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52892Y1 - 유지보수용 도어를 구비한 이동식 간이 건축구조물 - Google Patents

유지보수용 도어를 구비한 이동식 간이 건축구조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52892Y1
KR200352892Y1 KR20-2004-0005944U KR20040005944U KR200352892Y1 KR 200352892 Y1 KR200352892 Y1 KR 200352892Y1 KR 20040005944 U KR20040005944 U KR 20040005944U KR 200352892 Y1 KR200352892 Y1 KR 200352892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oor
water
sewage
building structure
simple build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4-0005944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고준배
이찬훈
강병주
Original Assignee
고준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고준배 filed Critical 고준배
Priority to KR20-2004-0005944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52892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52892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52892Y1/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00Buildings or groups of buildings for dwelling or office purposes; General layout, e.g. modular co-ordination or staggered storeys
    • E04H1/12Small buildings or other erections for limited occupation, erected in the open air or arranged in buildings, e.g. kiosks, waiting shelters for bus stops or for filling stations, roofs for railway platforms, watchmen's huts or dressing cubicles
    • E04H1/1205Small buildings erected in the open air
    • E04H1/1216Public W.C.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DHINGES OR SUSPENSION DEVICES FOR DOORS, WINDOWS OR WINGS
    • E05D3/00Hinges with pins
    • E05D3/06Hinges with pins with two or more pins
    • E05D3/08Hinges with pins with two or more pins for swing-doors, i.e. openable by pushing from either sid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Sanitary Device For Flush Toilet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이동식 간이 건축구조물에 관한 것으로, 상,하수도 시설이 완비된 이동식 간이 건축구조물, 예를들면 이동식 화장실, 조립식 건물등의 상,하수도 배관의 유지보수를 용이하게 하기 위해 유지보수용 도어를 구비한 이동식 간이 건축구조물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은, 운반이 가능하고 내부에 상,하수도 설비와 배관이 구비된 바디로 구성된 이동식 간이 건축구조물에 있어서, 상기 배관과 인접하도록 상기 바디에 형성된 개구; 및 상기 개구에 개폐가능하도록 설치된 도어;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유지보수용 도어를 구비한 이동식 간이 건축구조물을 제공한다.
따라서, 이와 같은 본 고안에 따르면, 상,하수도 시설이 완비된 이동식 간이 건축구조물의 상,하수도 배관에 인접하여 개폐가능한 도어를 설치함으로써 상기 배관의 유지보수를 용이하고 신속하게 행할 수 있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Description

유지보수용 도어를 구비한 이동식 간이 건축구조물{A movable prefabricated building with door for maintenance}
본 고안은 이동식 간이 건축구조물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상,하수도 시설이 완비된 이동식 간이 건축구조물, 예를들면 이동식 화장실, 조립식 건물등의 상,하수도 배관의 유지보수를 용이하게 하기 위해 유지보수용 도어를 구비한 이동식 간이 건축구조물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공원, 야외의 임시 행사장, 및 건설현장등에는 일반대중이나 작업자들을 위한 다양한 이동식 간이 건축구조물들이 필요하다. 대표적인 이동식 간이 건축구조물로는 간이 화장실, 간이 샤워실, 및 조립식 건물등과 같은 것들이 있는데, 이들은 모두 소변기, 좌변기, 세면대, 샤워기, 수도등과 같은 상,하수도(上,下水道) 설비들이 갖추어져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다양한 이동식 간이 건축구조물들에 설치된 상,하수도 설비는 외부로부터 상수(上水)를 공급하는 상수도 배관과, 상기 간이 건축구조물에서 발생되는 하수(下水)를 배수시키는 하수도 배관이 설치되어 상술한 상,하수도(上,下水道) 설비들에 필요한 용수를 공급하고 발생되는 하수를 처리하도록 구성된다.
도 1a와 도 1b에는 대표적인 이동식 간이 건축구조물인 이동식 화장실이 도시되어 있는데, 간이 화장실은 정면에 출입구(102)가 설치되어 있고, 그 후면은 밀폐되어 있는 박스형(box-type)의 바디(101)로 형성되는 것이 일반적이다.
