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51375Y1 - 착탈식 복합 조리용기 - Google Patents

착탈식 복합 조리용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51375Y1
KR200351375Y1 KR20-2004-0006286U KR20040006286U KR200351375Y1 KR 200351375 Y1 KR200351375 Y1 KR 200351375Y1 KR 20040006286 U KR20040006286 U KR 20040006286U KR 200351375 Y1 KR200351375 Y1 KR 200351375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ainer
vessel
frying pan
shape
po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4-0006286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허은영
Original Assignee
허은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허은영 filed Critical 허은영
Priority to KR20-2004-0006286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51375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51375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51375Y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27/00Cooking-vessels
    • A47J27/12Multiple-unit cooking vessels
    • A47J27/13Tier cooking-vessel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27/00Cooking-vessels
    • A47J27/002Construction of cooking-vessels; Methods or processes of manufacturing specially adapted for cooking-vessel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7/00Baking; Roasting; Grilling; Frying
    • A47J37/10Frying pans, e.g. frying pans with integrated lids or basting devices
    • A47J37/108Accessories, e.g. inserts, plates to hold food down during frying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45/00Devices for fastening or gripping kitchen utensils or crockery
    • A47J45/06Handles for hollow-ware articles
    • A47J45/061Saucepan, frying-pan handl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Cookers (AREA)
  • Frying-Pans Or Fryers (AREA)

Abstract

개시된 내용은 프라이팬 형상으로 되어 있는 상부용기 하나를 프라이팬 형상으로 된 하부용기 또는 냄비 형상으로 된 하부용기에 선택적으로 힌지 결합하여 사용할 수 있게 한 착탈식 복합 조리용기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본 고안은 동일 직경으로 된 상부용기와 하부용기가 일측에서 서로 힌지결합되고, 상부용기와 하부용기의 각 힌지부 반대측으로는 손잡이가 각각 구비되어 이루어지는 조리용기에 있어서, 상부용기로는 프라이팬 형상으로 된 것 하나만 구비되고, 하부용기로는 프라이팬 형상으로 된 것과 냄비 형상으로 된 것 2개가 각각 구비되며, 상부용기의 힌지부는 양측에 결합돌기가 측방으로 돌출 형성되어 이루어지고, 하부용기의 힌지부는 결합돌기에 대응되도록 양측에 결합공이 측방으로 관통형성되어 상부용기를 2개의 하부용기에 선택 사용할 수 있게 구성된 것으로, 이와 같이 하면 상부용기를 원하는 대로 떼내어 다른 용기에 결합 사용할 수 있어 사용상 편의성을 도모할 수 있는 것이다.

