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54139Y1 - 사다리용 높이 조절 장치 - Google Patents

사다리용 높이 조절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54139Y1
KR200354139Y1 KR20-2004-0006426U KR20040006426U KR200354139Y1 KR 200354139 Y1 KR200354139 Y1 KR 200354139Y1 KR 20040006426 U KR20040006426 U KR 20040006426U KR 200354139 Y1 KR200354139 Y1 KR 200354139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adder
bar
height adjustment
spring
adjustment dev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4-0006426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인종
Original Assignee
박인종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인종 filed Critical 박인종
Priority to KR20-2004-0006426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54139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54139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54139Y1/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CLADDERS
    • E06C7/00Component parts, supporting parts, or accessories
    • E06C7/42Ladder feet; Supports therefor
    • E06C7/44Means for mounting ladders on uneven groun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Ladder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사다리용 높이 조절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사다리의 각 다리에 대한 높이 조절이 손쉽게 이루어지고, 지면의 높낮이에 상관없이 사다리를 지면에 안정적이고 균형적으로 지지시킬 수 있도록 한 사다리용 높이 조절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해, 본 고안은 사다리의 세로바중 외부바는 고정시키고 내부바는 상하로 이동 가능한 상태가 되도록 상기 세로바를 감싸면서 서로 결합되는 제1몸체 및 제2몸체와; 상기 제2몸체의 바닥면에 상하로 압축 또는 인장 가능하게 부착되는 스프링과; 상기 제1몸체 및 제2몸체의 내부에 위치하면서 상기 사각단면의 내부바가 삽입 관통되도록 사각홀이 형성되고, 일측단 저면은 상기 스프링의 상면에 지지되며, 타단의 상면은 상기 제1몸체의 내면에 형성된 걸림단에 걸리게 되는 다수개의 작동판과; 상기 제2몸체의 일측 외표면에 힌지 회전 가능하게 부착되어, 그 내부단은 제2몸체의 일측면에 형성된 관통구를 통하여 상기 작동판의 상면에 접촉되고, 외부단은 젖힘 또는 누름 가능하게 외부로 노출된 조작레버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다리용 높이 조절 장치를 제공한다.

Description

사다리용 높이 조절 장치{Device for adjusting hight of ladder}
본 고안은 사다리용 높이 조절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사다리의 각 다리에 대한 높이 조절이 손쉽게 이루어지고, 지면의 높낮이에 상관없이 사다리를 지면에 안정적이고 균형적으로 지지시킬 수 있도록 한 사다리용 높이 조절 장치에 관한 것이다.
잘 알려진 바와 같이, 사다리는 높은 위치에 물건을 수납시키거나, 높은 위치로부터 물건을 인출하려 할 때 사용되는 유용한 구조물로서, 사용 용도에 따라서 그 크기를 달리하며 여러 가지 형태로 제작되고 있다.
통상 사다리는 양쪽에 소정의 간격으로 세로바가 배치되고, 이 세로바에 상하 등간격으로 가로바(발받침대)가 장착된 형태가 가장 기본적인 구조이고, 그 외에 한 쌍으로 된 사다리의 상단을 접철 가능하게 힌지로 연결하여 사용시에 소정 각도로 벌어지게 한 구조도 있으며, 특히 사다리의 세로바를 외부바와 내부바로 구성하여 내부바가 상하로 슬라이드되면서 높이 조절이 가능한 구조도 있다.
한편, 사다리를 사용하고자 할 때, 지면이 평평한 경우에는 사다리를 안정적이면서 균형적으로 세울 수 있지만, 지면이 불규칙한 경우에는 사다리를 균형적으로 세울 수 없기 때문에 별도의 받침수단을 지면의 낮은 곳에 더 배치하여 사다리의 균형을 도모하게 된다.
