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54493Y1 - 전기 히터 - Google Patents

전기 히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54493Y1
KR200354493Y1 KR20-2004-0008585U KR20040008585U KR200354493Y1 KR 200354493 Y1 KR200354493 Y1 KR 200354493Y1 KR 20040008585 U KR20040008585 U KR 20040008585U KR 200354493 Y1 KR200354493 Y1 KR 200354493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ire
case
heating
heating tube
ho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4-0008585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유하영
Original Assignee
유하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유하영 filed Critical 유하영
Priority to KR20-2004-0008585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54493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54493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54493Y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1/00Details of electric heating devices
    • H05B1/02Automatic switching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to apparatus ; Control of heating device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3/00Ohmic-resistance heating
    • H05B3/02Details
    • H05B3/04Waterproof or air-tight seals for heater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3/00Ohmic-resistance heating
    • H05B3/02Details
    • H05B3/06Heater elements structurally combined with coupling elements or holder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3/00Ohmic-resistance heating
    • H05B3/40Heating elements having the shape of rods or tube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3/00Ohmic-resistance heating
    • H05B3/78Heating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immersion heating
    • H05B3/80Portable immersion heaters

Landscapes

  • Resistance Heating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용기에 담겨진 물 등의 액체에 발열부위를 투입하여 액체를 가열하는데 사용되는 투입식 전기 히터에 관한 것으로, 케이스는 전방케이스와 후방케이스가 나사부재를 통해 마주보고 결합되고, 전방케이스에는 암나사부보다 큰 직경의 홈부와 나사부재가 결합되는 암나사부가 형성되어 있는 제 1결합용 기둥이 형성되고, 후방케이스에는 홈부에 삽입되는 제 2결합용 기둥과 내부와 외부를 관통하는 슬롯이 형성되고, 슬롯을 통해 케이스 내부로 삽입되어 제 2결합용 기둥에 결합되어 제 1결합용 기둥에 의해 가압되어 고정되는 삽입부를 가지는 걸이부재를 포함하는 구성을 가지며, 조립하기가 쉽고, 파손된 것만 쉽게 교체할 수 있고, 전선이 유입되는 부분에 고무링 등이 개재되어 단선 등의 불량이 적게 발생된다는 장점, 가열관체와 케이스는 분리하여 별도로 제작이 가능하므로 가열관체를 케이스를 만드는 공장으로 이동시키지 않아도 된다는 장점, 그리고, 케이스와 걸이부재 및 나사부재가 비엠씨로 제작되어 쉽게 깨지지 않으며, 누전 등의 위험도 줄어든다는 장점도 가진다.

Description

전기 히터{Electric heater}
본 고안은 전기 히터에 관한 것으로, 특히 용기에 담겨진 액체에 발열부위를 투입하여 액체를 가열하는데 사용되는 투입식 전기 히터에 관한 것이다.
투입식 전기 히터는 필요한 장소로 쉽게 이동시킬 수 있고 또 사용하기에도 용이하기 때문에 도금공장이나 건설현장 등에서 많이 사용되고 있다.
일반적으로 투입식 전기 히터는 니크롬선과 같은 전기 발열체를 가열관체 내부에 삽입하고 아울러 절연분말을 가열관체 내부에 충전하여 압축경화시키고, 상부에는 전선과 전기 발열체가 연결된 부위를 보호하기 위한 커버(Cover)를 설치한 구성으로 이루어진다.
상기와 같은 투입식 전기 히터로는 실용신안 공개번호 96-8697호에 개시된 것이 있다. 이는 전기발열체가 내장된 가열관체의 상단부와 코드의 연결부위를 코어로 하여 합성수지사출물인 연결뭉치로 감싸 만들면서 한쪽에 하향절곡형상의 손잡이겸 걸이부를 연결뭉치와 일체형으로 형성시켜서 된 것으로, 누전이나 감전의 위험이 적다는 장점은 있으나, 사출성형 시에 발열관체와 전기 공급선을 연결시킨 것을 커버와 일체로 성형하여야 하는 바 작업과정이 까다롭고, 가열관체 등을 사출성형 공장으로 이동시켜야 한다는 문제점이 있다. 또, 사출성형과정에서 전선과 발열체를 당긴 상태에서 사출성형이 이루어지므로 그 연결부위가 끊어지는 불량이 종종 발생되며, 발열관체와 전기 공급선의 접점이 끊어진 경우에는 이를 수리하지 못하여 폐기하여야 하는 문제점도 발생될 수 있다. 또, 사용 중 발열체와 전기 공급선의 접점이 분리된 경우나 걸이부가 파손되는 경우 이를 보수하여 재사용하기가 곤란한 문제점이 있었다.
