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49030Y1 - 벤취용 연결지지구 - Google Patents

벤취용 연결지지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49030Y1
KR200349030Y1 KR20-2004-0003102U KR20040003102U KR200349030Y1 KR 200349030 Y1 KR200349030 Y1 KR 200349030Y1 KR 20040003102 U KR20040003102 U KR 20040003102U KR 200349030 Y1 KR200349030 Y1 KR 200349030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necting plate
bench
bent
support
pl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4-0003102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창훈
Original Assignee
박창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창훈 filed Critical 박창훈
Priority to KR20-2004-0003102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49030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49030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49030Y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11/00Bench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47C11/005Bench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having multiple separate seat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7/0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chairs or stools
    • A47C7/50Supports for the feet or the legs coupled to fixed parts of the chai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12/00Jointing of furniture or the like, e.g. hidden from exterior
    • F16B12/02Joints between panels and corner posts

Abstract

본 고안은 벤취용 연결지지구에 관한 것으로, 그 목적은 공원 등에 설치되는 벤취를 다양한 형태로 자유롭게 설치할 수 있으면서도 위험요소를 최소화할 수 있는 벤취용 연결지지구를 제공하는 것이며, 그 구성은 연부가 소정폭을 갖고 하방으로 수직되게 절곡형성된 절곡면을 갖는 소정형상의 판상으로써, 하면 중앙부에 소정형상을 갖고 하방으로 돌출형성되고, 측면부에 나사공을 갖는 조립구와, 상기 절곡면의 소정구간을 따라 다수개의 나사공을 갖고 수평으로 돌출형성되어 벤취받침대의 단부와 고정결합되는 하나 이상의 결합판부를 일체로 갖는 벤취연결판과; 소정길이를 갖는 막대로써 하단부는 수직으로 지중에 매설되고 상단부는 상기 벤취연결판의 조립구와 고정결합되어 상기 벤취연결판을 지지하는 지지대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벤취용 연결지지구{A connect and support device for bench}
본 고안은 벤취용 연결지지구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공원 등에 설치되는 벤취를 다양한 형태로 자유롭게 설치할 수 있으면서도 위험요소를 최소화할 수 있는 구조를 갖도록 한 벤취용 연결지지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종래의 벤취는 제작시 디자인된 형상으로 제작되어 설치시 제작된 형상으로만 설치할 수 있을 뿐 설치장소에 따라 다양한 형태로 자유롭게 설치할 수 없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고려하여 안출한 것으로써, 그 목적은 공원 등에 설치되는 벤취를 다양한 형태로 자유롭게 설치할 수 있으면서도 위험요소를 최소화할 수 있는 벤취용 연결지지구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본 고안의 목적은 연부가 소정폭을 갖고 하방으로 수직되게 절곡형성된 절곡면을 갖는 소정형상의 판상으로써, 하면 중앙부에 소정형상을 갖고 하방으로 돌출형성되고, 측면부에 나사공을 갖는 조립구와, 상기 절곡면의 소정구간을 따라 다수개의 나사공을 갖고 수평으로 돌출형성되어 벤취받침대의 단부와 고정결합되는 하나 이상의 결합판부를 일체로 갖는 벤취연결판과; 소정길이를 갖는 막대로써 하단부는 수직으로 지중에 매설되고 상단부는 상기 벤취연결판의 조립구와 고정결합되어 상기 벤취연결판을 지지하는 지지대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벤취용연결지지구에 의해 달성될 수 있는 것이다.
도 1a는 본 고안에 따른 연결지지구중 벤취연결판의 1실시예를 도시한 평면 사시도.
도 1b는 본 고안에 따른 연결지지구중 벤취연결판의 1실시예를 도시한 저면 사시도.
도 2a는 본 고안에 따른 연결지지구중 벤취연결판의 2실시예를 도시한 평면 사시도.
도 2b는 본 고안에 따른 연결지지구중 벤취연결판의 2실시예를 도시한 저면 사시도.
도 3a는 본 고안에 따른 연결지지구중 벤취연결판의 3실시예를 도시한 평면 사시도.
도 3b는 본 고안에 따른 연결지지구중 벤취연결판의 3실시예를 도시한 저면 사시도.
도 4는 실시예로서 본 고안에 따른 연결지지구의 결합구조를 도시한 결합상태 단면도.
도 5는 실시예로서 본 고안에 따른 연결지지구중 도 2a 및 도 2b에 도시된 벤취연결판만을 조합하여 설치한 벤취를 도시한 평면도.
