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49440Y1 - 회수기 - Google Patents

회수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49440Y1
KR200349440Y1 KR20-2004-0002173U KR20040002173U KR200349440Y1 KR 200349440 Y1 KR200349440 Y1 KR 200349440Y1 KR 20040002173 U KR20040002173 U KR 20040002173U KR 200349440 Y1 KR200349440 Y1 KR 200349440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ire
guide rope
frame
transmission line
braking for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4-0002173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채철호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청우에스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청우에스이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청우에스이
Priority to KR20-2004-0002173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49440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49440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49440Y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DCAPSTANS; WINCHES; TACKLES, e.g. PULLEY BLOCKS; HOISTS
    • B66D3/00Portable or mobile lifting or hauling appliances
    • B66D3/006Power actuated devices operating on ropes, cables, or chains for hauling in a mainly horizontal direc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DCAPSTANS; WINCHES; TACKLES, e.g. PULLEY BLOCKS; HOISTS
    • B66D5/00Braking or detent devices characterised by application to lifting or hoisting gear, e.g. for controlling the lowering of loads
    • B66D5/02Crane, lift hoist, or winch brakes operating on drums, barrels, or ropes
    • B66D5/16Crane, lift hoist, or winch brakes operating on drums, barrels, or ropes for action on ropes or cable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1/00Method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installing, maintaining, repairing or dismantling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1/02Method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installing, maintaining, repairing or dismantling electric cables or lines for overhead lines or cable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7/00Overhead installations of electric lines or cables
    • H02G7/05Suspension arrangements or devices for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7/06Suspensions for lines or cables along a separate supporting wire, e.g. S-hook
    • H02G7/08Members clamped to the supporting wire or to the line or cabl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Electric Cable Installation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조금차 공법으로 광통신선(OPGW) 및 송전선(CONDUCTOR) 설치 공사 시에 신규 광통신선 및 송전선의 연선이 완료된 후 가이드 로프를 회수 할때 사용되는 회수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가이드 로프의 끝단에 연결하여 신규 광통신선 및 송전선에 설치되어 외부의 힘으로 당겨 올 때 외부의 힘을 이용하여 이동되도록 하여 가이드 로프가 안정되게 회수되도록 하는 송전선용 회수기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본 고안은 양측으로 설치되는 로울러(4, 4')를 고정하는 양측의 하측프레임(3)과, 하측프레임(3)의 일측에서 원판(11)과 나비너트(13)로 고정 및 개방되어 신선(23)을 삽입하는 프레임(2)과, 상기 프레임(2)의 일측으로 설치된 아이볼트(10)가 고정된 훅크(8)의 내부에 설치된 스프링(9)과, 상기 스프링(9)의 탄성력을 받도록 경사지게 설치된 미끄럼판(5)의 선단에 설치되어 신선(23)을 눌러 제동력을 제공하는 우레탄 로울러(6)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Description

