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51435Y1 - 소형 스피커 유닛 - Google Patents

소형 스피커 유닛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51435Y1
KR200351435Y1 KR20-2004-0004851U KR20040004851U KR200351435Y1 KR 200351435 Y1 KR200351435 Y1 KR 200351435Y1 KR 20040004851 U KR20040004851 U KR 20040004851U KR 200351435 Y1 KR200351435 Y1 KR 200351435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yoke
press
speaker unit
housing
groov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4-0004851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상기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대림음향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대림음향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대림음향
Priority to KR20-2004-0004851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51435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51435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51435Y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1/00Details of transducers, loudspeakers or microphones
    • H04R1/10Earpieces; Attachments therefor ; Earphones; Monophonic headphones
    • H04R1/1058Manufacture or assembl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31/00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f transducers or diaphragms therefor
    • H04R31/006Interconnection of transducer par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9/00Transducers of moving-coil, moving-strip, or moving-wire type
    • H04R9/02Details
    • H04R9/04Construction, mounting, or centering of coil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Audible-Bandwidth Dynamoelectric Transducers Other Than Pickup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요크의 제조 공정수를 줄임으로서 제조 단가를 절감할 수 있는 소형 스피커 유닛을 개시한다. 이를 위해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소형 스피커 유닛의 요크는 원통형 수용부를 가지며, 상기 수용부를 둘러싸고 형성된 압입홈을 구비한다. 상기 요크에는 자기장을 형성하는 자석, 상기 자석을 에워싸도록 배치되고 상기 자석에 의해 생성된 자기장과 전류의 작용에 의해 진동하는 보이스 코일, 그리고 상기 보이스 코일에 부착되어 상기 코일의 진동을 전달받아 음파를 생성하는 진동판이 배치된다. 하우징은 내부에 상기 요크의 압입홈과 대응하는 돌기를 구비하며, 상기 요크를 고정 가능하게 수용한다. 상기 압입홈은 소정의 간격을 두고 형성될 수 있으며, 단면이 원형상일 수 있다. 전술한 구성의 소형 스피커 유닛은 제조 공정수를 줄일 수 있어 제조 원가를 절감할 수 있으며, 억지 끼워맞춤 하거나 접착제를 사용하지 않고도 요크를 하우징에 고정 가능하게 장착할 수 있다.

