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014523A - 키링 타입의 gps기능을 구비한 휴대용 재난대응 키트 - Google Patents

키링 타입의 gps기능을 구비한 휴대용 재난대응 키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014523A
KR20210014523A KR1020190092715A KR20190092715A KR20210014523A KR 20210014523 A KR20210014523 A KR 20210014523A KR 1020190092715 A KR1020190092715 A KR 1020190092715A KR 20190092715 A KR20190092715 A KR 20190092715A KR 20210014523 A KR20210014523 A KR 2021001452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xtension piece
user
key ring
gps function
fan shap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9271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363124B1 (ko
Inventor
조상은
Original Assignee
조상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조상은 filed Critical 조상은
Priority to KR102019009271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63124B1/ko
Publication of KR2021001452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1452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6312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6312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BDEVICES, APPARATUS OR METHODS FOR LIFE-SAVING
    • A62B99/00Subject matter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1/00Nestable, stackable or joinable containers; Containers of variable capacity
    • B65D21/02Containers specially shaped, or provided with fittings or attachments, to facilitate nesting, stacking, or joining together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1/00Alarms responsive to a single specified undesired or abnormal condition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8B21/02Alarms for ensuring the safety of persons
    • G08B21/0202Child monitoring systems using a transmitter-receiver system carried by the parent and the child
    • G08B21/0269System arrangements wherein the object is to detect the exact location of child or item using a navigation satellite system, e.g. GP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1/00Alarms responsive to a single specified undesired or abnormal condition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8B21/02Alarms for ensuring the safety of persons
    • G08B21/10Alarms for ensuring the safety of persons responsive to calamitous events, e.g. tornados or earthquake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5/00Visible signalling systems, e.g. personal calling systems, remote indication of seats occupied
    • G08B5/22Visible signalling systems, e.g. personal calling systems, remote indication of seats occupied using electric transmission; using electromagnetic transmission
    • G08B5/36Visible signalling systems, e.g. personal calling systems, remote indication of seats occupied using electric transmission; using electromagnetic transmission using visible light sour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203/00Decoration means, markings, information elements, contents indicators
    • B65D2203/12Audible, olfactory or visual signalling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583/00Containers or packages with special means for dispensing contents
    • B65D2583/04For dispensing annular, disc-shaped or spherical or like small articles or tablets
    • B65D2583/0404Indications, e.g. directions for use
    • B65D2583/0413Tactile indication, e.g. Brail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583/00Containers or packages with special means for dispensing contents
    • B65D2583/04For dispensing annular, disc-shaped or spherical or like small articles or tablets
    • B65D2583/0404Indications, e.g. directions for use
    • B65D2583/0427Illuminating mean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ild & Adolescent Psych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Radar, Positioning & Navigation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olog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upports Or Holders For Household Use (AREA)
  • Alarm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걸고리를 구비하고, 내부에 내장되거나 사용자의 휴대용 단말에 내장된 GPS기능을 이용하여 사용자의 현재 위치 파악이 가능하도록 하는 제1 본체; 제1 본체와 탈착 가능하게 맞물리며, LED 조명과 호루라기와 안전커터와 나침반과 응급봉투와, 필기구가 부착된 형광스틱과, 낚싯줄 또는 QR코드 인식표를 포함한 재난대비용품이 수납되는 제2 본체; 및 제2 본체와 탈착 가능하게 맞물리며, 식염수나 소독약이나 농축포도당액이나 쿨링젤 또는 마스크필터를 포함한 응급의약품이 수납되는 제3 본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여, 재난상황에 대응하여 사용자의 현재 위치를 실시간으로 파악할 수 있도록 하여 생존율과 구조가능성을 높일 수 있도록 한 키링 타입의 GPS기능을 구비한 휴대용 재난대응 키트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키링 타입의 GPS기능을 구비한 휴대용 재난대응 키트{PORTABLE KITS FOR DISASTER RESPONSE WITH GPS FUNCTION OF KEY RING TYPE}
본 발명은 키링 타입의 GPS기능을 구비한 휴대용 재난대응 키트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재난상황에 대응하여 사용자의 현재 위치를 실시간으로 파악할 수 있도록 하여 생존율과 구조가능성을 높일 수 있도록 한 키링 타입의 GPS기능을 구비한 휴대용 재난대응 키트에 관한 것이다.
지구온난화로 인한 이상기후는 대기온도의 상승과 함께 태풍, 지진, 강풍, 강설 등 자연현상을 유발하며, SOC 시설물의 안전에 위협을 끼치고 있다.
이러한 자연재해와 함께 사회재난의 발생 횟수 및 규모 또한 증가하는 추세이며, 이에 따라 직접 피해뿐만 아니라, 간접 피해로 인한 경제적 피해 규모 급증하고 있으며, 이를 복구하기 위한 국가나 민간의 경제적 비용도 급증하고 있다.
재난의 발생유형이 매우 복잡해졌을 뿐만 아니라 기후변화 등 예측 불가능한 불확실성 요소들이 증가하고 있어 정보통신기술들을 사용해 종합적으로 대응하는 체계를 구축할 필요가 있으며, 예방중심의 재난대응 체계구축이 절실히 요구되고 있다.
