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52315Y1 - 낙하시 회전하는 유희용구 - Google Patents

낙하시 회전하는 유희용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52315Y1
KR200352315Y1 KR20-2004-0006299U KR20040006299U KR200352315Y1 KR 200352315 Y1 KR200352315 Y1 KR 200352315Y1 KR 20040006299 U KR20040006299 U KR 20040006299U KR 200352315 Y1 KR200352315 Y1 KR 200352315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lay equipment
skeletal
present
falling
center bod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4-0006299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강윤기
강훈기
Original Assignee
강훈기
강윤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강훈기, 강윤기 filed Critical 강훈기
Priority to KR20-2004-0006299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52315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52315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52315Y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HTOYS, e.g. TOPS, DOLLS, HOOPS OR BUILDING BLOCKS
    • A63H33/00Other toys
    • A63H33/18Throwing or slinging toys, e.g. flying disc toys
    • A63H33/185Aerial toy rotating automatically when descending under gravity

Landscapes

  • Toys (AREA)

Abstract

낙하시 회전하는 유희용구가 개시되어 있다. 본 고안에 따른 낙하시 회전하는 유희용구는 자유낙하시 일정속도를 가질 수 있도록 일정 중량을 갖는 중심체; 상기 중심체의 중앙 상부에 상방으로 길게 연장된 골격부; 및 상기 골격부로부터 일방향으로 펼쳐진 넓은 나뭇잎 모양의 날개부를 포함하여, 낙하할 때에 날개부가 원궤적을 그리며 회전하여 사용자를 즐겁게 한다.

