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47866Y1 - charnel grave to prevent the frost with ventilation layer - Google Patents

charnel grave to prevent the frost with ventilation layer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47866Y1
KR200347866Y1 KR20-2004-0000629U KR20040000629U KR200347866Y1 KR 200347866 Y1 KR200347866 Y1 KR 200347866Y1 KR 20040000629 U KR20040000629 U KR 20040000629U KR 200347866 Y1 KR200347866 Y1 KR 200347866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emetery
condensation
air
ceiling
sea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4-0000629U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두우균
Original Assignee
두우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두우균 filed Critical 두우균
Priority to KR20-2004-0000629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47866Y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47866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47866Y1/en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3/00Monuments; Tombs; Burial vaults; Columbaria
    • E04H13/005Ventilation systems therefor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3/00Monuments; Tombs; Burial vaults; Columbaria
    • E04H13/006Columbaria, mausoleum with frontal access to vaul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Building Environment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통풍(通風)층이 있는 결로 방지용 납골묘에 관한 것으로서, 묘실을 덮어주는 천장석과 그 상단에 설치되는 덮개석 사이에 단열 기능을 갖는 통풍층을 형성하여 햇볕의 영향으로 묘실의 온도와 기압이 심하게 변하는 것을 방지하면서 한편으로는 묘실 내부에 기압 조절 장치를 내장하여 묘실의 공기 소통을 원활하게 함과 함께 소통되는 공기 중의 수분이 묘실 벽면 등과 접촉할 수 없도록 차단하여 묘실의 결로 현상과 곰팡이 등의 발생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ondensation prevention gravel gravel with a ventilation layer, and forms a ventilation layer having a thermal insulation function between the ceiling stone covering the graveyard and the cover stone installed at the top thereof, and thus the temperature and air pressure of the graveyard under the influence of sunlight. In addition to preventing excessive changes, on the other hand, a built-in air pressure regulator inside the cemetery facilitates the air communication of the cemetery and prevents moisture in the air from communicating with the wall of the cemetery, preventing condensation and mold. It is to prevent the occurrence.

이를 위한 본 고안은, 묘터(10)에 묻혀진 상태에서 납골묘(11)의 기초가 되는 기초 콘크리트층(12)과;The present invention for this purpose, the base concrete layer 12, which is the basis of the ossuary gravel 11 in the buried state in the plunger 10;

상기 기초 콘크리트층(12)의 상단에 고착된 상태로 묘테석(14)을 보강해주는 가공된 자연석재의 기초석(13)과;A base stone (13) of processed natural stone for reinforcing the gravestone (14) in a state fixed to the top of the base concrete layer (12);

상기 기초석(13)의 내측에 수직으로 설치된 상태에서 묘실(17)을 형성해주는 가공된 자연석재의 묘테석(14)과;Tombstone 14 of the processed natural stone to form a seedling 17 in a state vertically installed on the inside of the base stone 13;

상기 묘테석(14)에 의해 형성되는 공간으로 다수개의 고임돌(18, 18a, 18b)과 천장석(19, 19a) 및 바닥 판제석(15)에 의해 상하층으로 나누어지면서 바닥 판제석(15) 밑에 결로 흡인용 공간(27)이 형성되어 있는 묘실(17)과;The space formed by the gravestone 14 is divided into upper and lower layers by a plurality of dolmens 18, 18a and 18b, ceiling stones 19 and 19a, and floor slabs 15, under the floor slab 15. A seedling chamber 17 in which a condensation suction space 27 is formed;

상기 묘실(17) 내부에 납골함(25)을 안치하거나 안치된 납골함(25)을 인출하기 위한 출입구로 무거운 개폐석(21, 21a)을 삽입하거나 인출하는 방식으로 묘실(17)을 개폐 할 수 있도록 되어 있는 상하 출입구(20, 20a)와;In order to open and close the cemetery 17 by inserting or withdrawing the heavy opening and closing seats (21, 21a) into the entrance or the like for exiting the oscillation box (25) or the enclosed ossuary (25) inside the cemetery (17). Upper and lower entrances and exits 20 and 20a;

상기 묘실(17)에 내장된 상태에서 묘실 내부의 기압을 자동으로 조절하는 기압 조절 장치(22, 22a)와;An air pressure regulating device (22, 22a) for automatically adjusting the air pressure inside the cemetery in a state embedded in the cemetery (17);

상기 묘실(17)에 내장된 상태에서 묘실 내부의 습기와 악취를 흡착 제거해주는 활성탄제의 제습 탈취제(23, 23a)와;A dehumidifying deodorizing agent (23, 23a) of activated carbon, which adsorbs and removes moisture and odors in the inside of the cemetery in a state in which the cemetery is embedded;

상기 천장석(19a)과 일정 간격 이격된 상태로 단열 통풍층(24c)을 형성하면서 그 상단에 비석(26)이 견고하게 고착되어 있는 덮개석(24)과;A cover seat 24 in which a tombstone 26 is firmly fixed on the top thereof while forming an adiabatic ventilation layer 24c at a predetermined distance from the ceiling seat 19a;

상기 천장석(19a)과 덮개석(24) 사이에 형성되어 있는 낮고도 넓은 공간으로 통풍이 잘 되기 때문에 햇볕에 덮개석(24)의 온도가 높아져도 그 온도가 묘실(17)에 전도되지 않도록 차단시켜주는 단열층의 기능을 갖는 통풍층(24c) 등으로 구성된것을 특징으로 한다.Since the air is well ventilated in a low and wide space formed between the ceiling seat 19a and the cover seat 24, even if the temperature of the cover seat 24 increases in the sun, the temperature is prevented from being conducted to the graveyard 17. It is characterized by consisting of a ventilation layer (24c) having a function of the heat insulating layer.

Description

통풍(通風)층이 있는 결로 방지용 납골묘{charnel grave to prevent the frost with ventilation layer}Gravel grave to prevent the frost with ventilation layer

본 고안은 통풍(通風)층이 있는 결로 방지용 납골묘에 관한 것으로, 좀더 상세하게는 천장석과 덮개석 사이에 일정 간격의 단열 통풍층을 형성하여 햇볕에 의한 묘실 내부의 온도와 기압의 극심한 변화를 방지하면서,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ondensation prevention crypt bone having a ventilation layer, and more specifically, by forming a thermal insulation ventilation layer of a certain interval between the ceiling seat and the cover stone to prevent extreme changes in temperature and air pressure inside the graveyard by the sun. ,

묘테석의 연결부분을 포함하는 묘실 내부의 벽면과 바닥 및 천장 등에 FRP를 주입 도포하여 묘실을 방수 처리하고,Inject and apply FRP to the walls, floor and ceiling of the interior of the cemetery including the connection part of the cemetery to waterproof the cemetery,

묘실 내부에 기압 조절 장치와 제습제를 내장하여 공기 중의 수분과 지하수 및 빗물 등의 묘실 유입을 차단 흡착해서, 묘실 내부의 결로 현상과 곰팡이 및 악취발생 등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 통풍층이 있는 결로 방지용 납골묘에 관한 것이다.Built-in air pressure regulator and dehumidifying agent inside the cemetery prevents moisture in the air, inflow of the cemetery such as groundwater and rainwater, and prevents dew condensation and mold and odor in the cemetery. It is about the ossuary.

일반적으로 우리 전통의 장례 문화는 유교 사상의 영향을 받아서 매장을 원칙으로 해왔으나 근래에 와서는 묘지난에 따르는 묘지 가격의 상승으로 인하여 묘지 구입의 경제적 부담이 커짐과 함께 자연 보호에 대한 국민의 의식 수준이 높아짐에 따른 묘지개발의 자제와 핵가족화에 따르는 묘소 관리의 어려움 등으로 매장보다 시신을 화장하여 유골을 납골묘 또는 납골당에 안치시키는 예가 증가 추세에 있다.In general, the traditional funeral culture has been buried under the influence of Confucianism, but in recent years, due to the increase in the price of the cemetery due to the cemetery, the economic burden of purchasing the cemetery is increasing and the level of public awareness of nature protection. Due to the increase in cemetery development and the difficulty of managing the cemetery due to nuclear familyization, there is an increasing tendency for cremation of bodies to be placed in ossuary graves or ossuaries rather than burial.

그리고 장례 분야에 종사하는 많은 사람들이 오래전부터 장래 문화의 변화를 예견하고 이에 부응하는 새로운 형태의 각종 납골묘와 납골묘 형태인 소형 납골당 및 대단위 납골당을 개발 보급하여 왔다.In addition, many people in the funeral field have developed and disseminated new types of crypts and small crypts and large crypts in the form of crypts in anticipation and response to changes in future culture.

그러나 상기 납골묘와 소형 납골당은 구조 특성상 묘실 내부에 햇볕이 들지 않음은 물론 통풍이 잘 되지 않으며, 특히 납골묘와 소형 납골당은 내부와 외부의 온도 차이 때문에 내부 벽면과 납골함에 결로 및 곰팡이가 발생하여 안치된 유골을 부패시킴과 함께 악취를 풍기는 문제점이 있었다.However, the ossuary and small ossuary are not well ventilated due to their structural characteristics, and the ventilation is not well. Especially, the ossuary and the small ossuary are placed due to condensation and mold on the inner wall and the ossuary due to temperature difference between the inside and the outside. There was a problem with odor and corruption.

이에 그동안 많은 사람들이 납골묘의 결로 현상과 곰팡이 발생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노력한 결과 납골당의 지붕에 채광창을 만들거나 통풍 장치와 배수 방법 등을 개발하여 시공 현장에 보급하고 있다.In the meantime, many people have tried to solve the conventional problems such as condensation and mold occurrence of the ossuary graves. As a result, skylights are made on the roof of the ossuary, or ventilation devices and drainage methods have been developed and distributed to construction sites.