회수기{omitted}
본 고안은 조금차 공법으로 광통신선(OPGW) 및 송전선(CONDUCTOR) 설치공사 시에 신규 광통신선 및 송전선의 연선이 완료된 후 가이드 로프를 회수 할때 사용되는 회수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가이드 로프의 끝단에 연결하여 신규 광통신선 및 송전선에 설치되어 외부의 힘으로 당겨 올 때 외부의 힘을 이용하여 이동되도록 하여 가이드 로프가 안정되게 회수되도록 하는 송전선용 회수기에 관한 것이다.
종래에는 양측으로 설치된 송전탑(24, 24')의 사이에 새롭게 광통신선 및 송전선과 같은 신선(23)을 설치하거나 기존선(21)이 낡은 경우에는 신선(23)으로 교체하게 된다.
신선(23)을 교체하거나 새로 설치한 후에는 가이드 로프(22)와 기존선(21)을 회수해야만 한다.
가이드 로프와 기존 선을 회수하는 경우에는 신선에 설치된 조금차의 하측으로 일정한 간격에 가이드 로프와 기존 선이 설치되어 있으며, 송전탑의 일측에서 사람의 힘을 이용하여 가이드 로프와 기존 선을 당기게 된다.
이때 회수기는 당겨올 때 신선에 일정한 제동력을 주면서 가이드 로프와 기존선의 처짐을 방지하며 회수된다.
그러나 기존 회수기는 제동력이 약해 작업 중 가이드 로프와 기존선의 처짐현상이 발생된다.
상기와 같이 가이드 로프와 기존 선이 처지면서 하측으로 미리 설치되어 있는 송전선에는 전원을 중지시켜야만 하나, 대부분 작업시에 전원을 중지시키는 시간이 지연되면서 많은 민원이 제기되므로 과다한 처짐현상의 발생으로 전원이 들어오는 송전선과 접촉되면서 작업자가 전기사고 발생의 위험성이 있다.
또한 제동력이 약하여 인력을 이용한 작업으로 작업속도가 저하되는 결점이 있었다.
상기 기존 회수기의 제동력은 스프링을 이용하여 제공되므로 8kgf 정도의 제동력이 제공되며, 오랜 기간 사용하면 제동력이 저하(변화)되는 결점이 있어서 작업능력이 저하되는 등 많은 문제점이 발생되었다.
또한 신선(케이블)의 직경이 다른 경우에는 제동력이 더욱 크게 변화되어 작업하기에 매우 어려운 결점이 있었다.
그리고 스크류축을 회전시키는 손잡이의 회전을 통하여 연결판을 누르면 하측 로울러가 쿠션재로 이루어져 있으므로 누르는 힘에 따라서 통상적으로 눌러야 하는 압력에 비하여 더욱 큰 힘을 가하게 되므로 구동에 어려움이 있고 장비 전체에 많은 무리가 발생여 고장의 원인 및 파손의 원인이 되어 수명을 단축시키게 된다.
따라서 본 고안은 이러한 종래의 결점을 해소시키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신선의 직경이 달라도 제동력을 일정하고 자유롭게 유지시킬 수 있는 로울러 가압형으로 제공하여 제동력 변화가 가능하도록 하는 것이다.
본 고안은 회수되는 가이드 로프와 기존선의 처짐현상을 방지하여 고도 작업시 처짐에 의한 전선의 안정성을 제공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도 1은 본 고안의 회수기에 대한 사용상태도
도 2 는 본 고안의 회수기에 대한 사시도
도 3 은 본 고안의 정면도
도 4 는 본 고안의 배면도
도 5 는 본 고안의 좌측면도
도 6 은 본 고안의 평면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회수기 2 : 프레임
3 : 하측 프레임 4, 4' : 로울러
5 : 미끄럼판 6 : 루레탄 로울러
7 : 스프링 서포트 8 : 훅크
9 : 스프링 10 : 아이볼트
11 : 원판 12 : 핸들
13 : 나비너트 20 : 조금차
21 : 기존선 22 : 가이드 로프
23 : 신선
본 고안은 전방의 프레임(2) 하측으로 양측에 하측 프레임(3)이 연결되어 있으며, 이 하측 프레임(3)의 좌, 우측에는 로울러(4, 4')가 설치되어 있어서 신선(23)에 올려져 회수기(1)의 이동으로 가이드로프(22)를 회수할 수 있도록 설치한다.
상기 프레임(2)의 일측면 상부에는 훅크(8)가 연결되고 반대편에는 스프링 서포트(7)가 설치되며 그 안쪽으로 미끄럼판(5)이 경사지게 연결되어 선단으로 우레탄 로울러(6)가 연결된다.