그 외에 실용신안등록번호 0261288호의 등록실용신안공보에 개시된 것이 있으나 그 조립과정이 복잡하기 때문에 생산성이 떨어지며, 연결부재와 온도 제어선 및 작동확인선을 나사형 너트로 연결하는 과정에서 너트를 조이는 힘을 적정하게 조절하기 어려우며, 너트를 너무 큰 힘으로 체결하는 경우 선이 파손되거나 케이스와의 경계부위에서 쉽게 단선될 우려가 있다.
본 고안의 목적은 발열선과 전선의 연결에 따른 작업 생산성이 뛰어난 투입식 전기 히터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케이스와의 경계부위에서 전선의 단선이 발생되는 것을 줄일 수 있도록 해주는 투입식 전기 히터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고안의 또 다른 목적은 걸이부재를 케이스에 견고하게 고정할 수 있도록 해주는 투입식 전기 히터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고안의 나머지 목적은 열에 강하고 쉽게 파손되지 않으면서도 누전의 가능성이 매우 낮은 투입식 전기 히터를 제공하는 데 있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투입식 전기 히터의 일예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 전기 히터의 배면사시도,
도 3은 케이스를 분해한 상태의 사시도,
도 4는 걸이부재의 결합과정을 보여주는 부분 파단사시도,
도 5는 걸이부재의 결합상태를 나타낸 단면도,
도 6은 연결단자의 단면도,
도 7은 본 고안에 따른 투입식 전기 히터의 다른 예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8은 도 7 전기 히터의 배면 사시도,
도 9는 케이스가 분리된 상태의 사시도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0, 100a : 투입식 전기 히터 110 : 가열관체
120 : 전선 130 : 연결단자
132 : 암나선 140 : 실리콘 고무캡
146, 148 : 고무링 150 : 케이스
151 : 전방케이스 155 : 제 1결합용 기둥
161 : 후방케이스 165 : 제 2결합용 기둥
170 : 나사부재 180 : 걸이부재
200 : 온도조절기 210 : 온도측정관체
220 : 간격유지구
본 고안에 따른 전기 히터는 소정 경로를 따라 굴곡되고 발열선이 양단으로 돌출 되어 있는 가열관체, 일단은 상기 발열선에 연결되는 전선 및 상기 전선과 발열선의 연결부위를 둘러싸 보호하는 케이스를 구비하여 구성된 투입식 전기 히터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는 전방케이스와 후방케이스가 나사부재를 통해 마주보고 결합되어 구성되고 가열관체 유입공들과 전선 유입공을 구비하고,
상기 전방케이스에는 상기 후방케이스를 향해 연장되고 내부에 상기 암나사부보다 큰 직경의 홈부와 상기 나사부재가 결합되는 암나사부가 형성되어 있는 제 1결합용 기둥이 형성되고,
상기 후방케이스에는 상기 제 1결합용 기둥을 향해 연장되고 내부에 상기 나사부재의 통과를 허용하는 구멍을 구비하여 상기 홈부에 삽입되는 제 2결합용 기둥과 내부와 외부를 관통하는 슬롯이 형성되고,
상기 제 2결합용 기둥이 통과될 수 있는 통공을 가지며 상기 슬롯을 통해 상기 케이스 내부로 삽입되어 상기 제 2결합용 기둥에 결합되어 상기 제 1결합용 기둥에 의해 가압되어 고정되는 삽입부와 상기 삽입부에서 “ㄱ”자 모양으로 돌출된 걸림부를 구비하는 걸이부재를 포함하는 구성을 가진다.
경우에 따라, 상기 케이스에 설치되고 상기 가열관체에 의해 가열되는 액체의 온도를 조절하기 위한 온도조절기와 상기 케이스에서 상기 가열관체와 같은 방향으로 연장되게 설치되고 온도감지기를 구비하여 상기 가열관체에 의해 가열되는 액체의 온도를 측정하기 위한 온도측정관체를 더 포함하고, 상기 케이스에는 상기온도측정관체의 상단이 삽입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온도측정관체 유입공이 형성되고, 상기 온도측정관체 유입공에 고무링이 결합되고, 상기 가열관체와 상기 온도측정관체를 수용하기 위한 홈부를 갖는 두 개의 홈부재들이 마주보고 결합되어 상기 가열관체와 온도측정관체가 간격을 유지하여줄 수 있도록 지지하여주는 간격유지구를 가지는 구성을 가질 수 있다.