Description

소형 스피커 유닛 {Compact speaker unit}
본 고안은 소형 스피커 유닛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히는 조립을 위해 압입으로 형성된 홈을 갖는 요크를 포함하는 소형 스피커 유닛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소형 스피커 유닛은 내부에 소정 공간을 갖는 원통형 요크에 자석과 플레이트를 배치하고, 그 위에 상기 자석과 플레이트를 둘러싸는 형태로 코일이 부착된 진동판을 배치시킨다.
상기 코일에 전류가 흐르면 상기 자석에 의해 자기장이 발생하여 코일이 외력을 받게 되고, 이러한 현상에 의해 코일이 상하로 진동하게 되면 이와 함께 부착되어 있는 진동판 역시 상하로 진동하게 되어 소리가 발생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이 조립된 소형 스피커 유닛의 요크는 보통 귀에 직접 꽂아서 사용하게 되므로 귀의 형태와 유사한 크기와 형상의 하우징에 수용된다.
종래에는 요크를 상기와 같은 하우징 내부에 억지 끼워맞춤으로 고정시키거나 접착제를 이용해 고정시켜 왔다.
억지 끼워맞춤을 하게 되면 상기 소형 스피커 유닛과 하우징에 외력이 많이 가해지기 때문에, 조립시 하우징 내부 구조에 손상이 가해질 수 있으며, 소형 스피커 유닛 진동판이 찌그러지는 등의 불량 요인을 야기할 수 있다.
또한, 접착제를 이용하게 되면, 접착제를 도포하기 위한 공간을 위해 치수 공차가 커지게 되어 불량율이 높아지는 원인이 되었으며, 제조 과정도 번거로웠다.
상기와 같은 방법 외에도 요크와 하우징에 걸림구조를 형성하여 요크를 하우징에 고정시키는 소형 스피커 유닛이 있으며, 도 1을 참조하여 종래 기술에 따른 이러한 소형 스피커 유닛을 설명한다.
종래에는 걸림 구조를 이용해 하우징에 요크를 부착할 경우, 요크(10)의 원통형 수용부(11) 둘레에 절삭 가공에 의한 홈(12)을 형성하고, 하우징(20) 내부에는 상기 요크(10)를 조립했을 때 상기 홈(12)에 대응하는 위치와 형상을 갖는 걸림부(22)를 마련하여 두 구조가 서로 결합되도록 하여 고정시켜 왔다.
그러나 이러한 방법은 프레스 가공 등으로 요크를 먼저 제작한 뒤, 후처리로 절삭에 의해 홈을 형성해야 하므로 제조 공정이 증가하고, 이러한 제조 공정의 증가로 인해 제조비가 크게 상승하며, 별도로 진행하는 절삭작업 또한 매우 번거로운 문제점을 갖고 있었다.
또한, 상기와 같은 구조의 절삭홈을 대신해 요크에 돌출부를 형성하여 하우징과 결합시키는 방법이 있었으나, 이러한 방법은 상기 돌출부로 인해 억지끼움과 같은 효과를 갖게 되어 하우징 내부에 손상을 입힐 수도 있었으며, 역시 요크 제작 후 후처리를 필요로 하여 제조단가가 상승하는 단점이 있었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본 고안의 목적은 하우징에 요크를 억지 끼워맞춤 하거나 접착제로 고정시키지 않아 제품 내부의 손상을 줄이고 불량율을 낮출 수 있는 소형 스피커 유닛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요크 제작을 위한 프레스 가공시 압입홈을 함께 형성하여 제조 공정수를 줄임으로서 제조비를 절감할 수 있는 소형 스피커 유닛을 제공하는 것이다.
도 1 은 종래 기술에 따른 소형 스피커 유닛의 하우징과 요크를 도시한 사시도.
도 2 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소형 스피커 유닛의 조립 단면도.
도 3 은 본 고안의 다른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소형 스피커 유닛의 하우징과 요크의 분해 사시도.
도 4 는 본 고안의 또 다른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소형 스피커 유닛의 조립 단면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30,130,230 : 요크 31,131,231 : 원통형 수용부
32,132,133 : 플랜지 33,133,233 : 압입홈
70,170,270 : 하우징 71,171,271 : 돌기
72,172,272 : 지지부
이를 위해 본 고안의 소형 스피커 유닛은, 원통형 수용부를 가지며, 상기 수용부를 둘러싸고 형성된 압입홈을 구비하는 요크; 상기 요크의 수용부 내에 배치되어 자기장을 형성하는 자석; 상기 자석을 에워싸도록 요크의 수용부에 배치되고 상기 자석에 의해 생성된 자기장과 전류의 작용에 의해 진동하는 보이스 코일; 상기 보이스 코일에 부착되어 상기 코일의 진동을 전달받아 음파를 생성하는 진동판; 및 내부에 상기 요크의 압입홈과 대응하는 돌기를 구비하며, 상기 요크를 고정 가능하게 부착하는 하우징을 포함한다.
상기 압입홈은 소정의 간격을 두고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압입홈은 원형상의 단면을 가질 수도 있다.
이하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소형 스피커 유닛을 설명한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소형 스피커 유닛(1)은, 원통형 수용부(31)를 가지며, 상기 수용부(31)를 둘러싸고 형성된 압입홈(33)을 구비하는 요크(30); 상기 요크(30)의 수용부(31) 내에 배치되어 자기장을 형성하는 자석(40); 상기 자석(40)을 에워싸도록 요크(30)의 수용부(31)에 배치되고 상기 자석(40)에 의해 생성된 자기장과 전류의 작용에 의해 진동하는 보이스 코일(50); 상기 보이스 코일(50)에 부착되어 상기 코일(50)의 진동을 전달받아 음파를 생성하는 진동판(60); 및 내부에 상기 요크(30)의 압입홈(33)과 대응하는 돌기(71)를 구비하며, 상기 요크(30)를 고정 가능하게 수용하는 하우징(70)을 포함한다.
상기 요크(30)는 내부에 소정 공간을 갖는 원통형 수용부(31)와, 상기 원통형 수용부(31)의 일단으로부터 방사상으로 수직 연장된 뒤 다시 수직 상방으로 절곡되는 플랜지부(32)를 포함한다.
상기 원통형 수용부(31)의 둘레에는 원통형 수용부(31)의 둘레를 따라 일정한 폭으로 압입홈(33)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압입홈(33)은, 금형으로 요크(30)를 형성할 때, 상기 금형 자체에 상기 압입홈(33)을 위한 구조가 마련되어 있어서, 요크(30)와 동시에 형성된다. 따라서 별도의 절삭과정 없이 금형만으로 압입홈(33)을 형성할 수 있으므로, 절삭과정 또는 돌출부 형성과정과 같은 후처리를 할 필요가 없어진다.