상기 미끄럼판(5)과 스프링 서포트(7)에는 스프링(9)이 설치되어 있어서 미끄럼판(5)을 탄성력으로 눌러주도록 하며 프레임(2)의 외측에는 원판(11)이 연결되어 있다.
상기 프레임(2)의 하측에는 핸들(12)이 설치되어 있고, 그 일측에는 로울러(4')가 열결되어 있으며, 나비너트(13)에 의하여 하측 프레임(3)에서 프레임(2)의 조립과 분리를 가능하게 하는 것이다.
상기 훅크(8)의 상측에는 아이볼트(10)가 연결되어 있어서 기존선(21) 또는 가이드로프(22)를 회수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이러한 구성으로 이루어진 본 고안은 조금차(20)를 이용하여 광통신선 및 송전선 설치 공사 시에 신규 광통신선 및 송전선인 신선(23)의 연선이 완료된 후 가이드 로프(22) 및 기존선(21)을 회수해야만 한다.
가이드 로프(22)와 기존선(21)을 아이볼트(10)에 연결하고 반대편은 송전탑(24)의 일측에 설치된 윈치(25)에 연결한다.
윈치(25)는 가이드 로프(22)와 기존선(21)을 잡아당기게 되므로 가이드 로프(22)와 기존선(21)의 처짐을 방지하기 위하여 후방의 회수기(1)가 일정한 제동력을 제공하는 것이다.
이때 회수기(1)에 설치된 미끄럼판(5)은 스프링(9)의 탄성력을 받아서 우레탄 로울러(6)에 힘을 가하게 되므로 신선(23)을 누르면서 로울러(4, 4')에 일정한 제동력을 제공하여 가이드 로프(22)와 기존선(21)의 사이에 설치된 조금차(5)의 충돌을 방지하고 가이드 로프(22)와 기존선(21)이 하측으로 처지지 않아서 하측의 전력선에 닿지 않도록 하는 것이다.
여기서 회수기(1)는 20∼70kgf 이상의 제동력을 제공하므로 기존의 회수기에 비하여 큰 제동력을 제공하여 윈치(25)에 의한 가이드 로프(22)와 기존선(21)의 회수를 가능하게 하는 것이다.
또한 회수기(1)에 신선(23)을 연결시키는 경우에는 나비너트(13)를 풀고 원판(11)을 완전하게 분리하여 프레임(2)이 분리되도록 하면 로울러(4, 4')의 일측이 개방되므로 그 개방되는 공간을 통하여 신선(23)을 삽입하므로 회수기(1)가 도 1과 같이 철탑(24)을 왕복할 수 있도록 설치되는 것이다.
신선(23)이 회수기(1)에 설치된 이후에는 프레임(2)을 닫고 원판(11)을 고정시키는 동시에 나비너트(13)로 고정시켜 도 1 과 같이 신선(23)에 회수기(1)가 설치되는 것이다.
이때 로울러(4, 4')가 양측에 설치되고 그 사이의 일측으로 우레탄 로울러(6)가 역삼각형 형태로 설치되어 스프링(9)의 탄성력이 미끄럼판(5)을 통하여 제동력을 제공할 때 안정된 상태의 저항이 제공되도록 하는 형태를 유지하면서 제동력을 제공할 수 있는 것이다.
따라서 신선(23)의 굵기가 가늘어지는 경우에도 제동력에 변화를 줄 수 있으므로 신선(23)의 굵기에 따라서 제동력에 변화를 주어 처짐이 없는 회수기(1)의 안정된 작동을 통하여 기존선(21)과 가이드 로프(22)의 회수를 가능하게 하는 것이다.
또한 우레탄 로울러(6)는 쿠션재를 사용하여 제동력의 정확한 전달을 기할 수 있도록 하였고, 간편하게 분리하여 새로운 것으로 쉽게 교체할 수 있는 것이다.
본 고안은 신선의 직경이 달라도 제동력을 일정하고 자유롭게 유지시킬 수 있는 로울러 가압형으로 제공하여 제동력 변화가 가능하도록 하는 것이다.
본 고안은 회수되는 가이드 로프와 기존선의 처짐 현상을 방지하여 고도 작업시 처짐에 의한 전선의 안정성을 제공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본 고안은 신선의 직경이 달라도 제동력을 일정하고 자유롭게 유지시킬 수 있는 것이다.
본 고안은 회수되는 가이드 로프와 기존선의 처짐 현상을 방지하여 고도 작업시 처짐에 의한 감전사고를 방지하고 위험 지역에서 전선의 안정성을 제공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본 고안은 윈치를 이용하여 가이드 로프와 기존 선을 안정되게 회수할 수 있으므로 작업을 편리하게 수행하며, 작업지연 발생으로 인한 휴전기간 연장을 방지할 수 있는 것이다.