그러나, 별도의 받침수단을 지면과 사다리의 세로바 사이에 끼워 놓은 상태로 작업을 하게 되면, 작업자의 하중이나 기타 외력에 의하여 사다리의 균형 상태가 무너질 소지가 있고, 그에 따라 작업자가 상해를 입게 되는 위험성이 있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점을 감안하여 안출한 것으로서, 사다리의 세로바를 외부바와 내부바로 구성하여 내부바의 상하 슬라이드 이동으로 높이 조절이 가능한 기능은 물론이고, 외부바와 내부바를 감싸는 구조의 높이 조절 장치를 장착하여 원하는 위치(높이)에서 내부바를 고정시킬 수 있도록 함으로써, 높낮이가 서로 다른 불규칙한 지면에서도 사다리를 안정적이고 균형적으로 세울 수 있도록 한 사다리용 높이 조절 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도 1a,1b는 본 고안에 따른 사다리용 높이 조절 장치의 제1몸체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2a,2b는 본 고안에 따른 사다리용 높이 조절 장치의 제2몸체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사다리용 높이 조절 장치의 작동판을 나타내는 평면도,
도 4a,4b는 본 고안에 따른 사다리용 높이 조절 장치의 장착 상태로서, 사다리의 세로바를 고정시키는 전후 작동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
도 5는 도 4a의 A-A선 단면도,
도 6은 본 고안에 따른 사다리용 높이 조절 장치의 사용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7은 본 고안에 따른 사다리용 높이 조절 장치의 작동판이 세로바를 고정시키는 원리를 설명하는 개략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제1몸체 12 : 제2몸체
14 : 세로바 16 : 외부바
18 : 내부바 20 : 작동판
22 : 스프링 24 : 받침단
26 : 걸림단 28 : 설치구
30 : 사각홀 32 : 관통구
34 : 조작레버 36 : 내부단
38 : 외부단 40 : 스프링 고정용 핀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은 사각 단면의 외부바와 내부바로 구성된 사다리의 세로바에 대한 높이 조절 장치에 있어서, 상기 사다리의 세로바중 외부바는 고정시키고 내부바는 상하로 이동 가능한 상태가 되도록 상기 세로바를 감싸면서 서로 결합되는 제1몸체 및 제2몸체와; 상기 제2몸체의 바닥면에 상하로 압축 또는 인장 가능하게 부착되는 스프링과; 상기 제1몸체 및 제2몸체의 내부에 위치하면서 상기 사각단면의 내부바가 삽입 관통되도록 사각홀이 형성되고, 일측단 저면은 상기 스프링의 상면에 지지되며, 타단의 상면은 상기 제1몸체의 내면에 형성된 걸림단에 걸리게 되는 다수개의 작동판과; 상기 제2몸체의 일측 외표면에 힌지 회전 가능하게 부착되어, 그 내부단은 제2몸체의 일측면에 형성된 관통구를 통하여 상기 작동판의 상면에 접촉되고, 외부단은 젖힘 또는 누름 가능하게 외부로 노출된 조작레버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다리용 높이 조절 장치를 제공한다.
바람직한 구현예로서, 상기 제2몸체의 바닥면에는 상기 스프링의 하단이 삽입 설치되는 설치구가 더 형성되고, 이 설치구에는 스프링 고정용 핀이 돌출되게 장착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더욱 바람직한 구현예로서, 상기 제2몸체의 상단 내면에는 상기 세로바의 외부바 하단면이 압입되면서 안착되는 받침단이 더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도면을 참조로 상세하게 설명한다.
먼저, 본 고안의 높이 조절 장치에서 주된 구성인 제1몸체와 제2몸체에 대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첨부한 도 1a,1b는 본 고안에 따른 사다리용 높이 조절 장치의 제1몸체를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2a,2b는 제2몸체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상기 제1몸체(10) 및 제2몸체(12)는 사다리의 세로바(14)를 감싸면서 서로 결합되는 구조물로서, 상기 세로바(14)에 제1몸체(10) 및 제2몸체(12)가 결합되면, 세로바(14)중 외부바(16)는 제1몸체(10) 및 제2몸체(12)의 상단에 압입 고정된 상태가 되고, 상기 외부바(16)의 내부에 상하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게 위치되는 내부바(18)는 제1몸체(10) 및 제2몸체(12)를 상하로 관통하면서 이동 가능한 상태가 된다.
