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50662Y1 - 오,폐수 정화처리용 접촉여재의 구조 - Google Patents

오,폐수 정화처리용 접촉여재의 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50662Y1
KR200350662Y1 KR20-2004-0002083U KR20040002083U KR200350662Y1 KR 200350662 Y1 KR200350662 Y1 KR 200350662Y1 KR 20040002083 U KR20040002083 U KR 20040002083U KR 200350662 Y1 KR200350662 Y1 KR 200350662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icroorganisms
arc
reinforcement
contact media
wastewa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4-0002083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현배
강휘남
Original Assignee
(주)호담 엔지니어링
청우에이스(주)
강휘남
이현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호담 엔지니어링, 청우에이스(주), 강휘남, 이현배 filed Critical (주)호담 엔지니어링
Priority to KR20-2004-0002083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50662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50662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50662Y1/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3/00Biological 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3/02Aerobic processes
    • C02F3/10Packings; Fillings; Grids
    • C02F3/109Characterized by the shape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3/00Biological 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3/02Aerobic processes
    • C02F3/10Packings; Fillings; Grids
    • C02F3/105Characterized by the chemical composition
    • C02F3/107Inorganic materials, e.g. sand, silicat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W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WASTEWATER TREATMENT OR WASTE MANAGEMENT
    • Y02W10/00Technologies for wastewater treatment
    • Y02W10/10Biological 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Microbiology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Biological Treatment Of Waste Water (AREA)

Abstract

본고안은 오,폐수 정화처리용 접촉여재에 관한 것으로 특히, 보강부와 직선부 그리고 원호부로 이루어지는 접촉여재에 첨가된 발포제에 의해 접촉여재의 표면과 이면에 생성되는 다수개의 불규칙한 발포공으로많은 미생물들을 부착시켜 생육시킬 수 있고 원적외선을 방사하는 자수정분말에 의해 수질정화에 유익한 미생물만 집중 육성시키는 반면 수질정화에 무익한 미생물들은 생육을 억지시킴으로서 단시간내에 수질을 정화시킬 수 있으며 최고의 정화효율을 유지하기 때문에 오,폐수처리장 규모를 축소시킬 수 있고 악취의 발생을 억제시킬 수 있으며 폐자재를 재활용할 수 있는 오,폐수정화처리용 접촉여재의 구조를 제공한다.