그리고 묘실 벽체를 이중 구조로 하거나 단열재를 벽체 내측에 부착하여 묘실 내외의 온도 차이를 줄이는 방법과 묘실 내부에 숯과 같은 제습 탈취제를 내장하는 방법 등으로 묘실의 결로 현상과 곰팡이 및 악취 발생을 방지하고자 노력해 왔다.In order to prevent the condensation and mold and odor of the cemetery, the double wall structure of the cemetery or the insulation is attached inside the wall to reduce the temperature difference between the interior and the interior of the cemetery, and the dehumidifying deodorant such as charcoal is embedded in the cemetery. I have tried.

그러나 상기의 노력에도 불구하고 기초석과 묘테석 등 가공된 다수개의 자연석재가 조립되는 납골묘와 소형 납골당은 계절 변화와 외압 및 지진 등의 영향을 받아서 기초석과 묘테석 등의 연결부위가 뒤틀리고 벌어지는 문제점이 있었다.However, despite the above efforts, the crypts and small ossuaries where the processed natural stones such as foundation stones and gravestones are assembled are distorted and opened due to seasonal changes, external pressure and earthquakes. there was.

그리고 상기 문제점 때문에 처음 시공이 완벽 했던 납골묘와 소형 납골당도 시간이 흐름에 따라 벌어진 틈을 통해 스며드는 지하수와 빗물로 묘실 내부에 결로 및 곰팡이 등이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었다.And because of the above problems, there was a problem that condensation and mold occurred inside the cemetery with groundwater and rainwater soaking through the gaps opened over time even in the crypt and the small ossuary which was perfect for the first time.

또한 상기 기초석과 묘테석 사이의 벌어진 틈과 출입문 및 통풍구 등을 통해 유입되는 공기 중의 수분이 외부 기온보다 차가운 묘실 내벽 등에 엉겨 붙는 결로 현상이 발생함과 함께 결로 현상 때문에 곰팡이와 악취가 발생되는 문제점이 있었다.In addition, condensation occurs when water in the air flowing through the gap between the foundation stone and the gravestone and doors and vents is entangled in the interior wall of the cemetery, which is colder than outside temperature, and condensation causes mold and odor. there was.

본 고안은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한 것으로, 다음과 같은 여러가지 목적이 있다.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to solve the above problems, there are various purposes as follows.

첫째, 기초 콘크리트층 상단에 납골묘의 기초석과 묘테석을 설치한 다음 기초 콘크리트층 상단에 보강 콘크리트를 타설하여 기초석과 묘테석 하단의 일정부분이 보강 콘크리트층에 묻혀지도록 함과 함께 기초석과 묘테석 등의 연결부분과 내측 벽면 등에 지수 보강제로 FRP를 주입 도포하여,First, the foundation stone and gravestone of the ossuary graveyard are installed on the top of the foundation concrete layer, and then reinforcement concrete is placed on the top of the foundation concrete layer so that a certain part of the foundation stone and the bottom of the gravestone is buried in the reinforced concrete layer. Inject and apply FRP as an index reinforcement to the joints and inner walls of the

기초 콘크리트층을 포함하는 보강 콘크리트층과 묘테석 및 기초석을 견고하게 일체화시켜서 계절 변화와 외압 및 지진 등의 영향에도 기초석과 묘테석 등의 연결부분이 뒤틀리거나 벌어지지 않도록 함은 물론 지하수와 빗물 및 공기 중의 수분이 묘실에 유입되는 것을 차단시키는 데 목적이 있다.By reinforcing the reinforced concrete layer including the foundation concrete layer and the cemetery stone and the foundation stone, the connection part of the foundation stone and the cemetery stone is not twisted or opened under the influence of seasonal change, external pressure and earthquake, as well as groundwater, rainwater and The purpose is to block moisture in the air from entering the cemetery.

둘째, 묘실의 공기 소통과 기압을 자동으로 조절하면서 공기 중의 수분 유입을 차단해주는 기압 조절장치와 묘실에 유입된 공기 중의 수분을 흡착하여 제거해주는 활성탄제의 제습 탈취제를 묘실 내부에 설치하여, 묘실 내부의 결로 현상과 곰팡이 등의 발생을 방지하는 데 목적이 있다.Second, the air pressure control device to automatically control the air communication and air pressure of the graveyard, and installed a dehumidifying agent of activated carbon to adsorb and remove the moisture in the air introduced into the graveyard, inside the graveyard The purpose is to prevent the formation of condensation and mold.

셋째, 납골함 보호용 받침대를 납골함 바닥에 부착하여, 지진 등 천재지변으로 납골당이 심하게 진동을 해도 안치된 납골함이 벽에 부딪치거나 하여 깨지는 것을 방지함과 함께 납골함의 안치 및 인출이 용이하도록 하는 데 목적이 있다.Third, attaching the crab box protection base to the floor of the crab box prevents the collapsed crab box from colliding with the wall or being broken even when the ossuary vibrates severely due to natural disasters such as earthquakes. There is this.

넷째, 묘실 천장석과 덮개석 사이에 단열 통풍층을 형성하여 햇볕에 의한 묘실 내부의 온도와 기압이 심하게 변화하는 것을 방지하는 데 목적이 있다.Fourth, the purpose is to form a heat insulating ventilation layer between the cemetery ceiling seats and cover seats to prevent the temperature and pressure inside the cemetery from severely changing.

다섯째, 묘실 내부 중간 높이에 천장석을 설치해서 그 내부 공간을 상하층으로 나눔은 물론 규모가 큰 출입문을 규모가 작은 출입구로 대체시킴과 함께 납골함의 안치 및 인출을 사람의 손으로 직접 하지 않고 별도의 도구를 사용할 수 있게 하여, 묘실의 넓이를 넓게 사용할 수 있도록 한 효과를 얻어 납골함의 안치 기수를 늘릴 수 있도록 하는 데 목적이 있다.Fifth, by installing ceiling seats in the middle of the cemetery, the interior space is divided into upper and lower floors, and large doors are replaced by smaller doors. The aim is to increase the number of seats of the ossuary by making the tool available, allowing the use of a wider area of the tomb.

여섯째, 규모가 작고 개폐가 용이한 출입구와 개폐석을 묘실 측면에 설치하여 묘실 내부에 납골함을 안치하거나 인출하기 위해서 무거운 덮개석을 들어 올리거나 출입문을 열고 닫던 번거로움을 해소시켜주는 데 목적이 있다.Sixth, the purpose of eliminating the hassle of lifting heavy cover seats or opening and closing doors in order to settle or withdraw the inside of the cemetery by installing a small and easy opening and closing doors and opening and closing seats on the side of the cemetery.

일곱째, 묘실 하단의 바닥 판제석 밑에 결로 흡인용 공간을 형성하여, 만일의 경우 묘실에 수분이 유입되면서 결로가 발생 할 때 묘실에서 가장 차가워서 결로 발생 가능성이 높은 결로 흡인용 공간으로 수분을 흡인 결로 발생을 유도해서 묘실내의 납골함을 안치시키는 공간에는 결로가 발생하지 않도록 하는 데 목적이 있다.Seventh, a condensation suction space is formed under the bottom plate stone at the bottom of the cemetery, and in the case of condensation, moisture is condensed into the condensation suction space, which is the coldest in the cemetery when condensation occurs as moisture enters the cemetery. The purpose is to prevent condensation from occurring in the space where the ossuary in the burial chamber is placed.

여덟째, 바닥 판제석과 천장석에 체결구를 형성하여, 시공시 체결구에 도구를 체결시켜 시공을 용이하게 함과 함께 체결구를 통해 상하 묘실과 결로 흡인용 공간간에 공기 등의 소통을 원활하게 해서 묘실에 유입된 수분을 결로 흡인용 공간으로 쉽게 흡인될 수 있도록 하는 데 목적이 있다.Eighth, fasteners are formed on the floor boards and ceiling seats, and the tools are fastened to the fasteners during construction to facilitate the construction, and the communication between the upper and lower tombs and the condensation suction space through the fasteners facilitates the communication of air and the like. The purpose of this is to be able to easily suck the moisture introduced into the cemetery into the space for the dew condensation suction.