도 6은 실시예로서 본 고안에 따른 연결지지구중 도 2a 내지 도 3b에 도시된 벤취연결판을 조합하여 설치한 벤취를 도시한 평면도.
도 7은 실시예로서 본 고안에 따른 연결지지구중 도 1a 내지 도 3b에 도시된 벤취연결판을 조합하여 설치한 벤취를 도시한 평면도.
도 8은 실시예로서 본 고안에 따른 연결지지구중 도 1a 내지 도 2b에 도시된 벤취연결판을 조합하여 설치한 벤취를 도시한 평면도.
도 9는 실시예로서 본 고안에 따른 연결지지구중 도 1a 및 도 1b에 도시된 벤취연결판만을 조합하여 설치한 벤취를 도시한 사시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 연결지지구 11: 벤취연결판
12 : 지지대 13: 벤취받침대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벤취용 연결지지구에 대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도 1a는 본 고안에 따른 연결지지구중 벤취연결판의 1실시예를 도시한 평면 사시도이고, 도 1b는 본 고안에 따른 연결지지구중 벤취연결판의 1실시예를 도시한 저면 사시도이고, 도 2a는 본 고안에 따른 연결지지구중 벤취연결판의 2실시예를 도시한 평면 사시도이고, 도 2b는 본 고안에 따른 연결지지구중 벤취연결판의 2실시예를 도시한 저면 사시도이고, 도 3a는 본 고안에 따른 연결지지구중 벤취연결판의 3실시예를 도시한 평면 사시도이고, 도 3b는 본 고안에 따른 연결지지구중 벤취연결판의 3실시예를 도시한 저면 사시도이고, 도 4는 실시예로서 본 고안에 따른 연결지지구의 결합구조를 도시한 결합상태 단면도이고, 도 5는 실시예로서 본 고안에 따른 연결지지구중 도 2a 및 도 2b에 도시된 벤취연결판만을 조합하여 설치한 벤취를 도시한 평면도이고, 도 6은 실시예로서 본 고안에 따른 연결지지구중 도 2a 내지 도 3b에 도시된 벤취연결판을 조합하여 설치한 벤취를 도시한 평면도이고, 도 7은 실시예로서 본 고안에 따른 연결지지구중 도 1a 내지 도 3b에 도시된 벤취연결판을 조합하여 설치한 벤취를 도시한 평면도이고, 도 8은 실시예로서 본 고안에 따른 연결지지구중 도 1a 내지 도 2b에 도시된 벤취연결판을 조합하여 설치한 벤취를 도시한 평면도이며, 도 9는 실시예로서 본 고안에 따른 연결지지구중 도 1a 및 도 1b에 도시된 벤취연결판만을 조합하여 설치한 벤취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a 내지 도 9를 참조하면, 본 고안에 따른 벤취용 연결지지구(10)는 벤취연결판(11)과 지지대(12)로 구성된다.
상기 벤취연결판(11)은 연부가 소정폭을 갖고 하방으로 수직되게 절곡형성된 절곡면(11a)을 갖는 부채꼴, 반원 또는 사각형상의 판상으로써, 조립구(11b)와 하나 이상의 결합판부(11d)를 일체로 갖고 벤취받침대(13)의 단부과 고정결합결합된다.
상기 조립구(11b)는 상기 벤취연결판(11)의 하면 중앙부에 사각 또는 원형 등의 소정형상을 갖고 하방으로 돌출형성되고, 측면부에 나사공(11c)을 갖는다.
상기 결합판부(11d)는 상기 절곡면(11a)의 소정구간을 따라 다수개의 나사공(11e)을 갖고 수평으로 돌출형성되는게 설치시 벤취받침대(13)의 단부를 결합판부(11d)상에 올려놓고, 하방에서 상기 나사공(11e)을 통해 나사결합시킨다.
상기 지지대(12)는 사각 또는 원형 등의 소정형상의 단면을 갖는 소정길이의 막대로써 하단부는 수직으로 지중에 매설되고 상단부는 상기 벤취연결판(11)의 조립구(11b)와 고정결합되어 상기 벤취연결판(11)을 지지한다.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갖는 본 고안에 따른 벤취용 연결지지구(10)는 3개의 형상을 갖는 벤취연결판(11)을 조합하여 설치공간의 조건에 따라 일자, ㄱ자, ㄷ자 및 ㅁ자 형태와 같은 다양한 형태의 벤취를 신속하고 용이하게 설치할 수 있다.
즉, 도 5에서 보여지는 바와 같이, 단일 길이의 벤취를 설치할 때에는 벤취받침대(13)의 양단부에 각기 상기 반원형의 벤취연결판(11)(도 2a 및 도 2b 참조)를 고정결합시키는데 이 때 상기 벤취받침대(13)의 양단부를 각각 벤취연결판(11)의 결합판부(11d)상에 배치한 후 결합판부(11d)의 하방에서 나사공(11e)을 통하여 벤취연결판(11)과 벤취받침대(13)를 나사결합시킨다. 상기와 같이 벤취연결판(11)과 벤취받침대(13)의 결합이 완료되면, 상기 복수개의 지지대(12)를 상기 벤취연결판(11)의 조립구(11b)에 각기 조립될 수 있도록 하단부를 지중에 매설하고 지지대(12)의 상단부를 상기 벤취연결판(11)의 조립구(11b)에 조립시킨 후 조립구(11a)의 나사공(11c)을 통하여 나사결합시킴으로서 단일길이의 일자형 벤취가 완성되는 것이며, 도 6에서와 같은 복수 길이의 일자형 벤취를 설치하고자 할 때에는 최외곽 벤취받침대(13)의 외측단부에 각기 반원형 벤취연결판(11)을 결합시키고, 벤취받침대(13)의 내측 단부 사이에는 각기 도 3a 및 도 3b에 도시된 사각벤취연갈판(11)을 결합시켜 벤취받침대(13)를 상호연결시킨 후 사용된 벤취연결판(11)의 개수만큼 해당위치의 지면에 각각의 지지대(12)를 수직으로 고정설치한 후 해당되는 지지대의 상단부에 각각 벤취연결판(11)의 조립구(11b)를 조립하고 나사결합시킴으로서 벤취의 설치가 신속하고 용이하게 이루어 질 수 있는 것이다.
마찬가지로 도 7은 부채꼴 형상 및 사각형상의 벤취연결판(11)을 조합하여 설치한 직사각 형태의 벤취, 도 8은 부채꼴 형상 및 반원 형상의 벤취연결판(11)을 조합하여 설치한 ㄷ자 형태의 벤취, 도 9는 부채꼴 형상의 벤취연결판(11)만을 조합하여 설치한 정사각 형태의 벤취를 실시예로서 보여주고 있으며, 이러한 형태를 갖는 벤취설치도 단지 벤취연결판(11)의 조합만을 달리하는 것만으로 용이하게 설치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설치공간의 조건 및 설치자의 창작에 따라 ㄹ자 또는 지그재그 형태 등의 다양한 벤취를 신속하고 용이하게 설치할 수 있는 것이다.
이상으로 설명한 본 고안에 의하면, 공원 등에 설치되는 벤취를 다양한 형태로 자유롭게 설치할 수 있으면서도 위험요소를 최소화할 수 있는 효과를 갖는다.

