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52055Y1 - 김치저장통 - Google Patents

김치저장통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52055Y1
KR200352055Y1 KR20-2004-0007272U KR20040007272U KR200352055Y1 KR 200352055 Y1 KR200352055 Y1 KR 200352055Y1 KR 20040007272 U KR20040007272 U KR 20040007272U KR 200352055 Y1 KR200352055 Y1 KR 200352055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kimchi
lid
container
handle
storage contain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4-0007272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광근
Original Assignee
김광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광근 filed Critical 김광근
Priority to KR20-2004-0007272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52055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52055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52055Y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47/00Kitchen containers, stands or the like,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Cutting-boards, e.g. for bread
    • A47J47/02Closed containers for foodstuffs
    • A47J47/08Closed containers for foodstuffs for non-granulated foodstuffs
    • A47J47/10Closed containers for foodstuffs for non-granulated foodstuffs with arrangements for keeping fresh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5/00Details of other kinds or types of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 B65D25/28Hand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45/00Clamping or other pressure-applying devices for securing or retaining closure members
    • B65D45/32Clamping or other pressure-applying devices for securing or retaining closure members for applying radial or radial and axial pressure, e.g. contractible bands encircling closure member
    • B65D45/34Clamping or other pressure-applying devices for securing or retaining closure members for applying radial or radial and axial pressure, e.g. contractible bands encircling closure member lever-operat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525/00Details of other kinds or types of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 B65D2525/28Handles
    • B65D2525/281Details relating to handles
    • B65D2525/284Details relating to handles combined with closure retaining mea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Closures For Containers (AREA)
  • Packging For Living Organisms, Food Or Medicinal Products That Are Sensitive To Environmental Conditiond (AREA)

Abstract

본 고안은 김치저장통에 관한 것으로, 특히 김치가 저장 보관되는 김치저장통에 별도의 손잡이를 형성하여 운반이 용이하게 하고, 손잡이를 수평 상태로 놓으면 상기한 손잡이에 의해 뚜껑이 용기에 강압적으로 밀착되어 밀폐력이 증대되게 하며, 수평으로 위치한 손잡이는 뚜껑상에서 외부로 노출되지 않도록 한 것이다.

