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47432Y1 - 신축형 방범창의 보강구조 - Google Patents

신축형 방범창의 보강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47432Y1
KR200347432Y1 KR20-2003-0040854U KR20030040854U KR200347432Y1 KR 200347432 Y1 KR200347432 Y1 KR 200347432Y1 KR 20030040854 U KR20030040854 U KR 20030040854U KR 200347432 Y1 KR200347432 Y1 KR 200347432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rame
security window
stretchable
reinforcement
expans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3-0040854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영순
Original Assignee
박영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영순 filed Critical 박영순
Priority to KR20-2003-0040854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47432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47432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47432Y1/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9/00Screening or protective devices for wall or similar openings, with or without operating or securing mechanisms; Closures of similar construction
    • E06B9/02Shutters, movable grilles, or other safety closing devices, e.g. against burglary
    • E06B9/06Shutters, movable grilles, or other safety closing devices, e.g. against burglary collapsible or foldable, e.g. of the bellows or lazy-tongs type
    • E06B9/0607Shutters, movable grilles, or other safety closing devices, e.g. against burglary collapsible or foldable, e.g. of the bellows or lazy-tongs type comprising a plurality of similar rigid closing elements movable to a storage position
    • E06B9/0646Shutters, movable grilles, or other safety closing devices, e.g. against burglary collapsible or foldable, e.g. of the bellows or lazy-tongs type comprising a plurality of similar rigid closing elements movable to a storage position characterised by the relative arrangement of the closing elements in the stored position
    • E06B9/0653Shutters, movable grilles, or other safety closing devices, e.g. against burglary collapsible or foldable, e.g. of the bellows or lazy-tongs type comprising a plurality of similar rigid closing elements movable to a storage position characterised by the relative arrangement of the closing elements in the stored position stored side by side in the closing plane
    • E06B9/0661Lazy tongue, pantograph or scissor-like systems in the plane of the opening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9/00Screening or protective devices for wall or similar openings, with or without operating or securing mechanisms; Closures of similar construction
    • E06B9/02Shutters, movable grilles, or other safety closing devices, e.g. against burglary
    • E06B9/06Shutters, movable grilles, or other safety closing devices, e.g. against burglary collapsible or foldable, e.g. of the bellows or lazy-tongs type
    • E06B9/0607Shutters, movable grilles, or other safety closing devices, e.g. against burglary collapsible or foldable, e.g. of the bellows or lazy-tongs type comprising a plurality of similar rigid closing elements movable to a storage position
    • E06B9/0615Shutters, movable grilles, or other safety closing devices, e.g. against burglary collapsible or foldable, e.g. of the bellows or lazy-tongs type comprising a plurality of similar rigid closing elements movable to a storage position characterised by the closing elements
    • E06B9/063Bars or rods perpendicular to the closing direc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pecial Wing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신축형 방범창의 보강구조에 관한 것으로, 본 고안에 따른 신축형 방범창의 보강구조는 횡방향 양 선단이 세로로 다수회 절곡되어 단면이 사각형인 좌우 보강부(141)(141')를 이격 형성하고, 상기 좌우 보강부(141)(141') 사이에서 리베팅 홀(14a)이 형성되는 구조의 신축 프레임(14)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여기서, 상기 신축 프레임(14)의 좌우 보강부(141)(141')는 그 단면이 폐곡선을 형성하는 구조로 이루어지고, 양선단은 아래위로 압착 마감되며 모서리가 둥근 형태로 이루어진다.
상술한 바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에 따른 신축형 방범창에 의하면, 이격 구성된 신축 프레임의 보강부 구조상, 리베팅 홀 형성에 따른 신축 프레임의 강도 저하의 문제가 발생하지 않고, 제작과정에서 제작기기의 손상이 적기 때문에 보안기능 및 제작효율이 향상된다는 이점이 있다.