상기 전선 유입공에는 상기 전선이 부드럽게 굴곡되는 것을 허용하는 고무링이 개재되고, 상기 가열관체 유입공에는 상기 발열선이 통과될 수 있는 구멍을 구비하여 상기 가열관체의 끝단에 씌워지는 고무캡이 개재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돌출된 발열선에 결합되는 결합공과 상기 전선의 끝단이 삽입될 수 있는 삽입공을 구비하고 상기 전선의 끝단이 삽입된 상태에서 압착되어 상기 발열선과 전선을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도록 해주는 전도체로 된 연결단자를 포함하고,
상기 돌출된 발열선의 외주면에 수나선이 형성되고, 상기 연결단자의 결합공 내주면에는 암나선이 형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케이스와 상기 나사부재는 아크릴 비엠씨(bulk molding compound), 불포화 폴리에스터수지 비엠씨와 같은 비엠씨(bulk molding compound)로 만들어진 것이 좋다.
또, 본 고안에 따른 투입식 전기 히터는 소정 경로를 따라 굴곡되고 발열선이 양단으로 돌출되어 있는 가열관체, 일단은 상기 발열선에 연결되는 전선 및 상기 전선과 발열선의 연결부위를 둘러싸 보호하는 케이스를 구비하여 구성된 투입식 전기 히터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는 전방케이스와 후방케이스가 나사부재를 통해마주보고 결합되어 구성되고 가열관체 유입공들과 전선 유입공을 구비하고,
상기 전선 유입공에는 상기 전선이 부드럽게 굴곡되는 것을 허용하는 고무링이 개재되고, 상기 가열관체 유입공에는 상기 발열선이 통과될 수 있는 구멍을 구비하여 상기 가열관체의 끝단에 씌워지는 고무캡이 개재되는 구성을 가질 수도 있다.
이 경우, 상기 케이스에 설치되고 상기 가열관체에 의해 가열되는 액체의 온도를 조절하기 위한 온도조절기와 상기 케이스에서 상기 가열관체와 같은 방향으로 연장되게 설치되고 온도감지기를 구비하여 상기 가열관체에 의해 가열되는 액체의 온도를 측정하기 위한 온도측정관체를 더 포함하고, 상기 케이스에는 상기 온도측정관체의 상단이 삽입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온도측정관체 유입공이 형성되고, 상기 온도측정관체 유입공에 고무링이 결합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 역시, 상기 돌출된 발열선에 결합되는 결합공과 상기 전선의 끝단이 삽입될 수 있는 삽입공을 구비하고 상기 전선의 끝단이 삽입된 상태에서 압착되어 상기 발열선과 전선을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도록 해주는 전도체로 된 연결단자를 포함하고,
상기 돌출된 발열선의 외주면에 수나선이 형성되고, 상기 연결단자의 결합공 내주면에는 암나선이 형성되어 있는 것이 좋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투입식 전기 히터의 일예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 전기 히터의 배면사시도, 도 3은 케이스를 분해한 상태의 사시도, 도 4는 걸이부재의 결합과정을 보여주는 부분 파단사시도, 도 5는 걸이부재의 결합상태를 나타낸 단면도, 도 6은 연결단자의 단면도이다.