Description

김치저장통{Kimchi bucket}
본 고안은 김치저장통에 관한 것으로, 특히 김치가 저장 보관되는 김치저장통에 별도의 손잡이를 형성하여 운반이 용이하게 하고, 손잡이를 수평 상태로 놓으면 상기한 손잡이에 의해 뚜껑이 용기에 강압적으로 밀착되어 밀폐력이 증대되게 하며, 수평으로 위치한 손잡이는 뚜껑상에서 외부로 노출되지 않도록 한 김치저장통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김치는 한국 특유의 음식문화로써, 대개 직사각형 또는 사각형으로 이루어진 김치저장통에 일정량을 보관하고 필요할때 마다 조금씩 꺼내어 김치를 시식하고 있다.
이런한 김치저장통의 구조를 간단하게 살펴보면 크게 김치가 저장될 수 있도록 내부에 일정한 크기의 저장공간을 갖는 직사각 형상의 용기와, 상기 용기 상단에 기밀하게 결합되는 뚜껑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이러한 용기와 뚜껑은 김치국물이 외부로 새어 나오지 않도록 뚜껑의 하부테두리에 고무패킹등을 형성하여 사용하고 있다.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갖는 종래 김치저장통을 이용하여 소기의 목적 즉, 다량의 김치를 보관할 수 있다는 잇점은 있으나, 대부분의 김치통에는 별도의 손잡이가 마련되어 있지 않을뿐 아니라 뚜껑과 용기를 강압적으로 밀폐시킬수 있는 별도의 구성이 마련되어 있지 않다.
따라서, 김치가 다량 보관되는 김치저장통은 상당한 중량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이를 김치냉장고 또는 냉장고에 보관시 운반이 불편할 뿐 아니라 많은 힘이 드는 단점이 있었으며, 특히 용기 상단에 뚜껑이 밀실하게 결합된다 하더라도 결합 틈새를 통하여 김치국물이 새어 나오는 단점이 있었다.
한편, 근래에는 상기와 같은 단점을 감안하여 뚜껑이 용기에서 밀실하게 결합될 수 있도록 하는 구성이 안출된 바 있으나, 이는 구조가 복잡하여 생산원가가 상승될 뿐 아니라 사용구조가 복잡하다는 제반 문제점이 발생되었다.
따라서 본 고안의 목적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감안하여 안출한 것으로, 김치가 저장 보관되는 김치저장통에 별도의 손잡이를 형성하여 운반이 용이하게 하고, 손잡이를 수평 상태로 놓으면 상기한 손잡이에 의해 뚜껑이 용기에 강압적으로 밀착되어 밀폐력이 증대되게 하며, 수평으로 위치한 손잡이는 뚜껑상에서 외부로 노출되지 않도록 한 김치저장통을 제공하는데 있다.
도1은 본 고안에 따른 김치저장통의 일부 분해 사시도,
도2는 본 고안에 따른 김치저장통의 결합 단면도,
도3은 본 고안에 따른 김치저장통이 결합되기 전의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김치저장통 11 ; 뚜껑 12 ; 용기
20,21 ; 밀착대 30,31 ; 브라켓트 40,41 ; 힌지
50,51 ; 손잡이 60,61 ; 누름레버 70,71 ; 공간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수단으로 본 고안은 뚜껑 상단 좌우측에 일정한 높이를 가지고 돌출 형성되는 밀착대와,
김치저장통 상단 좌우측에 형성된 브라켓트에 하단이 힌지 결합되고 회전 가능한 손잡이와,
상기 손잡이의 힌지 결합되는 부위에 일체로 형성됨과 동시에 일정한 기울기를 갖으며 손잡이가 수평으로 위치하면 밀착대와 접촉되면서 뚜껑이 용기에 강압적으로 밀폐 결합되게 하는 누름레버로 구성되는 것을 그 기술적 구성상의 기본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1은 본 고안에 따른 김치저장통의 사시도 이고, 도2는 본 고안에 따른 김치저장통의 결합 단면도 이며, 도3은 본 고안에 따른 김치저장통이 결합되기 전의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본 고안의 김치저장통(10)도 김치가 저장될 수 있도록 내부에 일정한 크기의 저장공간을 갖는 직사각 형상의 용기(12)와, 상기 용기(12) 상단에 기밀하게 결합되는 뚜껑(11)으로 이루어지며 기본적으로 사용되는 맥락은 종래와 같다.
다만 본 고안은 더욱 효과적으로 김치저장통(10)을 사용할 수 있도록 한 것으로 이는 도1 내지 도3에서와 같이 뚜껑(11)에 형성되는 밀착대(20)(21) 및 공간(70)(71)과, 용기(12)에 형성되는 브라켓트(30)(31) 및 손잡이(50)(51), 누름레버(60)(61)가 기본적으로 동원된다.
밀착대(20)(21)는 뚜껑(11) 상부 좌우측 중간에 일정한 높이를 가지고 돌출 형성되는데, 돌출 높이는 손잡이(50)(51)가 수평으로 위치할때 누름레버(60)(61)와 완전 밀착되도록 적당한 높이를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공간(70)(71)은 밀착대(20)(21) 전면에 각각 형성되는데, 상기한 공간(70)(71)은 손잡이(50)(51)가 수평으로 위치한 상태에서 사용자의 손이 손잡이 하부로 들어갈수 있는 적당한 깊이를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손잡이(50)(51)는 김치저장통(10) 상단 좌우측에 형성된 브라켓트(30)(31)에 하단이 힌지(40)(41) 결합되고 회전 가능하게 형성된다.
누름레버(60)(61)는 손잡이(50)(51)의 힌지(40)(41) 결합되는 부위에 일체로 형성됨과 동시에 일정한 기울기를 갖으며 손잡이가 수평으로 위치할 때 밀착대(20)(21)를 강압적으로 눌러 뚜껑(11)이 용기(12)에 강압적으로 밀폐 결합되게 하는 역활을 수행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을 사용하기 위해서는 먼저 뚜껑(11) 상단 좌우측 중간에는 밀착대(20)(21)와 공간(70)(71)을 일체로 사출 성형하고, 별도로 제작된 누름레버(60)(61)를 갖는 손잡이(50)(51)는 브라켓트(30)(31)에 힌지(40)(41) 결합한다.
상기와 같은 상태에서 김치를 김치저장통(10)에 저장하기 위해서는 뚜껑(11)이 열린 상태에서 용기(12)내에 적당량의 김치를 저장하고 뚜껑을 용기에 결합한다.
이후 손잡이(50)(51)를 도2에서와 같이 수평으로 위치시키면 일정한 기울기를 가지는 누름레버(60)(61)가 밀착대(70)(71)와 약간 강압적으로 접촉되고, 접촉되는 과정에서 뚜껑(11)을 용기(12)에 강압적으로 누르는 작용을 하기 때문에 김치저장통(10)은 완전 밀폐된 상태가 된다. 이때의 손잡이(50)(51)는 공간(70)(71)에 수평으로 위치하고 외부로 노출되지 않게 된다.
한편, 김치저장통(10)을 운반하기 위해서는 공간(70)(71)상에 수평으로 위치한 손잡이(50)(51)를 잡고 수직상태로 위치시킨 후, 소망하는 장소로 김치저장통을 운반하면 되는 것이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고안에 의하면, 김치가 저장 보관되는 김치저장통에 별도의 손잡이가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운반이 용이할 뿐 아니라, 상기한 손잡이를 수평 상태로 놓으면 뚜껑이 용기에 강압적으로 밀착됨으로 밀폐력이 증대되는 것이다.
또한, 수평으로 위치한 손잡이는 뚜껑상에서 외부로 노출되지 않기 때문에 사용도중 외부와 간섭되는 것이 방지되어 제품이 파손되지 않는 등의 효과가 있는 것이다.
이상에서는 본 고안을 특정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고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고안은 상기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본 고안의 요지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에 의해 다양한 변경과 수정이 이루어질 수 있는 것임을 밝혀둔다.

