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51330Y1 - 빗물받이 받침 성형용 금형 - Google Patents

빗물받이 받침 성형용 금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51330Y1
KR200351330Y1 KR20-2004-0005159U KR20040005159U KR200351330Y1 KR 200351330 Y1 KR200351330 Y1 KR 200351330Y1 KR 20040005159 U KR20040005159 U KR 20040005159U KR 200351330 Y1 KR200351330 Y1 KR 200351330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ending
punch
die
mold
emboss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4-0005159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남영
Original Assignee
박남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남영 filed Critical 박남영
Priority to KR20-2004-0005159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51330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51330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51330Y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WORKING OR PROCESSING OF SHEET METAL OR METAL TUBES, RODS OR PROFILES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37/00Tools as parts of machines covered by this subclass
    • B21D37/08Dies with different parts for several steps in a proces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WORKING OR PROCESSING OF SHEET METAL OR METAL TUBES, RODS OR PROFILES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43/00Feeding, positioning or storing devices combined with, or arranged in, or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connection with, apparatus for working or processing sheet metal, metal tubes or metal profiles; Associations therewith of cutting devices
    • B21D43/28Associations of cutting devices therewith
    • B21D43/285Devices for handling elongated articles, e.g. bars, tubes or profil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Bending Of Plates, Rods, And Pip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재료를 받쳐주는 밀핀 및 밀판과, 상기 밀핀 일측에 위치되는 스토퍼와, 상기 스토퍼의 하부에 위치되는 제1커팅홈과, 상기 밀핀 사이에 설치되어 재료에 엠보싱을 형성하는 엠보싱부와, 상기 엠보싱부 양측 끝단과 전방 중앙에 형성된 파일럿핀홀과, 이의 후방에 형성되어 상기 재료에 안내공을 형성하는 펀치홀과, 상기 좌,우측 전방의 형성되며 투입되는 재료의 칸살을 절단하는 제2,3커팅홈과, 상기 제2,3커팅홈 전방과 선단 중앙에 형성되며 벤딩다이가 결합되는 벤딩홈으로 구성되는 하부금형과, 상기 제1커팅홈에 부합되는 위치에 형성되어 재료의 일측을 절단하는 제1커터와, 상기 엠보싱부에 부합되는 위치에 형성되는 엠보싱펀치와 , 상기 파일럿핀홀과 부합되는 위치에 형성되어 재료의 위치를 조정하는 파일럿핀과, 상기 펀치홀의 형성 위치와 부합되는 위치에 형성되어 상기 재료에 안내공을 천공하는 안내공펀치와, 상기 제2,3커팅홈과 부합되는 위치에 형성되어 투입되는 재료의 칸살을 절단하는 제2,3커터와, 상기 벤딩홈 형성되는 벤딩다이와 부합되는 위치에 형성되어 재료를 벤딩하는 펀치로 구성된 상부금형을 형성함으로써, 빗물받이 받침을 대량 생산 할 수 있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빗물받이 받침 성형용 금형{A metal mold for forming of supporter rainwater guttering}
본 고안은 건물의 지붕으로부터 떨어지는 빗물을 집수관으로 흐르도록 해주는 빗물받이를 건물외벽에 고정시켜주는 용도로 사용하는 빗물받이 받침을 제작하기 위한 금형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투입된 재료가 금형을 따라 이동되면서 자동으로 엠보싱, 벤딩 및 커팅작업이 연속적으로 이루어지게 함으로써, 대량으로 빗물받이 받침을 생산 할 수 있도록 한 빗물받이 받침용 금형을 제공코자하는 것이다.
일반적으로 건물의 지붕에서 흘러내린 빗물을 모아 집수관으로 흘려 보낼 수 있도록 하기 위해 빗물받이가 설치되며 이를 안정적으로 지지하기 위해 빗물받이 받침이 설치된다.
한편, 이러한 빗물받이 받침의 구성을 살펴보면, 일측 끝단은 지붕재를 감싸듯 절곡되어 지붕재와 결합할 수 있도록 상측에는 일정거리를 두고 체결공이 형성되고 몸체는 물받이 형상으로 절곡 성형되며, 타측 끝단은 물받이의 내측으로 구부려 고정할 수 있도록 몸체의 폭보다 작은 폭으로 구성된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빗물받이 받침은 안정된 고정상태를 유지하기 위해 빗물받이를 감싼 형태로 지붕재와 고정이 이루어지므로 다수의 벤딩부가 형성된다.
따라서 빗물받이 받침은 다수의 벤딩부를 형성해야 하므로 성형공정이 매우 복잡하며, 그 공정들이 반 수작업으로 이루어지므로 생산력이 떨어지고, 숙련된 작업자에 의해서 작업이 이루어지므로 제조원가 높고 이에 따라 기업 경쟁력이 저하되는 문제점을 안고 있었다.
또한, 빗물받이 받침의 엠보싱, 벤딩, 커팅을 할 수 있는 기계장비는 있으나 그 공정들이 일체의 라인으로 연결되어 있지 않기 때문에 빗물받이 받침의 대량 생산이 어려우며 작업공정이 수작업으로 이루어지므로 재료낭비가 심한 문제점을 안고 있었다.
따라서 본 고안은 상기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본 고안의 목적은, 재료가 금형을 따라 이동되면서 엠보싱, 벤딩, 커팅작업이 자동으로 이루어지게 함으로써, 생산성을 대폭 향상시키고, 불필요한 재료낭비를 방지하며, 인건비를 절감하여 기업의 경쟁력을 높일 수 있도록 한 빗물받이 받침용 금형을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상,하부금형의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하부금형의 평면도.
도 3은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제1벤딩펀치 및 다이의 발췌 사시도.
도 4는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제2벤딩펀치 및 다이의 발췌 사시도.
도 5는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제3벤딩펀치 및 다이의 발췌 사시도.
도 6은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제4벤딩펀치 및 다이의 발췌 사시도.
