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42075Y1 - 전기 가열 장치 - Google Patents

전기 가열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42075Y1
KR200342075Y1 KR20-2003-0036650U KR20030036650U KR200342075Y1 KR 200342075 Y1 KR200342075 Y1 KR 200342075Y1 KR 20030036650 U KR20030036650 U KR 20030036650U KR 200342075 Y1 KR200342075 Y1 KR 200342075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eating tube
coupling
lower cover
coupling screw
electric hea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3-0036650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종상
Original Assignee
이종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종상 filed Critical 이종상
Priority to KR20-2003-0036650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42075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42075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42075Y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3/00Ohmic-resistance heating
    • H05B3/78Heating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immersion heating
    • H05B3/80Portable immersion heater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3/00Ohmic-resistance heating
    • H05B3/02Details
    • H05B3/06Heater elements structurally combined with coupling elements or holder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3/00Ohmic-resistance heating
    • H05B3/40Heating elements having the shape of rods or tubes
    • H05B3/42Heating elements having the shape of rods or tubes non-flexible
    • H05B3/44Heating elements having the shape of rods or tubes non-flexible heating conductor arranged within rods or tubes of insulating material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2203/00Aspects relating to Ohmic resistive heating covered by group H05B3/00
    • H05B2203/021Heaters specially adapted for heating liquids

Landscapes

  • Resistance Heating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전기 가열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보다 상세하게는 가열관체를 용이하고 확실하게 고정하며, 고장 수리가 용이할 뿐만 아니라 안전한 전기 가열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은, 전기 발열체를 내부에 구비한 가열관체를 이용한 전기 가열 장치에 있어서, 일 측면에 상부 전선 수용부(112)를 구비한 상부 커버(110); 및 일 측면에는 하부 전선 수용부(122)를 구비하고, 저면에는 걸이부(124) 및 내부에 상기 가열관체(140)의 일단이 수용되는 가열관체 수용부(128a, 128b)가 형성된 가열관체 지지부(126a, 126b)를 상기 걸이부(124)와 이격하여 구비하는 하부 커버(120)를 포함하는 전기 가열 장치를 제공한다.

Description

전기 가열 장치{Electric Heating Device}
본 고안은 전기 가열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보다 상세하게는 가열관체를 용이하고 확실하게 고정하며, 고장 수리가 용이할 뿐만 아니라 안전한 전기 가열 장치에 관한 것이다.
전기를 이용하여 물을 가열하는 가열 장치는 전기 온수 보일러, 순간 온수기 등 다양하게 사용되고 있다. 그런데 전기 온수 보일러나 순간 온수기와 같은 제품은 제품 생산시에 온수 저장통 또는 물이 흐르는 관로에 이미 가열 장치를 삽입 설치하여 판매되는 것이 일반적이다.
반면, 이동성을 갖는 전기 가열 장치의 경우에는 온수 저장통에 직접 삽입하여 물을 데울 수 있도록 되어 있고 이러한 전기 가열 장치는 사용의 용이성으로 인해 다양한 산업 현장 및 가정에서 사용되고 있다.
위와 같이 이동성을 갖는 전기 가열 장치는 통상적으로 내부에 니크롬선과 같은 전기 발열체를 내장하고, 상부에는 전기선과 전기 발열체가 연결된 부위를 보호하기 위한 커버(Cover)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종래 이와 같은 전기 가열 장치로 대한민국 실용신안공개공보 제1996-8697호나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244082호에 개시된 온수용 전기 가열 장치가 제안된 바 있다.
그러나, 종래의 전기 가열 장치의 경우에는 커버를 사출 성형 등의 방법으로 일체로 생산하는 것이어서 사출 성형시에 발열관체와 전기 공급선을 연결시킨 것을 커버와 일체로 성형하여야 하는 바 제품 생산 비용 및 과정이 까다로운 단점이 있었다.