도 1 ∼ 도 6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투입식 전기 히터(100)는 가열관체(110)를 구비하고 있다. 이 가열관체(110)는 용기에 담겨진 물 등에 직접 투입되어 물 등을 가열하여 주기 위한 것이다. 이 가열관체(110) 내부에는 전기를 공급받아 발열하는 발열선(112)이 내장되어 있고 또 발열선(112)이 가열관체(110)와 접촉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절연재가 충전되어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가열관체(110)의 양단으로는 발열선(112)의 양단이 외부로 돌출되어 있다. 이 돌출된 발열선(112)은 전선(120)을 연결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으로, 외주면에 수나선(114)이 형성되어 있다. 이 수나선(114)은 뒤에서 설명되는 연결단자(130)가 나사결합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본 고안에 따른 투입식 전기 히터(100)는 실리콘 고무캡(140)을 구비하고 있다. 이 실리콘 고무캡(140)은 가열관체(110) 내부로 수분 등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고 또 한편으로는 가열관체(110)와 케이스(150) 사이의 완충재의 역할을 하기 위한 것으로, 일단은 개구되고 타단은 발열선(112)이 통과될 수 있는 구멍(144)을 제외하고는 막혀있는 원통형 캡형상을 하고 있으며, 실리콘 고무 대신 일반 고무가 사용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본 고안에 따른 투입식 전기 히터(100)는 연결단자(130)를 구비하고 있다. 이 연결단자(130)는 실리콘 고무캡(140)의 구멍(144)을 통해 돌출되는 발열선(112)과 전선(120)을 연결하기 위한 것으로, 외주면에 단이 형성된 중공의 관형상을 하고 있는데, 이는 도 6을 참조하면 더 자세히 알 수 있다. 도 6에 나타낸 바와 같이 연결단자(130)의 내주면 하반부에는 암나선(132)이 형성되어 있다. 이는 발열선(112)의 수나선(114)에 결합되는 부분이다. 이러한 연결단자(130)로는 전기전도성이 뛰어나면서도 연성이 뛰어난 금속으로 만드는 것이 바람직하다.
발열선(112)에 연결되는 전선(120)은 피복이 벗겨진 끝단이 연결단자(130)의 내부로 삽입된 상태에서 별도의 단자압착기 등을 통해 연결단자(120)의 상단부가 압착됨에 의해 발열선(112)과 접속된다. 이러한 전선(120)의 타단에는 통상적으로 콘센트에 꽂을 수 있는 플러그가 설치되어 있다.
본 고안에 따른 투입식 전기 히터(100)는 고무링(146)을 구비하고 있다. 이 고무링(146)은 전선(120)과 케이스(150) 사이를 완충하여주기 위한 것으로, 케이스(150) 내부로 유입되는 경계 부위에서 전선(120)이 부드럽게 휘어질 수 있도록 하여 준다. 이는 특히, 겨울철에 전선이 반복으로 굴곡됨에 따라 케이스(150)와 만나는 경계부위에서 단선되는 것을 방지하여 주기 위한 것이다. 이러한 고무링(146)은 중공의 원통형 형상을 하고 있으며, 실리콘 고무로 만든 것이 바람직하다.
본 고안에 따른 투입식 전기 히터(100)는 케이스(150)를 구비하고 있다. 이 케이스(150)는 전선(120)과 발열선(112)의 연결부위를 둘러싸 보호하고 필요한 부품들을 필요한 위치에 설치할 수 있는 공간을 제공하는 역할을 한다. 이러한 케이스(150)는 전방케이스(151)와 후방케이스(161)가 나사부재(170)에 의해 마주보고결합된 구성을 갖는다.
전방케이스(151)는 4모서리 부근에 형성된 결합용 돌기(152)를 구비한다. 이 돌기(152)는 후방케이스(161)의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된 홈(162)과 결합되는 부분으로 결합의 용이성을 위해 테이퍼지게 형성되어 있다. 후방케이스(161)에 돌기를 형성하는 경우 전방케이스(151)에는 홈이 형성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이러한 전방케이스(151) 하단 부근에는 가열관체 유입홈(153) 한 쌍이 좌우로 간격을 두고 형성되어 있다. 이 가열관체 유입홈(153)은 가열관체(110)의 양단이 각각 케이스(150) 내부로 유입되는 것을 허용하기 위한 것이다. 앞에서 언급한 실리콘 고무캡(140)이 이 가열관체 유입홈(153)에 장착된다. 전방케이스(151) 상방 중앙부에는 전선 유입홈(154)이 형성되어 있다. 이 전선 유입홈(154)에 원통형 고무링(146)이 배치된다.
