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52264Y1 - 성토지 보강재 - Google Patents

성토지 보강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52264Y1
KR200352264Y1 KR20-2004-0003226U KR20040003226U KR200352264Y1 KR 200352264 Y1 KR200352264 Y1 KR 200352264Y1 KR 20040003226 U KR20040003226 U KR 20040003226U KR 200352264 Y1 KR200352264 Y1 KR 200352264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inforcement
soil
reinforcing
landfill
lan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4-0003226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오성훈
Original Assignee
지해산업개발 주식회사
오성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지해산업개발 주식회사, 오성훈 filed Critical 지해산업개발 주식회사
Priority to KR20-2004-0003226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52264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52264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52264Y1/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17/00Excavations; Bordering of excavations; Making embankments
    • E02D17/18Making embankments, e.g. dikes, dam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9/00Independent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Retaining walls
    • E02D29/02Retaining or protecting walls
    • E02D29/0225Retaining or protecting walls comprising retention means in the backfill
    • E02D29/0241Retaining or protecting walls comprising retention means in the backfill the retention means being reinforced earth element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600/00Miscellaneous
    • E02D2600/40Miscellaneous comprising stabilising elem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Paleontology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Pit Excavations, Shoring, Fill Or Stabilisation Of Slop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성토하여 구축되는 도로, 제방, 옹벽 등(이하 성토구조물이라 함)과 같은 성토구조물내에 매설하여 그 성토지를 보강하는데 사용되는 성토지 보강재에 관한것으로, 철강재 또는 강화 합성수지(탄소섬유, 화이버글래스 등)와 같이 내구성과 인장력이 강한 재질로 형성된 밴드를 망상으로 결속하여 다수의 보강토 충진공이 형성된 보강재를 구성하되, 밴드 표면의 상 또는 하부에 보강토 지지편을 결착수단으로 결착하여 그 양단에 보강토와의 마찰저항은 물론 지지력을 증대시키는 돌출부를 구비하므로서 상기 돌출부가 성토구축물내에서 사면쪽으로 이동하려는 보강토의 유동을 억제하고 토압이 사면쪽 보다는 하부로 작용하여 보강토가 일체로 견고하게 결속시키므로 종래보다 견고한 성토구조물을 시공할 수 있게 하고, 보강재의 길이가 짧아도 보강토의 지지력이 양호하므로 시공폭이 좁은 성토구조물을 견고하게 시공할 수 있는 보강재를 제공하게 된 것이다.