인명피해 가능성이 매우 높은 고층빌딩 화재, 지하철 화재, 쇼핑센터, 지하상가 등의 화재 및 가스폭발 사고가 발생하는 재난 지역의 공공 시설에 대하여 인명피해를 최소화하는 피난 유도 및 재난대응 방안 필요하다.
사회재난 사고는 다양한 형태로 발생하며, 사망자가 지속 증가하고 있으나 대책 미비로 막대한 사회적 손실비용이 발생하고 있는 실정이다.
사고 위험지역은 안전요원이 상주하기도 하지만 사람을 일일이 감시하기 어려울 뿐만 아니라, 하절기에 홍수와 집중호우시에 강, 계곡, 다슬기 채취, 캠핑장 등에서 수시로 일어나는 입수 금지 지역 물놀이 사고, 익사, 수난 사고, 도로교통, 화재, 유해 가스 폭발, 해양 사고, 추락 등 주로 순찰에 의존하여 효과적인 대처가 어려운 상황이며, 특히 사람이 적은 계곡, 캠핑장 등은 사고가 나도 즉각적인 인지가 어려우며, 사고예방 전파가 적절히 이뤄지지 못하고 있다.
상기와 같은 관점에서 발명된 것으로, 등록특허 제10-0923783호의 "재난구호용 키트"(이하 선행기술)와 같은 것을 들 수 있다.
선행기술은 방수시트 내부에 부유부재를 내장한 판체부와, 상기 판체부의 가장자리에 방수지퍼를 결합하여 매트상태의 판체부를 정방형의 박스형상으로 전환시키는 조립부와, 상기 조립부에서 조립된 박스를 어깨벨트와 허리벨트를 결합하여 어깨에 질 수 있도록 하는 멜빵부로 구성한 것이다.
그러나, 현대인의 미니멀리즘 추구 경향과 맞물려 선행기술은 휴대하기에 부피가 크고 무거워 불편하며, 무엇보다도 위급 상황이나 재난 상황에 맞닥뜨렸을 때 사용자의 현재 위치를 관제센터나 보호기관 또는 치안 소방 기관 또는 관련 업체에서 파악할 수 있는 수단 자체가 결여되어 있으므로, 해당 사용자의 신속한 구조 및 상황 대처가 이루어지지 못할 수도 있는 것이다.
등록특허 제10-0923783호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하여 발명된 것으로, 재난상황에 대응하여 사용자의 현재 위치를 실시간으로 파악할 수 있도록 하여 생존율과 구조가능성을 높일 수 있도록 하는 키링 타입의 GPS기능을 구비한 휴대용 재난대응 키트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걸고리를 구비하고, 내부에 내장되거나 사용자의 휴대용 단말에 내장된 GPS기능을 이용하여 사용자의 현재 위치 파악이 가능하도록 하는 제1 본체; 상기 제1 본체와 탈착 가능하게 맞물리며, LED 조명과 호루라기와 안전커터와 나침반과 응급봉투와, 필기구가 부착된 형광스틱과, 낚싯줄 또는 QR코드 인식표를 포함한 재난대비용품이 수납되는 제2 본체; 및 상기 제2 본체와 탈착 가능하게 맞물리며, 식염수나 소독약이나 농축포도당액이나 쿨링젤 또는 마스크필터를 포함한 응급의약품이 수납되는 제3 본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키링 타입의 GPS기능을 구비한 휴대용 재난대응 키트를 제공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1 본체에 상기 제2 본체 및 상기 제3 본체가 결합되어 구, 타원구, 다면체, 원기둥, 또는 다각기둥 형상의 키링 액세서리를 형성하고, 상기 키링 액세서리의 표면에는 야간 또는 악천후시 시각적으로 인지 가능한 야광물질이 도포되거나, 상기 야광물질이 도포된 스티커가 부착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제1 본체에 내장되는 것으로, 상기 휴대용 단말 또는 상기 사용자가 회원 가입한 국가기관 또는 관련업체의 애플리케이션과 네트워크를 통하여 통신 가능하도록 하는 GPS 모듈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2 본체는, 상기 제2 본체에 내장되는 것으로, 중심부에 상기 나침반이 배치되고, 상기 나침반의 가장자리로부터 부채꼴 형상으로 연장되며, 상기 부채꼴 형상의 원호 가장자리 내측에 상기 안전 커터가 부착되는 제1 연장편과, 상기 제1 연장편에 대하여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것으로, 상기 나침반의 하면에 축 지지되고 상기 제1 연장편과 동일한 부채꼴 형상으로 연장되며, 공황장애 대응용의 상기 응급봉투가 수납되는 제2 연장편과, 상기 제2 연장편에 대하여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것으로, 상기 제2 연장편의 하면에 축 지지되고 상기 제2 연장편과 동일한 부채꼴 형상으로 연장되며, 호루라기가 내장되거나, 부채꼴의 원호 부분에 형성된 주둥이를 입에 물고 불면 호루라기가 되도록 하는 제3 연장편과, 상기 제3 연장편에 대하여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것으로, 상기 제3 연장편의 하면에 축 지지되고 상기 제3 연장편과 동일한 부채꼴 형상으로 연장되며, 일측에 구비된 스위치를 조작함으로써 점등 또는 소등되는 상기 LED 조명이 구비된 제4 연장편을 포함하며, 상기 제1 연장편과 상기 제2 연장편과 상기 제3 연장편 및 상기 제4 연장편의 상면에는 상기 사용자가 시각적으로 또는 촉각적으로 인지 가능하도록 로고나 문자 또는 점자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아울러, 상기 제3 본체는, 상기 제3 본체의 내부 공간을 복수로 구획하는 격벽에 의하여 상기 제3 본체의 분할된 상면을 각각 덮도록 회동 가능하게 장착되는 복수의 커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구성의 본 발명에 따르면, 다음과 같은 효과를 도모할 수 있다.