한편, 사출 성형한 결과 발열관체와 전기 공급선의 접점이 끊어진 경우에는 이를 수리하지 못하여 폐기하여야 하는 문제점이 발생할 수도 있으며, 사용중 발열체와 전기 공급선의 접점이 분리된 경우에 이를 보수하여 재사용하기가 곤란한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발열관체가 커버에 확실히 고정되지 못함에 따라 커버에 고정된 발열관체가 하부의 충격에 의해 탈락될 수 있는 문제점도 존재하였다.
또한, 종래 전기 가열 장치는 전기 공급을 위한 전선의 인출 방향과 가열관체의 연결 방향이 일직선을 이루므로, 즉 가열관체의 방향은 아래를 향하고 전선의 인출 방향은 위를 향하게 되어 온수 저장통 등에 설치시 구조적으로 불안정한 단점이 있었다.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본 고안은, 상부 커버와 하부 커버로 분리 가능한 커버에 가열관체를 확실히 고정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걸이부를 구비하여 온수 저장통에 용이하게 고정시킬 수 있는 전기 가열 장치를 제공함을 그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고안은 전선의 인출 방향과 가열관체의 방향이 직각 또는 직각과 비슷한 각도를 이루도록 배치함으로써 온수 저장통 등에 안정성 있게 설치되는 전기 가열 장치를 제공함을 그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고안은 상하 분리 가능한 압착 고정구를 이용하여 가열관체를 커버에 용이하고 확실하게 고정시킬 수 있는 전기 가열 장치를 제공함을 그 목적으로 한다.
도 1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전기 가열 장치의 분해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전기 가열 장치의 결합도,
도 3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전기 가열 장치에 있어서, 상부 커버에 결합 나사 통과공을 구비하고 하부 커버에 결합 나사 고정부를 구비한 상태를 도시한 도면,
도 4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전기 가열 장치를 온수 저장통에 장착한 상태를 도시한 도면,
도 5a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전기 가열 장치에 있어서, 가열관체를 고정하기 위한 압착 고정구의 사시도,
도 5b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전기 가열 장치에 있어서, 가열관체를 고정하기 위한 압착 고정구의 단면도,
도 6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전기 가열 장치에 있어서, 압착 고정구를 이용하여 가열관체를 고정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0 : 전기 가열 장치 110 : 상부 커버
120 : 하부 커버 124 : 걸이부
126a, 126b : 가열관체 지지부 128a, 128b : 가열관체 수용부
140 : 가열관체 146a, 146b : 가열관체 고정부
210 : 단턱 500 : 압착 고정구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고안은, 전기 발열체를 내부에 구비한 가열관체를 이용한 전기 가열 장치에 있어서, 일 측면에 상부 전선 수용부(112)를 구비한 상부 커버(110); 및 일 측면에는 하부 전선 수용부(122)를 구비하고, 저면에는 걸이부(124) 및 내부에 상기 가열관체(140)의 일단이 수용되는 가열관체 수용부(128a, 128b)가 형성된 가열관체 지지부(126a, 126b)를 상기 걸이부(124)와 이격하여 구비하는 하부 커버(120)를 포함하는 전기 가열 장치를 제공한다.
또한, 본 고안은, 전기 발열체를 내부에 구비한 가열관체를 이용한 전기 가열 장치에 있어서, 일 측면에는 상부 전선 수용부(112)를 구비한 상부 커버(110); 일 측면에는 하부 전선 수용부(122)를 구비하고, 저면에는 걸이부(124) 및 상기 가열관체(140)의 일단이 통과하는 가열관체 고정공(132a, 132b)을 상기 걸이부(124)와 이격하여 구비하는 하부 커버(120); 및 상기 가열관체 고정공(132a, 132b)을 통과한 상기 가열관체(140)를 상기 하부 커버(120)에 고정시키는 압착 고정구(500)를 포함하는 전기 가열 장치를 제공한다.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우선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고안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고안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1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전기 가열 장치의 분해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전기 가열 장치의 결합도이다.
본 고안에 따른 전기 가열 장치는 상부 커버(110)와 하부 커버(120) 및 가열관체(14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이 경우 상부 커버(110)와 하부 커버(120)는 플라스틱 등의 절연체를 이용한 사출 성형의 방법으로 생산할 수 있다.
