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53951Y1 - 장루 흡수형 복대 - Google Patents

장루 흡수형 복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53951Y1
KR200353951Y1 KR20-2004-0008522U KR20040008522U KR200353951Y1 KR 200353951 Y1 KR200353951 Y1 KR 200353951Y1 KR 20040008522 U KR20040008522 U KR 20040008522U KR 200353951 Y1 KR200353951 Y1 KR 200353951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g body
bag
ostomy
connection
rubber ban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4-0008522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신대균
Original Assignee
신대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신대균 filed Critical 신대균
Priority to KR20-2004-0008522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53951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53951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53951Y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5/00Orthopaedic methods or devices for non-surgical treatment of bones or joints; Nursing devices; Anti-rape devices
    • A61F5/44Devices worn by the patient for reception of urine, faeces, catamenial or other discharge; Portable urination aids; Colostomy devices
    • A61F5/445Colostomy, ileostomy or urethrostomy devices
    • A61F5/449Body securing means, e.g. belts, garment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pidemiology (AREA)
  • Nursing (AREA)
  • Orthopedic Medicine & Surge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Orthopedics, Nursing, And Contraception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직사각형에 가까우나 중간부가 약간 넓으며, 양단쪽으로 갈수록 약간 좁아지는 형상이며, 탄력적으로 인장력이 있는 스판텍스재질로 구성되며 중앙부 배면에는 방수부(9)로 구비된 복대몸체(2)와, 상기 복대몸체(2)의 상하부 테두리에 형성되어 복대몸체(2)와 함께 늘어나고 긴장되는 고무밴드(4)와, 상기 복대몸체(2)의 양단 끝에 형성되어 상기 고무밴드(4)와 동일한 재질로 형성된 연결부(5,6)와, 상기 연결부(5)의 배면에 형성되며 일정간격 이격되어 형성된 4개로 구성된 4열의 연결구멍(8)과, 다른 연결부(6)의 정면에 일정간격 이격되어 형성된 연결고리(7)와, 상기 복대몸체(2)의 중앙부 정면에는 망으로 형성된 주머니(3)와, 상기 주머니(3)내에 삽입되어 고정되는 흡수부(30)로 구성되어 있음을 특징으로 하는 장루흡수형 복대.

Description

장루 흡수형 복대{The ostomy abdominal Band}
본 고안은 장루 흡수형 복대에 관한 것으로서, 중앙부에 흡수대를 설치하고, 몸체는 스판택스와 테두리에는 탄성의 고무밴드로 구성된 장루 흡수형 복대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복대나 벨트는 다양한 용도로 사용되며 그 구성 또한 용도에 맞게 다양하게 발전하여 왔다. 예를 들면 단순히 어깨의 부상에 의한 복대나, 임산부를 위한 복대, 다이어트를 위한 복대, 최근에는 허리디스크에 좋다는 복대 등이 등장하고 있다.
장루는 정상적인 대. 소변의 배설에 문제가 생겼을 때 수술을 통해 대. 소변을 체외로 배설하기 위해 복벽에 만든 구멍으로 인공항문의 역할을 한다.
인공항문은 평소에는 도8(사진)에 도시된 사각 또는 원형이며 중앙부에 통공이 형성된 패드 형상이며, 피부에 부착되도록 이면에 접착제가 부착된 기구(일명, "스토마캡")를 인공항문에 부착하여 사용하여 왔다. 일반적으로 장루환자는 스토마캡은 하루에 적어도 3번은 교체하여야 하기 때문에 장루(인공항문) 주위의 피부는 대변과 상기 스토마캡의 접착제에 의해 피부가 쉽게 손상되어 왔다.
