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52679Y1 - 개인용 위치알림장치 - Google Patents

개인용 위치알림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52679Y1
KR200352679Y1 KR20-2004-0008469U KR20040008469U KR200352679Y1 KR 200352679 Y1 KR200352679 Y1 KR 200352679Y1 KR 20040008469 U KR20040008469 U KR 20040008469U KR 200352679 Y1 KR200352679 Y1 KR 200352679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using
unit
notification device
location
mobile communic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4-0008469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중석
Original Assignee
박중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중석 filed Critical 박중석
Priority to KR20-2004-0008469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52679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52679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52679Y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1/00Alarms responsive to a single specified undesired or abnormal condition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8B21/02Alarms for ensuring the safety of persons
    • G08B21/0202Child monitoring systems using a transmitter-receiver system carried by the parent and the child
    • G08B21/028Communication between parent and child units via remote transmission means, e.g. satellite network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38Transceivers, i.e. devices in which transmitter and receiver form a structural unit and in which at least one part is used for functions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 H04B1/3827Portable transceivers
    • H04B1/3833Hand-held transceivers
    • H04B1/3838Arrangements for reducing RF exposure to the user, e.g. by changing the shape of the transceiver while in use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ild & Adolescent Psyc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개인용 위치알림장치에 관한 것으로, 외측에 장식구를 탈착가능하게 수용하는 장식구 수용부(11)를 구비하고 목줄(15)이 연결된 하우징(10)과, 상기 하우징(10)의 내부에 구비되고 외부의 위치추적시스템에 무선신호를 송출하는 송출부(20)와, 상기 송출부(20)를 구동시키는 발신스위치부(30) 및, 상기 하우징(10)의 외측에 노출되게 구비되고 위치를 알리고자 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이동통신단말기의 고유번호를 입력하는 입력부, 상기 입력부로 입력되는 고유번호를 저장하는 메모리부, 상기 하우징(10)의 외측면에 고정되어 결합되고 전자파를 차단하는 전자파 차단부(40)로 구성되어, 복수의 특정인에게 자신의 위치를 적극적으로 신속하게 알릴 수 있고 전자파를 차단할 수 있으며 장식물을 함께 수용할 수 있도록 된 것이다.