Description

착탈식 복합 조리용기{Attach and detach type multiple cooking receptacle}
본 고안은 착탈식 복합 조리용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프라이팬 형상으로 되어 있는 상부용기 하나를 프라이팬 형상으로 된 하부용기 또는 냄비 형상으로 된 하부용기에 선택적으로 힌지 결합하여 사용할 수 있게 한 것이다.
주지하다시피, 주방용 조리용기는 솥, 냄비, 프라이팬 등이 있으며, 이들은 각기 다른 형상을 가지고 각각의 용도에 맞게 사용되고 있다.
따라서, 일반적인 가정에는 많은 수의 주방용 조리용기가 구비될 수밖에 없어 가정내에서도 비좁은 주방이 더욱 비좁게 되어 행동이 불편해지고, 조리에 소요되는 시간이 증가하며, 싱크대의 외부로 주방용 조리용기가 노출될 수밖에 없어 외관상으로도 매우 지저분해지는 문제가 있었다.
이를 감안하여 최근에는 프라이팬 형상으로 된 상부용기와 하부용기가 이들 손잡이의 반대측에서 힌지결합되어 이루어진 양면 프라이팬이 등장하였으나, 이러한 양면 프라이팬은 상부용기와 하부용기가 모두 프라이팬으로 구성되는 것이므로 튀김요리만 가능한 단점이 있었던 바, 본 출원인은 등록실용신안 제 318987 호에서 일측은 프라이팬 형상으로, 타측은 냄비 형상으로 각각 구성하여 서로 힌지 결합함으로써 프라이팬과 냄비를 선택 사용할 수 있게 하고, 냄비에 찜기를 걸어 찜통으로도 사용할 수 있게 한 복합 조리용기를 개시한 바 있다.
그러나, 양면 프라이팬의 경우 굽거나 튀겨지는 음식물을 뒤지개를 사용하지 않고 프라이팬의 손잡이만을 잡고 그대로 돌리면 쉽게 뒤집을 수 있는 기능성을 가지고 있는데 반해, 등록실용신안 제 318987 호에 따른 복합 조리용기의 경우 상기한 양면 프라이팬의 뒤집기 기능을 수행할 수 없는 단점이 있어 이 역시 사용상 한계가 있는 것이라 할 수 있다.
또한, 냄비의 경우 그 용적 부위에 국물과 내용물이 채워지게 되는데 대해 등록실용신안 제 318987 호에 따른 복합 조리용기의 경우 손잡이가 편수로 되어 있으므로 냄비에 내용물이 채워진 상태에서는 들어 옮기기가 매우 힘든 단점도 있다.
한편, 양면 용기의 경우 상부용기와 하부용기를 서로 밀착시키면 내부의 공기가 빠져나갈 공간이 없어 용기 내부의 압력이 매우 높아지며, 이럴 경우에는 위험한 상황이 연출될 수 있으므로 통상의 양면 용기는 손잡이 반대측에 압력 배출공을 형성하게 되나, 이러한 압력 배출공을 통해 압력이 빠져나가면서 수증기, 기름 등이 같이 분사되어 주방이 매우 지저분해지는 단점이 있었다.
본 고안은 이러한 점을 감안하여 제안된 것으로, 상부용기로는 프라이팬 형상으로 된 것 하나만 구비하고, 하부용기로는 프라이팬 형상으로 된 것과 냄비 형상으로 된 것 2개를 각각 구비하여, 하나의 상부용기를 2개의 하부용기에 선택적으로 힌지 결합하여 사용할 수 있게 함으로써 사용상 편의성을 도모하면서 양면 프라이팬의 효과와, 일측 프라이팬 일측 냄비의 효과를 동시에 도모할 수 있도록 하는 착탈식 복합 조리용기를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다른 견지로는, 압력 배출공의 앞쪽에 상방향으로 압력 배출공을 커버하는 막음판을 설치하여 압력 배출공을 통해 나오는 증기 또는 기름을 받아냄으로써 조리공간이 지저분해지는 것을 방지하고자 하는 것이다.
또 다른 견지로는, 냄비 형상으로 된 하부용기의 손잡이 반대측에 보조 손잡이를 구비하여 무게가 무거운 용기를 양손으로 들어 옮길 수 있도록 함으로써 사용상 편의성을 도모하도록 하는 것이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착탈식 복합 조리용기의 분해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착탈식 복합 조리용기의 결합단면도로서,
도 2a는 상하 양면이 플라이팬 형상의 용기로만 결합된 경우.
도 2b는 프라이팬 형상으로 된 것과 냄비형상으로 된 것이 결합된 경우.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0 : 상부용기 200,200' : 하부용기