한편,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간이 화장실의 내부에는 상,하수도 설비, 즉 소변기(104), 좌변기(106), 세면대(108), 및 수도(108a)등이 설치되어 있다. 이때, 상기 상,하수도 설비들은 상,하수도 배관(112,114)과 분기관(112b,114b)에 의해 연결되어 용수를 공급받고 하수를 처리하도록 상기 간이 화장실의 내부에 설치된다.
즉,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간이 화장실에 설치되어 용수를 공급하고 하수를 처리하는 상,하수도 배관(112,114)은 그 분기점들에 각각 설치되는 L자형 또는 T자형의 관연결구(112a,114a)에 의해 필요한 위치로 연결된다.
한편, 상기와 같이, 상기 간이 화장실의 내부에 설치되는 상,하수도 배관(112,114)의 일단은 상기 간이 화장실의 외측으로 돌출되어 용수를 공급하는 용수공급배관(미도시)과 하수처리배관(미도시)에 각각 연결된다.
그러나, 상기 간이 화장실에 설치된 상,하수도 배관(112,114)은 동절기에 동파되거나 부식되어 종종 누수되는 경우가 있었다. 이때, 상기 상,하수도 배관(112,114)을 교체하거나 보수하기 위해 상기 간이 화장실의 내부 바닥을 형성하는 바닥재를 철거해야 하는 불편함이 있었다.
특히, 상기 상,하수도 배관(112,114)과 분기관(112b,114b)을 연결하는 관연결구(112a,114a)는 자주 파손되어 빈번히 교체해야 하는데, 이러한 경우 상술한 바와 같이 내부바닥을 통한 교체는 교환시간이 과다하게 소비되고 그 교체작업이 용이하지 못하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한 것으로서, 상,하수도 시설이 완비된 이동식 간이 건축구조물의 상,하수도 배관을 유지보수하는 경우 이를 용이하게 하기 위해 배관 유지보수용 도어를 설치한 이동식 간이 건축구조물을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도 1은 종래의 대표적인 이동식 간이 건축구조물인 이동식 화장실을 도시한 것으로,
(a)는 정면을 도시한 사시도,
(b)는 후면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는 종래의 대표적인 이동식 간이 건축구조물인 이동식 화장실의 평면도이다.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유지보수용 도어를 구비한 이동식 간이 건축구조물의 후면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유지보수용 도어를 구비한 이동식 간이 건축구조물의 평면도이다.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유지보수용 도어를 구비한 이동식 간이 건축구조물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고안에 따른 유지보수용 도어를 구비한 이동식 간이 건축구조물의 또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것으로,
(a)는 도어개방시,
(b)는 도어폐쇄시를 도시한 것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2..... 바디 12a..... 개구
14..... 상수도 배관 16..... 하수도 배관
14a,16a..... 관연결구 14b,16b..... 분기관
32..... 도어 40..... 링크
42,44..... 제 1,2링크부재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은, 운반이 가능하고 내부에 상,하수도 설비와 배관이 구비된 바디로 구성된 이동식 간이 건축구조물에 있어서, 상기 배관과 인접하도록 상기 바디에 형성된 개구; 및 상기 개구에 개폐가능하도록 설치된 도어;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유지보수용 도어를 구비한 이동식 간이 건축구조물을 제공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도어는 상기 개구에 볼트결합될 수 있으며, 상기 도어는 그 하부가 상기 개구에 힌지고정되어 있을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도어는 그 하부가 상기 개구에 힌지고정되고, 그 측면에는 상기 바디 측면에 일단이 고정된 링크가 설치되어 있을 수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유지보수용 도어를 구비한 이동식 간이 건축구조물의 평면도이다.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유지보수용 도어를 구비한 이동식 간이 건축구조물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고안에 따른 유지보수용 도어를 구비한 이동식 간이 건축구조물의 또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것으로, (a)는 도어개방시, (b)는 도어폐쇄시를 도시한 것이다.
도 3 내지 도 6에는 본 고안에 따른 유지보수용 도어를 구비한 이동식 간이 건축구조물(1)이 도시되어 있는데, 그 구조에 대해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상기 이동식 간이 건축구조물은 내부에 소변기, 좌변기, 세면대, 및 수도등 다양한 상,하수도 설비가 설치되고, 그 정면에 개폐가능한 출입구(미도시)가 설치된 바디(12)로 형성될 수 있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바디(12)에는 상술한 상,하수도 설비와 연결되는 상,하수도 배관(14,16)이 설치되어 있다. 상기 상수도 배관(14)은 상기 상,하수도 설비에 용수를 공급하고, 상기 하수도 배관(16)은 상기 상,하수도 설비로부터 발생되는 하수를 상기 바디(12)의 외부로 배출시키게 된다.