Claims (4)

  1. 연부가 소정폭을 갖고 하방으로 수직되게 절곡형성된 절곡면(11a)을 갖는 소정형상의 판상으로써, 하면 중앙부에 소정형상을 갖고 하방으로 돌출형성되고, 측면부에 나사공(11c)을 갖는 조립구(11b)와, 상기 절곡면(11a)의 소정구간을 따라 다수개의 나사공(11e)을 갖고 수평으로 돌출형성되어 벤취받침대(13)의 단부와 고정결합되는 하나 이상의 결합판부(11d)를 일체로 갖는 벤취연결판(11)과; 소정길이를 갖는 막대로써 하단부는 수직으로 지중에 매설되고 상단부는 상기 벤취연결판(11)의 조립구(11b)와 고정결합되어 상기 벤취연결판(11)을 지지하는 지지대(12)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벤취용 연결지지구.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벤취연결판(11)은 부채꼴 형상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벤취용 연결지지구.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벤취연결판(11)은 반원형상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벤취용 연결지지구.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벤취연결판(11)은 사각형상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벤취용 연결지지구.
KR20-2004-0003102U 2004-02-09 2004-02-09 벤취용 연결지지구 KR200349030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4-0003102U KR200349030Y1 (ko) 2004-02-09 2004-02-09 벤취용 연결지지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4-0003102U KR200349030Y1 (ko) 2004-02-09 2004-02-09 벤취용 연결지지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49030Y1 true KR200349030Y1 (ko) 2004-05-03

Family

ID=4942923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4-0003102U KR200349030Y1 (ko) 2004-02-09 2004-02-09 벤취용 연결지지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49030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755431A (en) Post assembly and mounting fitting therefor
RU2496952C2 (ru) Сейсмическое крепление для т-образной детали деформационного шва решетчатой конструкции
KR101989616B1 (ko) 건식 벽 구조들을 프레이밍하기 위한 유연한 건식 벽 그리드 부재
WO2011146268A1 (en) Seismic perimeter brace
JP5909754B2 (ja) ソーラーパネル固定構造
KR200349030Y1 (ko) 벤취용 연결지지구
US6763641B1 (en) Gridless free form plank ceiling
KR200405447Y1 (ko) 지붕패널
JP4253771B2 (ja) 室内機の据付板及び空気調和機
JP6826511B2 (ja) 建築構造体
JP2005164178A (ja) アルミニウム製防護屋根
JP3762242B2 (ja) ドレイン本体の固定装置
JP4875424B2 (ja) 中継用ドレンキャップ
KR200300646Y1 (ko) 스프링쿨러 고정용 브라켓
JP3985543B2 (ja) 二重床の構造
WO2024025800A1 (en) Connector bracket for non-rectangular grid
JP4753133B2 (ja) 採光板の支持装置および採光装置
CN212802201U (zh) 一种用于吊顶安装的边角连接件及边角龙骨组件
CN217652245U (zh) 一种装配式踢脚线组件
KR200367341Y1 (ko) 천정매입등용 프레임
KR200317405Y1 (ko) 호형상의 천장 판넬 및 이를 설치하기 위한 설치 부재
KR200163424Y1 (ko) 난방용온수관의시공판
JP2513038Y2 (ja) 置式エアコン据付台
JP3533746B2 (ja) 防水型照明器具
JP6858512B2 (ja) デッキ構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00419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