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52920Y1 - 합성수지시트의 랩핑장치 - Google Patents

합성수지시트의 랩핑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52920Y1
KR200352920Y1 KR20-2004-0006464U KR20040006464U KR200352920Y1 KR 200352920 Y1 KR200352920 Y1 KR 200352920Y1 KR 20040006464 U KR20040006464 U KR 20040006464U KR 200352920 Y1 KR200352920 Y1 KR 200352920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ynthetic resin
resin sheet
bending
pressure roller
roll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4-0006464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용국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남선알미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남선알미늄 filed Critical 주식회사남선알미늄
Priority to KR20-2004-0006464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52920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52920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52920Y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63/00Lining or sheathing, i.e. applying preformed layers or sheathings of plastics; Apparatus therefor
    • B29C63/0004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63/00Lining or sheathing, i.e. applying preformed layers or sheathings of plastics; Apparatus therefor
    • B29C63/02Lining or sheathing, i.e. applying preformed layers or sheathings of plastics; Apparatus therefor using sheet or web-like materia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BMACHINES, APPARATUS OR DEVICES FOR, OR METHODS OF, PACKAGING ARTICLES OR MATERIALS; UNPACKING
    • B65B33/00Packaging articles by applying removable, e.g. strippable, coatings
    • B65B33/02Packaging small articles, e.g. spare parts for machines or engin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Bending Of Plates, Rods, And Pip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알미늄형재 상면과 측면에 합성수지시트를 접합하기 위한 랩핑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랩핑을 위한 준비작업 및 랩핑작업이 신속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은 상면 가압롤러 후방에 평면부와 경사돌부로 구성된 절곡가압롤러를 다단으로 설치한 다음 상면에 합성수지시트가 1차 접합된 알미늄형재를 통과시키므로서 절곡가압롤러의 경사돌부에 의해 합성수지시트의 양측단부가 절곡구성되게 한 것이다.

Description

합성수지시트의 랩핑장치{WRAPPING DEVICE OF SYNTHETIC RESIN SHEETS}
본 고안은 알미늄형재 외면에 합성수지시트를 랩핑하기 위한 랩핑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알미늄형재의 상면과 측면을 동시에 랩핑작업하고자 할때에 랩핑을 위한 준비작업 및 랩핑작업이 신속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알미늄형재 외면에 합성수지시트를 랩핑하기 위한 장치로서는 본 고안의 출원인이 선출한 장치들이 제공된 바 있다.
즉 합성수지시트를 알미늄형재 표면에 랩핑하고자 할때 경도가서로 상이한 광폭의 단일 가압롤러를 다단으로 설치하여 알미늄형재 표면, 즉 상면에 합성수지시트가 한번에 랩핑되게 한 것이다.
따라서 종래와 같이 알미늄형재 상면에 공급되는 합성수지시트를 폭이 좁은 다수개의 가압롤러를 이용하여 중앙부 혹은 요입부로부터 가압하면서 점차 형재의 외측방향으로 이동, 가압하여 랩핑되게 하였던 종래 랩핑장치에 비하여서는 랩핑작업이 신속용이하게 이루어지게 되는 등의 효과가 있는 것이었다.
그러나 선출원한 고안의 랩핑장치를 이용하여 랩핑작업을 함에 있어서, 광폭의 합성수지시트를 알미늄형재의 상면과 측면을 단계적으로 랩핑작업하고자 할 경우에는 다음과 같은 단점이 있는 것이엇다.
즉 알미늄형재의 상면에는 단일형 가압롤러를 이용하여 신속한 접합이 이루어지게 되나 알미늄형재의 측면에 합성수지시트가 랩핑되게 하기 위하여서는 단일형 가압롤러 후방에 점차 단계적으로 경사지게 설치된 다수개의 가압롤러를 설치하고, 상기 다수개의 가압롤러에 의해 합성수지시트가 점차적으로 절곡되면서 알미늄형재의 측면과 근접되게 하고, 상기한 상태에서 측면가압롤러로 가압하여 알미늄형재의 측면에도 합성수지시트가 접합되게 하는 것이었다.