도 7은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제5벤딩펀치 및 다이의 발췌 사시도.
도 8은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상부금형의 저면도.
도 9는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재료의 제1벤딩 단계를 도시한 단면도.
도 10은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재료의 제2벤딩 단계를 도시한 단면도.
도 11은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재료의 제3벤딩 단계를 도시한 단면도.
도 12는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재료의 제4벤딩 단계를 도시한 단면도.
도 13은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재료의 제5벤딩 단계를 도시한 단면도.
도 14는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재료의 성형과정을 도시한 사시도.
도 15는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재료의 벤딩 성형과정을 도시한 측면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사용된 부호의 설명>
10:상부금형 11:상부홀더 12:펀치받침
13:펀치고정판 14:압축편받침 15:압축편
16:가이드 부시 17:파일럿핀 18:음각 엠보싱부
20:하부금형 21:하부홀더 22:다이받침
23:다이 24:가이드포스트 25:밀핀
26:밀판 27:재료안내부 28:스토퍼
29:엠보싱부 30:재료 31:제1벤딩
32:제2벤딩 33:제3벤딩 34:제4벤딩
35:제5벤딩 36:안내공 37:칸살
38:엠보싱 39:노칭부 41:제1벤딩부
42:제2벤딩부 43:제3벤딩부 50:완제품
111:제1커터 112:제2커터 113:제3커터
114:제4커터 115:안내공펀치 121:제1벤딩펀치
122:제2벤딩펀치 123:제3벤딩펀치 124:제4벤딩펀치
125:제5벤딩펀치 211:제1커팅홈 212:제2커팅홈
213:제3커팅홈 214:제4커팅홈 215:펀치홀
216:파일럿핀홀 220:벤딩홈 221:제1벤딩다이
222:제2벤딩다이 223:제3벤딩다이 224:제4벤딩다이
225:제5벤딩다이 226:공간부 250:가이드홈
상기와 같은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해 본 고안은, 압축편과 상기 압축편을 받쳐주는 압축편받침과 상기 압축편받침 상측에 형성되며 펀치를 고정하는 펀치고정판과 이의 상측에는 펀치받침 및 상부홀더로 구성되는 상부금형과, 다이와 상기 다이를 받쳐주는 다이받침 및 하부홀더로 구성되는 하부금형으로 형성되어 프레스기의 작동에 의해 상기 상부금형의 가이드 부시가 하부금형의 가이드 포스트를 따라 승강 또는 하강하면서 제품을 성형하는 통상의 금형 있어서, 상면의 후방 양측으로 다수개가 형성되어 투입되는 재료의 양측면을 탄력적으로 받쳐주는 밀핀과, 상기 전방의 중앙에 하나 이상이 형성되어 투입되는 재료의 하부 중앙을 탄력적으로 지지하는 밀판과, 상기 좌우 양측으로 형성된 밀핀 중 일측에 형성되어 투입되는 재료의 일측면 보다 내측에 위치되어 상기 재료를 일시적으로 정지시키는 스토퍼와, 상기 스토퍼의 하부에 위치되어 상기 재료의 일측면을 부분적으로 절단 가공하는 제1커팅홈과, 상기 제1커팅 홈 전방의 밀핀 사이에 횡으로 설치되어 재료에 엠보싱을 형성하는 엠보싱부와, 상기 엠보싱부 양측 끝단과 전방 중앙에 형성된 밀핀의 양측면으로 형성되는 수개의 파일럿핀홀과, 상기 파일럿핀홀의 최 후방 바로 뒤에 형성되어 상기 재료의 칸살 양측 끝단과 중앙에 안내공을 형성하는 펀치홀과, 상기 좌측 최전방의 파일럿핀홀 전방으로 형성되며 투입되는 재료의 좌측 칸살이 절단되는 제2커팅홈과, 상기 우측 최전방의 파일럿핀홀의 전방으로 형성되며 투입되는 재료의 우측 칸살이 절단되는 제3커팅홈과, 상기 제2,3커팅홈 전방과 선단 중앙에 형성되며 내측에는 벤딩다이들이 삽입 결합되는 벤딩홈으로 구성되는 하부금형과; 상기 하부금형의 재료 성형부재들과 부합되는 위치에 성형부재들이 형성되는 것으로서, 상기 제1커팅홈에 부합되는 위치에 출몰 가능하도록 형성되어 투입되는 재료의 일측면의 일부분을 절단 가공하는 제1커터와, 상기 엠보싱부에 부합되는 위치에 출몰 가능하도록 형성되어 투입되는 재료에 엠보싱을 형성하는 음각 엠보싱부와, 상기 파일럿핀홀과 부합되는 위치에 형성되어 전공정에서 미리 뚫은 재료의 안내공을 기준으로 하여 다음 공정에서 재료의 위치를 정확하게 조정하는 수개의 파일럿핀과, 상기 펀치홀의 형성 위치와 부합되는 위치에 형성되어 상기 재료의 칸살 양측 끝단과 중앙에 안내공을 천공하는 안내공펀치와, 상기 제2커팅홈과 부합되는 위치에 형성되어 투입되는 재료의 좌측 칸살을 절단하는 제2커터와, 상기 제3커팅홈과 부합되는 위치에 형성되어 투입되는 재료의 우측 칸살을 절단하는 제3커터와 , 상기 벤딩홈 내측에 형성되는 벤딩다이들과 부합되는 위치에 형성되어 투입되는 재료의 좌, 우측을 벤딩 가공하는 펀치들로 구성되는 상부금형을;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고안의 밀핀의 상측에는 가이드홈을 형성하여 상기 재료의 양측면이 끼움되어 안정적인 상태로 이동될 수 있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고안의 