Description

낙하시 회전하는 유희용구{A PLAYING INSTRUMENT ROTATING UPON FALLING ON THE GROUND}
본 고안은 낙하시 회전하는 유희용구에 관한 것으로, 더욱 구체적으로는 중심체와 그 중심체에 연결된 넓은 나뭇잎 모양의 날개부로 형성됨으로써 낙하할 때에 날개부가 수직중심축에 대해 소정각도만큼 기울어진 상태에서 원궤적을 그리며 회전운동을 할 수 있도록 한 낙하시 회전하는 유희용구에 관한 것이다.
현재의 생활에서 보면, 급속히 이루어지는 산업화와 고도의 경제성장으로 주거 및 생활공간이 실내로 옮겨지면서 어린이 놀이문화까지 아파트 등의 제한된 공간으로 한정되어 운동부족, 비만 등의 문제점이 대두되고 있다.
뿐만 아니라, 전자오락이 보편화됨에 따라 어린이들은 기계와의 지적인 대결에 몰두하게 된 반면 어린이의 인격형성에 중요한 자연 및 사회 등과의 유대감을 차츰 상실해 가고 있는 실정이다.
따라서, 어린이들이 실내에서나 야외에서 특별히 제한을 받지 않고 활동적으로 뛰어놀면서 갖고 놀 수 있어서 정서적으로나 신체적으로 건강해질 수 있고 건전하게 즐길 수 있는 장난감이 필요하게 되었다.
또한, 실내에서 가지고 놀 경우에 아이들이 놀이용품들을 잘 못 던져서 실내용품들을 파손하는 경우가 종종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었고, 대부분의 회전놀이 완구는 그 완구를 회전시키기 위해서 전원이나 외부동력을 필요로 하기 때문에 제작비용이 상대적으로 증가하게 되고 또한 쉽게 파손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특히, 도시문화에서는 실내생활을 많이 하게 되는 반면에 실내에서 간단히 즐길수 있는 놀이용 유희구가 많이 알려지고 있지 못하고 있을 뿐만 아니라 어린이와 함께 즐길 수 있는 오락용구가 없었다.
이에 대해, 실내나 야외에서 간편한 조작기구에 의해 용이하게 즐길 수 있는 유희용구에 대한 해결책이 크게 필요하였었다.
본 고안의 목적은 상기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한 것으로, 다양한 형태의 공에 날개부를 부착함으로써 날개부가 회전하면서 낙하하는 것을 볼 수 있는 유희용으로 사용할 뿐만 아니라 여러 사람이 함께 게임을 즐길 수 있도록 한 낙하시 회전하는 유희용구를 제공하는 데 있다.
도 1은 본 고안의 제 1실시예에 따른 유희용구의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의 제 2실시예에 따른 유희용구의 부분절개 사시도.
도 3은 본 고안의 제 3실시예에 따른 유희용구의 사시도.
도 4는 본 고안의 제 4실시예에 따른 유희용구의 사시도.
도 5는 본 고안의 제 5실시예에 따른 유희용구의 사시도.
도 6은 본 고안의 제 6실시예에 따른 유희용구의 사시도.
도 7은 본 고안의 제 1실시예에 따른 유희용구의 동작을 나타내는 도면.
도 8은 도 7의 동작도에서 유희용구의 회전을 상세히 도시한 도면.
도 9는 본 고안의 제 3실시예에 따른 유희용구의 동작을 나타내는 도면.
도 10은 본 고안의 제 4실시예에 따른 유희용구의 동작을 나타내는 도면.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20, 30, 40, 50, 60 : 유희용구
11, 21, 31, 41, 51, 61 : 중심체
13 : 날개부 15 : 골격부
47 : 핀 57 : 흡착판
63, 63' : 날개부 67, 67' : 골격부
상기 목적들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낙하시 회전하는 유희용구는 자유낙하시 일정속도를 가질 수 있도록 일정 중량을 갖는 중심체; 상기 중심체의 중앙 상부에 상방으로 길게 연장된 골격부; 및 상기 골격부로부터 일방향으로 펼쳐진 넓은 나뭇잎 모양의 날개부를 포함한다.
상기 골격부는 상기 중심체로부터 상부로 갈수록 가늘게 형성되고 그 최상단 끝부분은 둥글게 굴곡되어 형성되고, 상기 날개부는 상기 골격부로부터 그 외각쪽으로 갈수록 그 두께가 얇게 형성된다.
본 고안의 다양한 실시예에 있어서, 본 고안에 따른 낙하시 회전하는 유희용구는 크게 일정 중량을 갖는 중심체, 상기 중심체의 중앙 상부에 상방으로 길게 연장된 골격부, 및 상기 골격부로부터 일방향으로 펼쳐진 넓은 나뭇잎 모양의 날개부로 구성된다.
이때, 상기 중심체는 다양한 형상을 가질 수 있으며, 이런 형상은 회전하는데 용이하도록 구체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골격부는 상기 중심체로부터 상부로 갈수록 가늘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최상단 끝부분도 둥글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골격부와 날개부를 합친 모양은 전체적으로 올챙이 모양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날개부도 골격부로부터 그 외각쪽으로 갈수록 그 두께가 얇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은 구조 및 원리를 갖는 유희용구는 다양하게 변형될 수 있으며, 예를 들면, 탱탱공, 중공의 소프트볼, 벨크로테입이 장착된 공, 다트(dart)용 공, 및 흡착용 공등에 골격부와 날개부를 부착하여 사용될 수도 있으며, 상기와 같은 다수의 볼에 2개의 골격부와 2개의 날개부를 부착하여 사용될 수도 있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다양한 실시예들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고안의 제 1실시예에 따른 유희용구의 사시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제 1실시예에 따른 유희용구(10)는 중심체(11)가 탱탱공이고, 그 중심체의 상부에 상방으로 길게 연장된 골격부(15)가 설치되며, 상기 골격부에는 그로부터 일방향으로 펼쳐진 넓은 나뭇잎 모양의 날개부가(13) 설치되어 있다. 이때, 상기 중심체(11)인 탱탱공은 그 소재가 완전탄성체에 근접하기 때문에 지면이나 벽면에 충돌하면, 일반 고무공보다도 높게 튀어오를 수 있다.
상기 날개부(13)는 부드럽거나 유연한 재질의 플라스틱 또는 조화를 만드는 재질의 소정의 형상을 만들 수 있는 천으로 제작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그 이외의 다른 재질을 사용하여 제작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골격부(15)는 중심체인 탱탱공(11)으로부터 상부쪽으로 갈수록 가늘어지고, 상기 골격부(15)의 최상단 끝단부는 둥글게 굴곡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날개부(13)는 단면 A-A로 도시한 바와 같이, 골격부(15)쪽의 두께가 두껍고 그로부터 멀어질수록 점점 얇아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고안의 제 1실시예에 따른 유희용구(10)의 동작에 대해 살펴보면,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가 유희용구(10)를 직하방으로 낙하시키거나 던지게 되면 상기 유희용구(10)는 바로 직하방으로 떨어져서 지면에 접촉한 후 튀어 오르게 되고, 최상점까지 튀어 오른 유희용구(10)는 그 날개부(13)가 상기 중심체(11)와 골격부(15)를 연결하는 수직축에 대해 소정각도만큼 비스듬하게 기울어지게 된다. 이와 같이, 상기 날개부(13)의 중심이 흐트러지면서 비스듬하게 기울어지게 됨과 동시에 상기 유희용구(10)의 날개부(13)는 상기 수직축에 대해 소정각도만큼 기울어진 상태에서 원궤적을 그리면서 회전하게 된다.