따라서 합성수지시트를 측방향으로 절곡구성되게 하는 데에 설치각이 서로 조금씩 다른 가압롤러를 다수개 설치하여야 하므로 그에따른 여러개의 롤러가 필요로 하게 되고, 또한 상기 가압롤러의 셋팅작업에 많은 시간과 숙련된 기능공을 필요로 하게 되는 등의 단점이 있는 것이었다.
본 고안은 이러한 종래의 제반단점을 시정하고자 광폭의 합성수지시트를 이용하여 알미늄형재의 상면과 측면을 랩핑함에 있어서, 합성수지시트가 알미늄형재 상면에 접합되게 하고, 이후에 합성수지시트의 양측부가 신속용이하게 측하방으로 절곡되게 하고, 상기한 상태에서 측면가압롤러로 가압되게 하여 신속한 랩핑작업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은 랩핑장치를 구성함에 있어서, 상면가압롤러를 통하여 알미늄형재 상면에 합성수지시트가 접합되게 하고, 상기 상면가압롤러로 후방에 절곡가압롤러를 설치하여 알미늄형재의 폭 외측으로 돌출된 합성수지시트가 절곡되게 하고, 상기 절곡가압롤러 후방에 측면가압롤러를 설치하여 알미늄형재의 측면에 합성수지시트가 접합완료되게 하여서 된 것이다.
상기에서 상면가압롤러의 형상은 평면 및 요철가압롤러를 포함하며, 절곡가압롤러는 다단으로 설치하여 후방으로 갈수록 경사각이 수직에 가깝게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절곡가압롤러 양측에 구성되는 경사돌부는 일측에만 구성되게 하고, 상기한 구성의 절곡가압롤러를 지그재그로 설치하여 사용하게 될 경우에는 랩핑하고자 하는 알미늄형재의 크기에 관계없이 광범위하게 적용하여 사용할 수 있다.
본 고안에서 제공하고자 하는 기술요지는 알미늄형재의 상면과 측면에 합성수지시트를 랩핑함에 있어서, 알미늄형재의 상면에 합성수지시트를 접합한 다음절곡가압롤러를 통하여 합성수지시트의 양측단부가 측방향으로 절곡되게하여 측면 접합이 신속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게 한다는 것이다.
도 1 : 본 고안 장치의 사시도.
도 2 : 본 고안 장치의 측면구성도.
도 3 : 본 고안 장치의 요부사시도.
도 4 : 본 고안 장치의 구성된 상면가압롤러의 작동상태도.
도 5 : 본 고안 장치에 구성된 제1절곡가압롤러의 작동상태도.
도 6 : 본 고안 장치에 구성된 제2절곡가압롤러의 작동상태도.
도 7 : 본 고안 장치에 구성된 제3절곡가압롤러의 작동상태도.
도 8 : 본 고안 장치에 구성된 측면가압롤러의 작동상태도.
도 9 : 본 고안 장치에 사용되는 절곡가압롤러의 타실시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랩핑기 (110)--본체
(111)--이송안내롤러 (112)--지주봉
(113)--지지봉 (114)--브라켓
(115)--수직봉 (116)--홀더
(120)--알미늄형재 (122)--합성수지시트
(130)--상면가압롤러 (140)--제1절곡가압롤러
(141)(151)(161)--평면부 (142)(152)(162)--경사면
(143)(153)(163)--돌부 (150)--제2절곡가압롤러
(160)--제3절곡가압롤러 (180)--절곡가압롤러
(181)--평면부 (182)--경사면
(183)--돌부
이하 본 고안의 실시예를 첨부도면에 따라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1은 본 고안에서 제공하고자 하는 랩핑장치의 개략 구성도로서, 랩핑기(100)의 본체(110)상에 다수개의 이송안내롤러(111)를 설치하여 알미늄형재(120)를 일정한 속도로 이송되게 하고, 상기 이송롤러(111) 좌우측에는 다수개의 지주봉(112)이 등간격으로 설치되어 있고, 상기 각지주봉(112) 상부에는브라켓(114)이 끼워진 지지봉(113)이 연결설치되어 있다.
