 달라 양치시에 치아에 서로 다른 마찰력을 가지고 칫솔모가 밀착되어져 치아를 더욱 청결하게 닦아 낼 수 있는 효과를 가지고 있다.

Claims (3)

  1. 분절부재에 의해 분절되어지고, 치아 세척용 칫솔모가 식모되어 있는 헤드부와, 헤드부로부터 연장형성되어 있는 손잡이로 이루어진 분절식 칫솔에 있어서,
    헤드부(10)가 자유로이 분절되어질 수 있도록 분절부재(11)에 의해 3등분 분할되고, 상기 분절부재(11)가 연질고무(12)로 씌워져 있으며, 상기 헤드부(10)의 중간부(132)가 위측으로 볼록하게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절식 칫솔 구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헤드부(10)는 분절부재(16)에 의해 손잡이(14)와 연결되고 상기 분절부재(16)가 연질고무(17)에 의해 씌워져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절식 칫솔 구조.
  3. 제1항에 있어서,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헤드부(10)는 선단부(131)와 기단부(133)가 중간부(132)를 향해 경사지게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절식 칫솔 구조.
KR20-2004-0007668U 2004-03-19 2004-03-19 분절식 칫솔 구조 KR200354591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4-0007668U KR200354591Y1 (ko) 2004-03-19 2004-03-19 분절식 칫솔 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4-0007668U KR200354591Y1 (ko) 2004-03-19 2004-03-19 분절식 칫솔 구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54591Y1 true KR200354591Y1 (ko) 2004-06-29

Family

ID=4943278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4-0007668U KR200354591Y1 (ko) 2004-03-19 2004-03-19 분절식 칫솔 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54591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75411B1 (ko) 지향식 세척을 하는 조직 세척요소를 가진 구강 관리기구
KR20180027257A (ko) 치은열구 칫솔
KR102292625B1 (ko) 혀 클리너가 구비된 칫솔
KR200354591Y1 (ko) 분절식 칫솔 구조
KR200354592Y1 (ko) 분절식 칫솔 구조
KR200462621Y1 (ko) 칫솔
KR200337906Y1 (ko) 분절식 칫솔 구조
KR200469882Y1 (ko) 칫솔
CN2640307Y (zh) 硅胶保健牙刷
KR200362799Y1 (ko) 분절 헤드부를 가진 칫솔
KR200238284Y1 (ko) 치솔의 치솔모 구조
KR200417716Y1 (ko) 틀니용 칫솔
KR200283021Y1 (ko) 이쑤시개
CN210353682U (zh) 一种牙刷
KR200219014Y1 (ko) 칫솔
CN209883350U (zh) 咬合式硅胶刷头
KR200210811Y1 (ko) 어금니의 양치가 용이한 칫솔
KR200467406Y1 (ko) 칫솔
KR200264911Y1 (ko) 칫솔
KR200201750Y1 (ko) 설태 제거용 칫솔
KR100592088B1 (ko) 칫솔헤드
KR200433153Y1 (ko) 혀 크리너가 일체형으로 구비된 칫솔
JP2017012531A (ja) 舌クリーナ付歯ブラシ
JP2001346633A (ja) 歯ブラシ
KR200359964Y1 (ko) 칫솔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