도 1은 본 고안의 실시 예를 도시한 입면도1 is an elevation view showing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는 본 고안의 실시 예를 도시한 측면도2 is a side view showing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3은 본 고안의 실시 예를 도시한 분해 입면도3 is an exploded elevation view showing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4는 본 고안의 실시 예를 도시한 분해 단면도4 is an exploded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5a 내지 도 5e는 기압 조절 장치의 작동 원리를 도시한 단면도5a to 5e are cross-sectional views showing the operating principle of the air pressure regulating device

도 6a 내지 도 6n은 본 고안의 시공 과정을 도시한 단면도6a to 6n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construction process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7a 내지 도 7e는 납골함의 안치 과정을 나타낸 단면도7a to 7e are cross-sectional views showing the settlement process of the ossuary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Explanation of symbols for main parts of drawing>

10 : 묘터(홈) 10a : 방수용 비닐막 11 : 납골묘10: graver (home) 10a: waterproof vinyl film 11: chalcedony grave

12 : 기초 콘크리트층 12a : 보강 콘크리트 패널 12b : 보강 콘크리트층12: foundation concrete layer 12a: reinforced concrete panel 12b: reinforced concrete layer

13 : 기초석 14 : 묘테석 14a : 조절 장치 체결구13: foundation stone 14: cemetery stone 14a: adjustment device fastener

15 : 바닥 판제석 16 : FRP 지수 보강제 17 : 묘실15 floor board stone 16: FRP index reinforcement 17: cemetery

18, 18a, 18b : 고임돌 19, 19a : 천장석 19b, 19c, 19d : 체결구18, 18a, 18b: stony stones 19, 19a: ceiling seats 19b, 19c, 19d: fasteners

20, 20a : 출입구 21, 21a : 개폐석 21b : 실리콘20, 20a: Doorway 21, 21a: Opening and closing seat 21b: Silicone

22, 22a : 기압 조절 장치 22b, 22bb : 통기구 22c, 22cc : 고무 판막22, 22a: air pressure regulator 22b, 22bb: vent 22c, 22cc: rubber valve

22d, 22dd : 비닐 봉투 22e : 필터 22f : 흡입되는 공기22d, 22dd: plastic bag 22e: filter 22f: inhaled air

22g : 배출되는 공기 23, 23a : 제습 탈취제 24 : 덮개석22g: Exhausted air 23, 23a: Dehumidifying deodorant 24: Cover seat

24a : 물끊기 24b : 통풍구 24c : 통풍층24a: water cutting 24b: vent 24c: ventilation layer

25 : 납골함 25a : 납골함 받침대 25b : 안치(인출)용 막대25: ossuary 25a: ossuary cradle 25b: rod for settlement (withdrawal)

26 : 비석 27 : 결로 흡인용 공간26: headstone 27: space for condensation suction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은, 묘터에 묻혀진 상태로 납골묘의 기초가 되는 기초 콘크리트층과;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and the base concrete layer which is the foundation of the ossuary seedlings in a buried state;

상기 기초 콘크리트층의 상단에 고착된 상태로 묘테석을 보강시켜주는 가공된 자연석재의 기초석과;A foundation stone of the processed natural stone for reinforcing the gravestone in a state fixed to the upper end of the foundation concrete layer;

상기 기초석의 내측에 수직으로 설치된 상태에서 묘실을 형성해주는 가공된 자연석재의 묘테석과;Tombstone of the processed natural stone to form a tombstone in a state vertically installed on the inside of the base stone;

상기 묘테석에 의해서 형성되는 공간으로, 다수개의 고임돌과 천장석 및 바닥 판제석에 의해 상하층으로 나누어짐과 함께 바닥 판제석 밑에 결로 흡인용 공간이 형성되어 있는 묘실과;A space formed by the tombstone, which is divided into upper and lower layers by a plurality of dolmens, ceiling stones, and floor slabs, and a graveyard having a condensation suction space formed under the floor slab;

상기 묘실 내부에 납골함을 안치시키거나 안치되어 있는 납골함을 인출하기 위한 출구로 무거운 개폐석을 삽입하거나 또는 인출하는 방식으로 묘실을 개폐할 수 있도록 되어 있는 상하 출입구와;Upper and lower entrances to open and close the cemetery by inserting or withdrawing a heavy opening / closing seat as an outlet for placing the ossuary inside the cemetery or withdrawing the enclosed urns;

상기 묘실에 내장된 상태로 묘실 내부의 기압을 자동으로 조절하는 기압 조절장치와;An air pressure adjusting device for automatically adjusting the air pressure inside the cemetery while being embedded in the cemetery;

상기 묘실에 내장된 상태에서 묘실 내부의 습기와 악취 등을 흡착 제거해주는 활성탄제의 제습 탈취제와;Dehumidifying deodorizing agent of activated carbon to adsorb and remove moisture and odors in the interior of the cemetery in the state embedded in the cemetery;

상기 천장석과 일정 간격 이격된 상태로 단열 통풍층을 형성하면서 그 상단에 비석이 견고하게 고착되어 있는 덮개석과;A cover seat in which a headstone is firmly fixed to an upper end of the ceiling seat while forming a heat insulating ventilation layer at a predetermined distance from the ceiling seat;

상기 천장석과 덮개석 사이에 형성되어 있는 낮고도 넓은 공간으로 통풍이 잘되기 때문에 햇볕에 덮개석의 온도가 높아져도 그 온도가 묘실에 전도되지 않도록 차단시켜주는 단열층의 기능을 갖는 통풍층 등으로 구성되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풍층이 있는 결로 방지용 납골묘를 제공한다.It is composed of a ventilation layer having a function of a thermal insulation layer that blocks the temperature so that the temperature is not conducted to the burial chamber even if the temperature of the cover stone in the sun is well ventilated due to the low and wide space formed between the ceiling seat and the cover seat. Provided is a condensation preventing sternum with a ventilation layer.

이하 첨부된 도 1 내지 도 7을 참고로 하여 본 고안을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Hereinafter,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ttached FIGS. 1 to 7.

도 1은 본 고안의 실시 예를 도시한 입면도며,1 is an elevation view showing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는 본 고안의 실시 예를 도시한 측면도며,2 is a side view showing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3은 본 고안의 실시 예를 도시한 분해 입면도며,3 is an exploded elevation view showing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4는 본 고안의 실시 예를 도시한 분해 단면도며,4 is an exploded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5a 내지 도 5e는 기압 조절 장치의 작동 원리를 도시한 단면도로서,5a to 5e are cross-sectional views showing the operating principle of the air pressure regulating device,

도 5a는 묘실(17) 기압이 외부의 기압과 비슷한 상태로 상하 각각의 고무판막(22c, 22cc)이 자체 탄력에 의해 통기구(22b, 22bb)를 막아서 묘실(17)과 외부의 공기 소통을 차단시켜주고 있는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며,5A shows that the upper and lower rubber valves 22c and 22cc block the air vents 22b and 22bb by their own elasticity so that the pressure of the graveyard 17 is similar to that of the external air, thereby blocking the communication between the tomb 17 and the outside air.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the state

도 5b는 기압이 높은 외부의 공기가 묘실(17)로 유입(22f) 되면서 기압 조절장치의 비닐 봉투(22d, 22dd)를 부풀리는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로서,5B is a cross-sectional view illustrating a state in which the outside air having a high pressure is inflated into the cemetery 17 and inflating the plastic bags 22d and 22dd of the air pressure regulator.

하부의 고무 판막(22cc)은 유연하여 평상시 작은 기압 차이에도 기압에 의해기압이 낮은 쪽으로 휘어지면서 공기가 수시로 흡입(22f) 배출(22g)되도록 통기구(22b)를 개폐시켜주는 데 그때 흡입 배출되는 공기는 비닐봉투(22d, 22dd) 안에서 흡입 배출이 이루어지므로 흡입 배출 할 때 공기 중의 수분이 묘실(17) 벽면 등과 직접 접촉 할 수 없게 된다. 그러므로 기압 조절 장치는 평상시 묘실 내부의 공기소통 즉 흡입 배출을 원활하게 해주면서도 유입되는 공기 중의 수분이 묘실 벽면 등과 접촉하여 발생시키는 결로 현상을 방지해주는 것이다.The lower rubber valve (22cc) is flexible to open and close the air vent (22b) so that the air is frequently sucked (22f) and discharged (22g) while being bent toward the lower air pressure due to the air pressure even at a small pressure difference. Since the suction is discharged in the plastic bags 22d and 22dd, the moisture in the air cannot directly contact the wall of the cemetery 17 when the suction is discharged. Therefore, the air pressure regulating device prevents condensation caused by normal air communication, that is, inhalation and discharge, while moisture in the incoming air comes into contact with the wall of the cemetery.

그러나 묘실(17)의 기압이 높아서 비닐봉투(22d, 22dd)의 내부 공기가 하부 고무 판막(22cc)을 밀치고 모두 밖으로 배출된 상태에서, 묘실(17) 자체에서 발생할 수 있는 가스와 여름철의 높은 기온 때문에 묘실 내의 공기가 매우 팽창된 상태가 되면 자체 탄력이 큰 상부 고무판막(22c)을 묘실(17) 내부의 공기가 밀치면서 배출(22g) 되므로 묘실(17) 내부의 기압이 조절되게 된다.However, the high pressure of the gas and the summer temperature that may occur in the graveyard 17 itself, with the air pressure of the graveyard 17 being high and the internal air of the plastic bags 22d and 22dd pushed the lower rubber valves 22cc and discharged all out. Therefore, when the air in the graveyard is in a very expanded state, the upper rubber valve 22c having great elasticity is pushed out while the air in the nursery 17 is discharged (22g), so that the air pressure inside the nursery 17 is controlled.

즉 상기 하부 고무판막(22cc)의 작용은 기압 차이가 크지 않은 평상시에 작용하며, 상기 상부 고무판막(22c)은 묘실(17) 내외의 기압 차이가 매우 커지는 특별한 경우에 작용하게 된다.In other words, the action of the lower rubber plate 22cc acts normally when the air pressure difference is not large, and the upper rubber plate 22c acts in a special case in which the air pressure difference inside and outside the seedling 17 becomes very large.

그리고 상기 기압 조절 장치의 비닐봉투(22d, 22dd)가 최대한으로 부풀어진 상태에서 겨울철 낮은 기온 때문에 묘실(17)의 기압이 낮아지면 그때 기압이 높은 묘실 밖의 공기가 탄력이 큰 상부 고무판막(22c)을 밀치고 묘실로 유입되면서 묘실(17) 내부의 기압을 조절하게 되는 데,And when the air pressure of the graveyard 17 is lowered due to the low temperature in winter when the plastic bags 22d and 22dd of the air pressure regulator are inflated as much as possible, the upper rubber valve 22c of which the air outside the high pressure chamber is highly elastic at that time. Pushing in and enters the tombstone to control the air pressure inside the tombstone (17),

위와 같이 상부 고무판막(22c)이 작용하는 경우는 매우 드문 현상으로, 이때 묘실(17)에 유입되는 공기(22f)의 량과 그 공기 중의 수분 함유량은 매우 적으며그 유입되는 공기(22f) 중의 수분마저도 묘실 내부에 설치되어 있는 제습 탈취제(23)가 흡착 제거하므로 묘실(17) 내부의 습도는 항상 건조한 상태가 유지되면서 묘실 벽면 등에 결로 등이 발생하지 않게 된다.When the upper rubber plate 22c acts as described above, it is a very rare phenomenon. At this time, the amount of air 22f introduced into the seedling 17 and the water content of the air are very small, and in the air 22f introduced therein. Since even the moisture dehumidifying deodorant 23 installed in the interior of the cemetery is adsorbed and removed, the humidity in the interior of the cemetery 17 is always kept dry so that condensation or the like does not occur on the wall of the cemetery.