벤딩홈 중 좌측에 형성된 벤딩홈에는, 상기 재료의 좌측 제1벤딩부가 V벤딩 가공에 의해 제1벤딩이 형성될 수 있도록 한 제1벤딩다이와, 상기 제1벤딩다이 전방으로 상기 재료의 좌측 제2벤딩부가 내향으로 기울어져 제4벤딩이 형성될 수 있도록 한 제4벤딩다이와, 상기 제1,4벤딩다이 사이의 벤딩홈 상면 인접부에 돌출 형태로 결합되는 것으로서, 상기 재료의 제2벤딩부를 직각이 되도록 하향으로 벤딩 가공하여 제2벤딩이 형성될 수 있도록 하고 상기 제4벤딩다이와 부합되어 상기 재료의 좌측 제1벤딩부가 내향으로 기울어져 제4벤딩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 제2벤딩다이가 형성되고, 상기 우측에 형성된 벤딩홈에는, 상기 재료의 우측이 파형의 형태로 벤딩 가공되어 제3벤딩이 형성될 수 있도록 한 제3벤딩다이가 결합되며, 상기 선단에 형성되는 벤딩홈에는, 상기 재료의 좌, 우측 제3,1벤딩부가 동시에 L벤딩으로 가공되어 제5벤딩이 형성될 수 있도록 한 제5벤딩다이가 결합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고안의 제5벤딩다이 상면 선단에는, 상기 상부금형의 제4커터와 부합되도록 제4커팅홈을 형성하여 상기 재료의 중앙 칸살을 절단할 수 있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고안의 제5벤딩다이 하부에는 공간부를 형성하여 상기 재료의 제5벤딩 가공이 이루어지면서 상기 재료의 좌측 제1벤딩부가 간섭없이 내측으로 삽입될 수 있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고안의 하부금형의 후방에 재료안내부를 형성하여 투입되는 재료의 양측면이 밀핀의 가이드홈에 용이하게 끼움될 수 있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고안의 하부금형의 벤딩홈에 결합되는 벤딩다이와 부합되도록 상부금형의 저면 위치에 벤딩펀치를 형성하되, 상기 제1벤딩다이와 부합되는 위치에는 제1벤딩펀치를 형성하여 재료의 좌측 제1벤딩부가 V벤딩 가공에 의해 제1벤딩이 형성될 수 있도록 하고, 상기 제2벤딩다이와 부합되는 위치에는 제2벤딩펀치를 형성하여 재료의 제2벤딩부를 직각이 되도록 하향으로 벤딩 가공하여 제1벤딩이 형성될 수 있도록 하며, 상기 제3벤딩다이와 부합되는 위치에는 제3벤딩펀치를 형성하여 재료의 우측이 파형의 형태로 벤딩 가공되어 제3벤딩이 형성될 수 있도록 하고, 상기 제4벤딩다이와 부합되는 위치에는 제4벤딩펀치를 형성하여 재료의 좌측 제2벤딩부가 내향으로 기울어져 제4벤딩이 형성될 수 있도록 하며, 상기 제5벤딩다이의 양측면과 부합되는 위치에는 재료의 좌, 우측 제3,1벤딩부가 동시에 L벤딩으로 가공되어 제5벤딩이 형성될 수 있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고안의 하부금형의 엠보싱부와 부합되는 위치에 형성되는 상부금형의 음각 엠보싱부의 전방으로 상기 재료의 엠보싱을 감쌀 수 있도록 다수개의 음각 엠보싱부를 형성하여 미리 성형된 상기 재료의 엠보싱이 다음 공정으로 진행할 때 상기 음각 엠보싱부와 일치를 이루면서 다음 공정으로 진행할 수 있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고안을 첨부되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구성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상, 하부금형(10,20)에 의해 성형되는 완제품(50)(“빗물받이 받침”이하 완제품으로 통칭한다.)은 상기 투입되는 철판 재료(30)가 엠보싱, 벤딩 및 커팅과정 등의 공정을 거치면서 완제품(50)으로 성형된다.
본 고안의 상, 하부금형(10,20)은 압축편(15)과 상기 압축편(15)을 받쳐주는 압축편받침(14)과 상기 압축편받침(14)의 상측에 위치하며 펀치가 고정되는 펀치고정판(13)과 상기 펀치고정판(13)을 고정하기 위한 펀치받침(12) 상부홀더(11)로 구성되는 상부금형(10)과, 상기 상부금형(10)의 바로 하부에 대향 설치되는 것으로서 다이(23)와 상기 다이(23)를 받쳐주는 다이받침(22) 및 하부홀더(21)로 구성되는하부금형(20)이, 프레스기(미도시)의 프레싱 작동에 의해 상기 상부금형(10)의 가이드 부시(16)가 상기 하부금형(20)의 가이드포스트(24)를 따라 승강 또는 하강하면서 제품을 성형하도록 구성되는 것으로서, 이러한 구성은 종래 일반적인 금형의 구성과 동일하다.
그러나 본 고안의 상, 하부금형(10,20)은, 완제품(50)을 성형하기 위한 엠보싱, 벤딩, 커팅 등을 하기 위한 성형부재의 구성은 종래의 상, 하부금형(10,20)과 차별되는 구성으로 이루어진다.
먼저, 본 고안의 주요 구성부인 상기 하부금형(20)의 구성에 대해 살펴보기로 한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하부금형(20)은, 상면의 후방에는 일반적으로 재료 자동공급기(미도시)에서 투입되는 철판 재료(30)의 최초 진입을 안내하는 재료안내부(27)가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재료안내부(27) 전방 양측에는 투입되는 재료(30)의 양측면을 탄력적으로 지지하는 다수개의 밀핀(25)이 형성되며, 상기 밀핀(25)이 형성된 일측부에는 공급되는 재료(30)를 일시적으로 정지시킨 후 일측면의 일부분을 커팅을 하기 위한 스토퍼(28)가 형성된다.