Description

성토지 보강재{geogrid}
본 고안은 성토하여 구축되는 도로, 제방, 옹벽 등(이하 성토구조물이라 함)과 같은 성토구조물내에 매설하여 그 성토지를 보강하는데 사용되는 성토지 보강재에 관한것으로, 특히, 보강재는 내구성과 인장력이 강인한 밴드를 결착하여 보강토충진공이 다수 형성된 보강재로 구성하되, 밴드의 표면에 보강토와의 마찰 저항은 물론 지지력을 증대시키기 위한 다수의 돌출부를 형성하여 견고한 성토구조물을 시공할 수 있는 보강재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일반적으로 지면보다 높게 성토하여 시공되는 도로, 제방, 옹벽 등과 같은 성토지 구축시 사용되는 보강재는 주로 직물 또는 합성수지로 제조되는 밴드형 또는 망상의 시트로 구성되는데, 그 구조는 평면적인 보강재 표면에 요철부 또는 다수의 망공을 형성하여 그 요철부와 망공의 마찰저항으로 보강토가 사면으로 흘러내리는 것을 억제하면서 성토된 보강토가 서로 결속되게 하였다.
그러나 이와 같은 종래의 보강재는 보강토의 하중과 요철부와 망공의 표면마찰에 의존하여 보강토가 지지되고 있으므로 그 지지력이 미약하다. 따라서 성토구조물의 보강토 다짐이 끝나는 동안 성토된 보강토는 사면쪽으로 흘러내려 사면이 붕괴되는 문제점이 있어 수시로 사면을 보수하여야 하는 시공상의 불편이 있었고, 옹벽구축에 사용하는 경우 보강재는 옹벽 하중에 끌려 옹벽의 배부름현상을 일으키는 등의 문제점이 있었다.
본 고안에서는 이상과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위하여 철강재 또는 강화 합성수지(탄소섬유, 화이버글래스 등)와 같이 내구성과 인장력이 강한 재질로 형성되는 밴드를 망상으로 결속하여 다수의 보강토 충진공이 형성된 보강재를 구성하되, 밴드 표면의 상 또는 하부에 보강토 지지편을 결착수단으로 결착하여 그 양단에 보강토와의 마찰저항은 물론 지지력을 증대시키는 돌출부를 구비하므로서 상기 돌출부가 성토구축물내에서 사면쪽으로 이동하려는 보강토의 유동을 억제하고 토압이 사면쪽 보다는 하부로 작용하여 보강토가 일체로 견고하게 결속시키므로서 종래보다 견고한 성토구조물을 시공할 수 있게 하고, 보강재의 길이가 짧아도 보강토의 지지력이 양호하므로 시공폭이 좁은 성토구조물을 견고하게 시공할 수 있는 보강재를 제공하게 된 것이다.
도 1은 본 고안의 구성을 예시한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의 사용상태 예시를 겸한 측면도.
도 3은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시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설명
10: 보강재. 11,12: 밴드. 13: 보강토 충진공.
20: 결착수단. 21: 리벳트. 22: 크램프.
30: 보강토 지지편. 31: 경사돌출부.
본 고안을 첨부도면에 따라 그 구성 및 작용을 상세히 설명한다.
철강재 또는 강화 합성수지(탄소섬유, 화이버글래스 등)와 같이 내구성과 인장력이 강한 재질로 형성되는 밴드(11,12)를 일정간격을 두고 교차되게 결착시켜 다수의 보강토 충진공(13)이 형성된 보강토 보강재(10)를 구성하되, 상기 밴드(11,12)의 표면에는 양단에 경사지게 돌출되어 보강토를 지지하는 경사 돌출부(31)가 구비되도록 보강토 지지편(30)을 결착수단(20)으로 결착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성토지 보강재이다.
본 고안 실시에 있어서, 밴드(11,12)의 결착수단(20)은 도1의 예시와 같이 주로 리벳팅(21)하거나, 도시하지 아니한 스폿트용접 또는 크램프로 결착할 수 있으며, 상기 밴드(11,12)와 보강토 지지편(30)의 결착수단(20)은 주로 크램프(22)를 채워 결속하거나, 도시하지 아니한 리벳팅, 스폿트용접 등과 같은 방법으로 결착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로는 도3과 같이 보강토 충진공(13)이 사방으로 중복 연설하여 망상으로 실시할 수 있고, 이때 보강토 지지편(30)은 밴드(11,12)의 표면에 일정간격으로 구비하거나, 상하 표면에 교대로 구비하여 보강토 지지력이 상하에서 작용하도록 실시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은 본 고안 보강재의 사용은 도 2의 예시와 같이 성토구조물(100)의 내부에 일정간격으로 적층 매설한다.
이때 보강토 지지편(30)의 경사돌출부(31)는 성토구조물의 사면을 향하도록 실시하는 것이 보강재의 내구성과 보강토의 지지력면에서 유리하며, 성토구조물이 옹벽인 경우는 옹벽과의 사이에 종래와 같이 보강재가 고정되도록 횡으로 설치하여 저항벽이 보강토를 안고 옹벽을 강력하게 지지하도록 시공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은 본 고안보강재(10)는 밴드(11,12) 표면의 상 또는 하부에는 양단에 경사돌출부(31)가 구비된 보강토지지편(30)을 구비하고 있으므로 성토구축물에 사용시 사면쪽으로 흘러 이동하려는 보강토를 경사돌출부(31)가 강력하게 지지 억제하고, 토압을 사면쪽 보다는 하부로 작용하게 하여 보강토전체가 일체로 견고하게 결속되어 종래보다 견고한 성토구조물을 시공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보강토지지편(30)은 양단에는 종래 보강재의 요철턱에 비하여 폭이 넓고 큰 경사돌출부(31)를 구비하고 있으므로 상기 경사돌출부(31)는 보강토를 강력하게 지지할 수 있어 종래보다 보강재의 길이가 짧아도 시공폭이 좁은 성토구조물을 견고하게 시공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3)