우선, 본 발명은 걸고리를 구비하고, 내부에 내장되거나 사용자의 휴대용 단말에 내장된 GPS기능을 이용하여 사용자의 현재 위치 파악이 가능하도록 하는 제1 본체; 제1 본체와 탈착 가능하게 맞물리며, LED 조명과 호루라기와 안전커터와 나침반과 응급봉투와, 필기구가 부착된 형광스틱과, 낚싯줄 또는 QR코드 인식표를 포함한 재난대비용품이 수납되는 제2 본체; 및 제2 본체와 탈착 가능하게 맞물리며, 식염수나 소독약이나 농축포도당액이나 쿨링젤 또는 마스크필터를 포함한 응급의약품이 수납되는 제3 본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여, 재난상황에 대응하여 사용자의 현재 위치를 실시간으로 파악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생존율과 구조가능성을 높일 수 있게 될 것이다.
특히, 본 발명은 선행기술과 기존의 기술에 비하여 휴대성을 높이고 휴대용 단말기의 부수적인 액세서리로서 키링 형태로 제공할 수 있으므로, 사용자의 소장욕구를 고취시킬 수 있게 될 것이다.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르면, 제1 본체에 제2 본체 및 제3 본체가 결합되어 구, 타원구, 다면체, 원기둥, 또는 다각기둥 형상의 키링 액세서리를 형성하고, 키링 액세서리의 표면에는 야간 또는 악천후시 시각적으로 인지 가능한 야광물질이 도포되거나, 야광물질이 도포된 스티커가 부착되도록 함으로써, 시각적 인지성을 높여 생존율과 구조가능성을 대폭적으로 향상시킬 수 있게 될 것이다.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르면, 제1 본체에 내장되는 것으로, 휴대용 단말 또는 사용자가 회원 가입한 국가기관 또는 관련업체의 애플리케이션과 네트워크를 통하여 통신 가능하도록 하는 GPS 모듈을 더 구비함으로써, 유아나 여성, 노인 또는 장애인이나 환자 등 피보호자의 위치 파악이 필요한 경우 선택적으로 GPS 기능을 이용하되 보호자가 해당 기기를 등록하는 방식으로 사용할 수 있으므로, 사용자로서 피보호자의 현재 위치를 실시간으로 파악할 수 있다는 특장점을 지닌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제2 본체는, 제2 본체에 내장되는 것으로, 중심부에 나침반이 배치되고, 나침반의 가장자리로부터 부채꼴 형상으로 연장되며, 부채꼴 형상의 원호 가장자리 내측에 안전 커터가 부착되는 제1 연장편과, 제1 연장편에 대하여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것으로, 나침반의 하면에 축 지지되고 제1 연장편과 동일한 부채꼴 형상으로 연장되며, 공황장애 대응용의 응급봉투가 수납되는 제2 연장편과, 제2 연장편에 대하여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것으로, 제2 연장편의 하면에 축 지지되고 제2 연장편과 동일한 부채꼴 형상으로 연장되며, 호루라기가 내장되거나, 부채꼴의 원호 부분에 형성된 주둥이를 입에 물고 불면 호루라기가 되도록 하는 제3 연장편과, 제3 연장편에 대하여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것으로, 제3 연장편의 하면에 축 지지되고 제3 연장편과 동일한 부채꼴 형상으로 연장되며, 일측에 구비된 스위치를 조작함으로써 점등 또는 소등되는 LED 조명이 구비된 제4 연장편을 포함하며, 제1 연장편과 제2 연장편과 제3 연장편 및 제4 연장편의 상면에는 사용자가 시각적으로 또는 촉각적으로 인지 가능하도록 로고나 문자 또는 점자가 형성되도록 함으로써, 다양한 재난대비용품을 효과적으로 수납할 수 있게 되므로 공간 활용도를 대폭적으로 향상시킬 수 있음은 물론, 장치 전체의 경량화 및 컴팩트화 구현 또한 가능하게 될 것이다.