Claims (1)

  1. 조금차 공법으로 광통신선 및 송전선 설치공사시에 신선(23)의 연선이 완료된 후 기존선(21)과 가이드 로프(22)를 회수하는 회수기에 있어서,
    양측으로 설치되는 로울러(4, 4')를 고정하는 양측의 하측프레임(3)과,
    하측프레임(3)의 일측에서 원판(11)과 나비너트(13)로 고정 및 개방되어 신선(23)을 삽입하는 프레임(2)과,
    상기 프레임(2)의 일측으로 설치된 아이볼트(10)가 고정된 훅크(8)의 내부에 설치된 스프링(9)과,
    상기 스프링(9)의 탄성력을 받도록 경사지게 설치된 미끄럼판(5)의 선단에 설치되어 신선(23)을 눌러 제동력을 제공하는 우레탄 로울러(6)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송전선용 회수기.
KR20-2004-0002173U 2004-01-29 2004-01-29 회수기 KR200349440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4-0002173U KR200349440Y1 (ko) 2004-01-29 2004-01-29 회수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4-0002173U KR200349440Y1 (ko) 2004-01-29 2004-01-29 회수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49440Y1 true KR200349440Y1 (ko) 2004-05-04

Family

ID=4942949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4-0002173U KR200349440Y1 (ko) 2004-01-29 2004-01-29 회수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49440Y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96749B1 (ko) 2005-06-08 2007-03-19 엘에스전선 주식회사 회수기용 마찰식 브레이크
KR101314637B1 (ko) 2013-08-16 2013-10-04 (주)한백 긴선 작업을 위한 휴대용 윈치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96749B1 (ko) 2005-06-08 2007-03-19 엘에스전선 주식회사 회수기용 마찰식 브레이크
KR101314637B1 (ko) 2013-08-16 2013-10-04 (주)한백 긴선 작업을 위한 휴대용 윈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3124915B (zh) 光纤切断装置的屑回收装置
CN209802858U (zh) 一种电缆生产用拉力检测装置
KR200349440Y1 (ko) 회수기
CN217717285U (zh) 一种玻璃纤维布生产用抗拉强度检测装置
CN219904765U (zh) 一种无人机电池检测用电池辅助更换装置
CN102151734A (zh) 压毛刺机构及压毛刺方法
CN215004712U (zh) 一种便携式电缆测试装置
CN104917106A (zh) 一种新型卡线器
CN209805829U (zh) 一种用于光纤故障定点监测的光时域反射仪
CN212874649U (zh) 一种带有防护结构的锂电池储存箱
KR20040017258A (ko) 유압형 회수기
CN103247958A (zh) 防绕击避雷针遥控遥察破除机
CN203996081U (zh) 一种车窗逃生装置及汽车
CN211100823U (zh) 一种拉丝机张力调节装置
CN107913958B (zh) 一种8字缆吊线切断装置
CN107487023B (zh) 一种拖链覆盖装置
CN213660338U (zh) 一种熔断器安装机构
CN217718203U (zh) 一种光缆线路固定机构
CN220372336U (zh) 一种剪板机
CN205374800U (zh) 光纤切割装置刀片固定组件
CN214314272U (zh) 一种高压电力电缆缓冲支架
CN219345392U (zh) 一种高强度矿用接链环
CN211231467U (zh) 一种水库闸门钢丝绳清理装置
CN109529218B (zh) 一种抓绳器
CN213088651U (zh) 一种无尘拖链的连接结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530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226

Year of fee payment: 10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