전방케이스(151)에는 후방케이스(161)와 마주보는 내면 부근까지 연장되는 제 1결합용 기둥(155)이 좌우 한 쌍으로 배치되어 있다. 이 제 1결합용 기둥(155)의 내면은 도 6에 나타낸 연결단자(130)와 같은 모양에서 상단이 넓게 형성된 모양을 가진다. 이 제 1결합용 기둥(155)의 내부에는 나사부재(170)가 결합되는 암나사부(155a)와 암나사부(155a)보다 큰 직경의 홈부(155b)가 구비된다. 이 제 1결합용 기둥(155)은 나사부재(170)의 결합력으로 전진하여 뒤에서 설명되는 걸이부재(180)의 일측을 후방케이스(161)의 내면에 압박하여 걸이부재(180)가 케이스(150)에 고정될 수 있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후방케이스(161)는 전방케이스(151)의 결합용 돌기(152)들과 마주보고 형성된 결합용 홈(162)들과 가열관체(110)의 양단이 각각 케이스(150) 내부로 유입되는 것을 허용하기 위한 적어도 한 쌍의 가열관체 유입홈(163)들 및 전선(120)이 케이스(150) 내부로 유입되는 것을 허용하는 전선 유입홈(164)을 구비한다. 결합상태에서 후방케이스(161)의 각 유입홈들은 전방케이스(151)의 각 유입홈들과 함께 가열관체 유입공들 및 전선 유입공을 각각 형성한다. 이러한 후방케이스(161)에는 제 1결합용 기둥(155)을 향해 연장되고 내부에 나사부재(170)의 통과를 허용하는 구멍(165a)을 구비하여 제 1결합용 기둥(155)의 홈부(155b)에 삽입되는 제 2결합용 기둥(165)이 형성되어 있다.
후방케이스(161)에는 걸이부재(180)의 일측을 케이스(150) 내부로 삽입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슬롯(166)이 좌우로 길게 형성되어 있다.
본 고안에 따른 투입식 전기 히터(100)는 걸이부재(180)를 구비하고 있다. 이 걸이부재(180)는 제 2결합용 기둥(165)이 통과될 수 있는 통공(181)을 가지며 슬롯(166)을 통해 케이스(150) 내부로 삽입되어 제 2결합용 기둥(165)에 결합되어 나사부재(170)를 조임에 따라 제 1결합용 기둥(155)에 의해 가압되어 고정되는 삽입부(182)와 삽입부(182)에서 “ㄱ”자 모양으로 돌출된 걸림부(184)를 구비하는 구성을 가진다.
여기에서, 케이스(150)와 나사부재(170)로는 큰 충격에도 잘 깨지지 않으며 부도체인 아크릴 비엠씨(bulk molding compound), 불포화 폴리에스터수지 비엠씨와 같은 비엠씨(bulk molding compound)로 만들어진 것이 바람직하다.
도 7은 본 고안에 따른 투입식 전기 히터의 다른 예를 나타낸 사시도이고,도 8은 도 7 전기 히터의 배면 사시도, 도 9는 케이스가 분리된 상태의 사시도이다.
도 7∼도 9에 나타낸 투입식 전기 히터(100a)는 앞에서 설명한 투입식 전기 히터(100)에 온도조절기(200)와 온도감지기(211)를 구비하는 온도측정관체(210)를 더 설치한 것이다. 또, 온도측정관체(210)가 두 가열관체(110) 사이에 배치됨에 따라 온도측정관체(210)가 양측 가열관체(110)와 간격을 두고 유지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간격유지구(220)가 더 구비된다. 온도측정관체(210)와 가열관체(110)의 길이가 짧은 히터에서는 간격유지구(220)는 필요치 않으나 온도측정관체(210)와 가열관체(110)의 길이가 길어지는 경우, 온도측정관체(210)의 끝단이 가열관체(110) 쪽으로 기울어지기 쉽고, 그렇게 되면 측정되는 온도에 큰 오차가 생기게 된다.
간격유지구(220)는 원호홈(222)들이 형성되어 있는 두 부재를 마주보고 결합하여 구성하면 된다.
온도측정관체(210)가 더 설치됨에 따라 전방케이스(151)와 후방케이스(161)의 하단 중앙부위의 마주보는 부분에 온도측정관체 유입홈(156, 166)이 각각 더 형성된다. 두 온도측정관체 유입홈(156, 166)이 마주보고 배치되어 온도측정관체 유입공을 형성하게 된다.
도 9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온도측정관체(220) 내부에는 측정온도에 따른 신호를 온도조절기(200)로 보내기 위한 온도신호선(214)이 내장되어 있고, 온도측정관체(210)의 상단이 케이스(150) 내부로 유입되는 부분, 즉 온도측정관체 유입공에는 고무링(148)이 배치된다. 이 고무링(148) 역시 실리콘 고무로 된 것이 적당하다.