계속해서, 도 5c는 묘실(17) 외부의 기온이 갑자기 떨어지면서 묘실(17)내부의 공기를 수축시켜 묘실 밖 기압보다 묘실(17)내부의 기압이 매우 낮아진 상태로 비닐봉투(22d, 22dd)의 크기만으로 묘실(17) 기압을 조절 할 수 없어서 탄력이 큰 기압 조절 장치의 상부 고무판막(22c)이 묘실(17) 내부 쪽으로 휘어지면서 묘실 외부의 공기가 묘실 내부로 유입되는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며,Subsequently, FIG. 5C shows the plastic bags 22d and 22dd in a state in which the air pressure inside the tomb 17 is significantly lower than the air pressure outside the tomb 17 by contracting the air inside the bed 17 while the temperature outside the bed 17 suddenly drops. It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the state that the air outside the weft room into the weft room as the upper rubber valve (22c) of the large pressure control device is bent toward the inside of the weft room 17 because it is unable to control the air pressure of the weft room (17) only by the size of. ,

도 5d는 기온의 상승 등으로 묘실(17)의 기압이 높아지고, 그 높아진 묘실(17) 내부의 기압이 비닐봉투(22d, 22dd)를 압박하여 비닐봉투(22d, 22dd) 안에 차있던 공기가 하부 고무판막(22cc)을 밀치고 묘실 외부로 배출되면서 묘실 내부의 기압을 조절해주는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며,5D shows that the air pressure of the graveyard 17 is increased due to an increase in air temperature, and the air pressure inside the increased room 17 presses the plastic bags 22d and 22dd so that the air filled in the plastic bags 22d and 22dd is lowered. It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the state of adjusting the air pressure inside the tomb while pushing the rubber valve (22cc) and discharged to the outside of the tomb,

도 5e는 상기 도 5d의 상태에서 비닐봉투(22d, 22dd) 안에 있던 공기가 모두 외부로 배출된 다음에도 묘실(17)의 기압이 그 외부의 기압보다 높은 상태로 묘실의 높은 기압이 상부 고무판막(22c)을 밀치고 묘실(17) 밖으로 배출되면서 묘실(17)의 기압을 조절해주는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다.FIG. 5E shows that the high pressure of the cemetery is higher than the pressure of the outside of the tombstone 17 even after all the air in the plastic bags 22d and 22dd is discharged to the outside in the state of FIG. 5D. (22c)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state of adjusting the air pressure of the seedling 17 while pushing out of the seedling 17.

계속해서, 도 6a 내지 도 6n은 본 고안의 시공 과정을 도시한 단면도로서,6A to 6N are cross-sectional views illustrating a construction process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6a는 묘터를 굴착하여 일정한 깊이의 홈(10)을 만든 다음 그 바닥을 판판하게 다지고 고른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며,Figure 6a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excavation of the graver to make a groove 10 of a constant depth and then flattened and evenly the bottom thereof,

도 6b는 상기 묘터 홈의 바닥에 방수용 비닐막(10b)을 깔고 기초 콘크리트를타입 양생하여 기초 콘크리트층(12)을 형성 한 단면도며,6B is a cross-sectional view of forming a foundation concrete layer 12 by laying a waterproof vinyl film 10b on the bottom of the plunger groove and curing the foundation concrete.

도 6c는 상기 기초 콘크리트층(12) 표면에 다수개의 기초석(13)을 안착시킨 단면도며,6C is a cross-sectional view of seating a plurality of foundation stones 13 on the surface of the foundation concrete layer 12,

도 6d는 상기 기초석(13)의 내측에 다수개의 묘테석(14)이 수직 상태로 안착되면서 묘실이 형성되는 과정을 나타낸 단면도며,FIG. 6D is a cross-sectional view illustrating a process in which a tombstone is formed while a plurality of tombstones 14 are seated in a vertical state inside the base stone 13,

도 6e는 상기 묘테석(14)의 내측 기초 콘크리트층(12) 표면에 보강 콘크리트 패널(12a)을 설치함과 함께 그 표면에 FRP 지수 보강제(16)를 도포한 다음 기초석(13)의 외측 기초 콘크리트층 상단에 보강용 콘크리트(12b)를 타입 양생하여 묘테석(14)과 기초석(13) 및 기초 콘크리트층(12)과 보강 콘크리트 패널(12a)을 견고하게 일체화시킨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며,FIG. 6E shows that the reinforcement concrete panel 12a is installed on the inner foundation concrete layer 12 surface of the gravestone 14 and the FRP index reinforcement 16 is applied to the surface thereof, and then the outer foundation of the foundation stone 13 is shown. It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cemetery stone 14 and the foundation stone 13 and the foundation concrete layer 12 and the reinforced concrete panel 12a are firmly integrated by curing the reinforcement concrete 12b on the top of the concrete layer.

도 6f는 상기 보강 콘크리트 패널(12a) 표면에 다수개의 고임돌(18)을 설치한 단면도며,6F is a cross-sectional view of installing a plurality of dolmens 18 on the surface of the reinforced concrete panel 12a,

도 6g는 상기 고임돌(18) 상단에 바닥 판제석(15)을 설치하여 보강 콘크리트 패널(12a) 상단과 바닥 판제석(15) 사이에 결로 흡인용 공간(27)을 형성한 단면도로서,FIG. 6G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condensation suction space 27 formed between the top of the reinforced concrete panel 12a and the bottom plate 15 by installing the bottom slab 15 on the top of the dolmen 18.

만일의 경우 묘실(17)에 수분이 유입되어 결로가 발생할 때 묘실(17)에서 가장 차가운 곳 즉 결로 발생 가능성이 제일 높은 부분인 묘실의 하단부분에 결로 흡인공간(27)을 형성한 다음 바닥 판제석(15)의 시공 등이 용이하도록 형성한 체결구(19b)를 통해 묘실(17)에 유입된 수분을 결로 흡인용 공간(27)으로 흡인함과 함께 결로 발생을 유도해서 납골함을 안치시키는 공간에는 결로가 발생하지 않도록하는 것이다.In the case of condensation, when moisture enters the seedlings 17 and condensation occurs, the bottom plate of condensation suction space 27 is formed in the lower part of the seedlings, which is the coldest part of the seedlings 17, that is, the most likely part of condensation. A space for sucking moisture introduced into the cemetery 17 through the fasteners 19b formed to facilitate the construction of the masonry 15 to the condensation suction space 27 and inducing condensation to settle the crypts. There is no condensation to occur.

계속해서, 도 6h는 상기 바닥 판제석(15)과 다수개의 묘테석(14) 각각 및 바닥 판제석의 연결부분에 FRP(16)를 지수 보강제로 주입함과 함께 묘테석(14)의 내측표면과 바닥 판제석(15)의 표면에도 상기 FRP(16)를 지수 보강제로 도포하여,6H shows the inner surface of the gravestone 14 with the FRP 16 being injected into the bottom slab 15 and each of the plurality of gravestones 14 and the connection portion of the floor slab with an index reinforcement. The FRP (16) is also applied to the surface of the bottom plate (15) with an index reinforcement,

묘테석(14)과 바닥 판제석(15)을 견고하게 일체화시킴은 물론 묘실(17) 전체를 방수 처리한 단면도며,It i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cemetery (14) and the bottom plate stone (15) is firmly integrated, as well as the whole of the cemetery (17),

도 6i는 상기 묘실(17) 바닥의 둘레에 다수개의 고임돌(18a)을 설치한 다음에 기압 조절장치(22)를 설치한 상태를 단면도며,FIG. 6I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 state in which a plurality of dolmens 18a are installed around the bottom of the tomb 17 and then an air pressure regulator 22 is installed.

도 6j는 기압 조절장치(22) 위에 제습 탈취제(23)를 설치하면서 출입구(20)에 개폐석(21)을 삽입 설치한 단면도며,Figure 6j i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opening and closing seat 21 is inserted into the doorway 20 while installing the dehumidifying deodorant 23 on the air pressure regulator 22,

도 6k는 상기 고임돌(18a) 상단에 하부 천장석(19)을 안착시킨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며,6K is a cross-sectional view illustrating a state in which the lower ceiling seat 19 is seated on the top of the dolmen 18a.

도 6l은 상기 하단 천장석(19) 위에 상단 고임돌(18b)과 기압 조절장치(22a) 및 제습 탈취제(23a)를 차례차례 설치함과 함께 상단 천장석(19a)과 묘테석(14)의 연결부분 및 체결구(19d)에 FRP(16)를 지수 보강제로 주입하여 수분이 묘실로 유입되지 않도록 한 단면도며,FIG. 6L shows a connection part of the upper ceiling stone 19a and the gravestone 14 with the upper dolma stone 18b, the air pressure regulator 22a, and the dehumidifying deodorant 23a sequentially installed on the lower ceiling stone 19. The FRP 16 is injected into the fastener 19d as an index reinforcement agent to prevent water from entering the burial chamber.