한편,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상,하수도 배관(14,16)은 L형 또는 T형등의 관연결구(14a,16a)와 분기관(14b,16b)을 통해 상술한 상,하수도 설비, 즉 소변기(22), 좌변기(24), 세면대(26), 및 수도(26a)등과 각각 연결되어 있을 수 있다.
이때, 상기 바디(12)에는 상기 상,하수도 배관(14,16)에 인접하도록 개구(12a)가 형성되고 상기 개구(12a)를 개폐하도록 도어(32)가 설치된다. 그러므로, 상기와는 다르게 상기 상,하수도 배관(14,16)이 상기 바디(12)의 내측 측면에 설치되는 경우라면 상기 개구(12a)는 상기 바디(12)의 측면에 설치되므로 상기 도어(32)는 상기 바디(12)의 측면에 위치될 수 있다.
즉,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도어(32)의 개방시 상기 바디(12)내에 설치된 상기 상,하수도 배관(14,16)의 유지보수가 용이하도록 상기 개구(12a)를 통해 상,하수도 배관(14,16)이 보일수 있는 구조로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도어(32)를 개방시킴으로써 상,하수도 배관(14,16)에 결합된 관연결구(14a,16a)나 상,하수도 배관(14,16)이 파손되어 용수나 하수가 누수되는 경우 신속하고 용이하게 수리할 수 있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술한 바와는 다르게 상기 도어(32)는 상기 바디의 개구(12a)를 용이하게 개폐할 수 있도록 그 하부가 상기 개구(12a)에 힌지고정되는 구조도 가능하다.
이러한 구조는 상기 바디(12)내에 설치된 상기 상,하수도 배관(14,16)이나 상기 상,하수도 배관(14,16)에 결합된 관연결구(14a,16a)를 교체하거나 수리하는 경우 개폐를 용이하게 함과 동시에 교체 및 수리작업에 방해가 되지 않기 위함이다.
한편, 상기와는 다른 구조의 도어(32)가 도 6a에 도시되어 있는데, 이때 상기 도어(32)는 상술한 바와 마찬가지로 그 하부가 상기 개구(12a)의 하부에 힌지고정되어 상기 개구(12a)를 개폐시키도록 배치되어 있다.
그리고, 도 6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도어(32)의 양측단에는 링크(40)가 설치된다. 상기 링크(40)는 제 1,2링크부재(42,44)의 일단이 각각 상기 도어(32)의측면과 상기 바디(12)의 측면에 각각 고정되고, 그 각각의 타단이 서로 회전가능하도록 연결되어 있다.
즉, 상기 도어(32)의 개방시 상기 도어(32)가 일정 범위이상으로 개방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상기 제 1,2링크부재(42,44)로 구성된 링크(40)가 추가로 설치될 수도 있다.
따라서, 상기 상,하수도 설비와 연결된 배관이나 각종 연결구등이 파손되거나 부식되어 누수되는 경우 이동식 간이 건축구조물의 바닥재를 철거할 필요없이 도어를 개방시킴으로써 용이하고 신속하게 수리 및 교환등의 유지보수를 행할 수 있다.
한편, 상기에서는 상,하수도 설비와 연결된 배관에 인접하여 설치된 개구와 도어에 대해 설명하였으나 상술한 배관 이외에도 이동식 간이 건축구조물의 내부에 기타 유지보수가 필요한 설비들이 설치되어 있는 경우 상기 유지보수가 필요한 설비에 인접하여 개구를 형성하고 도어를 설치함으로써 그 유지보수를 용이하고 신속하게 행할 수도 있다.
또한, 상술한 도어의 개폐구조 이외에 다양한 구조의 개폐가능한 도어구조가 본 고안에 적용될 수 있으며, 기타 상,하수도 설비 이외의 다양한 설비를 구비한 이동식 간이 건축구조물에도 적용가능하다.