상기 스토퍼(28) 하부에는 상부금형(10)의 제1커터(111)와 부합되는 제1커팅홈(211)이 형성되며 상기 스토퍼(28) 전방 즉, 상부금형(10)의 음각 엠보싱부(18)와 부합되며 양측으로 형성된 상기 밀핀(25) 사이에 횡으로 형성되어 재료(30)에엠보싱(38)을 성형하기 위한 엠보싱부(29)가 형성된다.
이때, 상기 밀핀(25) 상부 일측에는 투입되는 재료(30)의 양측면을 안정적으로 잡아줄 수 있도록 가이드홈(250)이 형성되며, 상기 엠보싱부(29)는 재료(30)의 엠보싱(38)이 돌출 성형될 수 있도록 융기된 형태로 형성된다.
상기 엠보싱부(29)의 양측 끝단부 바로 후방과 중앙부의 바로 전방으로는 상기 상부금형(10)의 안내공펀치(115)와 부합되는 펀치홀(215)이 형성되며, 상기 펀치홀(215)의 전방으로는 상부금형(10)의 파일럿핀(17)에 부합되는 수개의 파일럿핀홀(216)이 형성된다.
상기 파일럿핀홀(216)은, 전 공정인 펀치홀(215)을 지나면서 재료(30)의 엠보싱(38)을 기준으로 상기 엠보싱(38) 성형부 후방의 칸살(37) 양측 끝단과 상기 엠보싱(38) 성형부 전방의 칸살(37) 중앙에 형성되는 안내공(36)과 일치되어 상기 안내공(36)의 간격만큼 재료(30)를 다음공정으로 정확하게 이동시키는 역할을 한다.
상기 엠보싱부(29)의 양측 끝단부에 형성되는 파일럿핀홀(216) 중 좌측 파일럿핀홀(216)의 바로 전방에는 상부금형(10)의 제2커터(112)와 부합되며 투입되는 재료(30)의 좌측 칸살(37)을 절단하는 제2커팅홈(212)이 형성된다.
또한, 상기 엠보싱부(28)의 양측 끝단부에 형성되는 파일럿핀홀(216) 중 우측 파일럿핀홀(216)의 바로 전방에는 상부금형(10)의 제3커터(113)와 부합되며 투입되는 재료(30)의 우측 칸살(37)을 절단하는 제3커팅홈(213)이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제2,3커팅홈(212,213) 전방과 중앙 선단에는 투입되는 재료(30)의 좌우측을 벤딩할 수 있도록 벤딩다이가 결합되는 벤딩홈(220)이 형성된다.
상기 하부금형(20)의 상면 전방의 중앙에는 투입되는 재료(30)의 하부 중앙부을 탄력적으로 지지할 수 있도록 밀판(26)이 종방향으로 형성되다.
한편, 상기 하부금형(20)에 형성되는 밀핀(25)과 밀판(26)의 하부에는 스프링의 탄소부재가 삽입되어 있기 때문에 상기 상부금형(10)이 하강하여 상기 하부금형(20)을 가압할 때는 상기 밀핀(25)과 밀판(26)이 재료(30)와 함께 하강하였다가 상기 상부금형(10)이 상승하게 되면 다시 상기 재료(30)를 밀어 올리는 작동을 반복한다.
상기 벤딩홈(220)의 구성에 대해 더욱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제2커팅홈(212) 전방에 형성되는 좌측의 벤딩홈(220)에는 제1,2,4펀칭다이(221,222,224)가 순차적으로 결합된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좌측에 형성된 벤딩홈(220)의 최후방에 결합되는 제1벤딩다이(221)는, 상부금형(10)의 제1벤딩펀치(121)가 투입되어 재료(30)의 좌측 제1벤딩부(41)를 V벤딩으로 가공할 수 있도록 상기 제1벤딩펀치(121)와 부합되는 벤딩홈(220)의 위치에 결합되며 그 형태는 제1벤딩펀치(121)와 부합되는 형태를 갖는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4벤딩다이(221,224) 사이에 형성되는 상기 제2벤딩다이(222)는, 벤딩홈(220)에 내에 형성되는 것이 아니라 상기 제1,4벤딩다이(221,224) 사이의 하부금형(20) 상면에 돌출 결합되며, 후방부는 투입되는 재료(30)의 제2벤딩부(42)가 벤딩되며, 전방부는 제4벤딩다이(224)와 연계되어 투입되는 재료의 제2벤딩부(42)가 벤딩된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3커팅홈(213) 전방 즉, 우측에 형성된 벤딩홈(220)의 최전방에 결합되는 제3벤딩다이(223)는, 상기 상부금형(10)의 제3벤딩펀치(123)와 부합되어 투입되는 재료(30)의 우측을 파형으로 벤딩한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좌측에 형성된 벤딩홈(220)의 전방에 결합되는 제4벤딩다이(224)는, 상부금형(10)의 제4벤딩펀치(124)가 투입되어 재료(30)의 좌측 끝단부를 눌러 투입되는 재료(30)의 좌측 제2벤딩부(42)를 L벤딩으로 가공할 수 있도록 상기 제4벤딩펀치(124)와 부합되는 벤딩홈(220)의 위치에 결합된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선단 중앙에 형성되는 벤딩홈(220) 내에 결합되는 제5벤딩다이(225)는, 사각형태로 형성되어 좌, 우측의 양측면으로 동시에 작동되는 상부금형(10)의 제5벤딩펀치(125)에 의해 투입되는 재료(30)의 좌측 제3벤딩부(43)와 우측의 제1벤딩부(41)를 동시에 벤딩한다.
한편, 상기 제5벤딩다이(225) 일측 하부에는 재료(30)의 벤딩부가 삽입될 수 있는 공간부(226)를 마련함으로써, 상부금형(10)의 제5벤딩펀치(125)에 의해 투입되는 재료(30)의 좌측 제3벤딩부(43)를 L벤딩으로 가공할 경우 제1벤딩부(41)가 벤딩되는 과정에서 상기 공간부(226) 내로 삽입되어 벤딩된 그 형태를 유치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상기 제5벤딩다이(225) 상면 즉, 상부금형(10)의 제4커터(114)와 부합되는 위치에는 투입되는 재료(30)의 중앙 칸살(37)을 절단하여 완제품(50)을 형성하는 제4커팅홈(214)이 형성된다.
