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50566Y1 - 건물 바닥의 방수구조 - Google Patents

건물 바닥의 방수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50566Y1
KR200350566Y1 KR20-2004-0004523U KR20040004523U KR200350566Y1 KR 200350566 Y1 KR200350566 Y1 KR 200350566Y1 KR 20040004523 U KR20040004523 U KR 20040004523U KR 200350566 Y1 KR200350566 Y1 KR 200350566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loor
building
blocks
building floor
waterproof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4-0004523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병희
Original Assignee
(유)선일건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유)선일건설 filed Critical (유)선일건설
Priority to KR20-2004-0004523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50566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50566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50566Y1/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DROOF COVERINGS; SKY-LIGHTS; GUTTERS; ROOF-WORKING TOOLS
    • E04D11/00Roof covering, as far as not restricted to features covered by only one of groups E04D1/00 - E04D9/00; Roof covering in ways not provided for by groups E04D1/00 - E04D9/00, e.g. built-up roofs, elevated load-supporting roof coverings
    • E04D11/02Build-up roofs, i.e. consisting of two or more layers bonded together in situ, at least one of the layers being of watertight composition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DROOF COVERINGS; SKY-LIGHTS; GUTTERS; ROOF-WORKING TOOLS
    • E04D13/00Special arrangements or devices in connection with roof coverings; Protection against birds; Roof drainage ; Sky-lights
    • E04D13/16Insulating devices or arrangements in so far as the roof covering is concerned, e.g.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or composition of the roof insulating material or its integration in the roof structure
    • E04D13/1687Insulating devices or arrangements in so far as the roof covering is concerned, e.g.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or composition of the roof insulating material or its integration in the roof structure the insulating material having provisions for roof drainage
    • E04D13/1693Insulating devices or arrangements in so far as the roof covering is concerned, e.g.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or composition of the roof insulating material or its integration in the roof structure the insulating material having provisions for roof drainage the upper surface of the insulating material forming an inclined surfac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Floor Finish (AREA)

Abstract

건물 바닥면에 두께가 상이한 블록들을 배치하여 물이 흐를 수 있는 경사면을 제공함으로써 간단한 시공으로 확실한 방수효과를 제공할 수 있는 건물 바닥의 방수구조 및 그 시공방법에 관하여 개시한다. 상기 건물 바닥의 방수구조는 건물의 바닥콘크리트층; 상기 바닥콘크리트층의 상면에 마련된 방수층; 및 상기 방수층의 상면에 마련된 블록층을 구비한다. 상기 블록층은 두께가 상이한 복수개의 블록이 건물바닥의 전 면적에 걸쳐 배치되어 이루어진다. 상기 블록들은 건물바닥의 중앙부로부터 가장자리부까지 물이 흐를수 있는 경사를 제공하도록 점진적으로 그 두께가 감소되는 방식으로 배치된다.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가진 건물바닥의 방수구조 및 그 시공방법은 상이한 두께의 블록을 바닥콘크리트에 배치하는 것에 의해 물이 흐를수 있는 경사가 제공되므로, 건물의 바닥콘크리트 자체에 정밀한 경사를 형성할 필요가 없어 시공이 현저히 간단해진다. 또한 건물 바닥면의 방수의 신뢰성 및 내구성이 높아지므로 물이 건물 바닥면의 배수구로 빠져나가지 못하고 일부분에 고여있는 현상이 현저히 줄어들게 되어, 시공 후 일정기간이 지나면 콘크리트 바닥면이 갈라지거나 파손되고 누수에 의해 건축재료가 열화되는 것이 방지된다