Description

오,폐수 정화처리용 접촉여재의 구조{WASTEWATER PROCESSING HYDROEXTRAC TOR}
본고안은 오,폐수 정화처리용 접촉여재에 관한 것으로 특히, 보강부와 직선부 그리고 원호부로 이루어지는 접촉여재에 첨가된 발포제에 의해 접촉여재의 표면과 이면에 생성되는 다수개의 불규칙한 발포공으로 많은 미생물들을 부착시켜 생육시킬 수 있고 원적외선을 방사하는 자수정분말에 의해 수질정화에 유익한 미생물만 집중 육성시키는 반면 수질정화에 무익한 미생물들은 생육을 억지시킴으로서 단시간내에 수질을 정화시킬 수 있으며 최고의 정화효율을 유지하기 때문에 오,폐수처리장 규모를 축소시킬 수 있고 악취의 발생을 억제시킬 수 있으며 폐자재를 재활용할 수 있는 오,폐수정화처리용 접촉여재의 구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미생물을 이용하여 오,폐수를 처리하는 방법은 부유 미생물을 이용하는 활성오니법과 부착성 미생물을 이용하는 생물막법으로 대별된다.
상기 활성오니법은 미생물의 농도를 제어하기가 어렵기 때문에 이러한 단점을 보완한 것이 생물막법인 것이다.
상기의 생물막법은 접촉여재(MEDIA,미생물담체))를 수조(폭기조)에 충진한후 미생물을 배양함으로서 수질을 정화하는 방법으로서 기존의 접촉여재들은 서식공간 (면적)을 최대한 확보하여 다량의 미생물이 부착되어 번식할 수 있는 구조로 제조 설치하였으나 정화효율이 달성되기 까지는 30-40일정도의 기간이 소요되며 수질정화에 무익한 유해균까지 생육시킴으로서 유익한 미생물의 생육공간은 축소되고 결국은, 오,폐수처리장의 규모가 커지게 되는 문제점을 가지고 있었다.
이러한 종래의 문제점등을 해결 보완하기 위한 본고안의 목적은,
많은 미생물들을 부착시켜 생육시킬 수 있고 수질정화에 유익한 미생물만 집중 육성시키는 반면 수질정화에 무익한 미생물들은 생육을 억지시킴으로서 단시간내에 수질을 정화시킬 수 있도록 하며 최고의 정화효율을 유지시킬 수 있기 때문에 오,폐수처리장 규모를 축소시킬 수 있고 악취의 발생을 억제시킬 수 있으며 폐자재를 재활용할 수 있도록 하는 목적을 제공한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고안은,
폐합성수지 분말과 자수정 분말로 이루어진 원료에 발포제를 혼합하여 만들어지는 보강부와 직선부 그리고 원호부의 구성을 갖는 접촉여재의 표면과 이면에 다수개의 불규칙한 발포공을 생성시키면 본고안의 목적을 달성할 수 있게 된다.
도1은 본고안 오,폐수 정화처리용 접촉여재를 나타낸 사시도
도2는 본고안 오,폐수 정화처리용 접촉여재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
도3은 본고안 오,폐수 정화처리용 접촉여재의 압출물을 이용하여 오,폐수를 정화시키는 작용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4는 본고안 오,폐수 정화처리용 접촉여재를 이용하여 오,폐수를 정화시키는 작용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면중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설명>
101-접촉여재 102-직선부
103-원호부 104-보강부
105-발포공 111-압출물
121-정화조 122-공기공급관
본고안 접촉여재(101)의 구성을 도1및 도2에 의해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원호상으로 형성되는 원호부(103)와,
상기 원호부(103)의 안정된 적재 및 보강을 위해 원호부(103)의 양단부로 형성되는 직선부(102)와,
상기 원호부(103)의 변형을 방지하기 위해 양측 직선부(102)사이의 원호부 (103) 내측으로 형성되는 다수개의 보강부(104)와,
상기 보강부(104)와 직선부(102) 그리고 원호부(103)에 많은 미생물들이 부착되어 생육할 수 있도록 보강부(104)와 직선부(102)그리고 원호부(103)의 표면과 이면에 형성되는 다수개의 발포공(105)을 구비한 구성이다.
그리고, 상기의 보강부(104)와 직선부(102) 그리고 원호부(103)는 폐합성수지 분말 70-90중량%와 자수정 분말 10-30중량%로 이루어진 원료 90-97중량%에 발포제3-10중량%를 혼합하여 된 것이다.
본고안 접촉여재의 작용을 설명하면 다음과 한다.
먼저, 원호부(103)를 원호상으로 형성시킴으로서 보다 많은 발포공(105)들을 형성시킬 수 있게 된다.
또한, 원호부(103)의 양단부로 형성되는 직선부(102)에 의해 원호부(103)의 안정된 적재 및 보강을 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상기 양측 직선부(102)사이의 원호부(103) 내측으로 형성되는 다수개의 보강부(104)는 원호부(103)의 변형을 방지하기 위해서 형성되는 동시에 많은 발포공(105)을 형성시키기 위해 형성시킨 것이다.
또한, 보강부(104)와 직선부(102)그리고 원호부(103)의 표면과 이면에 형성되는 다수개의 발포공(105)에는 많은 미생물들이 부착되어 생육할 수 있도록 형성시킨 것이다.
그리고, 상기의 보강부(104)와 직선부(102) 그리고 원호부(103)는 폐합성수지 분말 70-90중량%와 자수정 분말 10-30중량%로 이루어진 원료 90-97중량%에 발포제3-10중량%를 혼합하여 제작된 것이다.
이와같이된 본고안은 도3에 표현한 바와같이 정화조(121)의 내부에 접촉여재 압출물(121)자체를 적재하거나 도4에 표현한 바와같이 일정 크기로 재단된 다수개의 접촉여재(101)들을 오,폐수에 부유시켜서 사용을 하게 된다.
즉, 상기 정화조(121)의 공기공급관(122)으로 공급되는 공기에 의해 오,폐수에 존재하는 미생물들이 보강부(104)와 직선부(102)그리고 원호부(103)의 표면과이면에 형성된 다수개의 발포공(105)으로 부착되어 생육할 수 있게 된다.
이때, 상기 원적외선을 방사하는 자수정분말에 의해 수질정화에 유익한 미생물만 집중 육성시키는 반면 수질정화에 무익한 미생물들은 생육을 억지시킴으로서 단시간내에 수질을 정화시킬 수 있게 된다.
이와같이된 본고안은 많은 미생물들을 부착시켜 생육시킬 수 있고 수질정화에 유익한 미생물만 집중 육성시키는 반면 수질정화에 무익한 미생물들은 생육을 억지시킴으로서 단시간내에 수질을 정화시킬 수 있으며 최고의 정화효율을 유지시킬 수 있기 때문에 오,폐수처리장 규모를 축소시킬 수 있고 악취의 발생을 억제시킬 수 있으며 폐자재를 재활용할 수 있는 유용한 효과를 가진다.