자석(40)은 상기 원통형 수용부(31) 내에 플레이트(80)와 함께 배치되고, 그 위에 상기 자석(40)과 플레이트(80)를 둘러싸는 형태로 보이스 코일(50)이 배치된다.
상기 코일(50)은 진동판(60)의 하면에 부착되고, 진동판(60)의 에지(61)는 요크(30)의 플랜지부(32)에 의해 지지되도록 배치된다.
하우징(70)은 전술한 바와 같이, 자석(40), 코일(50) 및 진동판(60)이 배치된 요크(30)를 고정 가능하게 수용하기 위하여 상기 요크(30)의 압입홈(33)과 대응하는 돌기(71)를 구비한다.
상기 돌기(71)는 하우징(70)의 개방부로부터 요크(30)를 삽입할 때, 압입홈(33)이 형성되어 있지 않은 요크(30)의 원통형 수용부(31)의 다른 부분에 상기 돌기(71)가 걸리지 않도록 하기 위하여 돌기(71) 상단에서 하우징(70) 내부를향해 소정 각도의 경사를 이루는 갈고리와 같은 형상을 갖는다.
상기 갈고리 형상의 돌기(71)로 인해 압압홈(33)에 상기 돌기(71)가 미끄러지듯 들어가게 되어 상기 요크(30)와 하우징(70)이 고정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상기 돌기(71)는 안정적인 지지를 위하여 상기 돌기(71)의 일측에서 연장되어 상기 하우징(70) 내벽까지 이어지는 지지부(72)와 연결되어 지지된다.
상기 하우징(70)의 지지부(72)는 상기 요크(30)의 압입홈(33)에 대응하도록 원통 형상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3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다른 실시예에 따른 소형 스피커 유닛(100)의 요크(130)와 하우징(170)의 사시도이다.
요크(130)는 내부에 소정 공간을 갖는 원통형 수용부(131)와, 상기 원통형 수용부(131)의 일단으로부터 방사상으로 수직 연장된 뒤 다시 수직 상방으로 절곡되는 플랜지부(132)를 포함한다.
상기 원통형 수용부(131)에는 수용부(131)의 둘레를 따라 소정의 폭과 길이를 갖는 압입홈(133)이 소정의 간격을 두고 형성되어 있다.
상기 압입홈(133)은, 금형으로 요크(130)를 형성할 때, 상기 금형 자체에 상기 압입홈(133)을 위하여 소정의 간격을 갖는 형상 구조가 마련되어 있어서, 요크(130)와 동시에 형성된다. 따라서 별도의 절삭과정 없이 금형만으로 압입홈(133)을 형성할 수 있으므로, 절삭과정 또는 돌출부 형성과정과 같은 후처리를 할 필요가 없어진다.
상기 하우징(170)의 내부에는 상기 요크(130)에 형성된 압입홈(133)에 걸릴수 있도록 소정의 갈고리 형상을 갖는 돌기(171)가 구비되어 있다. 상기 돌기(171)는 안정적인 지지를 위하여 상기 돌기(171)의 일측에서 연장되어 상기 하우징(170) 내벽까지 이어지는 지지부(172)와 연결되어 지지된다.
상기 지지부(172)는 압입홈(133)이 형성되어 있는 상기 요크(130)의 원통형 수용부(131)와 대응하는 형상의 원호형 단면을 갖는 부분 원통 형상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며, 지지부(172)는 일체로 성형되고 돌기(171)는 소정의 간격을 두고 부분적으로 배치된 형상을 가질 수도 있다.
도 4를 참조하여, 본 고안의 또 다른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소형 스피커 유닛(200)의 요크(230)와 하우징(270)을 설명하면, 요크(230)는 내부에 소정 공간을 갖는 원통형 수용부(231)와, 상기 원통형 수용부(231)의 일단으로부터 방사상으로 수직 연장된 뒤 다시 수직 상방으로 절곡되는 플랜지부(232)를 포함한다.
요크(230)의 상기 원통형 수용부(231)의 둘레에는 원통형 수용부(231)의 둘레를 따라 소정의 간격을 두고 형성되며 단면이 원형상인 압입홈(233)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압입홈(233)은, 금형으로 요크(230)를 형성할 때, 상기 금형 자체에 상기 압입홈(233)을 위하여 단면이 원형이며 소정의 간격을 갖는 형상구조가 마련되어 있어서, 요크(30)와 동시에 형성된다. 따라서 별도의 절삭과정 없이 금형만으로 압입홈(33)을 형성할 수 있으므로, 절삭과정 또는 돌출부 형성 과정과 같은 후처리를 할 필요가 없어진다.
상기 압입홈(233)은 단면이 원형상이며 소정의 높이를 갖는 다수의 원통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으나, 형상과 개수는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하우징(270)은, 내부에 상기 요크(230)에 형성된 압입홈(233)에 걸릴 수 있도록 소정 형상의 돌기(271)를 구비하고, 상기 돌기(271)의 일측에서 연장되어 상기 하우징(270) 내벽까지 이어지는 지지부(272)를 구비한다.
상기 돌기(271)는 하우징(270)의 개방부로부터 요크(230)를 삽입할 때, 압입홈(233)이 형성되어 있지 않은 원통형 수용부(231)의 다른 부분에 상기 돌기(271)가 걸리지 않도록 하기 위하여 반구 형상을 갖는다.
상기 반구 형상의 돌기(271)로 인해 압입홈(233)에 돌기(271)가 미끄러지듯 들어가게 되어 상기 요크(230)와 하우징(270)이 고정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지지부(272)는 상기 요크(230)의 원형 압입홈(233)에 대응하도록 복수개가 구비되거나, 일체로 이어진 원통 형상의 지지부(272)와, 부분적으로 형성되어 있는 상기 다수의 돌기(271)들이 이어져 있는 형태를 가질 수도 있다.
이상의 실시예를 통하여 설명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요크는 원통형 수용부 측면에 금형에 의해 요크와 동시에 압입홈을 형성할 수 있으므로 공정수와 제조시간을 단축할 수 있으며, 그에 따른 제조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요크는 또한, 하우징에 요크를 억지끼워맞춤 하거나 접착제로 고정시키지 않기 때문에 제품 내부의 손상을 줄이고 불량율을 낮출 수도 있다.
본 고안은 전술한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로 기술되었지만, 해당 기술 분야의 당업자는 본 고안의 기술사상 범위 내에서 본 고안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할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Claims (3)