Description

개인용 위치알림장치{ A device to inform a position of a individual }
본 고안은 개인용 위치알림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목에 걸어 착용하는 개인용 위치알림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통신기술의 발달로 이동통신단말기의 위치를 추적하고 전자지도와 GPS시스템을 통해 차량의 위치를 파악하며, 지상물의 위치를 알려 주는 GIS시스템과 3차원 지형도를 구축할 수 있게 되었다. 이러한 위치추적시스템은 긴급재난시 위치를 알리는데 사용되어 재난을 방지하고 미아를 찾는데 유용하게 사용되고 있으나, 무인 감시카메라의 위치를 알려줘 단속을 피해나가는 데에도 악용되고 있다.
종래에는 이동통신단말기 회사에서 기지국을 이용하여 이동통신단말기의 위치를 파악함으로써 사용자의 위치를 확인함으로써 사용자의 위치가 본인의 의사와는 무관하게 수동적으로 알려지게 되었다.
따라서, 이동통신단말기의 사용자가 자신의 위치를 적극적으로 알릴 수 없어 긴급재난시 즉각적으로 대처할 수 없게 되고, 그로 인해 보호자 등의 제3자가 긴급상황을 감지한 경우에만 뒤늦게 위치파악에 나서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목에 걸고 다니는 이동통신단말기나 MP3플레이어 등의 휴대용 전자기기에서 발생하는 전자파가 신체와 접촉하는 부분에서 직접적으로 체내로 전달되어 전자파로 인한 피해가 예견되고 있는 실정이다.
한편, 목걸이 형식의 휴대용 전자기기는 사진과 같은 장식물을 함께 장착할 수 없도록 되어 있었다.
이에 본 고안은 상기한 바의 제반 문제점들을 해소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복수의 특정인에게 자신의 위치를 적극적으로 신속하게 알릴 수 있고 전자파를 차단할 수 있으며 장식물을 함께 수용할 수 있는 개인용 위치알림장치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개인용 위치알림장치를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개인용 위치알림장치를 나타낸 개략적 측단면도,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개인용 위치알림장치의 작동상태를 나타낸 개념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 하우징 11 : 장식구 수용부
12 : 투명덮게 13 : 체인고리
15 : 목줄 20 : 송출부
30 : 발신스위치부 35 : 탄성스프링
40 : 전자파 차단부
상기한 바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은, 외측에 장식구를 탈착가능하게 수용하는 장식구 수용부를 구비한 하우징과, 외부의 위치추적시스템에 무선신호를 송출하는 송출부와, 상기 송출부를 구동시키는 발신스위치부 및, 상기 하우징의 외측에 노출되게 구비되고 이동통신단말기의 고유번호를 입력하는 입력부, 상기 입력부로 입력되는 고유번호를 저장하는 메모리부, 상기 하우징의 외측면에 고정되어 결합되고 전자파를 차단하는 전자파 차단부로 구성되어 있다.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본 고안에 따른 개인용 위치알림장치의 일실시예는, 외측에 장식구를 탈착가능하게 수용하는 장식구 수용부(11)를 구비하고 목줄(15)이 연결된 하우징(10)과, 상기 하우징(10)의 내부에 구비되고 외부의 위치추적시스템에 무선신호를 송출하는 송출부(20)와, 상기 송출부(20)를 구동시키는 발신스위치부(30) 및, 상기 하우징(10)의 외측에 노출되게 구비되고 위치를 알리고자 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이동통신단말기의 고유번호를 입력하는 입력부, 상기 입력부로 입력되는 고유번호를 저장하는 메모리부, 상기 하우징(10)의 외측면에 고정되어 결합되고 전자파를 차단하는 전자파 차단부(40)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 하우징(10)은 상단에 체인고리(13)가 형성되어 목줄(15)을 통과시켜 목에 걸 수 있게 되고, 전면 일측에 장식구 수용부(11)가 형성되며 그 장식구 수용부(11)를 덮는 투명덮게(12)를 구비하여 장식구 수용부(11)에 사진이나 그림같은 평면 장식물을 수용하게 된다.
따라서, 투명덮게(12)에 의해 장식구가 외부로 투시됨으로써 사진 등을 수용하는 목걸이로 사용할 수 있게 된다.
상기 하우징(10)은 배면이 평면으로 형성되어 신체에 밀착하게 되고, 그 배면에 전자파 차단부(40)가 구비되어 상기 송출부(20) 등의 전자부품으로부터 발생하는 전자파에 신체가 노출되는 것을 감쇄시키게 된다.
상기 전자파 차단부(40)는 패드 형상으로 형성되어 하우징(10)의 외측면에 부착되는 것도 가능하나 전자파 차단물질이 하우징(10)의 외측면에 도포되어 형성되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 입력부(도면미도시)는 상기 하우징(10)의 외측에 노출되게 형성되고, 간단한 숫자패드로 구성되어 사용자의 위치를 알리고자 하는 상대방의 전화번호나 고유식별번호를 입력할 수 있게 된다.
즉, 사용자는 자신의 위치를 알리고자 하는 상대방의 이동통신단말기 전화번호나 일반전화기의 전화번호를 입력하여 메모리부에 저장할 수도 있고, 상대방의 이메일로 위치정보를 알리고자 하는 경우에는 이메일에 해당하는 고유식별번호를사용자의 위치정보를 수신하는 기지국에 저장하고 기지국에서 위치정보에 대한 신호를 수신한 경우 설정된 문구의 이메일을 자동으로 발송하도록 처리함으로써 사용자는 고유식별번호를 메모리부에 저장하여 사용할 수 있게 된다.
여기서, 상기 입력부로 전화번호를 입력하지 않고 ROM 기록장치와 같이 별도의 기록장치를 통해 메모리부에 전화번호를 기입력하여 저장해 두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 송출부(20)는 RF신호발생기나 GPS단말기로 구성되며, 발신스위치부(30)에 의해 무선신호를 발생시키게 된다.
상기 발신스위치부(30)는 버튼식으로 구성되어 사용자가 수동으로 누름으로써 상기 송출부(20)를 구동시키게 되고, 탄성스프링(35)에 의해 탄성적으로 작동하여 원위치하며, 외측면에 전자파 차단부(40)가 부착되어 있다.
상기 RF신호발생기는 무선주파수 발생기와, 증폭기, 제어회로, 발진기, 안테나 등으로 구성되고, 상기 메모리부에 저장된 전화번호나 고유식별번호 데이타를 RF신호로 변환하여 외부의 위치추적시스템으로 송출하게 된다.
이 때 위치추적시스템은 RF신호를 수신하는 다수개의 기지국을 구비하고, 이동통신단말기의 위치를 추적하는 방법과 동일한 삼각측정법에 의해 RF신호가 발신된 위치를 추적하게 되며, 기지국은 수신된 RF신호에 해당하는 상대방의 전화번호나 이메일 주소로 발신자의 위치정보를 전송하게 된다.
상기 GPS단말기는 하우징(10)의 내부에 GPS안테나와 함께 내장되고, GPS위성으로 데이타를 전송하여 GPS수신기를 구비한 제3의 장소로 GPS단말기의 위치정보를알 수 있게 한다.
즉, 상기 GPS단말기는 GPS위성으로 데이타를 송신하는 기능만을 구비하고 GPS위성으로부터 데이타는 수신하지 않는 일방향 데이타전송장치로, GPS위성은 GPS단말기로부터 데이타를 수신하여 그 GPS단말기의 위치를 파악하고, GPS단말기의 위치정보를 GPS수신기를 구비한 제3의 장소로 전송하게 된다.
상기 GPS단말기 소지자가 지정한 상대방이 GPS수신기가 내장된 이동통신단말기를 사용하는 경우에는 GPS위성으로부터 GPS단말기 소지자의 위치정보를 이동통신단말기의 전자지도를 통해 확인할 수 있게 되고, 상대방이 일반 이동통신단말기를 사용하는 경우에는 GPS수신기를 구비한 기지국으로부터 소지자의 위치정보를 SMS나 음성메세지로 전송받게 된다.
여기서, 사용자(GPS단말기 소지자)가 상대방의 이동통신단말기의 전화번호를 상기 입력부를 통해 연락번호로 입력한 경우에 상대방의 이동통신단말기로 소지자의 위치정보를 전송하게 된다.
한편, 상기 입력부와 발신스위치부(30)는 상기 목줄(15)의 일측에 결합되고, 상기 하우징(10)의 내부로 유선을 통해 상기 송출부(20)와 메모리부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것도 가능하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개인용 위치알림장치에 의하면, 복수의 특정인에게 자신의 위치를 적극적으로 신속하게 알릴 수 있고 전자파를 차단할 수 있으며 장식물을 함께 수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5)