다음은 상기에서 전술한 하부금형(20)의 각종 성형부재와 부합되는 위치에 형성되는 성형부재를 갖는 상부금형(10)의 구성에 대해 살펴보기로 한다.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상부금형(10)은 상기 하부금형(20)의 상측면에 형성된 재료(30)의 성형부재들과 부합되는 위치에 성형부재들이 형성되는 것으로서, 상기 상부금형(10)의 저면 즉, 하부금형(20)의 펀치홀(215)과 부합되는 되는 위치에는 투입되는 재료(30)의 엠보싱(38) 성형부를 기준으로 후방 칸살(37)의 양측 끝단과 전방 중앙에 안내공(36)을 형성하는 안내공펀치(115)가 형성된다.
상기 하부금형(20)의 엠보싱부(29)와 부합되는 상부금형(10)의 저면부에는 상기 음각 엠보싱부(18)가 횡 방향으로 형성되어 투입되는 재료(30)에 엠보싱(38) 을 성형한다.
상기 상부금형(10)의 저면에 형성되는 음각 엠보싱부(18)는 재료(30) 형성되는 엠보싱(38)과 동일간격으로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상부금형(10)의 저면 음각 엠보싱부(18)를 기준으로 양측과 중앙부 전방 즉, 상기 하부금형(20)의 파일럿핀홀(216)과 부합되는 위치에는 파일럿핀(17)이 형성되며, 최후방의 음각 엠보싱부(18) 우측 끝단부의 후방 즉, 상기 하부금형(20)의 제1커팅홈(211)과 부합되는 위치에는 제1커터(111)가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상부금형(10)의 저면 음각 엠보싱부(18)를 기준으로 양측으로 형성된 파일럿핀(17) 중 좌측에 형성되는 최전방의 파일럿핀(17)의 전방 즉, 상기 하부금형(20)의 제2커팅홈(212)과 부합되는 위치에는 투입되는 재료(30)의 좌측 칸살(37)을 절단하는 제2커터(112)가 형성되고, 우측 파일럿핀(117)의 전방 즉, 상기 하부금형(20)의 제3커팅홈(213)과 부합되는 위치에는 투입되는 재료(30)의 우측 칸살(37)을 절단하는 제3커터(113)가 형성된다.
상기 상부금형(10)의 좌측 저면 제2커터(112) 전방 즉, 상기 하부금형(20)의 좌측 벤딩홈(220) 내측 및 상면에 결합되는 제1,2벤딩다이(221,222)와 부합되는 위치에는 제1,2벤딩펀치(121,122)가 형성된다.
상기 상부금형(10)의 우측 저면 제3커터(113) 전방 즉, 상기 하부금형(20)의 우측 벤딩홈(220) 내에 결합되는 제3벤딩다이(223)와 부합되는 위치에는 제3벤딩펀치(123)가 형성된다.
상기 제3벤딩펀치(123)는 상기 제3벤딩다이(223)와 부합되는 파형의 형태로 형성되며 재료(30)의 우측을 파형으로 성형한다.
상기 상부금형(10)의 좌측 저면 제2커터(112)를 전방 즉, 상기 하부금형(20)의 좌측 벤딩홈(220) 내측 및 상면에 결합되는 제4벤딩다이(224)와 부합되는 위치에는 제4벤딩펀치(124)가 형성된다.
이때, 상기 제4벤딩펀치(124)는 일반적인 출몰형태의 펀치가 아니라 재료의 좌측 끝단부가 끼워져 그대로 가압하여 눌러줄 수 있도록 홈의 형태로 구성된다.
상기 상부금형(10)의 저면 선단 즉, 하부금형(20)의 제5벤딩다이(225)의 양측면과 부합되는 위치에는 재료(30)의 좌측 제3벤딩부(43)와 재료(30)의 우측 제1벤딩부(41)를 L벤딩으로 동시에 가공하여 성형하는 사각 형태의 제5벤딩펀치(125)가 형성된다.
상기 상부금형(10)의 저면에 형성되는 제5벤딩펀치(125) 전방 즉, 상기 하부금형(20)의 선단 벤딩홈(220)에 결합되는 제5벤딩다이(225) 상면에 형성되는 제4커팅홈(214)과 부합되는 위치에는 재료의 중앙 칸살(37)을 절단하여 제4커터(114)가 형성된다
한편, 상기 펀치고정판(13)과 압축편받침(14)사이에는 스프링이 내장되어 있기 때문에 상기 상부금형(10)이 하부금형(20)을 가압하기 전에는 스프링에 의해 펀치고정판(13)과 압축편받침(14) 사이가 벌어진 상태로 유지되다가 상부금형(10)이 하부금형(20)을 가압시에는 프레스기의 힘에 상부금형(10)이 눌러지고, 스프링이 수축되면서 펀치고정판(13)과 압축편받침(14)의 틈새가 없는 거의 붙은 상태가 된다.
따라서, 상기 상부금형(10)에 형성된 펀치받침(12)에 상단부가 고정된 각 파일럿핀(17)과 커터 및 펀치는 상부금형(10)이 가압하기 전에는 펀치고정판(13)과 압축편받침(14)의 벌어진 틈새만큼 상승되어 상부금형(10)의 파일럿핀(17)과 커터 및 펀치는 저면과 동일한 수평 상태를 유지하다가 상부금형(10)의 가압시에는 저면으로 선단으로부터 돌출되면서 하부금형(20)에 형성된 커팅홈과 벤딩다이에 대응하여 커팅 및 벤딩이 이루어져 재료(30)가 성형된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고안은 엠보싱 성형과 절단 및 벤딩이 동시에 이루어질 수 있도록 상, 하부금형(10,20)을 형성함으로써, 빗물받이 받침의 완제품(50)을 대량으로 생산할 수 있도록 한 것으로, 이하 첨부되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작용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재료 자동공급기에 물려진 롤(Roll)형태의 철판 재료(30)가 재료안내부(27)에 투입되면 상기 재료(30)의 양측면부는 밀핀(25)에 형성된 가이드 홈(250)을 끼워진 안정적인 상태로 이동된다.