Description

건물 바닥의 방수구조{Waterproof structure for building floor}
본 고안은 건물 바닥의 방수구조 및 그 시공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건물바닥면에 두께가 상이한 블록들을 배치하여 물이 흐를 수 있는 경사면을 제공함으로써 간단한 시공으로 확실한 방수효과를 제공할 수 있는 건물 바닥의 방수구조 및 그 시공방법에 관한 것이다.
콘크리트 건축물의 지붕, 지하실, 주차장, 수영장, 화장실 또는 욕실 등에는 수분의 침투를 방지하고 물이 배수구를 향하여 흐르도록 하기 위한 다양한 방수구조가 사용되어 왔다. 이러한 방수구조로서 방수페인트를 도포하는 기술, 방수제를 포함한 모르타르층을 성형하는 기술, 바닥면에 방수판넬을 배치하는 기술, 또는바닥 콘크리트층에 우레탄폼을 발포하는 기술 등이 개발되어 왔다.
이러한 종래기술의 방법들은 수분이 건축물의 내부로 침투하는 것을 어느정도 방지할 수 있으나, 바닥면의 물이 배수관으로 빠져나가지 않고 일부분에 고여있는 경우에는 수분의 침투를 원천적으로 방지할 수 없다.
이를 방지하기 위하여 건물의 바닥콘크리트층 자체에 경사를 주어 바닥면의 타 부위에 존재하는 물을 배수관 쪽으로 유도하는 방안을 고려할 수 있다. 그러나, 바닥콘크리트층 자체에 경사를 주는 것은 시공이 매우 까다로울 뿐만 아니라, 시공 후 일정기간이 지나면 바닥면 일부의 함몰 등에 의하여 물이 배수구로 빠져나가지 못하고 일정부분에 고여있는 현상이 발생하고 있다.
이롸 같이 바닥면의 일부분에 고인 물에 의하여 콘크리트 바닥면이 갈라지고 시멘트가 파손되어 누수가 발생한다. 특히 동절기에는 바닥면에 고인 물이나 바닥면의 내부로 침투한 수분의 빙화와 풀림의 반복에 의하여 건축재료의 열화를 초래하여 건물자체의 내구성에도 심각한 손상을 가져올 염려가 있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창출된 것으로서, 시공이 현저하게 간단할 뿐만 아니라 바닥면에 고인 물을 확실하게 배수구로 유도할 수 있는 건물 바닥의 방수구조 및 그 시공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도1은 본 고안에 따른 건물 바닥의 방수구조의 일 실시예를 도시한 일부절제 사시도,
도2는 도1의 건물 바닥의 방수구조의 횡단면도,
도3은 본 고안에 따른 건물 바닥의 방수구조의 블록의 배치상태를 일 예를 도시한 사시도,
도4는 본 고안에 따른 건물 바닥의 방수구조를 시공하는 방법의 일 예를 설명하기 위한 평면 개념도,
도5는 본 고안에 따른 건물 바닥의 방수구조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횡단면도,
도6는 본 고안에 따른 건물 바닥의 방수구조를 시공하는 방법의 다른 예를 설명하기 위한 평면 개념도이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에 따른 건물 바닥의 방수구조는 건물의 바닥콘크리트층; 상기 바닥콘크리트층의 상면에 마련된 방수층; 및 상기 방수층의 상면에 마련된 블록층을 구비한다. 상기 블록층은 두께가 상이한 복수개의 블록이 건물바닥의 전 면적에 걸쳐 배치되어 이루어진다. 상기 블록들은 건물바닥의 중앙부로부터 가장자리부까지 물이 흐를수 있는 경사를 제공하도록 점진적으로 그 두께가 감소되는 방식으로 배치된다.
본 고안의 다른 측면에 따르면, 상기 건물 바닥의 방수구조는 건물의 바닥콘크리트층; 상기 바닥콘크리트층의 상면에 마련된 방수층; 및 상기 방수층의 상면에 마련된 블록층을 구비한다. 상기 블록층은 두께가 상이한 복수개의 블록이 건물바닥의 전 면적에 걸쳐 배치되어 이루어진다. 상기 블록들은 건물바닥의 일측으로부터 배수구가 형성된 타측까지 물이 흐를수 있는 경사를 제공하도록 점진적으로 그 두께가 감소되는 방식으로 배치된다.
본 고안의 또 다른 측면에 따르면, 상기 건물 바닥의 방수구조는 건물바닥면을 그 중심점을 기준으로 하여 동일거리를 가진 동심원상의 복수개의 하부구역으로 구획하고, 상기 각 하부구역의 바닥면에는 실질적으로 동일한 두께의 블록들이 배치된다. 건물바닥의 중심점과 인접한 하부구역에는 상대적으로 큰 두께의 블록을배치하고 건물바닥의 중심점으로부터 멀리 떨어진 하부구역에는 상대적으로 작은 두께의 블록을 배치함으로써 건물바닥의 중심부로부터 가장자리를 향하여 물이 흐를수 있는 경사를 제공하도록 블록의 두께가 점진적으로 감소된다.