아울러, 본 발명에 따른 제3 본체는, 제3 본체의 내부 공간을 복수로 구획하는 격벽에 의하여 제3 본체의 분할된 상면을 각각 덮도록 회동 가능하게 장착되는 복수의 커버를 더 구비함으로써, 다양한 응급의약품을 일목요연하게 수납 정리할 수 있게 되므로 사용코자 하는 응급의약품의 즉각적인 사용에 따른 위급 상황시 신속한 초동대처가 가능한 효과를 지니게 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키링 타입의 GPS기능을 구비한 휴대용 재난대응 키트의 전체적인 외관 및 결합 구조를 도시한 측면 개념도
도 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키링 타입의 GPS기능을 구비한 휴대용 재난대응 키트의 전체적인 구조를 도시한 개념도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는 실시예를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본 실시예는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
그리고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따라서, 몇몇 실시예에서, 잘 알려진 구성 요소, 잘 알려진 동작 및 잘 알려진 기술들은 본 발명이 모호하게 해석되는 것을 피하기 위하여 구체적으로 설명되지 않는다.
또한,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하고,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언급된) 용어들은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하며, '포함(또는, 구비)한다'로 언급된 구성 요소 및 동작은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요소 및 동작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다.
다른 정의가 없다면,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기술 및 과학적 용어를 포함)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공통적으로 이해될 수 있는 의미로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
또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용어들은 정의되어 있지 않은 한 이상적으로 또는 과도하게 해석되지 않는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고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한다.
참고로,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키링 타입의 GPS기능을 구비한 휴대용 재난대응 키트의 전체적인 외관 및 결합 구조를 도시한 측면 개념도이며, 도 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키링 타입의 GPS기능을 구비한 휴대용 재난대응 키트의 전체적인 구조를 도시한 개념도이다.
우선, 제1 본체(100)는 걸고리(101)를 구비하고, 내부에 내장되거나 사용자의 휴대용 단말(400)에 내장된 GPS기능을 이용하여 사용자의 현재 위치 파악이 가능하도록 하는 것이다.
그리고, 제2 본체(200)는 제1 본체(100)와 탈착 가능하게 맞물리며, LED 조명(이하 미도시)과 호루라기와 안전 커터(202)와 나침반(201)과 응급봉투(이하 미도시)와, 필기구가 부착된 형광스틱(이하 미도시)과, 낚싯줄(이하 미도시) 또는 QR코드 인식표(이하 미도시)를 포함한 재난대비용품이 수납되는 것이다.
또한, 제3 본체(300)는 제2 본체(200)와 탈착 가능하게 맞물리며, 식염수나 소독약이나 농축포도당액이나 쿨링젤 또는 마스크필터를 포함한 응급의약품(이하 미도시)이 수납되는 것이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실시예의 적용이 가능하며, 다음과 같은 다양한 실시예의 적용 또한 가능함은 물론이다.
우선, 제1 본체(100)에 제2 본체(200) 및 제3 본체(300)가 결합되어 도 1 및 도 2와 같은 구 형상은 물론, 타원구, 다면체, 원기둥, 또는 다각기둥 형상의 키링 액세서리를 형성하게 될 것이다.
이러한 키링 액세서리의 표면에는 야간 또는 악천후시 시각적으로 인지 가능한 야광물질이 도포되거나, 야광물질이 도포된 스티커가 부착되도록 할 수 있다.
한편, 제1 본체(100)에는 GPS 모듈(110)이 더 구비되어 휴대용 단말(400) 또는 사용자가 회원 가입한 국가기관 또는 관련업체의 애플리케이션과 네트워크를 통하여 통신할 수 있을 것이다.
아울러, 제1 본체(100)는 특별히 도시하지 않았지만, 실리콘이나 합성수지 등과 같이 신축성이 있으면서 내구성도 지닌 착용 스트랩(strap)을 더 구비하되, 전술한 착용 스트랩 안에 GPS 모듈(110)을 내장하여 사용자의 팔목이나 허리에 매달아 다니면서 사용자의 현재 위치를 파악할 수 있도록 하는 응용 및 변형 설계 또한 가능함은 물론이다.
한편, 제2 본체(200)는, 도 2와 같이 크게 제1, 2, 3, 4 연장편(210, 220, 230, 240)을 포함하는 실시예를 적용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우선, 제1 연장편(210)은 제2 본체(200)에 내장되는 것으로, 중심부에 나침반(201)이 배치되고, 나침반(201)의 가장자리로부터 부채꼴 형상으로 연장되며, 부채꼴 형상의 원호 가장자리 내측에 안전 커터(202)가 부착되는 것이다.
나침반(201)은 사용자가 현재 위치로부터 가고자 하는 목적지의 방향을 파악하기 위하여 필요하며, 안전 커터(202)는 안전봉투나 낚싯줄 등의 물건을 부상없이 안전하게 컷팅하거나 분리하고자 할 때 사용할 수 있을 것이다.
안전 커터(202)는 해당 날이 외부로 노출되어 있지 않으므로, 커팅 작업시 사용자가 손가락을 베거나 하는 등의 부상 위험으로부터 보호받을 수 있다는 장점을 지닌다.
그리고, 제2 연장편(220)은 제1 연장편(210)에 대하여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것으로, 나침반(201)의 하면에 축 지지되고 제1 연장편(210)과 동일한 부채꼴 형상으로 연장되며, 공황장애 대응용의 응급봉투가 수납되는 공간이 형성된 것이다.