상부 커버(110)와 하부 커버(120) 내부에는 가열관체(140)가 고정되고 전기를 공급할 전선(202)이 수용된다. 전선(202)을 안전하게 수용하기 위하여 상부 커버(110)와 하부 커버(120)의 일 측면에는 상부 전선 수용부(112)와 하부 전선 수용부(122)가 돌출 형성되는데, 상부 커버(110)의 상부 전선 수용부(112)와 하부 커버(120)의 하부 전선 수용부(122)에 형성된 홈으로 전선이 수용되게 된다. .
상부 커버(110)의 하부에는 결합 나사 고정부(114a, 114b, 114c)가 구비되고, 하부 커버(120)에는 결합 나사 통과공(130a, 130b, 130c)이 구비된다. 결합 나사(138a, 138b, 138c)를 결합 나사 통과공(130a, 130b, 130c)을 통해 결합 나사 고정부(114a, 114b, 114c)에 고정시킴으로써 상부 커버(110)와 하부 커버(120)가 결합된다.
한편, 도 1에서는 결합 나사 고정부(114a, 114b, 114c) 및 결합 나사 통과공(130a, 130b, 130c)과 결합 나사(138a, 138b, 138c)를 각 세 개씩 구비하도록 하였으나, 본 고안의 실시에 있어서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경우에 따라서는 한 개 또는 두 개 혹은 네 개 이상을 구비하여 상부 커버(110)와 하부 커버(120)를 결합시킬 수도 있다.
하부 커버(120)의 하단에는 걸이부(124)가 구비된다. 걸이부(124)는 본 고안에 따른 전기 가열 장치(100)를 온수 저장통에 용이하게 걸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또한, 하부 커버(120)의 하단에는 가열관체 지지부(126a, 126b)가 걸이부(124)와 이격하여 구비된다. 가열관체 지지부(126a, 126b)의 내부에는 가열관체(140)가 삽입되는 가열관체 수용부(128a, 128b)가 구비된다. 또한 하부 커버(120)에는 가열관체 수용부(128a, 128b)와 연통되는 가열관체 고정공(132a, 132b)이 구비된다.
가열관체 지지부(126a, 126b)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내부에 가열관체 수용부(128a, 128b)를 구비하는 중공형의 원통으로 이루어진다. 그러나, 본 고안의 실시에 있어서 가열관체 지지부(126a, 126b)를 도 1과 같이 두 개의 중공형 원통으로 형성하지 않고 서로 연결하여 일체로 형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즉, 가열관체 지지부(126a, 126b)를 서로 연결하여 하나의 각 기둥 형상으로 하고, 그 내부에 두 개의 가열관체 수용부(128a, 128b)를 구비하도록 하는 것도 가능하다.
다음으로 가열관체(140)에 대하여 설명한다.
가열관체(140)의 내부에는 전기를 공급하는 전선 단자(142)가 내장되고 가열관체(140)의 하부에는 니크롬선과 같은 전기 발열체(144)가 전선 단자(142)와 연결되어 구비된다.
본 고안에 따른 전기 가열 장치(100)에 있어서는 가열관체(140)의 상부에는 외주면에 나사산이 구비된 가열관체 고정부(146a, 146b)가 구비되는데, 가열관체 고정부(146a, 146b)의 가열관체(140) 본체의 외경 지름보다 작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가열관체 고정부(146a, 146b)는 가열관체(140)가 가열관체 수용부(128a, 128b)에 삽입되는 경우 가열관체 고정공(132a, 132b)을 통해 위로 노출된다.
가열관체 고정부(146a, 146b)에는 결합 볼트(136a, 136b)가 결합되어 가열관체(144)를 하부 커버(120)에 확실히 고정시킨다. 한편, 바람직하게는 결합 볼트(136a, 136b)를 와셔(134a, 134b)와 함께 사용하여 결합 볼트(136a, 136b)가 풀리지 않도록 강하게 결합하는 것이 좋다.