110,210,210' : 힌지부 101,201,201' : 손잡이
102,202,202' : 압력배출공 105,205,205' : 돌출테
111 : 결합돌기 203,203' : 막음판
204,204' : 하부용기 본체 206' : 보조 손잡이
207' : 받침돌기 208' : 망
209,209' : 패킹 211,211' : 결합공
이하, 본 고안을 제시되는 실시예에 따라 구체화한다.
본 고안에 따른 착탈식 복합 조리용기는 도 1 및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동일 직경으로 된 상부용기(100)와 하부용기(200)(200')가 일측에서 서로 힌지결합되고, 상부용기(100)와 하부용기(200)(200')의 각 힌지부(110)(210)(210') 반대측으로는 손잡이(101)(201)(201')가 각각 구비되어 이루어지는 조리용기에 있어서, 상부용기(100)로는 프라이팬 형상으로 된 것 하나만 구비되고, 하부용기(200)(200')로는 프라이팬 형상으로 된 것(200)과 냄비 형상으로 된 것(200') 2개가 각각 구비되며, 상부용기(100)의 힌지부(110)는 양측에 결합돌기(111)가 측방으로 돌출 형성되어 이루어지고, 하부용기(200)(200')의 힌지부(210)(210')는 결합돌기(111)에 대응되도록 양측에 결합공(211)(211')이 측방으로 관통형성되어 상부용기(100)를 2개의 하부용기(200)(200')에 선택 사용할 수 있게 구성된 것이다.
또한, 상부용기(100)와 하부용기(200)(200')의 사이 손잡이(101)(201)(201') 반대측에는 압력배출공(102)(202)(202')이 형성되고, 압력배출공(102)(202)(202')의 전면을 일정간격 이격된 상태로 막아줄 수 있도록 상방향으로 경사진 막음판(203)(203')이 하부용기(200)(200')의 본체(204)(204')와 힌지부(210)(210')에 일체로 형성되며, 하부용기(200)(200') 중 냄비 형상으로 된 것(200')의손잡이(201') 반대측에는 보조 손잡이(206')가 더 구비된다.
또한, 각 용기(100)(200)(200')의 바닥면에는 열기의 확산을 막아줄 수 있도록 다단의 돌출테(105)(205)(205')가 형성되는데, 이 돌출테(105)(205)(205')는 꽃잎문양, 크로버 문양 등 다양하게 형성하여 외관상 미려함을 도모할 수 있으며, 하부용기(200)(200') 중 냄비 형상으로 된 것(200')의 본체(204') 내부 양측에는 대칭되게 3개씩의 받침돌기(207')가 형성되고, 이 3개씩의 받침돌기(207')에 걸릴 수 있도록 대칭되는 형상의 망(208')이 각각 구비되어 찜요리 또는 튀김요리시 1개 또는 2개를 걸어 사용할 수 있게 구성된다.
도면상의 미설명 부호 209,209'는 상부용기(100)와 하부용기(200)(200')의 사이를 밀착시켜주는 패킹을 나타낸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에 따른 착탈식 복합 조리용기는 다음과 같은 작용을 한다.
먼저, 양면 용기를 구성하는 상부용기와 하부용기가 모두 프라이팬 형상으로 되어 있으면 조리물을 뒤집기 편리한 장점이 있는 반면 그 기능이 단순한 단점이 있고, 상부용기는 프라이팬 하부용기는 냄비 형상으로 된 경우에는 그 기능이 다양해지는 장점은 있으나 조리물을 뒤집는 기능을 수행할 수 없는 단점이 있었던 바, 본 고안에서는 상부용기(100)는 프라이팬 형상으로 구성하고, 하부용기(200)(200')는 프라이팬 형상으로 된 것(200)과 냄비형상으로 된 것(200') 2개를 구비하며, 상부용기(100)가 하부용기(200)(200')와 착탈가능하게 구성한 것으로, 이와 같이 하면 요리하는 사람의 의도에 따라 원하는 형태로 결합사용할 수 있어 상기한 2가지의 장점을 모두 취할 수 있게 된다.