사용자가 공황장애를 가진 환자이거나 위기 상황에 직면하여 호흡 곤란 상황에 처했을 경우 과호흡에 따른 날숨시 이산화탄소의 과다 배출 현상에 직면하게 되므로 더욱 고통스러워 하고 불안감을 느끼게 되는데, 이때 제2 연장편(220)으로부터 응급봉투를 꺼내어 입을 막고 숨을 쉬게 되면, 사용자 자신이 내뱉은 이산화탄소를 다시 들이마심에 따라 호흡을 안정시키면서 심리적 안정감 또한 도모할 수 있게 되는 원리라 하겠다.
또한, 제3 연장편(230)은 제2 연장편(220)에 대하여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것으로, 제2 연장편(220)의 하면에 축 지지되고 제2 연장편(220)과 동일한 부채꼴 형상으로 연장되며, 호루라기가 내장되거나, 부채꼴의 원호 부분에 형성된 주둥이를 입에 물고 불면 호루라기가 되도록 하는 것이다.
호루라기는 노약자 또는 여성이 위급한 상황에 직면하였을 때 주위에 도움을 요청하거나 위험을 유발한 상대방을 일시적으로 물러나게 하는 임기응변을 하기 위하여 필요한 것이다.
아울러, 제4 연장편(240)은 제3 연장편(230)에 대하여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것으로, 제3 연장편(230)의 하면에 축 지지되고 제3 연장편(230)과 동일한 부채꼴 형상으로 연장되며, 일측에 구비된 스위치(이하 미도시)를 조작함으로써 점등 또는 소등되는 LED 조명이 구비된 것이다.
여기서, 제1 연장편(210)과 제2 연장편(220)과 제3 연장편(230) 및 제4 연장편(240)의 상면에는 사용자가 시각적으로 또는 촉각적으로 인지 가능하도록 로고나 문자 또는 점자가 형성되게 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이때, 제1 연장편(210)에 대하여 제2 내지 제4 연장편(220, 230, 240)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회동하여 절첩됨으로써 도 2의 우측 중간에 도시된 바와 같이 부채꼴 형상인 제1 연장편(210)의 하부에 겹쳐지는 형태로 부피를 최소화하여 제2 본체(200)에 수납될 수도 있을 것이다.
그리고, 전술한 형광스틱과 낚싯줄 또는 전술한 안전 커터(202)는 재난상황에 사용자가 직면하였으 때 구조 및 탈출을 위하여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형광스틱에 부착된 볼펜과 같은 필기구는 사용자가 앓고 있는 질병이나 알레르기 또는 현재 복용중인 약을 QR코드 인식표에 기재하고 보호자의 연락처도 기재함으로써, 구조시 신속한 대처를 할 수 있도록 함은 물론, 사용자의 신원 파악에 도움을 줄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필요할 것이다.
아울러, QR코드 인식표는 사용자가 인지능력이 부족한 장애를 가지고 있는 경우에, 보호자가 미리 사용자의 신원 및 특이사항 등을 입력한 정보를 구조자나 발견자가 QR코드 확인을 통하여 파악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필요할 것이다.
한편, 제3 본체(300)는, 도 2의 A 시점에서 바라본 도 2의 하부측 도면과 같이 제3 본체(300)의 내부 공간을 복수로 구획하는 격벽(이하 미도시)에 의하여 제3 본체(300)의 분할된 상면을 각각 덮도록 회동 가능하게 장착되는 복수의 커버(310, 320, 330, 340)를 더 구비할 수 있다.
이렇게 복수의 격벽으로 구획된 공간을 각각 덮는 복수의 커버(310, 320, 330, 340)에 의하여 각각의 구획된 공간에 식염수나 소독약이나 농축포도당액이나 쿨링젤 또는 마스크필터 등이 즉각 사용 가능하도록 수납될 수 있을 것이다.
여기서, 식염수나 소독약이나 농축포도당액은 플렉시블하고 투명 또는 반투명 소재의 튜브 형태 용기에 수용되어지되, 튜브 형태 용기의 네크부를 사용자가 손으로 비틀어 헤드부를 분리하여 내용물을 사용한 후 잔여물은 재사용이 가능하도록, 비틀어 분리한 헤드부를 다시 네크부에 밀착 고정시키는 구조로 제공될 수도 있을 것이다.
식염수는 미세먼지나 재난발생시 이물질을 눈에서 제거하기 위하여 세척 용도로 활용할 수 있을 것이며, 농축포도당은 저혈당쇼크시 대응용으로 사용할 수 있을 것이고, 쿨링젤은 사용자가 화상을 입었을 경우 해당 부위의 악화 및 작열감을 저하시키기 위하여 사용할 수 있을 것이며, 소독약은 부상을 입은 부위의 상처 소독 및 치료 준비에 사용할 수 있을 것이다.
이때, 쿨링젤과 같은 내용물은 사용자의 피부 면적에 따라 앞서 설명한 식염수나 소독약이나 농축포도당액보다 사용량이 많고 1회에 전량을 소비하는 경우가 많으므로, PP나 PE 필름으로 튜브 형상을 형성한 용기의 네크부를 뜯어서 내용물을 짜내는 방식으로 사용하는 것도 가능함은 물론이다.