도 2를 참조하여 본 고안에 따른 전기 가열 장치(100)의 결합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가열관체(140)는 가열관체 지지부(126a, 126b) 내부에 구비된 가열관체 수용부(128a, 128b)로 삽입되고, 가열관체(140) 상부에 구비된 가열관체 고정부(146a, 146b)는 가열관체 고정공(132a, 132b)을 통해 위로 돌출된다. 그 후, 결합 볼트(136a, 136b)와 와셔(134a, 134b)를 가열관체 고정부(146a, 146b)에 결합하여 가열관체(140)를 하부 커버(120)에 확실히 고정시킨다.
가열관체 고정부(146a, 146b)의 상단에는 전선 단자(140)와 연결된 연결 단자(206)가 구비되고, 연결 단자(206)에는 전선(202)을 접합시킨다. 한편, 전선(202)의 일단에는 플러그(Plug : 204)를 구비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가열관체(140)를 하부 커버(120)에 고정시키고 전선(202)을 가열관체(140)에 연결시킨 후에는 상부 커버(110)와 하부 커버(120)를 결합 나사(138a, 138b, 138c)를 이용하여 결합시킨다.
한편, 상부 커버(110)와 하부 커버(120)의 결합면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단턱(210)을 두는 것이 바람직하다. 단턱(210)은 상부 커버(110)와 하부 커버(120)의 결합을 공고히 하는 효과가 있으며, 단턱(210) 부위에 연질 고무나 합성 수지 등으로 된 실링 재료를 구비하면, 상부 커버(110)와 하부 커버(120) 사이에서의 물이나 습기의 침투를 방지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고안의 실시에 있어서, 가열관체 수용부(128a, 128b) 내부에도 연질 고무나 합성 수지 등으로 된 실링 재료를 구비하여 가열관체(140)와 가열관체 수용부(128a, 128b)의 결합면에서의 방수 효과를 도모하도록 하는 것도 바람직하다.
또한, 결합 나사(138a, 138b, 138c)가 결합되는 부위에도 연질 고무나 합성 수지 등으로 된 실링 재료를 부착하여 방수 효과를 도모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본 고안의 실시에 있어서, 상부 커버(110)와 하부 커버(120)의 결합은 도 1이나 도 2에 도시된 외에 도 3과 같은 방식으로 이루어지는 것도 가능하다.
도 3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전기 가열 장치에 있어서, 상부커버에 결합 나사 통과공을 구비하고 하부 커버에 결합 나사 고정부를 구비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상부 커버(110)와 하부 커버(120)를 결합하기 위한 또 다른 구성으로, 상부 커버(110)에 결합 나사(138a, 138b, 138c)가 통과하는 결합 나사 통과공(302a, 302b, 302c)을 구비하도록 하고, 하부 커버(120)에 결합 나사(138a, 138b, 138c)가 결합하는 결합 나사 고정부(304a, 304b, 304c)를 구비한다.
이러한 본 고안에 따른 전기 가열 장치(100)를 이용하여 물을 가열시키는 방법은 다음과 같다.
도 4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전기 가열 장치를 온수 저장통에 장착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4에서와 같이, 본 고안에 다른 전기 가열 장치(100)는 걸이부(124)가 물(402)이 담긴 온수 저장통(400)의 측벽 상단에 걸리게 됨으로써 용이하고 안전하게 사용이 가능하게 된다.
다음으로, 본 고안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전기 가열 장치(100)를 설명한다.
도 5a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전기 가열 장치에 있어서, 가열관체를 고정하기 위한 압착 고정구의 사시도이고, 도 5b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전기 가열 장치에 있어서, 가열관체를 고정하기 위한 압착 고정구의 단면도이다.
압착 고정구(500)는 수형 고정구(510)와 암형 고정구(520)로 이루어진다.
수형 고정구(510)의 상단과 암형 고정구(520)의 상단에는 결합시 회전을 용이하게 하기 위하여 각형 머리(512)와 각형 손잡이(522)가 구비된다. 각형 머리(512)와 각형 손잡이(522)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육각 볼트 형상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나, 본 고안의 실시에 있어서 각형 머리(512)와 각형 손잡이(522)의 형상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사각형 또는 오각형 등의 다각형 형상으로 하는 것도 가능하다.