Claims (2)

  1. 원호상으로 형성되는 원호부와,
    상기 원호부의 안정된 적재 및 보강을 위해 원호부의 양단부로 형성되는 직선부와,
    상기 원호부의 변형을 방지하기 위해 양측 직선부 사이의 원호부 내측으로 형성되는 다수개의 보강부와,
    상기 보강부와 직선부 그리고 원호부에 많은 미생물들이 부착되어 생육할 수 있도록 보강부와 직선부 그리고 원호부의 표면과 이면에 형성되는 다수개의 발포공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폐수 정화처리용 접촉여재의 구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의 보강부와 직선부 그리고 원호부는 폐합성수지 분말70-90중량%와 자수정 분말 10-30중량%로 이루어진 원료 90-97중량%에 발포제3-10중량%를 혼합하여 된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폐수 정화처리용 접촉여재의 구조.
KR20-2004-0002083U 2004-01-29 2004-01-29 오,폐수 정화처리용 접촉여재의 구조 KR200350662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4-0002083U KR200350662Y1 (ko) 2004-01-29 2004-01-29 오,폐수 정화처리용 접촉여재의 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4-0002083U KR200350662Y1 (ko) 2004-01-29 2004-01-29 오,폐수 정화처리용 접촉여재의 구조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05560A Division KR20050077900A (ko) 2004-01-29 2004-01-29 오,폐수 정화처리용 접촉여재의 제조방법 및 그 구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50662Y1 true KR200350662Y1 (ko) 2004-05-13

Family

ID=4934625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4-0002083U KR200350662Y1 (ko) 2004-01-29 2004-01-29 오,폐수 정화처리용 접촉여재의 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50662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AU2017413373B2 (en) Method and device for bioremediation of water body
US5980738A (en) Porous polymeric biosupports
US20040244715A1 (en) Aquaculture nitrogen waste removal
CN104710006B (zh) 改良型a2/o生物膜同步脱碳除氮磷反应器及其操作方法
Kawan et al. A review on sewage treatment and polishing using moving bed bioreactor (MBBR)
US5403487A (en) Process for biochemical oxidation of ultra-toxic wastewater in a packed bed bioreactor
CN1331777C (zh) 牡蛎壳填料硝化曝气生物滤池
KR101727452B1 (ko) 혐기성 처리 방법
US7462285B2 (en) Wastewater purification method and apparatus
KR102244397B1 (ko) 자유-유동 캐리어 요소
JPS62225297A (ja) 生物学的廃水浄化方法
KR100510590B1 (ko) 유동상 미생물 담체 및 그 제조방법
Safwat Moving bed biofilm reactors for wastewater treatment: A review of basic concepts
JPH0143200Y2 (ko)
CN103641241B (zh) 一种前置反硝化曝气生物滤池及其处理污水的方法
Gzar et al. Applicaion of Moving Bed Biofilm Reactor (MBBR) for Treatment of Industrial Wastewater: A mini Review
KR200350662Y1 (ko) 오,폐수 정화처리용 접촉여재의 구조
KR100951109B1 (ko) 미생물 담체 및 이의 제조방법
KR20010088735A (ko) 비중이 조절된 튜브칩형 미생물 담체 제조방법 및이로부터 제조된 미생물 담체
CN204529455U (zh) 改良型a2/o生物膜同步脱碳除氮磷反应器
CZ289614B6 (cs) Plovoucí vířitelný nosný materiál pro biotechnologické procesy
KR20180031085A (ko) 유기성 배수의 생물 처리 방법 및 장치
KR101827525B1 (ko) 부상여재 여과를 이용한 중소규모 고도하수처리 방법
EP2879997A1 (en) Biological reactor for waste water purification
KR101891525B1 (ko) 오폐수 처리용 미생물 배양 및 부착용 유동성 생물막 담체 제조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U107 Dual application of utility model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117

Year of fee payment: 9

R401 Registration of restor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228

Year of fee payment: 10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