특수 기능을 갖는 복대를 살펴보면, 대한민국등록실용신안공보 등록번호 제20-0299449호에는 외피재로 된 밴드의 내부에 축열기능을 갖게 망사지로 된 축열재와 땀냄새등을 흡수하는 숯이 함유된 직물지로 된 흡수재와 열을 차단하여 은박지 섬유로 직조된 직물지로 된 단열재를 내측면으로부터 차례로 겹쳐지게 게재하고, 상기 축열재와 흡수재들 사이의 복수개소에는 원적외선이 방출하는 면상발열체로 구성된 복대가 기재되어 있고,
동 공보 등록번호 제20-0338949호에는 벨크로를 이용한 피부접촉형 치료도자 및 패드가 기술되어 있으며,
동공보 등록번호 제20-0343128호에는 물리치료용 건강패드가 공개되어 있고,
대한민국공개실용신안공보 공개번호 실2000-0010401호에는 벨크로파스너로부착되고, 표면에 돌기가 형성된 고무편을 이동이 가능하도록 투명 아크릴편과 결합하고, 벨트의 투명아크릴편을 끼워 상처난 부위에 거즈를 대고 돌기가 형성된 고무판으로 누른 후 탄성벨트로 감아 압착시키는 출혈을 차단하기 위한 지혈벨트가 기술되어 있으나,
상기와 같은 종래의 기술들은 일반적인 물리치료용 복대에 관한 것으로서, 장루환자에게는 적합하지 않는 문제점이 있어 왔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고안은 장루(인공항문)환자를 위하여 구조를 개량한 것으로서, 중앙부에 흡수부가 부착되는 접착부를 구성하고, 양단부에는 결착부를 설치하여 종래의 스토마캡에 의한 피부손상과, 외출시 악취가 나는 것을 방지하는 장루흡수형 복대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는 것이다.
도1은 본 고안의 장루 흡수형 복대 상세도
도2는 본 고안의 장루 흡수형 복대 조립 및 결합 상세도
도3은 본 고안의 장루 흡수형 복대 배면 상세도
도4 및 도5는 본 고안의 장루 흡수형 복대의 다른 예
도6, 도7 및 도9는 본 고안의 장루 흡수형 복대의 또다른 예
도8 종래의 스토마캡 사진
<도면의 부호>
복대(1,10,20), 복대몸체(2), 주머니(3), 고무밴드(4), 연결부(5,6), 연결고리(7), 연결구멍(8), 방수부(9), 중앙접착부(10), 흡수부(30,30-1)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은 종래의 장루환자가 사용하지 못한 복대를 개량한 것으로서, 본 고안의 복대(1,10)는 복대 중앙부에 흡수부를 고정시키기 위한 형태에 따라, 주머니가 형성된 것이나 없는 것으로 선택하여 사용할 수 있으며, 다른 형태의 복대(20)는 외출용으로서 중앙부에 흡수부 고정하기 위한 구조를 제거하여 간편하게 하여 정장을 하여도 외부에서 표시 나지 않도록 구조를 개량한 장루흡수형 복대에 관한 것이다.
장루는 인공항문으로서, 장의 누공이란 좁은 의미에서 복벽에 솟아있는 장루 자체만을 스토마(stoma)라고 표현하기도 하는데 이 스토마의 형태도 질병의 성격과 수술방법에 따라 몇 가지 유형으로 형성되어 질 수 있습니다. 또한 일반적으로 장루는 수술 직후에서부터 3개월여 후까지 점차적으로 그 크기가 줄어들어 완전한 형태를 갖추게되며, 완전한 모형을 갖춘 장루의 보편적인 크기는 직경이 2~5cm, 높이가 0.5~3cm 정도인데 수술기법과 개인적 특성에 따라 상당한 차이를 보이게 된다.
피부 손상의 원인은 주로 기구(스토마캡) 접착제 또는 변에 의한 자극이 주요인으로 손상의 원인과 증상 및 정도에 따른 치료법은 다음과 같다.
접착제에 의한 손상에서도 두 가지 유형이 있는데 그 첫 번째는 접착제 알러지 반응이고 두 번째는 피부보호제가 첨가되지 않은 일부 제품에 국한되지만 접착제 강도에 의한 표피 손상이다.
종래의 기구(스토마캡)를 착용하고 얼마 지나지 않아 피부의 따끔거림과 함께 참기 어려운 가려움증이 수반되는 자극이 느껴 오고, 접착판을 떼었을 때 접착판 밑으로 변의 침투가 거의 없음에도 장루 가까운 곳 뿐만이 아니라 장루로부터 먼 곳의 피부까지 붉게 발진되어 있는 것을 볼 수 있는데 이의 치료는 장루 전문 용품을 이용한 상처의 직접적 치료와 아울러 다양한 여러 가지 제품 중 본인의 피부에 적합한 접착제로 만들어진 장루 기구(스토마캡)으로 교체하는 것이 필요할 뿐이었다.