또한 상기 랩핑기(100)의 본체(110) 전면에 구성된 지주봉(112)에는 상면가압롤러(130)를 설치하되, 상기 가압롤러(130)는 브라켓(114)에 승강조정가능케 수직봉(115)의 홀더(116)의 회전가능케 끼워져 있으며, 상기 상면가압롤러(130)는 다단으로 구성되어 있다.
위에서 설명한 랩핑기(100)의 구성은 본 출원인이 선출원 구성과 다를바 없으나 본 고안에서 제공하고자 하는 기술요지는 상면가압롤러(130) 후방에 장치되는 절곡가압롤러의 구성이다.
상기 절곡가압롤러 역시 지주봉(112)에 설치된 수직봉(115)의 홀더(116)에 회전이 자유롭게 설치되며 상기 절곡가압롤러는 다단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절곡가압롤러 양측에는 경사면이 형성된 돌부가 돌출되어 있다.
이때 다단으로 설치되는 절곡가압롤러는 필요에 따라 증감이 가능하며 본 고안에서는 상기 절곡가압롤러를 3단계로 설치하였다.
좀 더 상세히 설명하면 도3에서와 같이 제1절곡가압롤러(140)와 제2절곡가압롤러(150) 및 제3절곡가압롤러(160)로 설치되어 있으며, 상기 각 절곡가압롤러 (140)(150)(160)에는 중앙에 알미늄형재(120)의 상면폭과 동일한 평면부 (141)(151)(161)가 구성되어 있고, 상기 평면부(141)(151)(161) 양측부에는 경사면 (142)(152)(162)이 형성된 돌부(143)(153)(163)가 돌출구성되어있다.
상기 각 절곡가압롤러(140)(150)(160)에 구성된 경사면(142)(152)(162)은 후방으로 갈수록 경사각이 수직에 가깝게 구성되어 있다.
절곡가압롤러 후방에는 통상의 측면가압롤러(170)가 설치되며, 상기측면가압롤러(170)는 지주봉(112)의 중앙에 브라켓(171)을 통하여 횡봉(172)을 고정설치하고, 상기 횡봉(172)의 단부에 측면가압롤러(170)를 회전이 자유롭게 설치하여서 된 것이다.
본 고안의 랩핑장치를 구성함에 있어서, 절곡가압롤러의 구성을 도9에서와 같이 경사면(182)이 형성된 돌부(183)가 평면부(181) 한쪽에만 구성되게 하여 절곡가압롤러(180)를 구성하고, 상기 절곡가압롤러(180)를 지그재그로 설치하여 사용할 수도 있다.
상기한 절곡가압롤러(180)의 경우 랩핑하고자 하는 알미늄형재(120)의 크기에 관계없이 범용성있게 사용할 수도 있다.
이와같이 구성된 본 고안은 랩핑기(100)에 구성된 이송안내롤러(111)상에 랩핑작업하고자 하는 알미늄형재(120)를 공급하여 일정한 속도로 공급되게 하고, 동시에 합성수지시트(122)를 알미늄형재(120)와 상면가압롤러(130)사이로 공급되게 하면 다단으로 설치된 상면가압롤러(130)에 의해 합성수지시트(122)가 알미늄형재(120)의 상면에 접합완료되고, 동시에 알미늄형재(120) 양측부로는 미접합된 합성수지시트(122)가 위치하게 된다. 상기에서와 같이 알미늄형재(120) 상면에 합성수지시트(122)의 접합이 완료된 상태에서 알미늄형재(120)가 이송안내롤러(111)에 의해 이동이 진행되면 알미늄형재(120)의 접합면이 절곡가압롤러와 접하여 측부로 돌출된 합성수지시트(122)가 절곡된다.