각형 머리(512) 하단에는 외주면에 나사산이 형성된 수형 결합 나사(514)가 구비되고, 수형 결합 나사(514) 하단에는 조임부(516)가 구비된다. 조임부(516)는 다수의 편으로 분할 형성되어 약간의 유동이 가능하다. 한편, 수형 고정구(510)의 중앙에는 가열관체(140)가 삽입되는 가열관체 통공(518)이 원통형의 빈 공간으로 형성된다. 이 때, 가열관체 통공(518)의 내경은 가열관체(140)의 지름보다 약간 크게 하여 가열관체(140)의 일단이 삽입 가능하도록 하되 결합이 느슨하지 않도록 하는 바람직하다.
암형 고정구(520)의 각형 손잡이(522) 하단에는 중앙이 개방된 반원형의 누름편(524)이 구비되고, 각형 손잡이(522) 내부에는 수형 고정구(510)에 형성된 수형 결합 나사(514)와 치합하는 암형 결합 나사(526)가 형성된다.
도 5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누름편(524)은 아래로 갈수록 그 내경이 작아진다. 따라서, 수형 고정구(510)를 암형 고정구(520)에 삽입하고 나사산을 따라 결합시키면 누름편(524)에 의해 조임부(516)가 안으로 모아지게 된다. 그러므로, 수형 고정구(510)의 가열관체 통공(518)에 가열관체(140)를 삽입하고 암형 고정구(520)와 수형 고정구(510)를 결합시키면 조임부(516)가 안으로 모아져서 가열관체(140)를 확실히 고정시키게 되는 것이다.
이러한 압착 고정구(500)를 이용하여 전기 가열 장치(100)를 구성하는 것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6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전기 가열 장치에 있어서, 압착 고정구를 이용하여 가열관체를 고정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본 고안의 바람직한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전기 가열기구는 가열관체(140)의 고정을 위한 가열관체 지지부(126a, 126b)를 제거하고, 대신 압착 고정구(500)를 이용하여 가열관체를 하부 커버(520)에 고정시키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6을 참조하여 고정 방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수형 고정구(510)를 하부 커버(120)의 위쪽에서 가열관체 고정공(132a, 132b)에 삽입하고, 가열관체(140)를 수형 고정구(510)의 가열관체 통공(518)에 삽입한다. 그 후에 암형 고정구(520)를 하부 커버(120)의 아래쪽에서 수형 고정구(510)에 결합시킨다. 그러면, 암형 고정구(520)의 누름편(524)과 수형 고정구(510)의 조임부(516)의 작용에 의해 가열관체(140)는 암형 고정구(520)에 내부에 고정되며, 수형 고정구(510)와 암형 고정구(520)는 하부 커버(120)의 밑면에 고정된다.
한편, 본 고안의 바람직한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전기 가열 기구에 있어서는 도 1에서와는 달리 가열관체(140)의 상부에 외주면에 나산산이 형성된 가열관체 고정부(146a, 146b)를 구비하지 않고, 가열관체(140)는 압착 고정구(500)에 의해지지되도록 한다.