  1. 원통형 수용부를 가지며, 상기 수용부를 둘러싸고 형성된 압입홈을 구비하는 요크;
    상기 요크의 수용부 내에 배치되어 자기장을 형성하는 자석;
    상기 자석을 에워싸도록 요크의 수용부에 배치되고 상기 자석에 의해 생성된 자기장과 전류의 작용에 의해 진동하는 보이스 코일;
    상기 보이스 코일에 부착되어 상기 코일의 진동을 전달받아 음파를 생성하는 진동판; 및
    내부에 상기 요크의 압입홈과 대응하는 돌기를 구비하며, 상기 요크를 고정 가능하게 수용하는 하우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형 스피커 유닛.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압입홈은 소정의 간격을 두고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형 스피커 유닛.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압입홈은 단면이 원형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형 스피커 유닛.
KR20-2004-0004851U 2004-02-24 2004-02-24 소형 스피커 유닛 KR200351435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4-0004851U KR200351435Y1 (ko) 2004-02-24 2004-02-24 소형 스피커 유닛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4-0004851U KR200351435Y1 (ko) 2004-02-24 2004-02-24 소형 스피커 유닛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51435Y1 true KR200351435Y1 (ko) 2004-05-24

Family

ID=4943078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4-0004851U KR200351435Y1 (ko) 2004-02-24 2004-02-24 소형 스피커 유닛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51435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221773B2 (en) Oval speaker apparatus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KR100973970B1 (ko) 다기능형 진동 액추에이터 및 휴대용 통신 기기
EP2566192B1 (en) Ultra-slim speaker unit capable of improving low-pitched sound characteristic and sound pressure
JP3942813B2 (ja) スピーカおよびその組立方法
JP2010288099A (ja) スピーカ
CN101983514B (zh) 传感信号输出装置
CN108307275B (zh) 高音扬声器及其制造方法和音效再现方法
JP4386327B2 (ja) スピーカ装置
EP2131606A2 (en) Speaker
US20120177244A1 (en) Speaker
US7899202B2 (en) Loudspeaker with cone-coupled damper
US8094867B2 (en) Speaker, yoke thereof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yoke
JP2005269338A (ja) スピーカ装置及びその製造方法
US20080002850A1 (en) Speaker and manufacturing method
US20050226458A1 (en) Speaker
KR101150508B1 (ko) 스피커 프레임 및 이를 사용한 스피커
KR101605703B1 (ko) 슬림형 마이크로스피커
WO2009093777A1 (en) Flate speaker
KR102085840B1 (ko) 음향 변환 장치
KR200351435Y1 (ko) 소형 스피커 유닛
JP2004023200A (ja) 電気音響変換器およびその製造方法
US20130011001A1 (en) Speaker system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JP2013145994A (ja) 動電型スピーカーおよびその製造方法
KR20040107014A (ko) 스피커용 리드 단자 일체형 댐퍼
KR101883449B1 (ko) 댐퍼 진동판을 구비한 방수 마이크로 스피커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10329

Year of fee payment: 8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