  1. 내구성과 인장력이 강한 밴드(11,12)를 일정간격을 두고 교차되게 결착시켜 다수의 보강토 충진공(13)이 형성된 보강토 보강재(10)를 구성하되, 상기 밴드(11,12)의 표면에는 양단에 돌출되어 보강토를 지지하는 경사돌출부(31)가 구비된 보강토 지지편(30)을 결착수단(20)으로 결착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성토지 보강재.
  2. 청구항 1에 있어서, 보강재(10)는 보강토 충진공(13)을 사방으로 중복 연설하여 망상으로 구성하고, 보강토 지지편(30)은 밴드(11,12)의 상하 표면에 교대로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성토지 보강재.
  3. 청구항 1에 있어서, 밴드(11,12)와 보강토 지지편(30)의 결착수단(20)을 크램프(22)로 결착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성토지 보강재.
KR20-2004-0003226U 2004-02-10 2004-02-10 성토지 보강재 KR200352264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4-0003226U KR200352264Y1 (ko) 2004-02-10 2004-02-10 성토지 보강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4-0003226U KR200352264Y1 (ko) 2004-02-10 2004-02-10 성토지 보강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52264Y1 true KR200352264Y1 (ko) 2004-06-10

Family

ID=4934677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4-0003226U KR200352264Y1 (ko) 2004-02-10 2004-02-10 성토지 보강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52264Y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17154B1 (ko) 2010-04-16 2012-12-31 김현광 지오그리드
KR101818911B1 (ko) * 2014-12-31 2018-01-17 (주)대한콜크 띠형 보강재 및 이를 포함하는 보강재 어셈블리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17154B1 (ko) 2010-04-16 2012-12-31 김현광 지오그리드
KR101818911B1 (ko) * 2014-12-31 2018-01-17 (주)대한콜크 띠형 보강재 및 이를 포함하는 보강재 어셈블리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77949B1 (ko) 보강토 옹벽블록 및 그 시공 방법
JP2008144440A (ja) 土留め構造体及び土留め施工方法
RU98763U1 (ru) Устройство для укрепления грунта
JP6325248B2 (ja) セル構造体の施工方法およびセル構造体
JP6192763B1 (ja) ジオグリッド・ハニカム擁壁
KR200352264Y1 (ko) 성토지 보강재
KR101167495B1 (ko) 라멘형 파형강판 구조물
JP2009133099A (ja) 自立式土留擁壁
CN109715888A (zh) 预制钢筋混凝土桩及利用其的挡土墙施工方法
JP4455966B2 (ja) 補強土壁構築具
CN111511992A (zh) 薄而稳定的分段式墙块以及土壤加固系统和方法
KR102194293B1 (ko) 옹벽구조물
JP5833329B2 (ja) 補強土壁構造
JP2018059318A (ja) 基礎梁構造及び基礎梁構築方法
KR200354129Y1 (ko) 성토지 보강재
KR101175122B1 (ko) 옹벽용 보강재 구조 및 이를 이용한 옹벽의 설치방법
RU99008U1 (ru) Георешетка
KR101125173B1 (ko) 부마찰 저감용 말뚝, 이를 이용한 말뚝기초 구조물 및 그 시공방법
KR20030049997A (ko) 옹벽블럭 지지용 앵커
JP2000328577A (ja) 土留めかご枠及びそれを用いた急勾配盛土の築造法
KR102275813B1 (ko) 매트를 이용한 기초 보강 구조물
KR100923073B1 (ko) 교대 구조물 급속 시공방법
RU56408U1 (ru) Сопряжение дорожной насыпи со слабым основанием (варианты)
JP2010090611A (ja) 盛土工法及びその構造
JP5770330B2 (ja) 補強土壁構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71126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