이때, 상기 제1몸체(10)와 제2몸체(12)가 볼트 또는 스크류 등을 이용하여 조립되면, 그 내부에 상기 내부바(18)의 관통을 허용하면서 소정의 공간이 형성되며, 이 공간에 후술하는 바와 같이 작동판(20)과 스프링(22) 등이 설치된다.
상기 제1몸체(10)의 내측면에서 그 하단쪽에는 걸림단(26)이 일체로 형성된다.
보다 상세하게는, 상기 제1몸체(10)의 하단부 벽체 두께가 위쪽은 두껍고 아래쪽은 얇아지게 됨에 따라, 그 경계 위치에 단차진 형태의 걸림단(26)이 형성되는 것이다.
한편, 상기 제2몸체(12)의 바닥면에는 스프링(22)의 하단이 삽입 고정되는 설치구(28)가 형성되는 바, 이 설치구(28)에는 스프링 고정용 핀(40)이 장착되며, 이 스프링 고정용 핀(40)에 스프링(22)이 압축 또는 인장 가능하게 고정된다.
또한, 상기 제2몸체(12)의 상단 내면에는 상기 세로바(14)의 외부바(16) 하단면이 압입되면서 안착되는 받침단(24)이 일체로 형성된다.
첨부한 도 3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작동판(20)은 사다리의 세로바(14)중 사각단면의 내부바(18)가 삽입 관통될 수 있도록 다소 큰 크기의 사각홀(30)이 형성된 일종의 플레이트이다.
첨부한 도 4a,4b는 본 고안에 따른 사다리용 높이 조절 장치의 장착 상태로서, 사다리의 세로바를 고정시키는 전후 작동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이고, 도 5는 도 4a의 A-A선 단면도이다.
도 4a, 4b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제1몸체(10)와 제2몸체(12)가 서로 조립되면서 그 내부에 형성된 공간에 상기 작동판(20)을 여러개, 바람직하게는 3개를 겹쳐서 위치시키는 바, 작동판(20)의 사각홀(30)을 통하여 상기 내부바(18)는 관통된 상태가 된다.
더욱 상세하게는, 상기 여러개의 작동판(20)의 일측단 저면(가장 아래쪽의 작동판의 일측단 저면)은 상기 스프링(22)의 상면에 밀착 지지된 상태가 되도록 하고, 타단의 상면(가장 위쪽의 작동판 상면)은 상기 제1몸체(10)의 내면에 형성된 걸림단(26)에 걸리게 한다.
물론, 상기 제1몸체(10) 및 제2몸체(12)의 조립 전에 상기 작동판(20)과 스프링(22)이 먼저 장착된다.
한편, 상기 제2몸체(12)의 일측면에는 소정 크기의 관통구(32)가 형성되고, 이 관통구(32)의 아래쪽 외표면에는 상하 회전 가능하게 조작레버(34)가 장착된다.
상기 조작레버(34)는 그 힌지체결점을 중심으로 내부단(36)과 외부단(38)이수직 절곡된 형상으로서, 상기 내부단(36)은 상기 관통구(32)를 통하여 내부로 삽입되어 상기 작동판(20)(가장 위쪽의 작동판 상면)의 상면에 밀착된 상태가 되고, 상기 외부단(38)은 젖힘 또는 누름 가능하게 노출된 상태가 된다.
조작레버(34)는 필요에 따라 탈착 가능하고, 기타 다른 공구를 사용하여 조작레버 기능을 수행할 수도 있다.
여기서, 상기와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진 본 고안의 사다리용 높이 조절 장치에 대한 작동 상태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첨부한 도 4a에서 보는 바와 같이, 사다리의 세로바(14)중 내부바(18)가 상하로 이동되어 사다리의 높이 조절이 이루어진다.