이때, 상기 재료(30)는 밀핀(25)의 일측에 형성된 가이드홈(250)에 양측면이 끼움된 상태로 이동되기 때문에 하부금형(20)의 바닥면서 일정높이로 떠있는 상태로 이동된다.
그리고 상기 밀핀(25)을 따라 이동된 상기 재료(30)는 상기 재료(30)의 폭보다 안쪽으로 설치된 하부금형(20)의 제1커팅홈(211)에 진입되는 순간 스토퍼(28)에 일측면이 걸림되어 일시적으로 멈추게 된다.
이와 같이 재료(30)가 스토퍼(28)에 걸려 일시적으로 멈춤과 동시에 프레스기의 작동에 의해 상기 상부금형(10)이 하강하면서 상부금형(10)의 제1커터(111)에 의해 재료(30)의 일측면의 일부분이 절단된다.
그리고 상기 재료(30)가 하부금형(20)의 엠보싱부(29)에 위치하게 되면 프레스기의 작동에 의해 상부금형(10)이 하강하면서 상부금형(10)에 형성된 음각 엠보싱부(18)에 의해 재료(30)에 엠보싱(38)이 성형되고, 동시에 상부금형(10)의 안내공펀치(115)에 의해 재료(30)의 엠보싱(38)을 기준으로 바로 후방의 양측 끝단과 전방 중앙의 칸살(37)에는 안내공(36)이 형성된다.
한편, 상기 재료(30)는, 형성된 안내공(36)을 기준으로 하여 다음 공정에서 재료(30)의 위치를 정확하게 조정하는 안내핀 인 상부금형(10)의 파일럿핀(17)에 의해 일정한 간격으로 이동된다.
그리고 상기 상부금형(10)의 파일럿핀(17)을 따라 일정 거리만큼 이동된 재료(30)가 상기 하부금형(20)의 제2,3커팅홈(212,213)에 위치하게 되면 이와 대응되는 상기 상부금형(10)의 제2,3커터(112,113)에 의해 재료(30)에 좌, 우 칸살(37)이 절단된다.
이때, 상기 재료(30)의 중앙 칸살(37)은 되지 않은 상태이므로 재료(30)는 일체로 붙은 상태로 이동된다.
또한, 상기 하부금형(20)의 제2,3커팅홈(212,213)을 통과한 재료(30)는 하부금형(20)의 양측으로 형성된 벤딩홈(220)을 지나면서 좌, 우측으로 벤딩이 이루어지는 것으로 재료(30)의 벤딩과정을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재료(30)가 상기 하부금형(20) 좌측에 형성되는 벤딩홈(220)의 제1벤딩다이(221)에 위치되면, 상기 상부금형(10)의 제1벤딩펀치(121)가 상기 재료(30)의 좌측 끝단을 수평면과 대략 90°로 벤딩되도록 제1벤딩부(41)를 V벤딩으로 가공하여와 같이 성형되는 제1벤딩(31)이 이루어진다.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재료(30)가 상기 하부금형(20) 좌측에 형성되는 벤딩홈(220) 상면의 제2벤딩다이(222)에 위치되면, 상기 상부금형(10)의 제2벤딩펀치(121)가 상기 재료(30)의 좌측 끝단을 수평면과 대략 135°로 벤딩되도록 제1벤딩부(41)를 V벤딩으로 가공하여와 같이 성형되는 제2벤딩(32)이 이루어진다.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재료(30)가 상기 하부금형(20) 우측에 형성되는 벤딩홈(220)의 제3벤딩다이(223)에 위치되면, 상기 상부금형(10)의 제3벤딩펀치(123)가 상기 재료(30)의 우측을 파형으로 형성하여와 같이 성형되는 제3벤딩(33)이 이루어진다.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재료(30)가 상기 하부금형(20)의 좌측에 형성되는 벤딩홈(220)의 제4벤딩다이(224)에 위치되면, 상기 상부금형(10)의 제4벤딩펀치(124)가 상기 재료(30)의 좌측 끝단을 수평면과 대략 110°로 벤딩되도록 끝단을 눌러와 같이 성형되는 제4벤딩(34)이 이루어진다.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재료(30)가 상기 하부금형(20)의 전방 선단에 형성되는 벤딩홈(220)의 제5벤딩다이(225)에 위치되면, 상기 상부금형(10)의 제5벤딩펀치(125)가 상기 재료(30)의 좌, 우측을 수평면과 대략 90°로 하향 벤딩되도록 재료(30)의 좌우측 제3,1벤딩부(43,41)를 동시에 L벤딩으로 가공하여와 같이 성형되는 제5벤딩(35)이 이루어진다.
도 14, 1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재료(30)의 성형과정을 전체적으로 살펴보면, 상기 상,하부금형(10,20)을 통과하는 재료(30)는 1차 제1커터(111)에 의해 일측면 일부분이 절단되고, 2차 음각 엠보싱부(18)에 의해 엠보싱(38)이 형성된다.
그리고 3차는 재료(30)의 양측 및 중앙에는 파일럿핀(17)을 따라 이동가능 하도록 안내공펀치(115)의해 안내공(36)이 형성되고, 4차 사이사이에 일정한 칸살(37)이 형성되도록 음각 엠보싱부(18)에 의해 재료(30)에 엠보싱(38)이 형성되며 5차 제2,3커터(112,113)에 의해 중앙부를 제외한 좌, 우측의 칸살(37)이 커팅 되면서 노칭부(39)가 형성되고, 6차 벤딩펀치에 의해 좌, 우측으로 벤딩이 이루어지며 7차 중앙의 칸살(37)이 절단되면서 최종적으로 완제품(50)이 성형된다.