본 고안은 특정한 실시예와 관련하여 도시되고 설명되었지만, 이하의 실용신안등록청구범위에 의해 마련되는 본 고안의 정신이나 분야를 벗어나지 않는 한도내에서 본 고안이 다양하게 개조 및 변화될 수 있다는 것을 당업계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는 용이하게 알 수 있음을 밝혀두고자 한다.
상기에서와 같이 본 고안에 의하면, 상,하수도 시설이 완비된 이동식 간이 건축구조물의 상,하수도 배관에 인접하여 개폐가능한 도어를 설치함으로써 상기 배관의 유지보수를 용이하고 신속하게 행할 수 있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Claims (4)

  1. 운반이 가능하고 내부에 상,하수도 설비와 배관이 구비된 바디로 구성된 이동식 간이 건축구조물에 있어서,
    상기 배관과 인접하도록 상기 바디에 형성된 개구; 및
    상기 개구에 개폐가능하도록 설치된 도어;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유지보수용 도어를 구비한 이동식 간이 건축구조물.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도어는 상기 개구에 볼트결합됨을 특징으로 하는 유지보수용 도어를 구비한 이동식 간이 건축구조물.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도어는 그 하부가 상기 개구에 힌지고정되어 있음을 특징으로 하는 유지보수용 도어를 구비한 이동식 간이 건축구조물.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도어는 그 하부가 상기 개구에 힌지고정되고, 그 측면에는 상기 바디 측면에 일단이 고정된 링크가 설치되어 있음을 특징으로 하는 유지보수용 도어를 구비한 이동식 간이 건축구조물.
KR20-2004-0005944U 2004-03-05 2004-03-05 유지보수용 도어를 구비한 이동식 간이 건축구조물 KR200352892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4-0005944U KR200352892Y1 (ko) 2004-03-05 2004-03-05 유지보수용 도어를 구비한 이동식 간이 건축구조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4-0005944U KR200352892Y1 (ko) 2004-03-05 2004-03-05 유지보수용 도어를 구비한 이동식 간이 건축구조물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52892Y1 true KR200352892Y1 (ko) 2004-06-22

Family

ID=4934697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4-0005944U KR200352892Y1 (ko) 2004-03-05 2004-03-05 유지보수용 도어를 구비한 이동식 간이 건축구조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52892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565706B2 (en) Pressure assisted flush assembly and installation methods
US3590392A (en) Prefabricated bathroom assembly
KR200352892Y1 (ko) 유지보수용 도어를 구비한 이동식 간이 건축구조물
KR100801546B1 (ko) 점검구를 갖는 욕실용 방수판넬 시스템
KR20110047103A (ko) 이중배관을 포함한 욕실의 배관 시스템
KR102173209B1 (ko) 벽체 매립형 냉온수 공급관 분기 함체
US3618622A (en) Plumbing system
GB2592176A (en) Prebuilt module for installing water-related fittings
KR200338297Y1 (ko) 배수가 용이한 분배기
KR100447808B1 (ko) 매립식 오픈 수전함
JPH04250233A (ja) 排水システム
CN219931336U (zh) 一种给排水管道一体化的建筑墙体
JPH08120721A (ja) 既設住宅の排水系改修方法
KR200173551Y1 (ko) 개량 배관 설비구조
CN109098396A (zh) 一种管道集成检修口
KR200204756Y1 (ko) 부단수 천공용 제수변
KR200286978Y1 (ko) 매립식 오픈 수전함
DE10207067A1 (de) Bausatz zur Erzeugung insbesondere einer Vorwand-Eckinstallation für ein WC oder dgl.
KR20240024539A (ko) 조립식 욕실 위생 및 배관 시스템
Closets et al. SECTION 22 40 00-PLUMBING FIXTURES
JPH0880358A (ja) 簡易放水口格納箱
BR102016005714B1 (pt) Tubulação hidráulica modular, de água e de esgoto, aplicada de forma sobreposta em banheiros e conectada à tubulação hidráulica mestra de uma edificação
JPS61270465A (ja) ユニツトバスル−ムの製造方法
JP3927648B2 (ja) 非常時用トイレ構造
KR200231256Y1 (ko) 조립식 수세식 간이 화장실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EXTG Extinguishment
T601 Decision on revocation of utility model registr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