따라서, 사용자가 걸고리(101)를 사용자의 휴대용 단말(400)에 걸거나, 전술한 착용 스트랩을 팔목이나 허리띠에 묶어서 다니기 전에, 보호자 또는 사용자 본인은 GPS 코드를 입력하여 관계기관에 사용자의 정보를 파악할 수 있도록 사전에 준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GPS 모듈(110) 또는 사용자의 휴대용 단말(400)에서 기본적으로 제공되는 GPS 기능을 이용하여 해당 사용자의 현재 위치 파악을 실시간으로 가능케하는 애플리케이션에 사용자의 GPS 코드가 입력되었다면, 보호자나 사용자 본인이 피보호자의 위치를 파악하고 GPS를 소지한 피보호자 또는 사용자 본인의 위치와 가장 가까운 응급센터나 경찰서의 연락처를 확인하여 신변보호 및 구조 요청을 하는 것도 가능하게 될 것이다.
또한, 본인이 직접 GPS 모듈(110)을 사용할 경우 등록한 GPS 코드에 의하여 휴대용 단말기(400) 또는 제1, 2, 3 본체(100, 200, 300)의 일측에 구비된 스피커나 디스플레이 패널(이하 미도시)을 통하여 이동시마다 실시간 이동중인 해당 지역의 미세먼지 현황이나 재난상황 발생시 재난대비용품 및 응급의약품 사용 정보를 알려주도록 하는 것도 가능하게 될 것이다.
또한, 본인이 직접 GPS 모듈(110)을 사용할 경우 사용자 본인으로부터 가장 가까운 대피소나 피난처 등의 정보를 알려주도록 하는 것도 가능함은 물론이다.
아울러, 전술한 바와 같이 키링 액세서리의 표면에 도포된 야광물질 또는 야광물질이 도포된 스티거로 제1, 2, 3 본체(100, 200, 300)의 표면을 데코레이션함으로써 정전이나 조난상황시 구조자로부터 시각적 인지성을 높여 구조 확률 높일 수 있음은 물론, 사용자의 현재 위치 부근의 구조물에 해당 스티커를 붙임으로써 역시 구조 및 발견 확률을 높일 수 있을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키링 타입의 GPS기능을 구비한 휴대용 재난대응 키트의 작용 및 효과에 대하여 다음과 같이 살펴보고자 한다.
우선, 본 발명은 걸고리(101)를 구비하고, 내부에 내장되거나 사용자의 휴대용 단말(400)에 내장된 GPS기능을 이용하여 사용자의 현재 위치 파악이 가능하도록 하는 제1 본체(100); 제1 본체(100)와 탈착 가능하게 맞물리며, LED 조명과 호루라기와 안전 커터(202)와 나침반(201)과 응급봉투와, 필기구가 부착된 형광스틱과, 낚싯줄 또는 QR코드 인식표를 포함한 재난대비용품이 수납되는 제2 본체(200); 및 제2 본체(200)와 탈착 가능하게 맞물리며, 식염수나 소독약이나 농축포도당액이나 쿨링젤 또는 마스크필터를 포함한 응급의약품이 수납되는 제3 본체(30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여, 재난상황에 대응하여 사용자의 현재 위치를 실시간으로 파악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생존율과 구조가능성을 높일 수 있게 될 것이다.
특히, 본 발명은 선행기술과 기존의 기술에 비하여 휴대성을 높이고 휴대용 단말기의 부수적인 액세서리로서 키링 형태로 제공할 수 있으므로, 사용자의 소장욕구를 고취시킬 수 있게 될 것이다.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르면, 제1 본체(100)에 제2 본체(200) 및 제3 본체(300)가 결합되어 구, 타원구, 다면체, 원기둥, 또는 다각기둥 형상의 키링 액세서리를 형성하고, 키링 액세서리의 표면에는 야간 또는 악천후시 시각적으로 인지 가능한 야광물질이 도포되거나, 야광물질이 도포된 스티커가 부착되도록 함으로써, 시각적 인지성을 높여 생존율과 구조가능성을 대폭적으로 향상시킬 수 있게 될 것이다.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르면, 제1 본체(100)에 내장되는 것으로, 휴대용 단말(400) 또는 사용자가 회원 가입한 국가기관 또는 관련업체의 애플리케이션과 네트워크를 통하여 통신 가능하도록 하는 GPS 모듈(110)을 더 구비함으로써, 유아나 여성, 노인 또는 장애인이나 환자 등 피보호자의 위치 파악이 필요한 경우 선택적으로 GPS 기능을 이용하되 보호자가 해당 기기를 등록하는 방식으로 사용할 수 있으므로, 사용자로서 피보호자의 현재 위치를 실시간으로 파악할 수 있다는 특장점을 지닌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제2 본체(200)는, 제2 본체(200)에 내장되는 것으로, 중심부에 나침반(201)이 배치되고, 나침반(201)의 가장자리로부터 부채꼴 형상으로 연장되며, 부채꼴 형상의 원호 가장자리 내측에 안전 커터(202)가 부착되는 제1 연장편(210)과, 제1 연장편(210)에 대하여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것으로, 나침반(201)의 하면에 축 지지되고 제1 연장편(210)과 동일한 부채꼴 형상으로 연장되며, 공황장애 대응용의 응급봉투가 수납되는 제2 연장편(220)과, 제2 연장편(220)에 대하여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것으로, 제2 연장편(220)의 하면에 축 지지되고 제2 연장편(220)과 동일한 부채꼴 형상으로 연장되며, 호루라기가 내장되거나, 부채꼴의 원호 부분에 형성된 주둥이를 입에 물고 불면 호루라기가 되도록 하는 제3 연장편(230)과, 제3 연장편(230)에 대하여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것으로, 제3 연장편(230)의 하면에 축 지지되고 제3 연장편(230)과 동일한 부채꼴 형상으로 연장되며, 일측에 구비된 스위치를 조작함으로써 점등 또는 소등되는 LED 조명이 구비된 제4 연장편(240)을 포함하며, 제1 연장편(210)과 제2 연장편(220)과 제3 연장편(230) 및 제4 연장편(240)의 상면에는 사용자가 시각적으로 또는 촉각적으로 인지 가능하도록 로고나 문자 또는 점자가 형성되도록 함으로써, 다양한 재난대비용품을 효과적으로 수납할 수 있게 되므로 공간 활용도를 대폭적으로 향상시킬 수 있음은 물론, 장치 전체의 경량화 및 컴팩트화 구현 또한 가능하게 될 것이다.