상기 블럭은 폐콘크리트와 아스콘을 포함한 폐건축자재를 압축 성형하여 만들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에서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며서 본 고안에 따른 건물바닥의 방수구조 및 그 시공방법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1 내지 도4는 본 고안에 따른 건물바닥의 방수구조의 일 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의 건물바닥의 방수구조는 건물(100)의 옥상이나 욕실 등의 바닥을 구성하는 바닥콘크리트층(10)의 상면에 마련된 방수층(12)과 상기 방수층(12)의 상면에 형성된 블록층(20)을 구비한다.
본 고안에서는 블록층(20)에 의해 물이 흐를 수 있는 경사면이 제공되므로 상기 바닥콘크리트층(10)을 정밀하게 경사 시공할 필요가 없이 통상적인 방식으로 수평 시공하면 된다.
상기 방수층(12)은 다양한 방법으로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아스팔트를 구성하는 액체 상태의 골타르를 바닥콘트리트층(10)에 도포한 후 블록층을 구성하는 복수개의 블록을 배치한 다음에, 건조 경화시켜서 고무와 같은 탄력성을 가진 방수층을 형성할 수 있다.
방수층(12)의 다른 예로서 양면 접착 방수층을 사용할 수 있는 바, 양면 접착 방수층은 위면과 아래면이 접착성 재질로 이루어져 있고 접착면 보호를 위해 이형지가 부착되어 있다. 아래면의 이형지를 떼어내고 하부의 바닥콘크리트 면에 부착하고 상면에는 블록층이 부착된다. 양면 접착 방수층은 접착성 재질로 되어 있기 때문에 쉽게 현장에서 시공할 수 있고, 통상적으로 아스팔트 또는 개량 아스팔트 재질로 일정한 규격으로 제조된 것을 현장에 반입하여 사용한다. 방수층끼리 연결되는 곳에는 겹친 이음, 맞댄 이음, 위 보강편 이음 등의 방법으로 시공한다. 겹친 이음의 경우 자기 접착성의 방수층끼리 결합되므로 상호 강하게 접합된다.
상기 방수층(12)의 상면에는 형성된 블록층(20)은 복수개의 두께가 다른 블록(21)이 건물바닥의 전 면적에 걸쳐 배치됨으로써 이루어진다. 도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블록(21)들의 두께는 물이 흐를 수 있는 경사를 제공하도록 점진적으로 감소되게 설정된다. 예를 들어 도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건물 옥상의 4개의 가장자리에 배수구(11)가 설치된 경우에는, 건물옥상 바닥의 중앙부(X)로부터 배수구(11)가 위치한 가장자리부(Y)까지 블록(21)의 두께가 점진적으로 감소된다.
상기 블록(21)의 두께는 예를 들어 다음과 같이 설정될 수 있다. 건물바닥의 중앙부(X)에 배치된 블록의 두께가 대략 10cm 로 설정하고 건물의 중앙부로부터 가장자리로 갈수록 그 두께가 점진적으로 감소된 블록(예를 들어, 8cm, 6cm 및 4cm)을 배치하며, 건물바닥의 가장자리부에 배치되는 블록의 두께는 2cm가 되도록 설정한다.
상기 블록(21)은 다양한 방법으로 성형될 수 있으나, 폐콘크리트와 아스콘 등과 같은 폐건축자재를 압축 성형하여 만들어지는 것도 가능하다. 이러한 블록들을 다양한 두께로 규격화하여 제조하면 현장에서 용이하게 적용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블록의 형상의 사각형으로 형성된 것이 개시되어 있으나, 사각형 이외에도 원형, 마름모형 등 그 설계조건에 따라 다양한 형태로 만들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 블록의 두께가 10cm ~ 2cm 의 범위에 있는 예가 예시되어 있으나, 블록의 두께는 바닥면의 면적이나 블록의 제작조건 등의 인자에 따라 당업자가 다양하게 설정 가능한 것이므로, 건물바닥면 중앙부로부터 가장자리부까지 블록의 두께를 점진적으로 또는 단계적으로 감소시켜 건물 바닥면에 떨어진 물이 가장자리의 배수관으로 유도할 수 있는 경사를 제공하는 구조이면 모두 적용가능하다.
도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블록(21)과 블록(21) 사이의 공간에는 줄눈 등의 충진재(22)가 채워진다.
도시되지 않았으나 상기 블록(21)을 방수층(12)에 견고하게 부착하기 위하여 별도의 접착층을 개재할 수 있다.