도 6m은 상기 묘테석(14) 상단에 덮개석(24)을 얹혀 놓아서 납골묘의 지붕과 단열 통풍층(24c)을 형성한 단면도며,6m i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roof of the crypt and a thermal insulation ventilation layer 24c by placing the cover seat 24 on the top of the gravestone 14,

도 6n은 상기 덮개석(24)의 상단 표면에 비석(26)을 견고하게 고착시킨 다음 출입구(20, 20a)에 개폐석(21, 21a)을 삽입함과 함께 개폐석(21, 21a)과묘테석(14) 사이에 실리콘(21b)을 주입해서 본 고안 통풍층이 있는 결로 방지용 납골묘를 완성시킨 단면도다.Figure 6n is firmly fixed to the headstone 26 on the top surface of the cover seat 24, and then inserting the opening and closing seats (21, 21a) in the entrance (20, 20a) and the opening and closing seats (21, 21a) and the gravestone It is sectional drawing which inject | poured the silicon | silicone 21b between 14, and completed the condensation prevention crypt bone with a ventilation layer of this invention.

계속해서, 도 7a 내지 도 7e는 납골함의 안치 과정을 나타낸 단면도로서,7A to 7E are cross-sectional views showing the settlement process of the ossuary.

도 7a는 묘테석과 개폐석(21a) 사이의 실리콘(21b)을 제거한 다음 출입구에서 개폐석(21a)을 인출하여 묘실을 개방함과 함께 납골함 받침대(25a)에 납골함(25)을 부착시킨 상태로 납골함(25)을 묘실(17) 내에 안치시키기 위한 준비 단계를 나타낸 단면도며,FIG. 7A is a state in which the crypt box 25 is attached to the crypt support base 25a while removing the silicon 21b between the tombstone and the opening and closing seat 21a, and then drawing the opening and closing seat 21a from the entrance and opening the tomb.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the preparation step for placing the ossuary 25 in the cemetery 17,

도 7b는 납골함(25)을 묘실 내부에 넣어둔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며,7B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ossuary 25 is placed inside the cemetery,

도 7c는 안치용 막대(25b)를 사용 납골함(25)을 묘실 내부 깊숙이 밀어 넣어 안치시키는 과정을 나타낸 단면도며,Figure 7c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the process of placing the deep inside the gravel box 25 using the settling rod 25b deep inside the cemetery,

도 7d는 묘실 내부에 납골함(25)을 안치시킨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며,7D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state where the ossuary 25 is placed inside the graveyard,

도 7e는 납골함(25)이 안치된 묘실의 출입구에 개폐석(21a)을 삽입한 다음 그 개폐석(21a)과 묘테석(14) 사이에 지수제로서 실리콘(21b)을 주입 묘실에 빗물 등이 스며들지 않도록 한 본 고안 통풍층이 있는 결로 방지용 납골묘의 완성된 단면도다.FIG. 7E shows that the opening and closing seat 21a is inserted into the entrance and exit of the cemetery where the ossuary 25 is settled, and then rainwater is injected into the cemetery by injecting silicon 21b as an index agent between the opening and closing seat 21a and the cemetery 14. This i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condensation prevention crypt bone with the ventilation layer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event infiltration.

이하 본 고안의 실시예는, 묘터를 일정한 깊이로 굴착하여 홈(10)을 만든 다음 그 홈(10) 바닥에 방수용 비닐막(12a)을 깔고 콘크리트를 타입하여 형성되는 철근 콘크리트층으로 상기 묘터(10)에 묻혀진 상태로 납골묘(11)의 기초를 이루는 기초 콘크리트층(12)과;Hereinafter,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excavation of the graver to a certain depth to make the groove 10 and then laid the waterproof vinyl film 12a on the bottom of the groove 10 to the reinforced concrete layer formed by the concrete type of the A base concrete layer 12 forming a foundation of the gravel bone 11 in a state buried in 10);

상기 기초 콘크리트층(12)의 상단 표면에 고착된 상태로 묘테석(14)을 보강해 줌과 함께 납골묘(11)의 외관을 미려하게 장식하는 가공된 자연석재의 기초석(13)과;A base stone 13 of the processed natural stone which reinforces the gravestone 14 while being fixed to the upper surface of the base concrete layer 12 and beautifully decorates the appearance of the crypts 11;

상기 기초석(13)의 내측에 수직으로 설치된 상태에서 묘실(17)을 형성해주는 가공된 자연석재로 상단에 다수개의 통풍구(24b)가 형성되어 있고, 몸통 부분에는 기압 조절 장치(22, 22a)를 체결시킬 수 있는 체결구(14a)와 납골함을 안치시키기 위한 출입구(20, 20a)가 형성되어 있는 다수개의 묘테석(14)과;As the processed natural stone to form the graveyard 17 in the state installed vertically inside the basic stone 13, a plurality of ventilation holes 24b are formed at the upper end, and the air pressure regulating devices 22, 22a are formed in the body portion. A plurality of tombstones 14 having fasteners 14a that can be fastened and entrances 20 and 20a for placing the ossuary;

상기 묘테석(14)에 의해 형성된 묘실(17) 바닥에 설치되면서 묘테석(14)과의 사이에 주입되는 FRP(16) 지수 보강제에 의해 묘테석(14)을 견고하게 고정시켜줌과 함께 결로 흡인용 공간(27)의 바닥을 형성해주는 보강 콘크리트 패널(12a)과,It is installed on the bottom of the cemetery 17 formed by the cemetery 14 and is fixed to the cemetery 14 by the FRP (16) index reinforcement agent injected between the cemetery 14 and the condensation suction Reinforced concrete panel 12a forming the bottom of the space 27,

상기 기초석(13)과 묘테석(14)의 하단부분이 묻혀지게 기초석의 외측 바닥에 콘크리트를 타입 양생하여, 기초석(13)과 묘테석(14) 및 기초 콘크리트층(12) 등을 견고하게 일체화시켜서 지진 등의 외압에도 기초석(13)과 묘테석(14)의 연결부분이 뒤틀리거나 벌어지지 않도록 해주는 보강 콘크리트층(12b)과;By curing the type of concrete on the outer bottom of the foundation stone so that the lower end portions of the foundation stone 13 and the gravestone 14 are buried, the foundation stone 13 and the gravestone 14 and the foundation concrete layer 12 are firmly integrated. Reinforced concrete layer (12b) so that the connection between the foundation stone 13 and the gravestone (14) does not twist or open even in the external pressure such as earthquake;

상기 묘실(17) 하단부에 설치되는 고임돌(18)의 상단에 안착된 상태에서, 묘실 하단부에 결로 흡인용 공간(27)을 형성해줌은 물론 납골함이 안치되는 묘실부분과 결로 흡인용 공간(27) 공간에 공기를 소통시킬 수 있도록 체결구(19b)가 형성되어 있는 바닥 판제석(15)과;In the state seated on the upper end of the stone masonry 18 installed in the lower end of the tomb 17, it forms a condensation suction space 27 in the lower part of the graveyard, as well as the gravel portion and the condensation suction space 27 is settled in the crevices (27) A bottom plate stone 15 in which a fastener 19b is formed to allow air to communicate with the space;

상기 묘테석(14)과 고임돌(18, 18a, 18b) 및 바닥 판제석(15)과 천장석(19, 19a) 각각의 연결부분을 포함하는 묘테석(14)의 표면에 주입 도포된 상태로 납골묘(11)의 외부에서 묘실(17) 내부로 스며드는 수분을 차단해줌과 함께묘테석(14)과 고임돌(18, 18a, 18b) 및 바닥 판제석(15)과 천장석(19, 19a) 각각을 견고하게 부착 일체화시켜주는 FRP 지수 보강제(16)와;Crypts in the state of injection coating on the surface of the gravestone 14, including the connecting portion of each of the gravestone 14 and dolmen 18, 18a, 18b and the bottom plate 15 and the ceiling stone (19, 19a) Blocks moisture permeating into the interior of the cemetery 17 from the outside of the 11, and firmly the cemetery 14, the dolmens 18, 18a, 18b and the floor board 15 and the ceiling 19, 19a, respectively. FRP index reinforcing agent (16) to be integrally attached;

상기 묘테석(14)에 의해 형성되는 공간으로 다수개의 고임돌(18, 18a, 18b)과 천장석(19, 19a)에 의해 상하층으로 나누어지면서 납골함 받침대(25a)가 각각 부착되어 있는 다수개의 납골함(25)을 수용 안치할 수 있도록 되어 있고, 하단부분에는 결로 흡인용 공간(27)이 형성되어 있는 상하층의 묘실(17)과;The space formed by the gravestone 14 is divided into upper and lower layers by a plurality of dolmens 18, 18a and 18b and ceiling stones 19 and 19a, and a plurality of ossuary boxes 25a are attached to each other. 25) and the lower part of the upper and lower floors tomb 17 having a condensation suction space 27 is formed in the lower portion;

상기 고임돌(18a, 18b) 각각의 상단에 얹혀진 상태로 묘실(17)을 상하층으로 나누어줌과 함께 천장을 형성해주며, 그 설치 및 이동이 용이하면서도 상하층 간에 공기 소통이 될 수 있게 체결구(19c, 19d)가 형성되어 있는 천장석(19, 19a)과;Dividing the tomb 17 into the upper and lower floors while being placed on the top of each of the dolmen (18a, 18b) to form a ceiling, the fastener so that the air communication between the upper and lower floors can be easily installed and moved ( Ceiling seats 19 and 19a in which 19c and 19d are formed;