Claims (2)

  1. 김치가 저장될 수 있도록 내부에 일정한 크기의 저장공간을 갖는 직사각 형상의 용기(12)와, 상기 용기(12) 상단에 기밀하게 결합되는 뚜껑(11)으로 이루어진 김치저장통(10)에 있어서, 상기 뚜껑(11) 상단 좌우측에 일정한 높이를 가지고 돌출 형성되는 밀착대(20)(21)와, 상기 김치저장통(10) 상단 좌우측에 형성된 브라켓트(30)(31)에 하단이 힌지(40)(41) 결합되고 회전 가능한 손잡이(50)(51)와, 상기 손잡이(50)(51)의 힌지(40)(41) 결합되는 부위에 일체로 형성됨과 동시에 일정한 기울기를 갖으며 손잡이가 수평으로 위치하면 밀착대(20)(21)와 접촉되면서 뚜껑(11)이 용기(12)에 강압적으로 밀폐 결합되게 하는 누름레버(60)(61)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김치저장통.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손잡이(50)(51)는 밀착대(20)(21) 전면에 형성된 공간(70)(71)상에 수평으로 위치하고 외부로 노출되는 것이 방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김치저장통.
KR20-2004-0007272U 2004-03-17 2004-03-17 김치저장통 KR200352055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4-0007272U KR200352055Y1 (ko) 2004-03-17 2004-03-17 김치저장통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4-0007272U KR200352055Y1 (ko) 2004-03-17 2004-03-17 김치저장통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52055Y1 true KR200352055Y1 (ko) 2004-06-04

Family

ID=4943118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4-0007272U KR200352055Y1 (ko) 2004-03-17 2004-03-17 김치저장통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52055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00545U (ko) 2018-09-03 2020-03-11 한종휘 보냉용 김치 저장통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00545U (ko) 2018-09-03 2020-03-11 한종휘 보냉용 김치 저장통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357271B2 (en) Insulated container with access door
US20120168329A1 (en) Container for Snus
SE8002985L (sv) Barnmatlada
KR20070101643A (ko) 저장용기
US3348724A (en) Hinged lid box
KR101888040B1 (ko) 기능성 음식물 쓰레기통
KR200352055Y1 (ko) 김치저장통
USD517318S1 (en) Storage container for packaged collectible items
KR100661905B1 (ko) 음식물 보관용 밀폐용기
KR20020062417A (ko) 저장용기
KR200449949Y1 (ko) 밀폐용기 결합구조
KR20060119361A (ko) 밀폐용기의 2단 잠금장치
KR101580161B1 (ko) 식품 보관 용기
KR200304501Y1 (ko) 반찬용기포장용 종이상자
KR200396189Y1 (ko) 식판 겸용 도시락 용기 결합구조
JPS6138073Y2 (ko)
KR102100024B1 (ko) 저장 용기
KR20230162757A (ko) 원터치 뚜컹 칸칸이 반찬통
KR200380070Y1 (ko) 식품보관용 개폐구조
CN211093603U (zh) 一种食用品存储盒
CN208731572U (zh) 一种便于展示的大头钉包装盒
CN2755033Y (zh) 多功能茶具盒
CN206900875U (zh) 干湿双盛瓶结构
KR200152324Y1 (ko) 신선도가 유지되는 김치통
KR200279276Y1 (ko) 김치냉장고용 김치통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