좀더 상세히 설명하면 도5에서와 같이 합성수지시트(122)의 접합면이 제1절곡가압롤러(140)에 접하게 되면 제1절곡가압롤러(140)에 구성된 평면부(141)가 알미늄형재(120) 상면에 위치한 합성수지시트(122)를 재차 가압하게 되고, 동시에 양측부에 구성된 돌부(143)가 합성수지시트(122)의 양측단부를 측방향으로 절곡시키게 된다.
이때 합성수지시트(122)의 절곡정도는 제1절곡가압롤러(140)의 돌부(143)에 구성된 경사면(142)의 경사각 정도로 절곡된다.
상기에서와 같이 제1절곡가압롤러(140)에 의해 알미늄형재(120) 측부로 돌출된 합성수지시트(122)가 1차절곡된 상태에서 이동하여 도6에서와 같이 제2절곡가압롤러(150)와 접하게 된다.
제2절곡가압롤러(150)와 접한 알미늄형재(120) 및 합성수지시트(122)는 제2가압롤러(150)의 평면부(151)에 의해 알미늄형재(120)의 상면이 재차 가압되고, 동시에 경사면(152)이 형성된 돌부(153)에 의해 합성수지시트(122)의 양측부가 좀더 절곡되어 알미늄형재(120)의 측면과 근접하게 된다.
상기 제2절곡가압롤러(150)를 지난 알미늄형재(120) 및 합성수지시트(122)는 후방으로 이동하여 도7에서와 같이 다시 제3절곡가압롤러(160)와 접하게 되면서 제3절곡가압롤러(160)의 평면부(161)에 의해 알미늄형재(120)의 상면이 한번더 가압되고, 동시에 경사면(162)이 형성된 돌부(163)에 의해 합성수지시트(122)의 양측 단부가 최종적으로 절곡되면서 알미늄형재(120)의 측면과 거의 근접하거나 접하게 된다.
따라서 종래와 같이 별도의 경사가압롤러를 수개 설치하여 조금씩 합성수지시트를 절곡하던 작업에 비하여 절곡이 신속용이하게 이루어지게 된다.
상기에서와 같이 합성수지시트(122)의 양측 단부가 알미늄형재(120)의 측면에 거의 근접된 상태에서 후방으로 이동하게 되면 도8에서와 같이 측면가압롤러(170)에 의해 측면에 위치한 합성수지시트(122)를 가압하여 견고히 접합되게 하므로서 알미늄형재(120)의 상면과 측면의 랩핑작업이 완료된다.
이때 측면 가압롤러(170)는 다수개가 단계적으로 구성되어있어 알미늄형재(120) 측면에 위치한 합성수지시트(122)를 단계적으로 접합하게 되며, 상기 측면 가압롤러(170)도 2개의 가압롤러를 한조로 하여 홀더에 결합되게 하면 셋팅작업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상기 본 고안의 랩핑장치를 구성함에 있어서 알미늄형재의 저면에도 합성수지시트를 접합하고자 할 경우 측면가압롤러 하단에 절곡가압롤러와 같이 경사면이 형성된 돌부를 구성하여 신속용이한 절곡작업이 이루어지게 할 수도 있다.
또한 도9에서와 같이 구성된 절곡가압롤러(180)를 사용하게 되면 알미늄형재(120)의 크기에 관계없이 범용성있게 사용할 수도 있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은 알미늄형재의 상면과 측면에 합성수지시트가 접합되게 작업함에 있어서, 상부가압롤러 후방에 경사돌부가 형성된 절곡가압롤러를 다단설치하여 합성수지시트의 양측 단부가 알미늄형재 측하방으로 절곡되게 한 다음 측면가압롤러로 접합되게 하므로서, 합성수지시트의 절곡작업이 신속용이할 뿐 아니라 절곡가압롤러의 설치 및 조정을 숙련된 기능공이 아니더라도 누구나용이하게 설치할 수 있게 되는 등의 효과가 있는 것이다.