건물 바닥면의 면적이 상당히 큰 경우에는 바닥면을 복수개의 하부구역으로 구획하여 시공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어 도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건물바닥면을 중심점(X)을 기준으로 하여 동일거리를 가진 동심원상으로 복수개의 하부구역을 설정한다. 건물 바닥면의 중심점(X)을 포함한 동심원상의 하부구역(A1: 제1 하부구역), 제1 하부구역(A1)에 인접한 제2 하부구역(A2), 제2 하부구역(A2)에 인접한 제3 하부구역(A3), 제3 하부구역(A3)에 인접한 제4 하부구역(A4) 및 제4 하부구역(A4)에 인접하고 배수구(11)를 포함하는 제5 하부구역(A5)으로 구획한다.
상기 각 하부구역(A1)(A2)(A3)(A4)(A5)의 내에는 동일한 두께의 블록(21)들을 배치하고, 상이한 하부구역에는 상이한 두께의 블록을 배치한다. 예를 들어 제1 하부구역 내지 제5 하부구역(A1)(A2)(A3)(A4)(A5)에 배치되는 블록의 두께를 각각 10cm, 8cm, 6cm, 4cm 및 2cm 로 설정한다. 따라서 건물바닥의 중심부(X)로부터 가장자리(Y)까지의 블록의 두께가 점진적으로 감소하여 물이 흐를 수 있는 경사가 제공된다.
이하에서 도5 및 도6을 참조하면서 본 고안에 따른 건물바닥의 방수구조의 다른 실시예를 설명한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의 건물바닥은 면적이 비교적 작아 바닥면의 일부에만 배수구가 형성된 것으로서, 예를 들어 욕실의 바닥면이 이에 해당될 수 있다.
본 실시예의 건물바닥의 방수구조는 욕실 등의 바닥을 구성하는 바닥콘크리트층(30)의 상면에 마련된 방수층(32)과 상기 방수층(32)의 상면에 형성된 블록층(40)을 구비하는 점에서 도1 내지 도5에 도시된 실시예와 동일하다.
본 실시예의 블록층(40)을 구성하는 각 블록(41)은 그 두께가 바닥면의 일측으로부터 배수구(31)가 배치된 타측(Y)까지 점진적으로 감소하여 물이 흐를 수 있는 경사를 제공한다.
본 실시예의 방수구조를 시공할 때에는 바닥면을 복수개의 하부구역으로 구획하여 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6에 도시된 바와 같이, 건물바닥면을 그 일측면(X)을 기준으로 하여 동일거리를 가진 동심원상으로 복수개의 하부구역을 설정한다. 건물 바닥면의 중심점(X)을 포함한 동심원상의 제1 하부구역(B1), 제1 하부구역(B1)에 인접한 제2 하부구역(B2), 제2 하부구역(B2)에 인접한 제3하부구역(B3), 제3 하부구역(B3)에 인접한 제4 하부구역(B4) 및 제4 하부구역(B4)에 인접하고 배수구(31)를 포함하는 제5 하부구역(B5)으로 구획한다.
상기 각 하부구역(B1)(B2)(B3)(B4)(B5)의 내에는 동일한 두께의 블록(41)들을 배치하고, 상이한 하부구역에는 상이한 두께의 블록을 배치한다. 예를 들어 제1 하부구역 내지 제5 하부구역(B1)(B2)(B3)(B4)(B5)에 배치되는 블록의 두께를 각각 10cm, 8cm, 6cm, 4cm 및 2cm 로 설정한다. 따라서 바닥의 일측(X)로부터 가장자리(Y)까지의 블록의 두께가 점진적으로 감소하여 물이 흐를 수 있는 경사가 제공된다.
본 명세서 및 도면에 기재된 사항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하여 예시적으로 제시된 것으로서, 본 고안의 보호범위가 이들 사항에 제한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된다. 예를 들어 본 명세서의 실시예에서는 건물 천정과 욕실 바닥의 방수구조 만이 설명되어 있으나, 본 고안은 양식장의 바닥 등의 배수구조에도 그대로 적용할 수 있다.
본 고안에 따른 건물바닥의 방수구조 및 그 시공방법은 상이한 두께의 블록을 바닥콘크리트에 배치하는 것에 의해 물이 흐를수 있는 경사가 제공되므로, 건물의 바닥콘크리트 자체에 정밀한 경사를 형성할 필요가 없으므로 시공이 현저히 간단해진다. 또한 건물 바닥면의 방수의 신뢰성 및 내구성이 높아지므로 물이 건물 바닥면의 배수구로 빠져나가지 못하고 일부분에 고여있는 현상이 현저히 줄어들게 된다. 따라서 시공 후 일정기간이 지나면 물고임 현상 등에 의해 콘크리트 바닥면이 갈라지거나 파손되고 이에 따른 누수에 의해 건축재료가 열화되는 것이 방지될 뿐만 아니라 건물 자체의 내구성을 높이는데 기여하는 이점을 제공한다.