이때, 상부용기(100)가 하부용기(200)(200')에 착탈은 가능하지만 그 힌지부(110)를 일측 하부용기(200)(200')의 힌지부(210)(210')에 끼웠을 때 너무 쉽게 빠져나가면 안되며, 이와 동시에 각 힌지부(110)(210)(210')의 결합위치를 쉽게 해제할 수 있어야 하므로 결합돌기(111)와 결합공(211)(211')의 길이는 1∼1.3㎝ 정도로 적정하게 구성해야 한다.
또한, 본 고안에 따른 착탈식 복합 조리용기는 상부용기(100)와 하부용기(200)(200')의 사이 손잡이(101)(201)(201') 반대측에 압력배출공(102)(202)(202')이 형성되고, 압력배출공(102)(202)(202')의 전면을 일정간격 이격된 상태로 막아줄 수 있도록 상방향으로 경사진 막음판(203)(203')이 하부용기(200)(200')의 본체(204)(204')와 힌지부(210)(210')에 일체로 형성되어 이루어진 것이므로 조리 중 압력이 압력배출공(102)(202)(202')을 통해 빠져나가면서 증기 또는 기름이 같이 빠져나갈 때 막음판(203)(203')이 이를 막아주어 조리용기의 전방으로 증기 또는 기름이 분사 및 비산되지 않으며, 막음판(203)(203')은 경사지게 형성되어 있고, 하부용기(200)(200')의 본체(204)(204')와 힌지부(210)(210')의 사이에 공간을 형성하고 있으므로 물 또는 기름이 이 공간에 고이게 되며, 이를 조리가 끝난 후 따라내어 버리면 되는 것이다.
아울러, 하부용기(200)(200') 중 냄비 형상으로 된 것(200')의 손잡이(201') 반대측에는 보조 손잡이(206')가 더 구비되므로 하부용기(200')에 내용물이 채워진 상태에서 손잡이(201')와 함께 보조 손잡이(206')를 양손으로 같이 들어주면 용기를 쉽게 들 수 있어 사용이 매우 편리해지고, 화상 등의 위험성을 낮출 수 있는 것이다.
한편, 각 용기(100)(200)(200')의 바닥면에는 열기의 확산을 막아줄 수 있도록 다단의 돌출테(105)(205)(205')가 구성되므로 하부로부터 가해지는 버너의 화기가 돌출테(105)(205)(205')에 의해 막혀 외부로 확산되는 양이 현저히 줄게 되며, 이와 같이 열기가 각 용기(100)(200)(200')의 바닥부에 집중되면 열손실이 적어 같은 량의 연료를 사용했을 경우 열효율이 높아지고, 같은 열효율을 가질 경우 연료의 소모량을 줄일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하부용기(200)(200') 중 냄비 형상으로 된 것(200')의 본체(204') 내부 양측에는 대칭되게 3개씩의 받침돌기(207')가 형성되고, 이 3개씩의 받침돌기(207')에 걸릴 수 있도록 대칭되는 형상의 망(208')이 각각 구비되는 것이므로 찜요리 또는 튀김요리시 망(208') 1개 또는 2개를 받침돌기(207')에 걸어 사용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하부용기(200') 또는 상부용기(100)에 망(208')을 걸기 위한 별도의 홈을 형성하지 않아도 되므로 하부용기(200')와 상부용기(100) 사이의 밀착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이점도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은 상부용기는 프라이팬 형상으로 된 것 하나만 구비되고, 하부용기는 프라이팬 형상으로 된 것과 냄비 형상으로 된 것 2개로 구비되어 상부용기와 하부용기가 서로 착탈가능하게 구성되는 것이므로 상부용기를 원하는 대로 떼내어 다른 용기에 결합 사용할 수 있어 사용상 편의성을 도모할 수 있으며, 용기의 손잡이 반대측에 압력배출공과 막음판이 위치되므로 압력은 원활히 배출시키면서 증기 또는 기름이 용기의 전방으로 분사 또는 비산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하부용기가 냄비 형상인 것의 손잡이 반대측에는 손잡이가 구비되어 있어 이를 들어 옮기가 편리하며, 또 냄비 형상의 용기 내부에 망을 걸 수 있어 찜요리 또는 튀김요리하기에 매우 편리하고, 각 용기의 바닥부에는 열기확산을 막을 수 있는 돌출테가 구비되어 열효율을 높일 수 있는 매우 유용한 효과가 있는 것이다.