상기 묘실(17) 내부에 설치된 상태로 납골함(25)에서 발생되는 악취와 묘실(17) 내부에 유입 된 공기 중의 수분을 흡착해서 결로 현상 등을 방지해주는 제습탈취제(23)와;Dehumidifying deodorant (23) for preventing the condensation phenomenon by adsorbing the odor generated in the urine box 25 and the moisture in the air introduced into the seedling 17 in a state installed inside the seedling 17;

상기 납골묘(11) 외부의 온도와 묘실(17) 내부의 온도 차이 등으로 묘실(17) 내부와 납골묘(11) 외부 간에 기압 차이가 발생 할 때, 그 기압 차이를 줄이기 위해 기압 조절장치(22, 22a)의 고무 판막(22c, 22cc)이 기압 차이에 의해 기압이 낮은 쪽으로 휘어지면서 통기구(22b, 22bb)를 열어서 기압이 높은 쪽의 공기를 기압이 낮은 쪽으로 소통시켜서 묘실(17)과 외부의 기압 차이를 줄일 수 있도록 함은 물론 기압 차이가 미미할 경우에는 고무판막(22c, 22cc)의 탄력에 의해 통기구(22b, 22bb)를 차단시켜서 외부의 공기와 먼지 등이 묘실(17) 내부로 유입되지 못하도록 하며,When the pressure difference occurs between the inside of the cemetery 17 and the outside of the ossuary gravel 11 due to a temperature difference between the temperature of the exterior of the ossuary gravel 11 and the interior of the graveyard 17, an air pressure regulating device 22, The rubber valves 22c and 22cc of 22a are bent toward the lower air pressure due to the difference in air pressure, and the vent holes 22b and 22bb are opened to communicate the air of the higher air pressure to the lower air pressure so as to communicate with the burial chamber 17 and the external air pressure. In addition to reducing the difference, if the air pressure difference is insignificant, the vent holes 22b and 22bb are blocked by the elasticity of the rubber valves 22c and 22cc so that outside air and dust do not enter the tomb 17. ,

납골묘(11) 외부에서 묘실(17) 안으로 공기가 유입되는 경우에 기압 조절 장치(22, 22a)의 비닐 봉투(22d, 22dd)가 크게 부풀어 오르면서 그 비닐 봉투(22d, 22dd) 내에 유입되는 공기를 가두어서 유입된 공기 중의 수분이 차가운 묘실(17) 벽면과 납골함에 접촉할 수 없도록 하여 묘실(17)과 납골함(25)에 결로 및 곰팡이가 발생하는 것을 예방해주는 활성탄 필터(22e)가 있는 자동 기압 조절장치(22, 22a)와;When air flows into the cemetery 17 from the outside of the ossuary gravel 11, the air flows into the plastic bags 22d and 22dd while the plastic bags 22d and 22dd of the air pressure regulating devices 22 and 22a are greatly inflated. Automatically with activated carbon filter (22e) to prevent condensation and mold from occurring in the tombs (17) and ossuary (25) by confining the moisture in the air to prevent contact with cold walls (17) walls and ossuary Air pressure regulators 22 and 22a;

상기 묘실(17) 내부에 납골함(25)을 안치하거나 안치된 납골함(25)을 인출하기 위한 출구로 무거운 개폐석(21, 21a)을 삽입하거나 인출하는 방식으로 묘실(17)을 개폐 할 수 있게 되어 있으면서, 개폐석(21, 21a)과 묘테석(14) 사이의 홈에 지수용 실리콘(21b)이 주입되어 개폐석(21, 21a)이 고정됨과 함께 묘테석(14)과 개폐석(21, 21a) 사이의 틈을 통해 공기 중의 수분이 묘실(17) 내부에 유입될 수 없도록 되어 있는 상하 출입구(20, 20a)와;The cemetery 17 can be opened or closed by placing or removing the heavy opening and closing seats 21 and 21a as an outlet for withdrawing the oscillation box 25 or the enclosed oscillation box 25. While the opening and closing seats 21 and 21a and the tombstone 14 are inserted into the groove between the opening and closing seats 21 and 21a, the silicon 21b for water is fixed so that the opening and closing seats 21 and 21a are fixed and the tombstone 14 and the opening and closing seat 21 Upper and lower entrances and exits 20 and 20a in which moisture in the air cannot enter the interior of the cemetery 17 through a gap between the gaps 21a and 21a;

상기 천장석(19a) 상단 표면에서 일정 간격 이격 된 상태로 묘테석(14) 상단에 설치되어 천장석(19a)과의 사이에 통풍층(24c)을 형성하며, 그 통풍층(24c)을 통해 통풍이 될 수 있도록 하여 여름철 뜨거운 햇볕에 의한 묘실의 온도 상승을 막을 수 있게 되어 있고, 빗물 등이 납골묘 안으로 스며드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서 밑면의 둘레 부분에 물끊기(24a)가 형성되어 있는 덮개석(24)으로 구성된 구조다.Installed on the top of the cemetery stone 14 in a state spaced apart from the upper surface of the ceiling seat (19a) by a predetermined interval to form a ventilation layer (24c) with the ceiling seat (19a), the ventilation through the ventilation layer (24c)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temperature rise of the graveyard by the hot sun in the summer, and the cover seat 24 is formed in the circumferential part of the bottom surface to prevent rainwater from seeping into the crypt It's a rescue.

그러므로 본 고안은 다음과 같은 여러 가지의 효과가 있다.Therefore, the present invention has various effects as follows.

첫째, 기초 콘크리트층 상단에 납골묘의 기초석과 묘테석을 설치한 다음 기초 콘크리트층 상단에 보강 콘크리트를 타설 기초석과 묘테석의 하단 일부분이 보강 콘크리트에 묻혀지도록 함과 함께 기초석과 묘테석 등의 연결부분과 내측 표면에 지수 보강제로 FRP를 주입 도포하여, 보강 콘크리트층을 포함하는 기초 콘크리트층과 묘테석 및 기초석을 견고하게 일체화시켜서,First, install the foundation stone and gravestone of the ossuary grave on the top of the foundation concrete layer, and then reinforce the concrete on the top of the foundation concrete layer so that the lower part of the foundation stone and the gravestone is buried in the reinforced concrete, and the connection part of the foundation stone and the gravestone Inject and apply FRP as an index reinforcement to the inner and inner surfaces, to firmly integrate the foundation concrete layer including the reinforcement concrete layer, the cemetery stone and the foundation stone,

계절 변화와 지진 등의 외압에도 기초석과 묘테석의 연결부분이 뒤틀리거나 벌어지지 않도록 함은 물론 지하수와 빗물 및 공기 중의 수분이 묘실에 유입되는 것을 차단시킨 효과가 있다.In addition to the seasonal changes and external pressures such as earthquakes, the connection between the foundation stone and the cemetery stone is not twisted or opened, and the groundwater, rainwater, and moisture in the air are blocked from entering the cemetery.

둘째, 묘실의 기압을 자동으로 조절하면서 공기 중의 수분 유입을 차단해주는 기압 조절장치와 묘실에 유입된 공기 중의 수분을 흡착해서 묘실을 건조시켜주는 활성탄제의 제습 탈취제를 묘실 내부에 설치하여, 묘실 내부의 결로 현상과 곰팡이 등의 발생을 방지한 효과가 있다.Second, the inside of the tombstone is equipped with an air pressure control device that automatically regulates the air pressure of the tombstone and blocks moisture from entering the air, and a dehumidifying agent made of activated carbon, which absorbs the water in the air into the tomb and dryes the tomb. It is effective in preventing the occurrence of condensation and mold.

셋째, 납골함 보호용 받침대를 납골함 바닥에 부착하여, 지진 등 천재지변으로 납골당이 심하게 진동을 해도 안치된 납골함이 벽에 부딪치거나 하여 깨지는 것을 방지함과 함께 납골함의 안치 및 인출이 용이하도록 한 효과가 있다.Third, by attaching the crab box protection base to the floor of the crab box,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burial box from colliding with the wall or to be broken even when the ossuary vibrates violently due to natural disasters such as an earthquake. have.

넷째, 묘실 천장석과 덮개석 사이에 일정 간격의 단열 통풍층을 형성함과 함께 그 공간으로 통풍이 되게 하여, 여름철 햇볕에 의한 묘실 내부의 온도 상승을 줄일 수 있도록 한 효과가 있다.Fourth, by forming a heat insulating ventilation layer at a predetermined interval between the cemetery ceiling seat and the cover seat to be ventilated into the space, there is an effect to reduce the temperature rise inside the cemetery by the summer sun.

다섯째, 묘실 내부 중간 높이에 천장석을 설치하여 그 내부 공간을 상하층으로 나눔은 물론 규모가 큰 출입문을 규모가 작은 출입구로 대체하고, 납골함의 안치 및 인출을 사람 손으로 직접 하지 않고 별도의 도구를 사용할 수 있도록 하여,묘실의 넓이를 넓게 사용할 수 있도록 한 효과를 얻어 납골함의 안치 기수를 늘릴 수 있게 한 효과가 있다.Fifth, by installing a ceiling seat in the middle of the cemetery, divide the interior space into upper and lower floors, replace large doors with smaller doors, and use separate tools without placing or removing the crypts directly with human hands. By making it possible to use, the effect of making the width of the cemetery wider can be obtained, which has the effect of increasing the settling nose of the ossuary.

여섯째, 규모가 작고 개폐가 용이한 출입구와 개폐석을 묘실 측면에 설치하여 묘실 내부에 납골함을 안치하거나 인출하기 위해 무거운 덮개석을 들어 올리거나 출입문을 열고 닫았던 번거로움을 해소시킨 효과가 있다.Sixth, the small size and easy to open and close the entrance and the opening and closing seats on the side of the graveyard has the effect of eliminating the hassle of lifting the heavy cover seat or open and close the door to settle or withdraw the inside of the graveyard.