이상에서 상세히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은 재료가 금형을 따라 이동되면서 엠보싱, 절곡, 커팅작업이 자동으로 이루어져 완제품의 빗물받이 받침을 생산함으로써, 생산성을 대폭 향상시키고, 불필요한 재료낭비를 방지하며, 인건비를 절감하여 기업의 경쟁력을 높일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비록 본 고안이 첨부되는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을 지라도 본 고안은 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하기의 실용신안등록청구범위 내에서 많은 수정 및 변형이 있을 수 있음은 물론이다.

Claims (8)

  1. 압축편과 상기 압축편을 받쳐주는 압축편받침과 상기 압축편받침 상측에 형성되며 펀치를 고정하는 펀치고정판과 이의 상측에는 펀치받침 및 상부홀더로 구성되는 상부금형과, 다이와 상기 다이를 받쳐주는 다이받침 및 하부홀더로 구성되는 하부금형으로 형성되어 프레스기의 작동에 의해 상기 상부금형의 가이드 부시가 하부금형의 가이드 포스트를 따라 승강 또는 하강하면서 제품을 성형하는 통상의 금형 있어서,
    상면의 후방 양측으로 다수개가 형성되어 투입되는 재료의 양측면을 탄력적으로 받쳐주는 밀핀과, 상기 전방의 중앙에 하나 이상이 형성되어 투입되는 재료의 하부 중앙을 탄력적으로 지지하는 밀판과, 상기 좌우 양측으로 형성된 밀핀 중 일측에 형성되어 투입되는 재료의 일측면 보다 내측에 위치되어 상기 재료를 일시적으로 정지시키는 스토퍼와, 상기 스토퍼의 하부에 위치되어 상기 재료의 일측면을 부분적으로 절단 가공하는 제1커팅홈과, 상기 제1커팅 홈 전방의 밀핀 사이에 횡으로 설치되어 재료에 엠보싱을 형성하는 엠보싱부와, 상기 엠보싱부 양측 끝단과 전방 중앙에 형성된 밀핀의 양측면으로 형성되는 수개의 파일럿핀홀과, 상기 파일럿핀홀의 최 후방 바로 뒤에 형성되어 상기 재료의 칸살 양측 끝단과 중앙에 안내공을 형성하는 펀치홀과, 상기 좌측 최전방의 파일럿핀홀 전방으로 형성되며 투입되는 재료의 좌측 칸살이 절단되는 제2커팅홈과, 상기 우측 최전방의 파일럿핀홀의 전방으로 형성되며 투입되는 재료의 우측 칸살이 절단되는 제3커팅홈과, 상기제2,3커팅홈 전방과 선단 중앙에 형성되며 내측에는 벤딩다이들이 삽입 결합되는 벤딩홈으로 구성되는 하부금형과;
    상기 하부금형의 재료 성형부재들과 부합되는 위치에 성형부재들이 형성되는 것으로서, 상기 제1커팅홈에 부합되는 위치에 출몰 가능하도록 형성되어 투입되는 재료의 일측면의 일부분을 절단 가공하는 제1커터와, 상기 엠보싱부에 부합되는 위치에 출몰 가능하도록 형성되어 투입되는 재료에 엠보싱을 형성하는 음각 엠보싱부와, 상기 파일럿핀홀과 부합되는 위치에 형성되어 전공정에서 미리 뚫은 재료의 안내공을 기준으로 하여 다음 공정에서 재료의 위치를 정확하게 조정하는 수개의 파일럿핀과, 상기 펀치홀의 형성 위치와 부합되는 위치에 형성되어 상기 재료의 칸살 양측 끝단과 중앙에 안내공을 천공하는 안내공펀치와, 상기 제2커팅홈과 부합되는 위치에 형성되어 투입되는 재료의 좌측 칸살을 절단하는 제2커터와, 상기 제3커팅홈과 부합되는 위치에 형성되어 투입되는 재료의 우측 칸살을 절단하는 제3커터와 , 상기 벤딩홈 내측에 형성되는 벤딩다이들과 부합되는 위치에 형성되어 투입되는 재료의 좌, 우측을 벤딩 가공하는 펀치들로 구성되는 상부금형을;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빗물받이 받침 성형용 금형.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밀핀의 상측에는 가이드홈을 형성하여 상기 재료의 양측면이 끼움되어 안정적인 상태로 이동될 수 있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빗물받이 받침 성형용금형.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벤딩홈 중 좌측에 형성된 벤딩홈에는, 상기 재료의 좌측 제1벤딩부가 V벤딩 가공에 의해 제1벤딩이 형성될 수 있도록 한 제1벤딩다이와, 상기 제1벤딩다이 전방으로 상기 재료의 좌측 제2벤딩부가 내향으로 기울어져 제4벤딩이 형성될 수 있도록 한 제4벤딩다이와, 상기 제1,4벤딩다이 사이의 벤딩홈 상면 인접부에 돌출 형태로 결합되는 것으로서, 상기 재료의 제2벤딩부를 직각이 되도록 하향으로 벤딩 가공하여 제2벤딩이 형성될 수 있도록 하고 상기 제4벤딩다이와 부합되어 상기 재료의 좌측 제1벤딩부가 내향으로 기울어져 제4벤딩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 제2벤딩다이가 형성되고, 상기 우측에 형성된 벤딩홈에는, 상기 재료의 우측이 파형의 형태로 벤딩 가공되어 제3벤딩이 형성될 수 있도록 한 제3벤딩다이가 결합되며, 상기 선단에 형성되는 벤딩홈에는, 상기 재료의 좌, 우측 제3,1벤딩부가 동시에 L벤딩으로 가공되어 제5벤딩이 형성될 수 있도록 한 제5벤딩다이가 결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빗물받이 받침 성형용 금형.