Claims (5)

  1. 동일 직경으로 된 상부용기(100)와 하부용기(200)(200')가 일측에서 서로 힌지결합되고, 상기 상부용기(100)와 상기 하부용기(200)(200')의 각 힌지부(110)(210)(210') 반대측으로는 손잡이(101)(201)(201')가 각각 구비되어 이루어지는 조리용기에 있어서,
    상기 상부용기(100)로는 프라이팬 형상으로 된 것 하나만 구비되고, 상기 하부용기(200)(200')로는 프라이팬 형상으로 된 것(200)과 냄비 형상으로 된 것(200') 2개가 각각 구비되며, 상기 상부용기(100)의 힌지부(110)는 양측에 결합돌기(111)가 측방으로 돌출 형성되어 이루어지고, 상기 하부용기(200)(200')의 힌지부(210)(210')는 상기 결합돌기(111)에 대응되도록 양측에 결합공(211)(211')이 측방으로 관통형성되어 상기 상부용기(100)를 상기 2개의 하부용기(200)(200')에 선택 사용할 수 있게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착탈식 복합 조리용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용기(100)와 상기 하부용기(200)의 사이 손잡이(101)(201)(201') 반대측에는 압력배출공(102)(202)(202')이 형성되고, 상기 압력배출공(102)(202)(202')의 전면을 일정간격 이격된 상태로 막아줄 수 있도록 상방향으로 경사진 막음판(203)(203')이 상기 하부용기(200)(200')의 본체(204)(204')와 힌지부(210)(210')에 일체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착탈식복합 조리용기.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용기(200)(200') 중 냄비 형상으로 된 것(200')의 손잡이(201') 반대측에 보조 손잡이(206')가 더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착탈식 복합 조리용기.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각 용기(100)(200)(200')의 바닥면에는 열기의 확산을 막아줄 수 있도록 다단의 돌출테(105)(205)(205')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착탈식 복합 조리용기.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용기(200)(200') 중 냄비 형상으로 된 것(200')의 본체(204') 내부 양측에는 대칭되게 3개씩의 받침돌기(207')가 형성되고, 상기 3개씩의 받침돌기(207')에 걸릴 수 있는 대칭되는 형상의 망(208')이 각각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착탈식 복합 조리용기.
KR20-2004-0006286U 2004-03-09 2004-03-09 착탈식 복합 조리용기 KR200351375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4-0006286U KR200351375Y1 (ko) 2004-03-09 2004-03-09 착탈식 복합 조리용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4-0006286U KR200351375Y1 (ko) 2004-03-09 2004-03-09 착탈식 복합 조리용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51375Y1 true KR200351375Y1 (ko) 2004-05-22

Family

ID=4943073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4-0006286U KR200351375Y1 (ko) 2004-03-09 2004-03-09 착탈식 복합 조리용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51375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08033B1 (ko) * 2013-01-28 2013-09-12 주식회사 실바트 다용도 조리용기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08033B1 (ko) * 2013-01-28 2013-09-12 주식회사 실바트 다용도 조리용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A2299114A1 (en) Cooking pot with reversible multi-function top
USD463948S1 (en) Combined camp stove, grill, oven and smoker
US6401602B1 (en) Multi-purpose cooking pan
KR200351375Y1 (ko) 착탈식 복합 조리용기
US20080072768A1 (en) Food steamer
JP2007267872A (ja) 調理器具
FR2902630B1 (fr) Appareil electromenager avec logement de rangement
KR20110000512U (ko) 직화형 후라이팬
JP2588141B2 (ja) 組合せ調理鍋
CN205758298U (zh) 一种多功能鱼锅
KR20170105835A (ko) 뜰채가 구비된 냄비
KR200390741Y1 (ko) 다중 조리가 가능한 솥
KR20060095421A (ko) 다중 조리가 가능한 솥
JP3079120U (ja) 蒸し鍋
CN208709548U (zh) 一种新型多功能烹饪锅
KR200279277Y1 (ko) 개량된 찜기
CN201019499Y (zh) 安全节能锅
JP3872485B2 (ja) 搾り、乾燥皿、及び二重蓋付き鍋
KR101166531B1 (ko) 연료 절약형 조리용기
KR200341652Y1 (ko) 뒤집개 꽂이가 구비된 프라이팬의 손잡이
KR200346292Y1 (ko) 다기능 주전자
KR200215655Y1 (ko) 다용도 찜통
KR200352899Y1 (ko) 다용도 집열식 조리용기
KR20040053051A (ko) 다용도 구이용불판
KR200291026Y1 (ko) 냄비뚜껑 받침대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T601 Decision on revocation of utility model registration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