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47763Y1 - 고정 부재를 구비한 흙손 체결 장치 - Google Patents

고정 부재를 구비한 흙손 체결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47763Y1
KR200347763Y1 KR20-2004-0001991U KR20040001991U KR200347763Y1 KR 200347763 Y1 KR200347763 Y1 KR 200347763Y1 KR 20040001991 U KR20040001991 U KR 20040001991U KR 200347763 Y1 KR200347763 Y1 KR 200347763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upling
blade
trowel
reinforcing
coupling memb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4-0001991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강태만
Original Assignee
강태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강태만 filed Critical 강태만
Priority to KR20-2004-0001991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47763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47763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47763Y1/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21/00Implements for finishing work on buildings
    • E04F21/02Implements for finishing work on buildings for applying plasticised masses to surfaces, e.g. plastering walls
    • E04F21/16Implements for after-treatment of plaster or the like before it has hardened or dried, e.g. smoothing-tools, profile trowels
    • E04F21/161Trowels
    • E04F21/163Trowels with exchangeable blad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Coating Apparatu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고정 부재를 구비한 흙손 체결장치와 관련된다. 본 고안에 따른 흙손 체결 장치는 지지 부재를 이용하여 손잡이 부분과 연결된 보강 결합 부재, 칼날의 아래쪽 면에 형성되어 형성된 다수 개의 결합 홈, 상기 결합 홈을 이용하여 보강 결합 부재와 칼날을 결합하는 고정 수단을 포함하고, 상기에서 보강 결합 부재는 칼날의 위쪽 면과 일정한 간격을 유지하며 상기 결합 홈의 수에 대응되는 결합 구멍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고정 수단을 이용한 보강 결합 부재와 칼날의 결합은 분리 가능하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러한 특징은 가진 본 고안에 따른 흙손 결합 장치는 휴대가 간편할 뿐만 아니라 유지·보수의 용이성을 가져오는 효과를 가진다.

Description

고정 부재를 구비한 흙손 체결 장치{A Device for Connecting Trowel Body Employing a Fixing Element}
본 고안은 미장용 흙손과 관련되며, 보다 구체적으로 흙손의 본체와 손잡이를 체결하는 장치와 관련된다.
미장용 흙손은 마감시공을 위한 도구로서 시멘트 모르타르를 고르게 펴서 벽면 등에 바르기 위하여 사용된다. 이러한 흙손은 크게 손잡이 부분과 흙손 본체 즉 칼날 부분으로 이루어지며 흙손 본체의 형태는 마감 시공의 대상의 따라 다양한 형태를 가진다. 흙손의 손잡이 부분과 칼날 부분은 대개 일체로 형성되어 있어 실제로 마감 시공에서 사용되는 칼날 부분의 부피에 비하여 손잡이 부분이 차지하는 부피가 상대적으로 큼으로서 인하여 휴대성과 제작성의 관점에서 불편함이 뒤따른다. 흙손의 손잡이 부분과 칼날 부분의 결합 방식에 관한 종래의 고안으로서는 실용신안 등록번호 제20-0314389호 "미장용 흙손"이 있다. 상기 고안은 도 1에서 도시된 것처럼 크게 손잡이(10) 부분과 흙손 본체(12) 부분 및 흙손 바닥재(13) 부분으로 이루어져 있다. 손잡이(10) 부분과 흙손 본체(12) 및 흙손 바닥재(13)의 연결은 나사구멍(15)으로 끼워지는 나사못(16)을 이용한다. 물론 나사못(16)이외의 다른 체결 수단이 사용될 수 있으며 이러한 결합은 결합 부위의 견고성을 목적으로 한다. 위와 같은 손잡이와 칼날 또는 흙손 본체의 결합은 칼날의 형태에 따라 달라질 수 있지만 기본적인 구성은 위와 동일하다. 이러한 종래의 흙손 손잡이와 칼날의 연결 방법은 견고성을 얻을 수 있는 반면 휴대의 용이성의 관점에서는 불리하다. 뿐만 아니라 흙손 손잡이의 손상이나 칼날 부위의 손상으로 인하여 전체 흙손을 사용할 수 없게 됨으로서 유지·보수의 면에서는 단점을 가진다. 본 고안은 이러한 종래의 흙손의 결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다음과 같은 목적을 가진다.