이때,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유희용구(10)의 무게 중심은 상기 중심체(11)의 상단부가 될 것이고 상기 수직축을 중심으로 상기 날개부(13)가 선회운동을 하게 되며, 최종적으로 상기 날개부(13)의 운동궤적을 보면 거꾸로 뒤집힌 넓은 원뿔형 형상일 것이다.
결론적으로, 상기 유희용구(10)는 상기 중심체(11)와 상기 골격부(15)를 일직선상으로 하여 낙하시킬 경우에는 직하강하게 되고, 수직축에 대해 약간만 비슴듬하게 기울어져도 회전하게 되며, 상기 골격부(15)가 위치한 방향으로 회전하게 된다. 즉, 상기 골격부(15)가 오른쪽으로 위치하게 되면 시계방향으로 회전하고, 왼쪽으로 위치하게 되면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한다.
상기와 같은 동작은 상기 유희용구(10)를 자유낙하시키는 대신에 상부나 정면 또는 어느 방향으로 던지더라도 최종적으로 낙하할 경우에는 상기 날개부(13)가 원궤적을 그리며 회전하면서 낙하하게 된다.
도 2는 본 고안의 제 2실시예에 따른 유희용구의 부분절개 사시도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제 2실시예에 따를 유희용구(20)는 중심체를 중공의 소프트볼(21)로 구성한 것을 제외하고는 본 고안의 제 1실시예의 구성 및 동작과 동일하다.
중심체를 소프트볼(21)로 한 것은 유아나 어린아이들이 가지고 놀 때 소프트한 재질로 만들기 때문에 다치거나 손상을 입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도 3은 본 고안의 제 3실시예에 따른 유희용구의 사시도이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제 3실시예에 따른 유희용구(30)는 중심체(31)에 벨크로테잎을 부착한 것을 제외하고는 본 고안의 제 1 및 제 2실시예의 구성과 동일하다.
이하, 본 고안의 제 3실시예에 따른 유희용구(30)의 동작에 대해 설명하면,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2명의 게임자들이 벨크로테잎이 부착된 별도의 부착판(70)을 각자의 손에 착용한 후 상기 유희용구(30)를 던지게 되면 상기 유희용구의 중심체(31)가 상기 부착판(70)에 붙게 되어 상호간에 던지며 받는 게임을 할 수 있는 것이다.
이와는 별도로 상기 유희용구(30)는 본 고안의 제 1 및 제 2실시예에 따른 유희용구들과 동일하게 지면에 튀기면서 놀 수도 있다.
도 4는 본 고안의 제 4실시예에 따른 유희용구의 사시도이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제 4실시예에 따른 유희용구(40)는 다트용 창으로 사용하는 것으로 중심체(41)의 정하부에 핀(47)을 설치하는 것을 제외하고는 본 고안의 제 1 및 제 2실시예의 구성과 동일하다.
이하, 본 고안의 제 4실시예에 따른 유희용구(40)의 동작에 대해 설명하면,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1인 또는 다수의 인원이 다트를 할 때 사용되는 것으로 별도의 다트판(80)을 근거리에 설치한 후에 상기 유희용구(40)를 던져서 사용한다.
도 5는 본 고안의 제 5실시예에 따른 유희용구의 사시도이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제 5실시예에 따른 유희용구(50)는 다수의 흡착판(57)이 중심체(51)에 설치된 것을 제외하고는 본 고안의 제 1 및 제 2실시예에 따른 유희용구의 구성 및 동작과 유사하다.
본 고안의 제 5실시예에 따른 유희용구(50)의 그 중심체(51)는 다수의 흡착판(57)이 설치된 흡착볼로 형성되어 있어, 게임자들이 상부로 던지게 되면 상기 유희용구(50)는 일정높이까지 올라간 후에 최정점을 기점으로 하여 낙하하게 되는데 이때, 상기 유희용구(50)의 골격부(15) 및 날개부(13)가 비슴듬하게 위치하게 되고 이때부터 상기 유희용구(50)의 날개부(13)가 회전하면서 낙하하게 되는 것이다.
이와 같이 낙하한 유희용구(50)는 상기 다수의 흡착판(57)에 의해 유리나 그와 유사한 물질의 제품에 흡착하게 된다.
또한, 게임자들이 상기 유희용구(50)를 정면으로 던지게 되면, 이 또한 일점부분까지 날아가다가 상기 유희용구(50)의 골격부(15) 및 날개부(13)가 비슴듬하게 위치하게 되고 이때부터 상기 유희용구(50)의 날개부(13)가 회전하면서 낙하하게 되는 것이다. 이때에도 낙하한 유희용구(50)는 상기 다수의 흡착판(57)에 의해 유리나 그와 유사한 물질의 제품에 흡착하게 된다.
또한, 본 고안의 제 5실시예에 따른 유희용구(50)는 흡착판(57)이 유리창 등에 쉽게 부착될 수 있기 때문에, 상기 날개부(13)를 심미감을 느낄 수 있는 형상이나 색을 가미하여 형성함으로써 유리창 장식용으로도 사용할 수 있다.
도 6은 본 고안의 제 6실시예에 따른 유희용구의 사시도이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제 6실시예에 따른 유희용구(60)는 하나의 중심체(61)에 한 쌍의 골격부(67)(67')가 설치되고 상기 각각의 골격부(67)와(67')에 각각의 날개부(63)와(63')가 부착된다.
상기 각각의 골격부(67)(67') 및 날개부(63)(63')의 형상 및 구조는 본 고안의 제 1 내지 제 5실시예의 유희용구의 골격부(15) 및 날개부(13)의 구성과 동일하다.
또한, 상기 유희용구(60)의 동작도 본 고안의 제 1 및 제 2실시예 동작과 동일하게 상기 날개부(63)(63')가 회전하면서 낙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에 언급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유희용구는 낙하할 때에 날개부가 원궤적을 그리며 회전하여 사용자를 즐겁게 하고, 사용자가 아무리 힘껏 던져도 멀리 날아가지 않아서 좁은 공간에서 어린이들이 사용하기에 적합하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고안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유희용구는 여러 가지 형태의 볼에 부착 사용할 수 있기 때문에 활용도가 높다는 장점이 있다.
한편, 상기에서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하기의 청구의 범위에 기재된 본 고안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고안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Claims (9)