이상의 설명에 있어서는 상부 커버(110)와 하부 커버(120)가 결합한 경우 내부에 빈 공간이 형성되었다. 그러나, 본 고안의 실시에 있어서 상부 커버(110)와 하부 커버(120)의 내부는, 상부 커버(110)와 하부 커버(120)의 결합을 위한 공간과 가열관체(140)를 결합시키기 위한 공간 및 전선(202)을 수용하기 위한 공간을 제외하고 플라스틱 등의 재질로 채워진 형태로 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상의 설명은 본 고안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고안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고안에 개시된 실시예들은 본 고안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고안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고안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고안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의하면, 결합 볼트 또는 압착 고정구를 이용함으로써 가열관체를 하부 커버에 견고하게 부착 고정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 특히, 본 고안에 의하면 가열관체에 충격이 가해져도 가열관체가 커버로부터 이탈하지 않는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고안에 의하면, 전기 가열 장치의 생산시 불량품 발생을 억제할 수있으며 커버 내에서 가열관체와 전선간의 연결이 끊어진 경우에도 용이하게 수리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고안에 의하면, 전선 수용부와 가열관체 지지부가 서로 직각 또는 직각에 유사한 각도를 이루면서 온수 저장통 등에 설치되므로 설치 사용시 안정성이 더 좋아진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고안에 의하면, 각 구성요소의 결합시 연성 고무나 합성 수지 등의 실링 재료를 연결 부위에 적용함으로써 장치 내부로 물이나 습기 등의 침투를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13)

  1. 전기 발열체를 내부에 구비한 가열관체를 이용한 전기 가열 장치에 있어서,
    일 측면에 상부 전선 수용부(112)를 구비한 상부 커버(110); 및
    일 측면에는 하부 전선 수용부(122)를 구비하고, 저면에는 걸이부(124) 및 내부에 상기 가열관체(140)의 일단이 수용되는 가열관체 수용부(128a, 128b)가 형성된 가열관체 지지부(126a, 126b)를 상기 걸이부(124)와 이격하여 구비하는 하부 커버(120)
    를 포함하는 전기 가열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 커버(120)에는 상기 가열관체 수용부(128a, 128b)와 연통하여 형성된 가열관체 고정공(132a, 132b)이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가열 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가열관체(140) 상단에는 외주면에 나사산이 형성된 가열관체 고정부(146a, 146b)가 구비되고, 상기 가열관체 고정부(146a, 146b)가 상기 가열관체 고정공(132a, 132b)을 통과하여 결합 볼트(136a, 136b)와 결합함으로써 상기 가열관체(140)가 상기 하부 커버(120)에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가열 장치.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가열관체 고정부(146a, 146b)와 상기 결합 볼트(136a, 136b) 사이에는 와셔(134a, 134b)가 추가로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가열 장치.
  5. 제 1 항 내지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 커버(110)와 상기 하부 커버(120)의 결합면에는 단턱(210)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가열 장치.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 커버(110)에는 결합 나사 고정부(114a, 114b, 114c)가 돌출 형성되고, 상기 하부 커버(120)에는 결합 나사 통과공(130a, 130b, 130c)이 구비되어, 결합 나사(138a, 138b, 138c)가 상기 결합 나사 통과공(130a, 130b, 130c)을 통과하여 상기 결합 나사 고정부(114a, 114b, 114c)에 결합됨으로써 상기 상부 커버(110)와 상기 하부 커버(120)가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가열 장치.
  7.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 커버(110)에는 결합 나사 통과공(302a, 302b, 302c)이 구비되고, 상기 하부 커버(120)에는 결합 나사 고정부(304a, 304b, 304c)가 돌출 형성되어, 결합 나사(138a, 138b, 138c)가 상기 결합 나사 통과공(302a, 302b, 302c)을 통과하여 상기 결합 나사 고정부(304a, 304b, 304c)에 결합됨으로써 상기 상부 커버(110)와 상기 하부 커버(120)가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가열 장치.
  8.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단턱(210), 상기 가열관체 수용부(128a, 128c) 및 상기 결합 나사(138a, 138b, 138c) 결합면에는 연성 고무 또는 합성 수지 등의 실링 부재가 부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가열 장치.
  9. 전기 발열체를 내부에 구비한 가열관체를 이용한 전기 가열 장치에 있어서,
    일 측면에는 상부 전선 수용부(112)를 구비한 상부 커버(110);
    일 측면에는 하부 전선 수용부(122)를 구비하고, 저면에는 걸이부(124) 및 상기 가열관체(140)의 일단이 통과하는 가열관체 고정공(132a, 132b)을 상기 걸이부(124)와 이격하여 구비하는 하부 커버(120); 및
    상기 가열관체 고정공(132a, 132b)을 통과한 상기 가열관체(140)를 상기 하부 커버(120)에 고정시키는 압착 고정구(500)
    를 포함하는 전기 가열 장치.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압착 고정구(500)는,
    각형 머리(512), 외주면에 나사산이 형성된 수형 결합 나사(514) 및 다수의편으로 분할 형성된 조임부(516)를 포함하는 수형 고정구(510); 및
    각형 손잡이(522) 및 하방으로 갈수록 내경이 작아지는 누름편(524)을 구비하고 내주면에 형성된 암형 결합 나사(526)를 포함하는 암형 고정구
    를 포함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가열 장치.