본 고안은 분리 가능한 흙손 체결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고안에 따른 흙손의 분리 가능성은 보강 결합 부재를 사용함으로서 이루어진다. 이러한 보강 결합 부재는 흙손 손잡이 부분과 견고하게 결합되어 필요시 칼날과 분리 가능하도록 결합된다. 마감 작업의 경우에는 흙손의 보강 부재를 칼날과 적절한 고정 수단으로서 결합하여 사용하고 작업 후에는 고정 수단을 분리하여 손잡이가 칼날 부분과 분리되도록 한다.
본 고안은 휴대의 용이성을 갖춘 흙손 체결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고안에 따른 흙손 체결 장치는 작업을 하지 않는 경우에는 손잡이 부분만을 소지하여 이용할 수 있도록 함으로서 휴대가 간편하도록 한다. 일반적으로 흙손의 칼날은 작업 형태로 따라 다양한 형태를 가지고 있으며 손잡이 부분은 마감 작업의 종류에는 크게 영향을 미치지 않는다. 그러므로, 일반적으로 손잡이 부분의 형태는 일정하다. 본 고안에 따른 흙손 체결 장치는 이러한 점을 이용한 것으로서 사용자가 손잡이 부분만을 소지하여 이동한 후 작업 시에만 칼날과 결합하는 것이 가능하도록 한다.
본 고안은 유지 보수가 용이한 흙손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종래의 흙손의 경우에는 대개 흙손 손잡이와 칼날 부분이 일체성을 가지도록 결합되어 어느 한 부분이 손상되는 경우 흙손 전체를 이동시켜 보수하여야 할 뿐만 아니라 경우에 따라서는 비교적 경미한 손상으로 인하여 흙손 전체가 사용할 수 없게 되는 경우도 발생한다. 그러나 본 고안에 따른 흙손 체결 장치를 구비한 흙손은 손잡이 부분이나 칼날 어느 한 쪽이 손상될지라도 손상된 부분만을 보수하면 되는 형태를 가지고 있다. 그러므로, 종래의 흙손에 비하여 유지·보수 면에서도 유리할 뿐만 아니라 흙손 손잡이와 칼날이 분리되어 제작됨으로서 제작 비용의 관점에서도 유리하다.
이와 같은 목적을 가진 본 고안에 따른 흙손의 체결 장치는 다음과 같은 구조를 가진다.
지지 부재를 이용하여 손잡이 부분과 연결된 보강 결합 부재, 칼날의 아래쪽 면에 형성되어 형성된 다수 개의 결합 홈, 상기 결합 홈을 이용하여 보강 결합 부재와 칼날을 결합하는 고정 수단을 포함하고, 상기 보강 결합 부재는 칼날의 위쪽 면과 일정한 간격을 유지하며 상기 결합 홈의 수에 대응되는 결합 구멍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고정 수단을 이용한 보강 결합 부재와 칼날의 결합은 분리 가능하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칼날의 두께가 충분하지 않아 결합 홈의 형성이 어려운 경우에는 칼날의 위쪽 면에 보강 결합 판을 접착하여 보강 결합 부재에 고정시킬 수 있다. 아울러, 결합 홈에 끼워지는 고정 수단을 보강 결합 부재와 칼날 면이 결합된 경우 칼날의 아래쪽 면에 돌출되지 않도록 결합 홈에는 충분한 높이와 너비가 확보되어야 한다.
도 1은 종래의 칼날과 손잡이의 결합 형태를 도시한 것이다.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흙손의 손잡이와 칼날이 결합된 형태의 단면을 도시한 것이다.