즉, 상기 내부바(18)는 제1몸체(10)와 제2몸체(12)의 내부를 상하방향(축방향)으로 관통되는 동시에 여러개의 작동판(20)이 갖는 사각홀(30)을 관통하며 위치된 상태로서, 여러개의 작동판(20)이 수평상태를 유지하고 있는 상태에서는 상하 이동이 자유롭게 이루어진다.
보다 상세하게는, 상기 조작레버(34)의 외부단(38)을 위쪽으로 젖히면, 조작레버(34)의 내부단(36)이 그 힌지 체결점을 중심으로 아래쪽으로 이동하게 되고, 동시에 내부단(36)이 상기 스프링(22)을 압축시키면서 상기 작동판(20)의 상면을 누르는 상태가 되어, 결국 상기 여러개의 작동판(20)은 수평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따라서, 수평상태를 유지하고 있는 여러개의 작동판(20)의 사각홀(30)을 통하여 상기 사다리의 세로바(14)중 내부바(18)가 상하로 이동 가능한 상태가 된다.
이러한 상태에서, 상기 내부바(18)를 아래쪽 또는 위쪽으로 이동시켜, 원하는 위치에서 고정시키게 되는 바, 그 고정을 위한 작동상태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첨부한 도 4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조작레버(34)의 외부단(38)을 눌러주게 되면, 조작레버(34)의 내부단(36)은 그 힌지 체결점을 중심으로 위쪽으로 이동을 하게 되고, 동시에 압축 상태로 있던 스프링(22)은 탄성복원력에 의하여 상기 여러개의 작동판(20)의 일측단(스프링에 의하여 받쳐지고 있던 부위)을 밀어 올리게 된다.
상기와 동시에, 상기 여러개의 작동판(20)의 타단 상면(가장 위쪽의 작동판 상면)은 제1몸체(10)의 걸림단(26)에 걸려 위쪽으로 이동되지 못하는 상태가 된다.
따라서, 상기 여러개의 작동판(20)은 소정의 각도로 경사진 상태가 되면서, 각 작동판(20)의 사각홀(30)을 이루는 모서리 부분(직각을 이루는 부분)이 상기 내부바(36)의 표면을 찝어 주게 되어, 내부바(36)는 원하는 높이에서 고정된 상태가 된다.
첨부한 도 7을 참조로 본 고안에 따른 사다리용 높이 조절 장치의 작동판이 세로바를 고정시키는 원리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7에서 보는 바와 같이, 각 작동판(20)의 일측단에 편심하중(F)이 작용하는 동시에 작동판(20)이 경사진 상태가 되고, 작동판(20)의 중심을 기준으로 우력 모멘트(M)가 발생하면서 작동판(20)의 사각홀(30)을 이루는 모서리 부분이 상기 내부바(18)의 표면을 찝는 힘(Q)이 발생하게 되며, 이 찝는 힘(Q)은 상기 내부바(18)가 축방향으로 이동하려는 힘을 억제시키게 됨에 따라, 상기 사다리의 세로바(14)중 내부바(18)는 원하는 높이에서 용이하게 고정되는 것이다.
이와 같이, 상기 사다리의 내부바(18) 높이 조절이 이루어짐에 따라, 불규칙적인 지면에서도 각 사다리의 다리 높이를 조절하면서 안정적이고 균형적인 사다리의 설치가 이루어질 수 있다.
한편, 상기 사다리의 내부바(18)의 하단끝에는 지면에 대한 접촉을 위하여 보다 넓은 크기를 갖는 별도의 받침판이 부착되어진다.
이상에서 본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사다리용 높이 조절 장치에 의하면 세로바가 사각단면을 갖는 외부바와 내부바로 구성된 사다리에 있어서, 내부바를 상하 슬라이드 이동시켜 높이 조절을 하는 동시에 원하는 위치(높이)에서 손쉽게 고정시킬 수 있도록 함으로써, 높낮이가 서로 다른 불규칙한 지면에서도 사다리를 안정적이고 균형적으로 세울 수 있는 장점을 제공한다.