    상기 상부 커버(110)와 상기 하부 커버(120)의 결합면에는 단턱(210)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가열 장치.
  11. 제 9항 또는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 커버(110)에는 결합 나사 고정부(114a, 114b, 114c)가 돌출 형성되고, 상기 하부 커버(120)에는 결합 나사 통과공(130a, 130b, 130c)이 구비되어, 결합 나사(138a, 138b, 138c)가 상기 결합 나사 통과공(130a, 130b, 130c)을 통과하여 상기 결합 나사 고정부(114a, 114b, 114c)에 결합됨으로써 상기 상부 커버(110)와 상기 하부 커버(120)가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가열 장치.
  12. 제 9 항 또는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 커버(110)에는 결합 나사 통과공(302a, 302b, 302c)이 구비되고, 상기 하부 커버(120)에는 결합 나사 고정부(304a, 304b, 304c)가 돌출 형성되어, 결합 나사(138a, 138b, 138c)가 상기 결합 나사 통과공(302a, 302b, 302c)을 통과하여 상기 결합 나사 고정부(304a, 304b, 304c)에 결합됨으로써 상기 상부 커버(110)와 상기 하부 커버(120)가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가열 장치.
  13. 제 9항 또는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단턱(210), 상기 압착 고정구(500) 및 상기 결합 나사(138a, 138b, 138c) 결합면에는 연성 고무 또는 합성 수지 등의 실링 부재가 부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가열 장치.
KR20-2003-0036650U 2003-11-24 2003-11-24 전기 가열 장치 KR200342075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3-0036650U KR200342075Y1 (ko) 2003-11-24 2003-11-24 전기 가열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3-0036650U KR200342075Y1 (ko) 2003-11-24 2003-11-24 전기 가열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42075Y1 true KR200342075Y1 (ko) 2004-02-14

Family

ID=4934338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3-0036650U KR200342075Y1 (ko) 2003-11-24 2003-11-24 전기 가열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42075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771000B2 (en) Electrical connectors and methods of manufacturing and using same
US5460532A (en) Electrical connector system for grounding member and ground wire
US8263880B2 (en) Assembly comprising electric and/or electronic components
KR101828372B1 (ko) 피뢰기를 포함한 산업용 전기설비류 전선케이블의 통전 연결용 원터치 단자
KR100748932B1 (ko) 저압전선 접속용 분기슬리브
KR200438004Y1 (ko) 케이블 컨넥터
KR20100001043U (ko) 케이블 커넥터
KR200342075Y1 (ko) 전기 가열 장치
KR200443013Y1 (ko) 주택 송전용 저압전선의 분기슬리브
CN210326203U (zh) 导电棒、电缆连接头及高压开关柜
US6810206B1 (en) Drain plug heater
KR100819143B1 (ko) 배전 선로의 분기 슬리브
KR102047511B1 (ko) 볼트 프리 컷 아웃 스위치
KR200351693Y1 (ko) 용접케이블용 콘넥터
CN219203694U (zh) 一种大电流公母连接器
US1696568A (en) Battery terminal
CN207743172U (zh) 一种rv电线专用断路器接线端
CN216290337U (zh) 一种配电箱漏电及电线过温监测装置
CN208782147U (zh) 一种基于电源及信号传输的防水连接器
KR970007193Y1 (ko) 고(高) 암페아(a)용 케이블 접속구
CN215070744U (zh) 一种装配式插头
KR200146812Y1 (ko) 가요 전선관용 커넥터
CN211205566U (zh) 一种防水的温度探头
KR200354493Y1 (ko) 전기 히터
CN215645292U (zh) 一种用于线路连接的防水排母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