  1. 자유낙하시 일정속도를 가질 수 있도록 일정 중량을 갖는 중심체;
    상기 중심체의 중앙 상부에 상방으로 길게 연장된 골격부; 및
    상기 골격부로부터 일방향으로 펼쳐진 넓은 나뭇잎 모양의 날개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낙하시 회전하는 유희용구.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골격부는 상기 중심체로부터 상부로 갈수록 가늘게 형성되고 그 최상단 끝부분은 둥글게 굴곡되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낙하시 회전하는 유희용구.
  3.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날개부는 상기 골격부로부터 그 외각쪽으로 갈수록 그 두께가 얇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낙하시 회전하는 유희용구.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중심체는 탱탱공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낙하시 회전하는 유희용구.
  5.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중심체는 중공의 소프트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낙하시 회전하는 유희용구.
  6.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중심체에는 벨크로테잎을 부착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낙하시 회전하는 유희용구.
  7.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중심체의 정하부에 핀을 설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낙하시 회전하는 유희용구.
  8.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중심체에는 다수의 흡착판이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낙하시 회전하는 유희용구.
  9. 자유낙하시 일정속도를 가질 수 있도록 일정 중량을 갖는 중심체;
    상기 중심체의 중앙 상부에 상방으로 길게 연장되고, 상기 중심체로부터 상부로 갈수록 가늘게 형성되고 그 최상단 끝부분은 둥글게 굴곡되어 형성된 한 쌍의 골격부; 및
    상기 각각의 골격부로부터 일방향으로 펼쳐지고, 상기 골격부로부터 그 외각쪽으로 갈수록 그 두께가 얇게 형성된 넓은 나뭇잎 모양의 한 쌍의 날개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낙하시 회전하는 유희용구.
KR20-2004-0006299U 2004-03-09 2004-03-09 낙하시 회전하는 유희용구 KR200352315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4-0006299U KR200352315Y1 (ko) 2004-03-09 2004-03-09 낙하시 회전하는 유희용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4-0006299U KR200352315Y1 (ko) 2004-03-09 2004-03-09 낙하시 회전하는 유희용구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0035301A Division KR20020096612A (ko) 2001-06-21 2001-06-21 낙하시 회전하는 유희용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52315Y1 true KR200352315Y1 (ko) 2004-06-04