온도조절기(200)는 가열하고자하는 물 등의 온도를 설정할 수 있도록 해주고, 가열되는 물 등이 설정된 온도로 가열되면 발열선(112)의 전원을 차단하여 물 등이 더 이상 가열되는 것을 방지한다. 이러한 온도조절기는 공지기술이며, 시중에 판대되고 있는 제품을 그대로 이용하여도 된다. 여기에서 온도조절기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그 외의 나머지 사항은 도 1∼도 6을 통해 설명한 바와 같다.
이상의 설명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투입식 전기 히터는 조립하기가 쉽고, 걸이부재 등 일부가 파손되더라도 파손된 것만 쉽게 교체할 수 있다는 장점을 가진다.
특히, 전선이 유입되는 부분에 고무링 등이 개재되어 단선 등의 불량이 적게 발생된다는 장점도 가진다.
또, 가열관체와 케이스는 분리하여 별도로 제작이 가능하므로 가열관체를 케이스를 만드는 공장으로 이동시키지 않아도 된다는 장점도 있다.
그리고, 케이스와 걸이부재 및 나사부재가 비엠씨로 제작되어 쉽게 깨지지 않으며, 누전 등의 위험도 줄어든다는 장점도 가진다.
또, 발열체와 전선의 연결에 연결단자를 이용함으로써 작업시간이 단축되고, 불량률도 매우 낮다는 효과도 더 가진다.

Claims (8)

  1. 소정 경로를 따라 굴곡되고 발열선이 양단으로 돌출되어 있는 가열관체, 일단은 상기 발열선에 연결되는 전선 및 상기 전선과 발열선의 연결부위를 둘러싸 보호하는 케이스를 구비하여 구성된 투입식 전기 히터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는 전방케이스와 후방케이스가 나사부재를 통해 마주보고 결합되어 구성되고 가열관체 유입공들과 전선 유입공을 구비하고,
    상기 전방케이스에는 상기 후방케이스를 향해 연장되고 내부에 상기 암나사부보다 큰 직경의 홈부와 상기 나사부재가 결합되는 암나사부가 형성되어 있는 제 1결합용 기둥이 형성되고,
    상기 후방케이스에는 상기 제 1결합용 기둥을 향해 연장되고 내부에 상기 나사부재의 통과를 허용하는 구멍을 구비하여 상기 홈부에 삽입되는 제 2결합용 기둥과 내부와 외부를 관통하는 슬롯이 형성되고,
    상기 제 2결합용 기둥이 통과될 수 있는 통공을 가지며 상기 슬롯을 통해 상기 케이스 내부로 삽입되어 상기 제 2결합용 기둥에 결합되어 상기 제 1결합용 기둥에 의해 가압되어 고정되는 삽입부와 상기 삽입부에서 “ㄱ”자 모양으로 돌출된 걸림부를 구비하는 걸이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투입식 전기히터.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에 설치되고 상기 가열관체에 의해 가열되는 액체의 온도를 조절하기 위한 온도조절기와 상기 케이스에서 상기 가열관체와 같은방향으로 연장되게 설치되고 온도감지기를 구비하여 상기 가열관체에 의해 가열되는 액체의 온도를 측정하기 위한 온도측정관체를 더 포함하고, 상기 케이스에는 상기 온도측정관체의 상단이 삽입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온도측정관체 유입공이 형성되고, 상기 온도측정관체 유입공에 고무링이 결합되고, 상기 가열관체와 상기 온도측정관체를 수용하기 위한 홈부를 갖는 두 개의 홈부재들이 마주보고 결합되어 상기 가열관체와 온도측정관체가 간격을 유지하여줄 수 있도록 지지하여주는 간격유지구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투입식 전기히터.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전선 유입공에는 상기 전선이 부드럽게 굴곡되는 것을 허용하는 고무링이 개재되고, 상기 가열관체 유입공에는 상기 발열선이 통과될 수 있는 구멍을 구비하여 상기 가열관체의 끝단에 씌워지는 고무캡이 개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투입식 전기 히터.
  4. 제 1항 내지 제 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돌출된 발열선에 결합되는 결합공과 상기 전선의 끝단이 삽입될 수 있는 삽입공을 구비하고 상기 전선의 끝단이 삽입된 상태에서 압착되어 상기 발열선과 전선을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도록 해주는 전도체로 된 연결단자를 포함하고,
    상기 돌출된 발열선의 외주면에 수나선이 형성되고, 상기 연결단자의 결합공 내주면에는 암나선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투입식 전기 히터.