접착제 강도가 너무 강하여 발생되는 피부 손상의 증상은 기구를 부착하고 있는 동안은 별다른 증상이 없다가 기구(스토마캡)를 교체하기 위해 접착판을 피부로부터 떼어낼 때 심한 자극이 느껴지며 접착판이 붙어 있던 피부 전반이 발진되고 피부의 표피가 벗겨지는 것 등으로의 예방은 보다 약한 접착제로 만든 제품을 선택하거나 접착판의 피부 접착전 접착판 자체를 다른 쪽 피부 또는 보푸라기가 없는 옷감 등에 먼저 부쳤다 떼어 냄으로 접착 강도를 약화시킨 다음 사용하여 피부손상을 최소화 할 수 밖에 없었다 그리고 경제적 절약을 위해 기구(스토마캡)를 적정 기간 이상 부착하고 있는 것은 피부 손상과 세균 감염을 예방하는 차원에서 바람직하지 못하므로 통상 정해진 기간 이상 기구(스토마캡)를 부착하고 있을 때는 더욱 세밀한 주의를 기울여야 하는 문제점이 있어 왔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피부와 접촉시 이질감을 느끼지 않도록 본 고안을 개량한 것이다.
본 고안의 복대 재질은 에어로빅이나 수영복에 사용되는 스판택스재질을 사용하여 배에 착용하였을 경우 일정간격 늘어나게 하여 환부에 흡수부를 밀착시키기 용이하도록 선택하였으며, 복대의 상하 테두리에는 고무밴드를 설치하여, 흡수부에 흡수된 변이나, 기타 이물질이 외부로 흘러나오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구조를 개량하였고, 배면 중앙부에는 변이나 이물질이 새어나오지 않도록 방수부를 설치하였으며, 정면 중앙부에는 흡수부가 고정되도록 망형상의 주머니 또는 흡수부의 배면에 형성된 접착부에 의해 접착되도록 중앙접착부를 구비하였으며, 양끝단의 결착부는 브래지어의 고리결착구조를 선택하였으며, 흡수부는 아기기저귀나 생리대의 흡수제 재질을 사용하여 제작된 직육면체 형상의 흡수부를 사용하였다.
이하 도면을 참고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1은 본 고안의 장루 흡수형 복대 상세도, 도2는 본 고안의 장루 흡수형 복대 조립 및 결합 상세도, 도3은 본 고안의 장루 흡수형 복대 배면 상세도, 도4 및 도5는 본 고안의 장루 흡수형 복대의 다른 예, 도6, 도7 및 도9는 본 고안의 장루 흡수형 복대의 또다른 예, 도8은 종래의 스토마캡 사진을 도시한 것이며, 복대(1,10,20), 복대몸체(2), 주머니(3), 고무밴드(4), 연결부(5,6), 연결고리(7), 연결구멍(8), 방수부(9), 중앙접착부(10), 흡수부(30,30-1)를 나타낸 것임을 알 수 있다.
구조를 살펴보면 도1 내지 도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직사각형에 가까우나 중간부가 약간 넓으며, 양단쪽으로 갈수록 약간 좁아지는 형상이며, 탄력적으로 인장력이 있는 스판텍스재질로 구성되며 중앙부 배면에는 방수부(9)로 구비된 복대몸체(2)와, 상기 복대몸체(2)의 상하부 테두리에 형성되어 복대몸체(2)와 함께 늘어나고 긴장되는 고무밴드(4)와, 상기 복대몸체(2)의 양단 끝에 형성되어 상기 고무밴드(4)와 동일한 재질로 형성된 연결부(5,6)와, 상기 연결부(5)의 배면에 형성되며 일정간격 이격되어 형성된 4개로 구성된 4열의 연결구멍(8)과, 다른 연결부(6)의 정면에 일정간격 이격되어 형성된 연결고리(7)와, 상기 복대몸체(2)의 중앙부 정면에는 망으로 형성된 주머니(3)와, 상기 주머니(3)내에 삽입되어 고정되는 흡수부(30)로 구성된 장루흡수형 복대의 구조인 것이다.
다른 장루흡수형 복대를 살펴보면 도3 내지 도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직사각형에 가까우나 중간부가 약간 넓으며, 양단쪽으로 갈수록 약간 좁아지는 형상이며, 탄력적으로 인장력이 있는 스판텍스재질로 구성되며 중앙부 배면에는 방수부(9)로 구비된 복대몸체(2)와, 상기 복대몸체(2)의 상하부 테두리에 형성되어 복대몸체(2)와 함께 늘어나고 긴장되는 고무밴드(4)와, 상기 복대몸체(2)의 양단 끝에 형성되어 상기 고무밴드(4)와 동일한 재질로 형성된 연결부(5,6)와, 상기 연결부(5)의 배면에 형성되며 일정간격 이격되어 형성된 4개로 구성된 4열의 연결구멍(8)과, 다른 연결부(6)의 정면에 일정간격 이격되어 형성된 연결고리(7)와, 상기 복대몸체(2)의 정면 중앙부 일정면적에 흡수부(30-1)의 배면에 도포된 접착제가 접착되는 중앙접착부(10)와, 상기 중앙접착부(10)에 부착되는 한 개 또는 두 개의 다른 흡수부(30-1)로 구성된 장루흡수형 복대의 구조인 것이다.