  4.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제5벤딩다이 상면 선단에는, 상기 상부금형의 제4커터와 부합되도록제4커팅홈을 형성하여 상기 재료의 중앙 칸살을 절단할 수 있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빗물받이 받침 성형용 금형.
  5.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제5벤딩다이 하부에는 공간부를 형성하여 상기 재료의 제5벤딩 가공이 이루어지면서 상기 재료의 좌측 제1벤딩부가 간섭없이 내측으로 삽입될 수 있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빗물받이 받침 성형용 금형.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금형의 후방에 재료안내부를 형성하여 투입되는 재료의 양측면이 밀핀의 가이드홈에 용이하게 끼움될 수 있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빗물받이 받침 성형용 금형.
  7. 제 1항 또는 3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금형의 벤딩홈에 결합되는 벤딩다이와 부합되도록 상부금형의 저면 위치에 벤딩펀치를 형성하되, 상기 제1벤딩다이와 부합되는 위치에는 제1벤딩펀치를 형성하여 재료의 좌측 제1벤딩부가 V벤딩 가공에 의해 제1벤딩이 형성될 수 있도록 하고, 상기 제2벤딩다이와 부합되는 위치에는 제2벤딩펀치를 형성하여 재료의 제2벤딩부를 직각이 되도록 하향으로 벤딩 가공하여 제1벤딩이 형성될 수 있도록 하며, 상기 제3벤딩다이와 부합되는 위치에는 제3벤딩펀치를 형성하여 재료의 우측이 파형의 형태로 벤딩 가공되어 제3벤딩이 형성될 수 있도록 하고, 상기 제4벤딩다이와 부합되는 위치에는 제4벤딩펀치를 형성하여 재료의 좌측 제2벤딩부가 내향으로 기울어져 제4벤딩이 형성될 수 있도록 하며, 상기 제5벤딩다이의 양측면과 부합되는 위치에는 재료의 좌, 우측 제3,1벤딩부가 동시에 L벤딩으로 가공되어 제5벤딩이 형성될 수 있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물받이 받침 성형용 금형.
  8.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금형의 엠보싱부와 부합되는 위치에 형성되는 상부금형의 음각 엠보싱부의 전방으로 상기 재료의 엠보싱을 감쌀 수 있도록 다수개의 음각 엠보싱부를 형성하여 미리 성형된 상기 재료의 엠보싱이 다음 공정으로 진행할 때 상기 음각 엠보싱부와 일치를 이루면서 다음 공정으로 진행할 수 있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물받이 받침 성형용 금형.
KR20-2004-0005159U 2004-02-26 2004-02-26 빗물받이 받침 성형용 금형 KR200351330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4-0005159U KR200351330Y1 (ko) 2004-02-26 2004-02-26 빗물받이 받침 성형용 금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4-0005159U KR200351330Y1 (ko) 2004-02-26 2004-02-26 빗물받이 받침 성형용 금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51330Y1 true KR200351330Y1 (ko) 2004-05-22

Family

ID=4934646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4-0005159U KR200351330Y1 (ko) 2004-02-26 2004-02-26 빗물받이 받침 성형용 금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51330Y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54005B1 (ko) 2003-01-08 2007-09-03 이정문 고정끈의 선단 고정을 위한 금속재 마감재 및 그 제조장치
KR100814508B1 (ko) * 2006-06-20 2008-03-18 손강식 파이프 벤딩방법 및 벤딩장치
KR102432687B1 (ko) * 2022-03-09 2022-08-16 (주) 씨엠에스 광택 도어사이드스텝의 제조방법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54005B1 (ko) 2003-01-08 2007-09-03 이정문 고정끈의 선단 고정을 위한 금속재 마감재 및 그 제조장치
KR100814508B1 (ko) * 2006-06-20 2008-03-18 손강식 파이프 벤딩방법 및 벤딩장치
KR102432687B1 (ko) * 2022-03-09 2022-08-16 (주) 씨엠에스 광택 도어사이드스텝의 제조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205253895U (zh) 一种小搭边落料折弯成型精冲连续模具
CN109570359B (zh) 拉延凸模、拉延模具及拉延工艺
KR20140109941A (ko) 헤드 및 프레임 트리밍이 통합된 쉘 부품을 딥 드로잉 하는 장치 및 방법
KR200351330Y1 (ko) 빗물받이 받침 성형용 금형
CN105057469A (zh) 一种套管成型级进模具
CN104785625A (zh) 制作汽车座椅滑道保持架的连续模及其方法
CN113996708A (zh) 一种帽形零部件连续冲压模具
CN215824053U (zh) 一种钣金件弯折成型模具
CN107214243B (zh) 一种u型件组合模具及u型件加工工艺
CN213496069U (zh) 一种组合件自动冲压铆合模具
CN212238875U (zh) 一种活动脚带模内攻牙一出多连续模具
CN204934362U (zh) 一种套管成型级进模具
CN209998186U (zh) 一种用于固定汽车油箱的中段底板的加工模具
CN113210507A (zh) 不锈钢堵头连续模具及不锈钢堵头连续生产方法
CN209716299U (zh) 一种汽车车架横梁异型端头在线切断装置
CN103464593B (zh) 小背夹连续生产模具
CN203426289U (zh) 小背夹连续生产模具
CN206643211U (zh) 助听器屏蔽外壳落料拉伸级进模具
US852636A (en) Die.
CN210523571U (zh) 一种槽钢加工用背槽一次成型模具
CN210754691U (zh) 一种隔热罩的落料模具
CN205289482U (zh) 一种前保持架的连续冲压模
JPS5950923A (ja) ブランキング加工金型
CN217492369U (zh) 连续料带产品连接边折弯切边同步成型机构及连续模
CN213033562U (zh) 一种转弯机链板冲压成型模具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61229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