  1. 외측에 장식구를 탈착가능하게 수용하는 장식구 수용부(11)를 구비한 하우징(10)과;
    상기 하우징(10)의 내부에 구비되고, 외부의 위치추적시스템에 무선신호를 송출하는 송출부(20)와;
    상기 송출부(20)를 구동시키는 발신스위치부(30) 및;
    위치를 알리고자 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이동통신단말기의 고유번호를 저장하는 메모리부;를 포함하는 개인용 위치알림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10)의 외측면에 고정되어 결합되고, 전자파를 차단하는 전자파 차단부(40);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인용 위치알림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10)의 외측에 노출되게 구비되고, 이동통신단말기의 고유번호를 입력하는 입력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인용 위치알림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송출부(20)는 RF신호발생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인용 위치알림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송출부(20)는 GPS단말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인용 위치알림장치.
KR20-2004-0008469U 2004-03-26 2004-03-26 개인용 위치알림장치 KR200352679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4-0008469U KR200352679Y1 (ko) 2004-03-26 2004-03-26 개인용 위치알림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4-0008469U KR200352679Y1 (ko) 2004-03-26 2004-03-26 개인용 위치알림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52679Y1 true KR200352679Y1 (ko) 2004-06-05

Family

ID=4934690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4-0008469U KR200352679Y1 (ko) 2004-03-26 2004-03-26 개인용 위치알림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52679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14523A (ko) * 2019-07-30 2021-02-09 조상은 키링 타입의 gps기능을 구비한 휴대용 재난대응 키트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14523A (ko) * 2019-07-30 2021-02-09 조상은 키링 타입의 gps기능을 구비한 휴대용 재난대응 키트
KR102363124B1 (ko) * 2019-07-30 2022-02-14 조상은 키링 타입의 gps기능을 구비한 휴대용 재난대응 키트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796338A (en) System for preventing loss of cellular phone or the like
ES2274393T3 (es) Metodo de llamada de emergencia.
ATE407417T1 (de) Tragbare kommunikationsvorrichtung
US20080214142A1 (en) Emergency Alerting System
EP0816862A3 (en) Distress message signal sending device
KR20060019715A (ko) 적외선 카메라를 구비하는 이동통신단말기 및 그를 이용한위험 알람 방법
US20080261556A1 (en) Mobile Phone Handset
US9773404B2 (en) Module mobile emergency notification system
CN1312954C (zh) 移动通信终端
US20080020782A1 (en) System and method for locating misplaced items
KR101117106B1 (ko) 원격으로 활성화가능한 로케이터 시스템 및 방법
KR200352679Y1 (ko) 개인용 위치알림장치
JP2006352697A (ja) 携帯端末機器
US20120258728A1 (en) Cell Phone Interactive Device
JP2005341600A (ja) ナビゲーション装置
US20020065889A1 (en) Portable electronic mail messaging device
KR20000054390A (ko) 원격 착신 알림 기능을 갖는 이동통신단말기
EP1296500A1 (en) Mobile emergency call system
GB2367210A (en) Watch with built-in call annunciation and phone locating features
BE1015506A6 (fr) Dispositif portatif d'appels de secours.
JP4767135B2 (ja) 通信装置及び通信システム制御装置
JP3545354B2 (ja) プライバシー保護方法とシステム及びその携帯通信機器
JP2003087864A (ja) 携帯端末通信用呼び出し装置
JP4518330B2 (ja) 携帯通信端末
KR200315164Y1 (ko) 이동통신단말기의 착신 알림 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50530

Year of fee payment: 3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