일곱째, 묘실 하단의 바닥 판제석 밑에 결로 흡인용 공간을 형성하여, 만일의 경우 묘실에 수분이 유입되면서 결로가 발생 할 때 묘실에서 가장 차가워서 결로 발생 가능성이 높은 결로 흡인용 공간으로 수분을 흡인 결로 발생을 유도해서 묘실내의 납골함을 안치시키는 공간에는 결로 현상이 발생하지 않도록 한 효과가 있다.Seventh, a condensation suction space is formed under the bottom plate stone at the bottom of the cemetery, and in the case of condensation, moisture is condensed into the condensation suction space, which is the coldest in the cemetery when condensation occurs as moisture enters the cemetery. By inducing the condensation in the burial chamber in the space is effective to prevent condensation.

여덟째, 바닥 판제석과 천장석에 체결구를 형성하여, 시공시 체결구에 도구를 체결시켜 시공을 용이하게 함과 함께 체결구를 통해 상하 묘실과 결로 흡인용 공간간에 공기 등의 소통을 원활하게 해서 묘실에 유입된 수분을 결로 흡인용 공간으로 쉽게 흡인될 수 있도록 한 효과가 있다.Eighth, fasteners are formed on the floor boards and ceiling seats, and the tools are fastened to the fasteners during construction to facilitate the construction, and the communication between the upper and lower tombs and the condensation suction space through the fasteners facilitates the communication of air and the like. There is an effect that the moisture introduced into the cemetery can be easily sucked into the condensation suction space.

Claims (9)

묘터(10)에 묻혀진 상태에서 납골묘(11)의 기초가 되는 기초 콘크리트층(12)과;A base concrete layer 12 serving as a base of the ossuary gravel 11 in a state buried in the plitter 10; 상기 기초 콘크리트층(12)의 상단에 고착된 상태로 묘테석(14)을 보강해주는 가공된 자연석재의 기초석(13)과;A base stone (13) of processed natural stone for reinforcing the gravestone (14) in a state fixed to the top of the base concrete layer (12); 상기 기초석(13)의 내측에 수직으로 설치된 상태에서 묘실(17)을 형성해주는 가공된 자연석재의 묘테석(14)과;Tombstone 14 of the processed natural stone to form a seedling 17 in a state vertically installed on the inside of the base stone 13; 상기 묘테석(14)에 의해 형성되는 공간으로 다수개의 고임돌(18, 18a, 18b)과 천장석(19, 19a) 및 바닥 판제석(15)에 의해 상하층으로 나누어지면서 바닥 판제석(15) 밑에 결로 흡인용 공간(27)이 형성되어 있는 묘실(17)과;The space formed by the gravestone 14 is divided into upper and lower layers by a plurality of dolmens 18, 18a and 18b, ceiling stones 19 and 19a, and floor slabs 15, under the floor slab 15. A seedling chamber 17 in which a condensation suction space 27 is formed; 상기 묘실(17) 내부에 납골함(25)을 안치하거나 안치된 납골함(25)을 인출하기 위한 출구로 무거운 개폐석(21, 21a)을 삽입하거나 인출하는 방식으로 묘실(17)을 개폐 할 수 있도록 되어 있는 상하 출입구(20, 20a)와;To open and close the cemetery 17 by inserting or withdrawing the heavy opening and closing seats (21, 21a) to the exit for placing the ossuary (25) inside the cemetery (17) or withdraw the enclosed ossuary (25). Upper and lower entrances and exits 20 and 20a; 상기 묘실(17)에 내장된 상태에서 묘실 내부의 기압을 자동으로 조절하는 기압조절 장치(22, 22a)와;An air pressure regulating device (22, 22a) for automatically adjusting the air pressure inside the cemetery in a state embedded in the cemetery (17); 상기 묘실(17)에 내장된 상태에서 묘실 내부의 습기와 악취를 흡착 제거해주는 활성탄제의 제습 탈취제(23, 23a)와;A dehumidifying deodorizing agent (23, 23a) of activated carbon, which adsorbs and removes moisture and odors in the inside of the cemetery in a state in which the cemetery is embedded; 상기 천장석(19a)과 일정 간격 이격된 상태로 단열 통풍층(24c)을 형성하면서 그 상단에 비석(26)이 견고하게 고착되어 있는 덮개석(24)과;A cover seat 24 in which a tombstone 26 is firmly fixed on the top thereof while forming an adiabatic ventilation layer 24c at a predetermined distance from the ceiling seat 19a; 상기 천장석(19a)과 덮개석(24) 사이에 형성되어 있는 낮고도 넓은 공간으로 통풍이 잘 되기 때문에 햇볕에 덮개석(24)의 온도가 높아져도 그 온도가 묘실(17)에 전도되지 않도록 차단시켜주는 단열층의 기능을 갖는 통풍층(24c) 등으로 구성된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풍층이 있는 결로 방지용 납골묘.Since the air is well ventilated in a low and wide space formed between the ceiling seat 19a and the cover seat 24, even if the temperature of the cover seat 24 increases in the sun, the temperature is prevented from being conducted to the graveyard 17. A condensation preventing sternum seedling having a ventilation layer, characterized in that the ventilation layer (24c) having a function of the heat insulating layer. 제 1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묘실(17)을 형성해주는 가공된 자연석재의 묘테석(14)은.The tombstone 14 of the processed natural stone to form a tombstone 17 is. 상기 천장석(19a)과 덮개석(24) 사이에 형성되는 단열 통풍층(24c)의 통풍을 위해 상단에 형성되어 있는 통풍구(24b)와 기압 조절 장치(22, 22a)를 체결시키기 위한 체결구(14a) 및 상하 출입구(20, 20a)가 형성돼 있는 다수개의 묘테석(14)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풍층이 있는 결로 방지용 납골묘.Fasteners 14a for fastening vent holes 24b formed at the top and air pressure regulating devices 22 and 22a for ventilation of the heat insulating ventilation layer 24c formed between the ceiling seat 19a and the cover seat 24. ) And upper and lower entrances (20, 20a) is formed of a plurality of tombstone (14) is formed, the condensation prevention crypt bones characterized in that the ventilation layer. 제 1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묘테석(14)에 의해 형성되는 묘실(17)은,The cemetery 17 formed by the gravestone 14 is, 상기 묘테석(14)에 의해 형성된 묘실(17)의 바닥에 보강 콘크리트 패널(12a)을 설치한 다음 기초석(13)과 묘테석(14)의 하단이 묻혀지도록 보강 콘크리트층(12b)을 기초석(13)의 외측에 타입 양생하여 기초석(13)과 묘테석(14) 및 기초 콘크리트층(12)을 포함하는 보강 콘크리트층(12b)과 보강 콘크리트 패널(12a)이 일체화시켜서, 지진 등 외압에도 상기 기초석(13)과 묘테석(14)의 연결부분이 뒤틀리거나 벌어지지 않도록 되어 있으며, 보강 콘크리트 패널(12a)과 묘테석(14) 및 바닥 판제석(15)과 천장석(19, 19a)의 연결부분과 표면에 FRP 지수 보강제를 주입 도포해서 스며드는 수분을 차단할 수 있게 되어 있고, 상하층으로 나누어지므로 다수개의 납골함(25)을 수용 안치할 수 있도록 되어 있는 묘실(17)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풍층이 있는 결로 방지용 납골묘.The reinforcement concrete panel 12a is installed at the bottom of the tombstone 17 formed by the tombstone 14, and then the reinforcement concrete layer 12b is formed so that the bottom of the base stone 13 and the tombstone 14 are buried. Type curing on the outside of the 13), the reinforcement concrete layer 12b and the reinforcement concrete panel 12a including the foundation stone 13, the gravestone 14 and the foundation concrete layer 12 are integrated, so that the above-mentioned The connection part of the basic stone 13 and the gravestone 14 is not twisted or opened, and the reinforcement concrete panel 12a and the gravestone 14 and the floor slab 15 are connected to the ceiling stones 19 and 19a. Ventilation, characterized in that it consists of a seedling (17) that is able to block the water soaking by injecting and coating the FRP index reinforcement to the part and the surface, and is divided into the upper and lower layers. Layered condensation-resistant crypt. 제 1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묘실(17)의 상하 출입구(20, 20a)는,The upper and lower entrances and exits 20 and 20a of the seedling 17 are 상기 묘실(17) 내부에 납골함(25)을 안치하거나 안치된 납골함(25)을 인출하기 위한 출구로 무거운 개폐석(21, 21a)을 삽입하거나 인출하는 방식으로 묘실(17)을 개폐 할 수 있게 되어 있으면서 개폐석(21, 21a)과 묘테석(14) 사이의 홈에 지수용 실리콘(21b)을 주입하여 개폐석(21, 21a)을 고정시킴과 함께 묘테석(14)과 개폐석(21, 21a) 사이의 틈을 통해 공기 중의 수분이 묘실(17) 내부에 유입될 수 없도록 된 상하 출입구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풍층이 있는 결로 방지용 납골묘.The cemetery 17 can be opened or closed by placing or removing the heavy opening and closing seats 21 and 21a as an outlet for withdrawing the oscillation box 25 or the enclosed oscillation box 25. While injecting the silicon 21b for water supply into the groove between the opening and closing seats 21 and 21a and the tombstone 14 to fix the opening and closing seats 21 and 21a and the tombstone 14 and the opening and closing seat 21 , 21a) through the gap between the upper and lower entrances to prevent moisture in the air from entering the interior of the cemetery 17, the condensation prevention chalcedony gravel with a ventilation layer, characterized in that is formed. 제 1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묘실(17)의 기압을 자동으로 제어하는 기압 조절장치(22, 22a)는,The air pressure regulating device 22, 22a which automatically controls the air pressure of the said seedling chamber 17, 상기 납골묘(11) 외부의 온도와 묘실(17) 내부의 온도 차이 등으로 묘실(17) 내부와 납골묘(11) 외부 간에 기압 차이가 발생 할 때 기압 차이를 줄이기 위해서 기압 조절장치(22, 22a)의 고무판막(22c, 22cc)이 기압 차이에 의해 기압이 낮은쪽으로 휘어지면서 통기구(22b, 22bb)를 열어 공기를 기압이 낮은 쪽으로 소통시켜 기압 차이를 줄일 수 있도록 함과 함께 기압 차이가 미미할 경우에 고무 판막(22c, 22cc)의 탄력에 의해 통기구(22b, 22bb)를 차단해서 묘실(17) 내부에 납골묘(11) 외부 공기와 공기 중의 수분 및 먼지가 유입될 수 없도록 하며,Pressure control devices 22 and 22a to reduce the pressure difference when an air pressure difference occurs between the inside of the cemetery 17 and the outside of the ossuary gravel 11 due to a temperature difference between the temperature of the exterior of the ossuary gravel 11 and the interior of the graveyard 17. When the rubber valves (22c, 22cc) are bent toward the lower air pressure due to the difference in air pressure, open the air vents (22b, 22bb) to communicate air to the lower air pressure to reduce the pressure difference and the pressure difference is insignificant. By blocking the vent holes (22b, 22bb) by the elasticity of the rubber valve (22c, 22cc) to prevent the water and dust in the air and air in the crypts (11) inside the graveyard (17), 기압 차이 때문에 납골묘(11) 외부에서 묘실(17) 안으로 공기가 유입 될 경우 기압 조절 장치(22, 22a)의 비닐 봉투(22d)가 크게 부풀어 오르면서 그 비닐 봉투(22d) 내에 유입된 공기를 가두어 유입된 공기 중의 수분이 차가운 묘실(17) 벽면과 납골함에 접촉할 수 없게 하여 묘실(17)과 납골함(25)에 결로 및 곰팡이가 발생하는 것을 예방해주는 자동 기압 조절장치(22, 22a)가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풍층이 있는 결로 방지용 납골묘.When air flows into the cemetery 17 from the outside of the ossuary gravel 11 due to the pressure difference, the plastic bag 22d of the air pressure regulating devices 22 and 22a is greatly inflated to trap the air introduced into the plastic bag 22d. Automatic air pressure regulators 22 and 22a prevent moisture from entering the air and prevent condensation and mold from occurring in the nursery 17 and the cranial bin 25 by preventing the cooler 17 from contacting the walls and the cranial bins. Condensation-resistant crypt bone with a ventilation layer. 제 1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고임돌(18, 18a) 위에 얹혀진 상태로 묘실(17)을 상하층으로 나누어주는 천장석(19, 19a)은,The ceiling seats 19 and 19a for dividing the graveyard 17 into the upper and lower floors while being placed on the dolmens 18 and 18a, 상기 고임돌(18) 위에 얹혀진 상태로 묘실(17)을 상하층으로 나누어주는 중간 천장석(19)과 묘실(17)의 상단에 설치되면서 묘실(17)을 밀폐시켜주는 상단 천장석(19a)으로 구분되면서 덮개석(24)과의 사이에 단열 통풍층(24c)을 형성하며, 외부의 습기가 묘실(17)로 스며들지 못하게 표면에 FRP 지수 보강제(16)가 도포되어 있고, 설치 및 이동이 용이하면서도 묘실(17)의 상하층 및 결로 흡인용 공간(27) 사이에 공기 소통이 될 수 있도록 체결구(19c, 19d)가 형성되어 있는 천장석(19, 19a)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풍층이 있는 결로 방지용 납골묘.While being placed on the dolmen 18, it is divided into the upper ceiling seat (19a) to seal the tomb 17 while being installed on the top of the middle ceiling seat 19 and the tomb 17, which divides the tomb 17 into the upper and lower floors. A heat insulating ventilation layer 24c is formed between the cover seat 24 and the FRP index reinforcement 16 is applied to the surface so that external moisture does not penetrate the tomb 17, and the tomb is easy to install and move. Condensation with ventilation layer, characterized in that consisting of the ceiling seats (19, 19a) formed with fasteners (19c, 19d) to allow air communication between the upper and lower layers of the (17) and the condensation suction space (27) Ossuary to prevent. 제 1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천장석(19a)과 덮개석(24) 사이에 일정 간격으로 형성된 통풍층(24c)은,Ventilation layer (24c) formed at a predetermined interval between the ceiling seat (19a) and the cover seat 24, 상기 천장석(19a) 상단 표면에서 일정 간격 이격 된 상태로 묘테석(14) 상단에 덮개석(24)을 설치해서 천장석(19a)과 덮개석(24) 사이에 통풍이 될 수 있게 통풍구(24b)가 형성된 공간으로, 여름철 뜨거운 햇볕에 의한 묘실의 온도 상승을 막아주는 통풍층(24c)이 형성돼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풍층이 있는 결로 방지용 납골묘.Ventilation holes 24b are formed to allow ventilation between the ceiling seats 19a and the cover seats 24 by installing a cover seat 24 on the top of the cemetery seat 14 at a predetermined interval from the top surface of the ceiling seat 19a. A condensation prevention crypt bone with a ventilation layer, characterized in that the ventilation layer (24c) is formed to prevent the temperature rise of the graveyard by the hot sun in the summer. 제 1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바닥 판제석(15)에 의해 형성된 결로 흡인용 공간(27)은,The condensation suction space 27 formed by the bottom slab 15 is, 만일의 경우 묘실에 수분이 유입되면서 결로가 발생 할 때 묘실 내에서 가장 차가워서 결로 발생 가능성이 높은 결로 흡인용 공간으로 수분을 흡인 결로 발생을 유도해서 묘실 내의 납골함을 안치시키는 공간에는 결로가 발생하지 않도록 하는 결로 흡인용 공간(27)이 형성되어 있는 통풍층이 있는 결로 방지용 납골묘.If condensation occurs as moisture enters the cemetery, the condensation suction space, which is the coldest in the cemetery, is likely to form condensation, which induces condensation. Condensation prevention crypt bone with a ventilation layer in which the condensation suction space 27 is formed. 제 1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바닥 판제석(15)과 천장석(19, 19a)에 형성돼 있는 체결구(19b, 19c, 19d)는,The fasteners 19b, 19c, 19d formed in the bottom board 15 and the ceiling seats 19, 19a, 시공시 체결구에 도구를 체결시켜 시공을 용이하게 함과 함께 체결구를 통해 상하 묘실(17)과 결로 흡인용 공간(27) 간에 공기 등의 소통을 원활하게 해서 묘실(17)에 유입된 수분을 결로 흡인용 공간(27)으로 쉽게 흡인될 수 있게 하는 체결구(19b, 19c, 19d)가 바닥 판제석(15)과 천장석(19, 19a)에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풍층이 있는 결로 방지용 납골묘.Moisture flowed into the cemetery 17 by fastening the tool to the fastener at the time of construction, facilitating the construction, and communicating the air between the upper and lower cemeteries 17 and the condensation suction space 27 through the fasteners. Fasteners (19b, 19c, 19d) that can be easily sucked into the condensation suction space (27) is formed in the floor board 15 and the ceiling seat (19, 19a) with a ventilation layer Ossuary to prevent condensation.
KR20-2004-0000629U 2004-01-09 2004-01-09 charnel grave to prevent the frost with ventilation layer KR200347866Y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4-0000629U KR200347866Y1 (en) 2004-01-09 2004-01-09 charnel grave to prevent the frost with ventilation laye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4-0000629U KR200347866Y1 (en) 2004-01-09 2004-01-09 charnel grave to prevent the frost with ventilation layer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47866Y1 true KR200347866Y1 (en) 2004-04-29