아울러, 본 발명에 따른 제3 본체(300)는, 제3 본체(300)의 내부 공간을 복수로 구획하는 격벽에 의하여 제3 본체(300)의 분할된 상면을 각각 덮도록 회동 가능하게 장착되는 복수의 커버(310, 320, 330, 340)를 더 구비함으로써, 다양한 응급의약품을 일목요연하게 수납 정리할 수 있게 되므로 사용코자 하는 응급의약품의 즉각적인 사용에 따른 위급 상황시 신속한 초동대처가 가능한 효과를 지니게 된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재난상황에 대응하여 사용자의 현재 위치를 실시간으로 파악할 수 있도록 하여 생존율과 구조가능성을 높일 수 있도록 하는 키링 타입의 GPS기능을 구비한 휴대용 재난대응 키트를 제공하는 것을 기본적인 기술적 사상으로 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의 기본적인 기술적 사상의 범주 내에서 당해 업계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는 다른 많은 변형 및 응용 또한 가능함은 물론이다.
100...제1 본체
101...걸고리
110...GPS 모듈
200...제2 본체
201...나침반
202...안전 커터
210...제1 연장편
220...제2 연장편
230...제3 연장편
240...제4 연장편
300...제3 본체
310, 320, 330, 340...커버
400...휴대용 단말

Claims (5)

  1. 걸고리를 구비하고, 내부에 내장되거나 사용자의 휴대용 단말에 내장된 GPS기능을 이용하여 사용자의 현재 위치 파악이 가능하도록 하는 제1 본체;
    상기 제1 본체와 탈착 가능하게 맞물리며, LED 조명과 호루라기와 안전커터와 나침반과 응급봉투와, 필기구가 부착된 형광스틱과, 낚싯줄 또는 QR코드 인식표를 포함한 재난대비용품이 수납되는 제2 본체; 및
    상기 제2 본체와 탈착 가능하게 맞물리며, 식염수나 소독약이나 농축포도당액이나 쿨링젤 또는 마스크필터를 포함한 응급의약품이 수납되는 제3 본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키링 타입의 GPS기능을 구비한 휴대용 재난대응 키트.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1 본체에 상기 제2 본체 및 상기 제3 본체가 결합되어 구, 타원구, 다면체, 원기둥, 또는 다각기둥 형상의 키링 액세서리를 형성하고,
    상기 키링 액세서리의 표면에는 야간 또는 악천후시 시각적으로 인지 가능한 야광물질이 도포되거나, 상기 야광물질이 도포된 스티커가 부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키링 타입의 GPS기능을 구비한 휴대용 재난대응 키트.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1 본체에 내장되는 것으로, 상기 휴대용 단말 또는 상기 사용자가 회원 가입한 국가기관 또는 관련업체의 애플리케이션과 네트워크를 통하여 통신 가능하도록 하는 GPS 모듈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키링 타입의 GPS기능을 구비한 휴대용 재난대응 키트.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2 본체는,
    상기 제2 본체에 내장되는 것으로, 중심부에 상기 나침반이 배치되고, 상기 나침반의 가장자리로부터 부채꼴 형상으로 연장되며, 상기 부채꼴 형상의 원호 가장자리 내측에 상기 안전 커터가 부착되는 제1 연장편과,
    상기 제1 연장편에 대하여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것으로, 상기 나침반의 하면에 축 지지되고 상기 제1 연장편과 동일한 부채꼴 형상으로 연장되며, 공황장애 대응용의 상기 응급봉투가 수납되는 제2 연장편과,
    상기 제2 연장편에 대하여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것으로, 상기 제2 연장편의 하면에 축 지지되고 상기 제2 연장편과 동일한 부채꼴 형상으로 연장되며, 호루라기가 내장되거나, 부채꼴의 원호 부분에 형성된 주둥이를 입에 물고 불면 호루라기가 되도록 하는 제3 연장편과,
    상기 제3 연장편에 대하여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것으로, 상기 제3 연장편의 하면에 축 지지되고 상기 제3 연장편과 동일한 부채꼴 형상으로 연장되며, 일측에 구비된 스위치를 조작함으로써 점등 또는 소등되는 상기 LED 조명이 구비된 제4 연장편을 포함하며,
    상기 제1 연장편과 상기 제2 연장편과 상기 제3 연장편 및 상기 제4 연장편의 상면에는 상기 사용자가 시각적으로 또는 촉각적으로 인지 가능하도록 로고나 문자 또는 점자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키링 타입의 GPS기능을 구비한 휴대용 재난대응 키트.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3 본체는,
    상기 제3 본체의 내부 공간을 복수로 구획하는 격벽에 의하여 상기 제3 본체의 분할된 상면을 각각 덮도록 회동 가능하게 장착되는 복수의 커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키링 타입의 GPS기능을 구비한 휴대용 재난대응 키트.