Family

ID=4943133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4-0006299U KR200352315Y1 (ko) 2004-03-09 2004-03-09 낙하시 회전하는 유희용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52315Y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68820Y1 (ko) 2008-07-01 2013-09-06 최연수 무게 중심 원리를 응용한 장식용 인형 및 이를 이용한 메모꽂이
KR101770805B1 (ko) 2016-03-04 2017-08-23 김영만 Led를 이용한 불꽃놀이장치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68820Y1 (ko) 2008-07-01 2013-09-06 최연수 무게 중심 원리를 응용한 장식용 인형 및 이를 이용한 메모꽂이
KR101770805B1 (ko) 2016-03-04 2017-08-23 김영만 Led를 이용한 불꽃놀이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S2316782T3 (es) Proyectil para la practica deportiva que presenta un orificio pasante.
US8216091B2 (en) Sliding impulse device
US20100320692A1 (en) Bag toss game
US6135455A (en) Disk toss and peg game
WO2007145744A2 (en) Gaming apparatus and method of employing the same
US4014543A (en) Air action game
US5310189A (en) Soft golf club, tee and ball
US4687210A (en) Toy bouncing ring
KR200352315Y1 (ko) 낙하시 회전하는 유희용구
US3776551A (en) Resilient resin foam polyhedron &amp; bat
US1963944A (en) Amusement device
KR20020096612A (ko) 낙하시 회전하는 유희용구
US4146225A (en) Paddle ball game
US20110037222A1 (en) Game table
WO2020007251A1 (zh) 一种弹跳指尖陀螺
US20140194037A1 (en) Spring ball toy
US7429043B1 (en) Toy bowling game for providing player enjoyment
JP2003102872A (ja) スポーツゲーム玩具用ボール
US3770268A (en) Automatic jumping device
KR200357586Y1 (ko) 볼링게임기
KR102371760B1 (ko) 손에 착용되는 라켓을 이용한 놀이기구
KR100381790B1 (ko) 회전체 놀이기구
US5732951A (en) Playing figure for a ball game playable on a table, particularly a table football game
JPH0734889U (ja) 弾き玩具
JP2008110111A (ja) 投げだま遊具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U107 Dual application of utility model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G701 Publication of correc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10520

Year of fee payment: 8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