도 3의 (가)는 본 고안에 따른 최종 마감용 칼날과 손잡이가 결합된 형태를 도시한 것이며 (나)는 이에 대한 평면도를 도시한 것이다.
※도면 부호의 설명
10 : 손잡이 11 : 상면 후단 12 : 흙손 본체
13 : 흙손 바닥재 14 : 상면 전단 15 : 나사구멍
16 : 나사못
20 : 손잡이 21 : 스토퍼 22 : 지지부재
23 : 보강 결합 부재 24 : 칼날 25 : 결합 홈
26 : 고정 수단 27 : 체결구 28 : 용접이음
30 : 보강 결합 판
아래에서 본 고안에 따른 흙손의 체결 장치는 첨부된 도면에서 제시된 실시 예를 따라서 설명된다. 그러나, 도면에서 제시된 실시 예는 예시적인 것이며 본 고안의 범위는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또한, 첨부된 도면에서 동일한 장치는 유사한 부호로서 표시되며 아울러 공지된 장치 및 그러한 장치에 대한 설명은 명확성을 위하여 생략되거나 간략히 설명된다. 그러한 생략되거나 간략히 설명된 장치가 본 고안의 범위에 포함되지 않는다는 것을 의미하는 것은 아니다.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흙손 체결 장치와 칼날이 결합된 하나의 실시 예를 도시한 것이다. 본 고안에 따른 흙손의 체결 장치는 크게 손잡이(20)와 보강 결합 부재(23) 및 칼날(24)의 아래쪽 면에 형성된 결합 홈(25)으로 이루어진다. 손잡이(20)와 보강 결합 부재(23)는 지지부재(22)를 통하여 연결되며 손잡이(20)에서의 지지 부재(22)의 고정은 스토퍼(21)를 사용한다. 지지 부재(22)는 공지된 기술을 사용하여 이루어지며 스토퍼(21)에 의한 고정 기술도 동일하다. 지지 부재(20)의 형태나 손잡이(20)에의 결합은 도 2에 도시된 것과 달리 다양한 공지 기술이 사용될 수 있으며 볼트를 사용하여 지지 부재(22)를 고정할 수도 있다. 또한, 여러 개의 지지 부재(20)가 사용될 수도 있다. 보강 결합 부재(23)와 지지 부재(22)의 결합은 도 2에 도시된 것처럼 용접 이음(28)을 사용할 수도 있지만 볼트나 리벳팅 결합 수단을 사용할 수도 있다. 이의 결합은 견고성이 요구되므로 견고한 이음을 위한 공지의 기술이 사용될 수 있다. 즉, 지지 부재(22)와 보강 결합 부재(23)의 결합은 영구적인 결합도 가능하며 분리 결합도 가능하다. 다만, 이러한 결합은 손잡이(20)의 역할을 고려할 때 견고성이 요구된다. 보강 결합 부재(23)는 판 형태로 제작되는 것이 유리하며 지지 부재(22)를 기준으로 양쪽으로 다수 개의 연결 구멍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보강 결합 부재(23)는 칼날(24)과 일정한 거리를 유지하기 위하여 도 2에 도시된 것처럼 양끝 면이 수직으로 휘어져 칼날의 위쪽 면과 접하고 있다. 이러한 보강 결합 부재(23)의 양끝의 형태는 다양한 형상을 가질 수 있으며 다만 칼날 면과 일정한 간격을 유지할 수 있으며 동시에 지지력을 확보할 수 있는 형태가 되어야 한다. 이러한 형태로서는 활 모양으로 휘어진 형태라든가 지지면의 아래쪽 접하는 면이 넓게 형성되는 것을 고려할 수 있다. 보강 결합 부재(23)와 칼날(24)의 결합은 결합 홈(25)을 이용하여 고정 수단(26)으로 이루어진다. 