Family

ID=4942850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4-0000629U KR200347866Y1 (en) 2004-01-09 2004-01-09 charnel grave to prevent the frost with ventilation layer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47866Y1 (en)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3525167B1 (en) Stone burial grave with double foundation and triple wall for dew condensation prevention
CN106978937B (en) Ecological invisible tombstone and system
KR200347866Y1 (en) charnel grave to prevent the frost with ventilation layer
JP2002106209A (en) Charnel chamber in grave
JP2009235697A (en) Joint grave
KR200344292Y1 (en) structure of laying ashes house with complex functions
CN205531618U (en) Coffin chamber and tomb hat with function of beautifying environment
JP7108269B1 (en) Cemetery structure and burial method
KR200250729Y1 (en) charnel grave for preventing dew forms
CN105714931B (en) Space capsule type assembled window balcony and the building with the balcony
KR200264411Y1 (en) Family laying grave
KR100223665B1 (en) Charnel grave
KR200287348Y1 (en) Family charnel
KR100425011B1 (en) Family laying grave
KR200231130Y1 (en) grave with complex function
KR200163343Y1 (en) Laying one&#39;s ashes to rest box installation place of familly charnel house
KR200383875Y1 (en) A charnel house
KR200430546Y1 (en) Ashes urn installation by using a person statue
KR200227287Y1 (en) A prefabricated stone charnel house
KR200422518Y1 (en) A charner House ventilation facilities
KR200350382Y1 (en) The environmental-friendly charnel house
KR200356617Y1 (en) charnel house
KR200308434Y1 (en) a charnel house
KR100337370B1 (en) A charnel grave of mound style
KR200356593Y1 (en) a Tomb with a Possible Ventilation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