또다른 장루흡수형 복대를 살펴보면 도6, 도7 및 도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직사각형에 가까우나 중간부가 약간 넓으며, 양단쪽으로 갈수록 약간 좁아지는 형상이며, 탄력적으로 인장력이 있는 스판텍스재질로 구비된 복대몸체(2)와, 상기 복대몸체(2)의 상하부 테두리에 형성되어 복대몸체(2)와 함께 늘어나고 긴장되는 고무밴드(4)와, 상기 복대몸체(2)의 양단 끝에 형성되어 상기 고무밴드(4)와 동일한 재질로 형성된 연결부(5,6)와, 상기 연결부(5)의 배면에 형성되며 일정간격 이격되어 형성된 4개로 구성된 4열의 연결구멍(8)과, 다른 연결부(6)의 정면에 일정간격 이격되어 형성된 연결고리(7)로 구성된 장루흡수형 복대의 구조인 것이다.
실험예(관능검사)
본 고안의 복대를 종래의 기구(스코마캡)과 비교하여 40~50대의 장루환자 20명을 대상으로 하여 관능검사를 실시하였다. 관능검사는 기호도 등에 대해 실시하였다.
표 1
평가항목 정상자세편안함 옆자세시편안함 외출시편안함 비고
4.5 4.4
본 고안의 복대 착용시 4.4
종래의 스토바캡 착용시 4.0 4.0 3.5 이질감느낌
관능평점 - 1 : 아주 나쁘다, 아주 불편하다
2 : 나쁘다, 불편하다
3 : 보통이다
4 : 좋다, 불편함이 심하다
5 : 아주 좋다, 아주 불편하다
관능검사결과 본 고안의 복대를 착용시 전체적인 편안함을 나타냈으며, 특이 옆으로 누우거나, 외출시 이질감이 적게 나타남을 알 수 있었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은 종래의 장루환자가, 기존의 스토마캡의 교체와 변 등의 이물질에 의해 인공항문 주위의 피부가 손상되는 것을 방지하고, 외출시 악취발생을 방지하여 장루환자가 편안하게 생활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는 것이다.

Claims (3)

  1. 장루 흡수용 복대에 있어서, 직사각형에 가까우나 중간부가 약간 넓으며, 양단쪽으로 갈수록 약간 좁아지는 형상이며, 탄력적으로 인장력이 있는 스판텍스재질로 구성되며 중앙부 배면에는 방수부(9)로 구비된 복대몸체(2)와, 상기 복대몸체(2)의 상하부 테두리에 형성되어 복대몸체(2)와 함께 늘어나고 긴장되는 고무밴드(4)와, 상기 복대몸체(2)의 양단 끝에 형성되어 상기 고무밴드(4)와 동일한 재질로 형성된 연결부(5,6)와, 상기 연결부(5)의 배면에 형성되며 일정간격 이격되어 형성된 4개로 구성된 4열의 연결구멍(8)과, 다른 연결부(6)의 정면에 일정간격 이격되어 형성된 연결고리(7)와, 상기 복대몸체(2)의 중앙부 정면에는 망으로 형성된 주머니(3)와, 상기 주머니(3)내에 삽입되어 고정되는 흡수부(30)로 구성되어 있음을 특징으로 하는 장루흡수형 복대.
  2. 장루 흡수용 복대에 있어서, 직사각형에 가까우나 중간부가 약간 넓으며, 양단쪽으로 갈수록 약간 좁아지는 형상이며, 탄력적으로 인장력이 있는 스판텍스재질로 구성되며 중앙부 배면에는 방수부(9)로 구비된 복대몸체(2)와, 상기 복대몸체(2)의 상하부 테두리에 형성되어 복대몸체(2)와 함께 늘어나고 긴장되는 고무밴드(4)와, 상기 복대몸체(2)의 양단 끝에 형성되어 상기 고무밴드(4)와 동일한 재질로 형성된 연결부(5,6)와, 상기 연결부(5)의 배면에 형성되며 일정간격 이격되어 형성된 4개로 구성된 4열의 연결구멍(8)과, 다른 연결부(6)의 정면에 일정간격 이격되어 형성된 연결고리(7)와, 상기 복대몸체(2)의 정면 중앙부 일정면적에 흡수부(30-1)의 배면에 도포된 접착제가 접착되는 중앙접착부(10)와, 상기 중앙접착부(10)에 부착되는 한 개 또는 두 개의 다른 흡수부(30-1)로 구성되어 있음을 특징으로 하는 장루흡수형 복대.