결합 홈(25)은 칼날(24)의 아래쪽 면에 안쪽 방향으로 형성되며 고정 수단(26)이 완전히 삽입될 수 있는 형태로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러한 결합 홈(25)의 수는 보강 결합 부재(23)에 형성된 결합 구멍의 수에 대응된다. 도 2에서는 고정 수단(26)으로 볼트 또는 리벳이 도시되어 있지만 공지의 기술이 사용될 수 있다. 본 고안에 따른 흙손 체결 장치의 특징은 칼날(24)과 보강 결합 부재(23)가 분리 가능하도록 결합된다는 점이다. 지지 부재(22)와 보강 결합 부재(23)의 결합은 용접 이음(28)과 같은 영구적인 결합도 가능하지만 보강 결합 부재(23)와 칼날(24)의 결합은 반드시 분리 가능할 것이 요구된다. 이러한 분리 결합 수단으로는 볼트와 나사를 이용한 결합 또는 리벳의 끝 부분에 나사 산을 형성하여 체결구(27)를 이용한 결합 등이 사용될 수 있다. 다른 결합 수단으로는 칼날(24) 부분에 돌출부(도시되지 않음)를 형성하고 보강 결합 부재(27) 부분에이에 대응되도록 홈을 형성하여 끼워져서 고정되도록 하는 것도 가능하다. 다만 이러한 결합의 경우 견고성이 확보되도록 하여야 할 것이다. 결합 홈(25)을 형성하여 고정 수단(26)으로서 칼날과 보강 결합 부재(23)의 결합되도록 하는 경우에는 고정 수단(26)이 칼날(24)의 아래쪽 면에서 위쪽 면으로 끼워질 필요가 있으며 아울러 결합 후 고정 수단(26)은 칼날(24)의 아래쪽 면으로 돌출되지 않도록 결합 홈(25)이 형성되어야 한다. 이러한 점은 미장 작업 시 고정 수단(26)의 돌출로 인한 불편함의 제거를 위한 것이다.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흙손의 체결 장치와 미장용 칼날이 결합된 또 다른 실시 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 2의 결합 형태와 도 3의 결합 형태의 차이는 보강 결합 판(30)의 사용에 있다. 일반적으로 미장 칼날은 두께가 1mm 내지 1.5mm가 되지만 최종 마감용 칼날의 두께는 0.5mm 이하의 두께를 가진다. 그러므로 이러한 칼날(24)의 아래쪽 면에는 결합 홈(25)의 형성이 어려워진다. 보강 결합 판(30)은 결합 홈(25)의 형성을 위한 충분한 두께가 확보되지 못한 미장 칼날에 대하여 사용된다. 보강 결합 판(30)과 칼날(24)의 결합은 접착제 등을 사용하여 영구적으로 결합되는 것이 유리하지만 고정 수단(26)을 이용하여 보강 결합 부재와 결합되는 경우 전체적인 결합이 이루어지므로 반드시 그러한 결합이 필요한 것은 아니다. 또한 보강 결합 판(30)의 크기는 칼날의 작업 면적을 고려하여 가능하면 작은 것이 유리하다. 제시된 실시 예에 도시된 것처럼 보강 결합 판(30)과 칼날(24)이 결합된 상태에서 결합 홈(25)이 형성되며, 보강 결합 부재(23)는 보강 결합 판(30) 위에 도 2에서 도시된 방법과 동일한 방법으로 결합된다. 보강 결합 부재(23)의 두께는 재료의 강도나 견고성 등을 고려하여 적절하게 조정될 수 있다.
도 3의 (나)는 (가)의 평면도를 도시한 것으로 4개의 고정 수단(하나의 고정 수단은 도시되지 않음)이 설치된 것은 나타낸 것이다. 고정 수단이 수는 필요에 따라 적절하게 조절될 수 있다.
앞에서 설명한 것과 같은 구성을 가진 본 고안에 따른 흙손 체결 장치는 휴대가 간편할 뿐만 아니라 유지·보수의 용이성을 가져오는 효과를 가진다. 뿐만 아니라 제작 면에서도 손잡이 부분과 칼날 부분이 분리되어 제작될 수 있음으로서 제작비용을 감소시킬 수 있다.