  5. 제 1항 내지 제 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와 상기 나사부재는 아크릴 비엠씨(bulk molding compound), 불포화 폴리에스터수지 비엠씨와 같은 비엠씨(bulk molding compound)로 만들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투입식 전기히터.
  6. 소정 경로를 따라 굴곡되고 발열선이 양단으로 돌출되어 있는 가열관체, 일단은 상기 발열선에 연결되는 전선 및 상기 전선과 발열선의 연결부위를 둘러싸 보호하는 케이스를 구비하여 구성된 투입식 전기 히터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는 전방케이스와 후방케이스가 나사부재를 통해 마주보고 결합되어 구성되고 가열관체 유입공들과 전선 유입공을 구비하고,
    상기 전선 유입공에는 상기 전선이 부드럽게 굴곡되는 것을 허용하는 고무링이 개재되고, 상기 가열관체 유입공에는 상기 발열선이 통과될 수 있는 구멍을 구비하여 상기 가열관체의 끝단에 씌워지는 고무캡이 개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투입식 전기 히터.
  7.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에 설치되고 상기 가열관체에 의해 가열되는 액체의 온도를 조절하기 위한 온도조절기와 상기 케이스에서 상기 가열관체와 같은 방향으로 연장되게 설치되고 온도감지기를 구비하여 상기 가열관체에 의해 가열되는 액체의 온도를 측정하기 위한 온도측정관체를 더 포함하고, 상기 케이스에는 상기 온도측정관체의 상단이 삽입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온도측정관체 유입공이 형성되고, 상기 온도측정관체 유입공에 고무링이 결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투입식 전기히터.
  8. 제 6항 또는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돌출된 발열선에 결합되는 결합공과 상기 전선의 끝단이 삽입될 수 있는 삽입공을 구비하고 상기 전선의 끝단이 삽입된 상태에서 압착되어 상기 발열선과 전선을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도록 해주는 전도체로 된 연결단자를 포함하고,
    상기 돌출된 발열선의 외주면에 수나선이 형성되고, 상기 연결단자의 결합공 내주면에는 암나선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투입식 전기 히터.
KR20-2004-0008585U 2004-03-29 2004-03-29 전기 히터 KR200354493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4-0008585U KR200354493Y1 (ko) 2004-03-29 2004-03-29 전기 히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4-0008585U KR200354493Y1 (ko) 2004-03-29 2004-03-29 전기 히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54493Y1 true KR200354493Y1 (ko) 2004-07-01

Family

ID=4943272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4-0008585U KR200354493Y1 (ko) 2004-03-29 2004-03-29 전기 히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54493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044020B1 (ko) 전원 플러그
CN103682715B (zh) 插头
US5422457A (en) Soldering iron with quick change heater assembly with static dissipative and strain relieving receiver for detachable power cord-heater connections
CN102098816B (zh) 带连接线路的电热器
CA2139718C (en) Electrically weldable plastic fitting
KR200354493Y1 (ko) 전기 히터
KR20070006347A (ko) 온수 가열용 히터장치
KR20130001675U (ko) 전선 결선 장치
GB2137026A (en) Coupling electrofusion fitting to energy source and control equipment
KR200460887Y1 (ko) 난방제품의 전기접속 커넥터
JP6968446B2 (ja) コネクタ部を備えた電熱ヒータ
KR200463776Y1 (ko) 전원케이블
JP5280054B2 (ja) 電熱ヒータ付きハンドル用グリップ部材
KR200332688Y1 (ko) 전기온돌용 히터 조립체의 터미널핀 및 터미널 핀홀더
CN105414720A (zh) 一种焊枪壳体以及具有该壳体的焊枪
KR200396419Y1 (ko) 온수 가열용 히터장치
US6325615B1 (en) Injection molding system
KR200342075Y1 (ko) 전기 가열 장치
CN214153336U (zh) 耦合器插头的结构
KR200414380Y1 (ko) 전원플러그의 전원단자용 전선 연결구
CN214336982U (zh) 用于电源适配器的连接头及连接母头
KR100336943B1 (ko) 연결관용연결부재
KR200315419Y1 (ko) 전원 플러그
CN210123060U (zh) 侧接柱式电熔管件
KR0119560Y1 (ko) 전기식 가열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615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009

Year of fee payment: 10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