KR1020190092715A 2019-07-30 2019-07-30 키링 타입의 gps기능을 구비한 휴대용 재난대응 키트 KR10236312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92715A KR102363124B1 (ko) 2019-07-30 2019-07-30 키링 타입의 gps기능을 구비한 휴대용 재난대응 키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92715A KR102363124B1 (ko) 2019-07-30 2019-07-30 키링 타입의 gps기능을 구비한 휴대용 재난대응 키트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14523A true KR20210014523A (ko) 2021-02-09
KR102363124B1 KR102363124B1 (ko) 2022-02-14

Family

ID=7455917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92715A KR102363124B1 (ko) 2019-07-30 2019-07-30 키링 타입의 gps기능을 구비한 휴대용 재난대응 키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63124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7629312A (zh) * 2024-01-26 2024-03-01 四川川核地质工程有限公司 一种用于边坡崩塌的监测装置及监测方法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321873A (ja) * 1998-03-18 1999-11-24 Etsuko Sato 蓄光性を有する容器
KR200207477Y1 (ko) * 2000-07-03 2000-12-15 김미경 휴대용 알약 케이스
KR200352679Y1 (ko) * 2004-03-26 2004-06-05 박중석 개인용 위치알림장치
KR100923783B1 (ko) 2007-10-05 2009-10-27 송창범 재난구호용 키트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321873A (ja) * 1998-03-18 1999-11-24 Etsuko Sato 蓄光性を有する容器
KR200207477Y1 (ko) * 2000-07-03 2000-12-15 김미경 휴대용 알약 케이스
KR200352679Y1 (ko) * 2004-03-26 2004-06-05 박중석 개인용 위치알림장치
KR100923783B1 (ko) 2007-10-05 2009-10-27 송창범 재난구호용 키트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7629312A (zh) * 2024-01-26 2024-03-01 四川川核地质工程有限公司 一种用于边坡崩塌的监测装置及监测方法
CN117629312B (zh) * 2024-01-26 2024-04-02 四川川核地质工程有限公司 一种用于边坡崩塌的监测装置及监测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63124B1 (ko) 2022-02-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687713A (en) Breathing mask
US20070113845A1 (en) Emergency hood and respirator device
CA2092764C (en) Rescue alert kit
CN213720165U (zh) 一种多功能带腕带式浮力装置的雨中救援服
CN204105106U (zh) 一种负压防灾肩式救生带及应急包
KR102363124B1 (ko) 키링 타입의 gps기능을 구비한 휴대용 재난대응 키트
CN201370135Y (zh) 多功能呼救、救生、维生安全腰带
CN204671407U (zh) 一种家庭便携急救箱
JP2007098004A (ja) 超小型で救急時瞬時対応の酸素マスク兼防毒ガスマスク。
US7107990B2 (en) Portable face protector for protecting human being from poisonous gas and securing visibility
KR20110002173U (ko) 비상탈출용구 보관함
KR20220154589A (ko) 포켓용 실리콘 성형 방독면과 그 제조 방법
CN204798669U (zh) 应急救生包
CN100566776C (zh) 用于口罩的强效呼吸过滤方法及应用该方法的多功能口罩
CN212941045U (zh) 一种消防过滤式自救呼吸器
CN205698946U (zh) 一种新型便携火灾自救器
CN204798671U (zh) 应急救生箱
CN210159099U (zh) 消防安全专用求生急救包
KR102305104B1 (ko) 휴대용 구호용품
GB2364886A (en) Fire cloak
JP3020503U (ja) 常備用防災具
CN204798670U (zh) 应急救生挎包
JPH0636652U (ja) 内蔵連体式防火衣
CN206167676U (zh) 一种应急逃生呼吸装置
Barghamadi et al. Rescue devices in the water environments: a systematic review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