Claims (5)

  1. 미장용 흙손의 손잡이 부분과 칼날 또는 몸체 부분을 결합하는 흙손 결합 장치에 있어서,
    지지 부재를 이용하여 손잡이 부분과 연결된 보강 결합 부재;
    칼날의 아래쪽 면에 형성되어 형성된 다수 개의 결합 홈;
    상기 결합 홈을 이용하여 보강 결합 부재와 칼날을 결합하는 고정 수단을 포함하고,
    상기에서 보강 결합 부재는 칼날의 위쪽 면과 일정한 간격을 유지하고 또한 상기 결합 홈의 수에 대응되는 결합 구멍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고정 수단을 이용한 보강 결합 부재와 칼날의 결합은 분리 가능하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흙손 결합 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칼날과 보강 결합 부재 사이에 칼날의 위쪽 면과 접착된 보강 결합 판을 추가로 포함하는 흙손 결합 장치.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고정 수단은 끝부분에 나사 산이 형성되어 체결구로서 고정되는 리벳 또는 볼트가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흙손 결합 장치.
  4. 청구항 1에 있어서,
    지지 부재와 보강 결합 부재의 결합은 용접 이음이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흙손 결합 장치.
  5. 청구항 1 내지 4 중의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흙손.
KR20-2004-0001991U 2004-01-28 2004-01-28 고정 부재를 구비한 흙손 체결 장치 KR200347763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4-0001991U KR200347763Y1 (ko) 2004-01-28 2004-01-28 고정 부재를 구비한 흙손 체결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4-0001991U KR200347763Y1 (ko) 2004-01-28 2004-01-28 고정 부재를 구비한 흙손 체결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47763Y1 true KR200347763Y1 (ko) 2004-04-17

Family

ID=4942844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4-0001991U KR200347763Y1 (ko) 2004-01-28 2004-01-28 고정 부재를 구비한 흙손 체결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47763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WO2010048750A1 (zh) 一种新型塑料地垫
JP6718709B2 (ja) 外装材の取付具及び建物の外装構造
KR200347763Y1 (ko) 고정 부재를 구비한 흙손 체결 장치
KR20170061449A (ko) 단열재 일체형 데크 플레이트
KR20190046180A (ko) 단열재 일체형 데크플레이트
JP2003129644A (ja) 床板支持装置
KR101649747B1 (ko) 비정형 콘크리트구조물 성형용 스틸폼 구조체
KR100620253B1 (ko) 거푸집설치용 거푸집판넬 및 그 제조방법
JP4903110B2 (ja) 開口補強ユニットおよび布基礎
CN110924671A (zh) 一种重型钢框胶合模板及其制备方法
KR101913929B1 (ko) 연결부 단위부재를 이용한 단열재 일체형 데크 플레이트의 결합부 구조
KR20160000817U (ko) 무용접 데크플레이트용 스페이서의 결합구조
CN208023948U (zh) 一种快速组装的阴角模板
KR100770958B1 (ko) 거푸집용 합성패널
JP3546204B2 (ja) デッキフロア構造
KR20190036825A (ko) 강판과 콘크리트로 상부가 보강된 복합말뚝
JP6463283B2 (ja) プレキャストコンクリート壁部材の連結構造
KR20190067333A (ko) 단열재 일체형 데크플레이트
KR200347762Y1 (ko) 휴대용 흙손 체결 장치
KR20130112134A (ko) 견고하고 간편한 조립수단을 구비한 조립식 구조물용 사각파이프
CN218323860U (zh) 一种铝模和木模结合的u型模板型材
CN213626243U (zh) 一种建筑钢结构建筑屋脊
KR100625424B1 (ko) 철근 콘크리트 지하 저수조의 폴리에틸렌 시트를 이용한방수 구조 및 방수층 시공 방법
KR200320872Y1 (ko) 건축 외장재 연결 고정장치
JPH0643529Y2 (ja) 天板の接合構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51005

Year of fee payment: 3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