  3. 장루 흡수용 복대에 있어서, 직사각형에 가까우나 중간부가 약간 넓으며, 양단쪽으로 갈수록 약간 좁아지는 형상이며, 탄력적으로 인장력이 있는 스판텍스재질로 구비된 복대몸체(2)와, 상기 복대몸체(2)의 상하부 테두리에 형성되어 복대몸체(2)와 함께 늘어나고 긴장되는 고무밴드(4)와, 상기 복대몸체(2)의 양단 끝에 형성되어 상기 고무밴드(4)와 동일한 재질로 형성된 연결부(5,6)와, 상기 연결부(5)의 배면에 형성되며 일정간격 이격되어 형성된 4개로 구성된 4열의 연결구멍(8)과, 다른 연결부(6)의 정면에 일정간격 이격되어 형성된 연결고리(7)로 구성되어 있음을 특징으로 하는 장루흡수형 복대.
KR20-2004-0008522U 2004-03-27 2004-03-27 장루 흡수형 복대 KR200353951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4-0008522U KR200353951Y1 (ko) 2004-03-27 2004-03-27 장루 흡수형 복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4-0008522U KR200353951Y1 (ko) 2004-03-27 2004-03-27 장루 흡수형 복대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53951Y1 true KR200353951Y1 (ko) 2004-06-29

Family

ID=4943238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4-0008522U KR200353951Y1 (ko) 2004-03-27 2004-03-27 장루 흡수형 복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53951Y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76711B1 (ko) * 2005-02-28 2007-02-01 신대균 텐덤이 부착된 장루복대
KR200451509Y1 (ko) 2010-06-07 2010-12-17 주식회사 코디카 배커버 내의
KR20180009855A (ko) * 2016-07-19 2018-01-30 충남대학교산학협력단 환자의 기관루 가리개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76711B1 (ko) * 2005-02-28 2007-02-01 신대균 텐덤이 부착된 장루복대
KR200451509Y1 (ko) 2010-06-07 2010-12-17 주식회사 코디카 배커버 내의
KR20180009855A (ko) * 2016-07-19 2018-01-30 충남대학교산학협력단 환자의 기관루 가리개
KR101868545B1 (ko) * 2016-07-19 2018-06-20 충남대학교산학협력단 환자의 기관루 가리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961482B2 (en) Hygienic article
EP3128970B1 (en) Absorbent garments
US8672910B1 (en) Male incontinence aid
JP5794970B2 (ja) オムツユニット及びオムツ外装体
JP4115897B2 (ja) 吸収性物品
KR200353951Y1 (ko) 장루 흡수형 복대
JP3208270U (ja) 男性用尿パッド及び男性用尿パッドの取付構造
KR20190034976A (ko) 재습윤 저감형 개인위생용품
JPH10314220A (ja) パンツ型使い捨ておむつ
JP2007325717A (ja) 吸収体製品
KR100676711B1 (ko) 텐덤이 부착된 장루복대
JP3205471U (ja) 下着構造
CN210582564U (zh) 一种女性私密整型术后护理用具
CN211631815U (zh) 一种新型生理内裤
JP2012030032A (ja) 尿取りパッド
CN107115171B (zh) 一种便捷吸湿式结肠造口袋
CN206978830U (zh) 一种疝气术后护理裤
CN201977966U (zh) 一种简单方便实用阴囊托
CN212234970U (zh) 一种预防疝气的纸尿裤
CN110200675A (zh) 一种女性私密整型术后护理用具
JP3459190B2 (ja) 使い捨ておむつ用品
WO2011102060A1 (ja) 吸収パッド装着用ベルト及び衛生用品
KR102440834B1 (ko) 분비물 누출을 방지하는 요실금용 보조기
CN215875247U (zh) 一种防侧后漏保暖生理内裤
JPH1057414A (ja) 使い捨ておむつ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91102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