Claims (3)

  1. 본체상에 이송안내롤러 및 다수의 지주봉이 등간격으로 설치되고, 상기 지주봉상에 상면가압롤러를 설치하여 이송안내롤러를 통하여 이송되어오는 알미늄형재 외면에 합성수지시트가 랩핑되게 하는 통상의 랩핑장치를 구성함에 있어서, 상면가압롤러 후방에 평면부와 돌부로 구성된 절곡가압롤러를 다단으로 설치하고, 상기 절곡가압롤러의 돌부에 의해 알미늄형재 상면에 접합된 합성수지시트의 양측부가 측하방으로 절곡되게 하여서 됨을 특징으로 하는 합성수지시트의 랩핑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절곡가압롤러에 구성된 돌부에 경사면이 형성되게 하되, 상기 경사면은 후방으로 갈수록 경사각을 크게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합성수지시트의 랩핑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평면부와 돌부로 구성되는 절곡가압롤러를 구성하되, 상기 절곡가압롤러에 구성되는 돌부가 평면부일측에만 구성되게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합성수지시트의 랩핑장치.
KR20-2004-0006464U 2004-03-10 2004-03-10 합성수지시트의 랩핑장치 KR200352920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4-0006464U KR200352920Y1 (ko) 2004-03-10 2004-03-10 합성수지시트의 랩핑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4-0006464U KR200352920Y1 (ko) 2004-03-10 2004-03-10 합성수지시트의 랩핑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52920Y1 true KR200352920Y1 (ko) 2004-06-26

Family

ID=4943172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4-0006464U KR200352920Y1 (ko) 2004-03-10 2004-03-10 합성수지시트의 랩핑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52920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2140522A (zh) * 2020-09-29 2020-12-29 南京鸿发有色金属制造股份有限公司 一种金属型材贴膜机的自动夹料装置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2140522A (zh) * 2020-09-29 2020-12-29 南京鸿发有色金属制造股份有限公司 一种金属型材贴膜机的自动夹料装置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814613B2 (en) Print screen unit
WO2006053197A3 (en) Sheet bend controlling structures, dies and process
CN100537878C (zh) 用于刺绣框架的夹紧布料的夹子
JP3584443B2 (ja) コンベヤシステムに於ける走行フレーム装置
US7669451B2 (en) Sheet metal bending brake
KR200352920Y1 (ko) 합성수지시트의 랩핑장치
JP6506054B2 (ja) サンルーフパネル用のレール成形装置
JP2005527382A (ja) エンボス装置
JP4388731B2 (ja) 印刷機の版板を自動的に交換するための装置
KR101045213B1 (ko) 박스 절곡장치
US6488230B2 (en) Stationary web spreader
KR100602740B1 (ko) 서랍 안내장치 및 그 서랍안내장치의 조립 및 제조방법
US6073753A (en) Roller slide device
KR100545912B1 (ko) 알미늄형재의 랩핑장치
CN112756481B (zh) 平面复合结构空间柔顺铰链冲压模具
US6209375B1 (en) Panel assembly and panel forming apparatus
US4082530A (en) Press bending apparatus and method of fabrication
WO2023203481A1 (en) System with a skirting board and at least one fixing element
CN210737866U (zh) 一种石材幕墙装饰型材组件
KR20160014410A (ko) 일체형 커브드프레임과 그 제조방법 및 성형지그
JP3640719B2 (ja) コンクリート壁構築用部材
CN209838857U (zh) 展架的底脚组件和具有其的展架
CN217521452U (zh) 液晶显示模组
JP2003135164A (ja) 机上用パネルの支持装置
CN211248034U (zh) 一种用于精密冲床的自动送料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524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