Claims (3)

  1. 사각 단면의 외부바와 내부바로 구성된 사다리의 세로바에 대한 높이 조절 장치에 있어서,
    상기 사다리의 세로바중 외부바는 고정시키고 내부바는 상하로 이동 가능한 상태가 되도록 상기 세로바를 감싸면서 서로 결합되는 제1몸체 및 제2몸체와;
    상기 제2몸체의 바닥면에 상하로 압축 또는 인장 가능하게 부착되는 스프링과;
    상기 제1몸체 및 제2몸체의 내부에 위치하면서 상기 사각단면의 내부바가 삽입 관통되도록 사각홀이 형성되고, 일측단 저면은 상기 스프링의 상면에 지지되며, 타단의 상면은 상기 제1몸체의 내면에 형성된 걸림단에 걸리게 되는 다수개의 작동판과;
    상기 제2몸체의 일측 외표면에 힌지 회전 가능하게 부착되어, 그 내부단은 제2몸체의 일측면에 형성된 관통구를 통하여 상기 작동판의 상면에 접촉되고, 외부단은 젖힘 또는 누름 가능하게 외부로 노출된 조작레버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다리용 높이 조절 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2몸체의 바닥면에는 상기 스프링의 하단이 삽입 설치되는 설치구가 더 형성되고, 이 설치구에는 스프링 고정용 핀이 돌출되게 장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다리용 높이 조절 장치.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2몸체의 상단 내면에는 상기 세로바의 외부바 하단면이 압입되면서 안착되는 받침단이 더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다리용 높이 조절 장치.
KR20-2004-0006426U 2004-03-10 2004-03-10 사다리용 높이 조절 장치 KR200354139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4-0006426U KR200354139Y1 (ko) 2004-03-10 2004-03-10 사다리용 높이 조절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4-0006426U KR200354139Y1 (ko) 2004-03-10 2004-03-10 사다리용 높이 조절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54139Y1 true KR200354139Y1 (ko) 2004-06-23

Family

ID=4943250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4-0006426U KR200354139Y1 (ko) 2004-03-10 2004-03-10 사다리용 높이 조절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54139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826605B1 (ko) 모니터장치
US7631604B2 (en) Telescopic and foldable table
RU2546442C2 (ru) Устройство, такое как лестница, имеющее выдвижные ножки
US20070170768A1 (en) Apparatus for simultaneously folding seat back and armrest
KR20210097099A (ko) 텔레스코픽 에지 보호 포스트
KR200354139Y1 (ko) 사다리용 높이 조절 장치
GB2492201A (en) Safety seat device including support leg unit
US6837339B2 (en) Self-leveling support
US20070089729A1 (en) Camping grill apparatus and method
JP4806753B2 (ja) 転倒防止装置、収納家具
CA2879301A1 (en) Piercing mechanism of bread maker
KR100361156B1 (ko) 절첩식 테이블의 이동받침
JP2017036624A (ja) 伸縮脚装置
US7694357B2 (en) Safety bar for a bathtub
JP2003339447A (ja) 伸縮部材及びこれを備える脚付き家具
CN107661029B (zh) 煎烤机
KR100721128B1 (ko) 책걸상용 높낮이 조절장치
KR101284001B1 (ko) 수평발판이 설치된 a형 사다리
WO2022168390A1 (ja) 天板付き家具
KR100736330B1 (ko) 세발형 사다리
KR200395675Y1 (ko) 높이조절수단이 강구된 강대상
KR200400998Y1 (ko) 세발형 사다리
JP2020200734A (ja) 作業台
KR920007994Y1 (ko) 키보드의 경사 조절장치
JP2011026770A (ja) 連結具及び梯子付き作業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10923

Year of fee payment: 8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