Claims (4)

  1. 건물의 바닥콘크리트층;
    상기 바닥콘크리트층의 상면에 마련된 방수층; 및
    상기 방수층의 상면에 마련된 블록층을 구비하고,
    상기 블록층은 두께가 상이한 복수개의 블록이 건물바닥의 전 면적에 걸쳐 배치되어 이루어지고,
    상기 블록들은 건물바닥의 중앙부로부터 가장자리부까지 물이 흐를수 있는 경사를 제공하도록 점진적으로 그 두께가 감소되는 방식으로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물 바닥의 방수구조.
  2. 건물의 바닥콘크리트층;
    상기 바닥콘크리트층의 상면에 마련된 방수층; 및
    상기 방수층의 상면에 마련된 블록층을 구비하고,
    상기 블록층은 두께가 상이한 복수개의 블록이 건물바닥의 전 면적에 걸쳐 배치되어 이루어지고,
    상기 블록들은 건물바닥의 일측으로부터 배수구가 형성된 타측까지 물이 흐를수 있는 경사를 제공하도록 점진적으로 그 두께가 감소되는 방식으로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물 바닥의 방수구조
  3. 건물바닥면을 그 중심점을 기준으로 하여 동일거리를 가진 동심원상의 복수개의 하부구역으로 구획하고,
    상기 각 하부구역의 바닥면에는 실질적으로 동일한 두께의 블록들이 배치되고,
    건물바닥의 중심점과 인접한 하부구역에는 상대적으로 큰 두께의 블록을 배치하고 건물바닥의 중심점으로부터 멀리 떨어진 하부구역에는 상대적으로 작은 두께의 블록을 배치함으로써 건물바닥의 중심부로부터 가장자리를 향하여 물이 흐를수 있는 경사를 제공하도록 블록의 두께가 점진적으로 감소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물바닥의 방수구조.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상기 블럭은 폐콘크리트와 아스콘을 포함한 폐건축자재를 압축 성형하여 만들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물바닥의 방수구조.
KR20-2004-0004523U 2004-02-20 2004-02-20 건물 바닥의 방수구조 KR200350566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4-0004523U KR200350566Y1 (ko) 2004-02-20 2004-02-20 건물 바닥의 방수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4-0004523U KR200350566Y1 (ko) 2004-02-20 2004-02-20 건물 바닥의 방수구조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11459A Division KR100554686B1 (ko) 2004-02-20 2004-02-20 건물 바닥의 방수구조 및 그 시공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50566Y1 true KR200350566Y1 (ko) 2004-05-13

Family

ID=4934622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4-0004523U KR200350566Y1 (ko) 2004-02-20 2004-02-20 건물 바닥의 방수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50566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771713B2 (en) Integrated bonding flange support disk for prefabricated shower tray
US4075800A (en) Foundation aquaduct and expansion joint
ES2330562T3 (es) Material de drenaje en forma de banda o de placa para el tendido de revestimientos de placas de drenaje y/o ventilacion en lecho delgado.
EP1857029B1 (en) Floor element and method for making a floor element
KR20180042683A (ko) 소음저감형 지하주차장 바닥시공방법
US8894324B2 (en) Drainage system, apparatus, and method
KR101837093B1 (ko) 지하차도, 교량, 복개암거 또는 터널 등을 포함한 콘크리트 구조물에서의 차량 주행면 신축이음 구조 및 시공방법
KR100554686B1 (ko) 건물 바닥의 방수구조 및 그 시공방법
KR101641050B1 (ko) 바닥용 배수판
KR200350566Y1 (ko) 건물 바닥의 방수구조
KR200358981Y1 (ko) 건물 바닥의 방수구조및 이에 사용되는 경사블록
KR200399347Y1 (ko) 지하실 내부 벽체용 패널 구조
KR100441965B1 (ko) 조립식 지붕 방수 시스템
CN108086489B (zh) 具有可调整高度的止水墩的止水结构及其施作方法
KR20110037764A (ko) 모세관 탈기구, 및 이를 이용한 방수 또는 바닥재 시공방법
KR20200103335A (ko) 욕실용 방수시스템
CN206859429U (zh) 具有可调整高度的止水墩及其止水结构
KR102592619B1 (ko) 이중 구조를 갖는 배관 장치 및 그 시공 방법
CA2245350A1 (en) Leakcage diversion tile construction method
JP5269308B2 (ja) 建物の外部床の床面構造、及び該床面構造の形成方法。
JP5635064B2 (ja) 覆工材
JP3245457U (ja) モジュール式排水構造
KR20170014320A (ko) 구조물의 탈기장치
KR102387380B1 (ko) 욕실 건식 바닥 시스템
KR200412673Y1 (ko) 반사현상을 방지한 방습프레임용 패널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U107 Dual application of utility model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EXTG Extinguish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