Description

신축형 방범창의 보강구조{bellows type shutter door}
본 고안은 신축형 방범창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메인 프레임의 구조상 전체적인 강도 및 제작편의성이 향상된 신축형 방범창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신축(伸縮)형 방범창(일명 자바라 셔터)은 기존의 창문이나, 유리 출입문 등을 닫은 상태에서, 보안 기능을 강화하기 위하여 사용되는 것으로, 도 1에 나타난 것과 같이 좌우로 수평이동 가능하게 수직설치된 다수개의 메인 프레임(10)과, 상기 각 메인프레임(10)에 교차 지지되는 형태로 조밀하게 연결되어 각 메인 프레임(10)을 서로 연결하는 신축 프레임(12)으로 이루어져 있다.
상기 메인 프레임(10)과 신축 프레임(12)은 리벳팅 등의 방법으로 회전 가능하게 연결된다.
이러한 신축형 방범창에 의하면 메인 프레임(10)을 일측으로 밀어서 접는 형태로 출입구를 개방하게 되며, 반대로 메인 프레임(10)의 간격을 넓혀서 출입구를 차단하게 된다.
이와 같은 각 메인 프레임(10)들의 신축작용은 신축 프레임(12)에 의해 각 메인 프레임(10)들이 연동되는 구조로 이루어져 있기 때문이며 메인 프레임간의 간극은 신축 프레임들에 의해 차단됨으로써 보다 치밀한 보안기능을 수행하게 된다.
한편, 이러한 신축형 방법창을 구성하는 메인 프레임(10)과 신축 프레임(12)은 기능상 일정치 이상의 강도를 확보해야 하는데, 강도 향상을 위해 두꺼운 소재가 적용될 경우에는 원활한 신축 작용이 어렵기 때문에 무게가 가벼운 박형 철판을 길이 방향으로 절곡하여 구조적인 강도를 높인 형태의 소재가 적용된다.
강도향상을 위해 절곡구조가 적용된 신축프레임(12)은 도 2에 나타난 것과 같이 길이 방향으로 서로 마주보게 다수회 절곡되며, 절곡된 선단이 안쪽으로 말린형태의 마감부(121)를 형성하고, 양 선단(마감부)이 마주닿는 부분을 공통적으로 관통하여 다수개의 리베팅홀(12a)이 형성된 구조로 이루어져 있다.
이러한 구조의 신축프레임(12)은 절곡기를 이용하여 소정 폭의 박형 철판을 중심방향으로 절곡하고, 천공기를 이용하여 리베팅 홀(12a)을 형성하는 방식으로 제작된다.
이와 같은 절곡구조형 신축프레임(12)이 적용된 종래의 방범창은 강도가 어느정도 향상되는 반면, 소재 자체의 무게가 크게 증가하기 않는 다는 특징이 있다.
그러나, 상술한 바와 같은 종래기술에 의하면 신축 프레임(12)의 구조상 리베팅 홀(12a)이 절곡부위 특히 마감부(121)를 관통하여 형성되기 때문에 리베팅 홀 (12a)주변 부위의 강도가 극히 취약해진다는 문제점이 발생한다.
더불어, 제조 과정상, 신축 프레임(12)을 절곡하여 마감부(121)를 형성한 상태에서 리베팅 홀(12a)을 형성해야 하기 때문에 천공기의 커팅날이 구조적인 강도가 큰 마감부(121)를 커팅하는 과정에서 천공기에 큰 저항이 가해짐으로써 결과적으로 작업효율이 떨어지고 및 천공기 등의 제작기기가 손상될 위험이 커진다는 문제점도 있다.
또한, 신축 프레임(12)의 양선단이 별도의 마감가공 없이 단순히 절단 처리되어 거칠고 날카롭게 됨으로써 제작, 운반 내지는 시공과정에서 작업자가 다칠 우려가 있다는 문제점도 내포하고 있다.
본 고안은 상기한 종래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안출된 것으로, 리베팅 홀 형성에 따른 강도 저하의 문제가 발생하지 않으며, 리베팅 홀 형성 과정에서 제작기기의 손상 위험이 감소되는 신축형 방범창의 보강구조 제공을 목적으로 한다.
도 1은 일반적인 신축형 방범창의 구성을 나타낸 정면도이다.
도 2는 종래 신축형 방범창의 신축 프레임 구조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의한 신축형 방범창의 신축 프레임 구조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고안의 실시예에 의한 신축형 방범창의 신축 프레임 구조를 나타낸 측면도이다.
도 5는 본 고안의 실시예에 의한 신축형 방범창의 신축 프레임 구조를 나타낸 횡단면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메인 프레임 14: 신축 프레임
141: 보강부 14a: 리베팅 홀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제공되는 신축형 방범창의 보강구조는, 신축 프레임의 횡방향 양 선단이 세로로 다수회 절곡되어 단면이 사각형인 좌우 보강부를 이격 형성하고, 상기 좌우 보강부 사이에서 리베팅 홀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여 이루어진다.
그리고, 상기 신축 프레임의 좌우 보강부는 단면이 폐곡선을 이루는 형태로 구성되고, 양선단은 아래위로 압착 마감되며 모서리가 둥근 형태로 이루어진다.
이하, 본 고안의 실시예를 첨부된 도 3부터 도 5까지 참조로 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신축형 방범창은, 도 3에 나타난 것과 같이 횡방향 양 선단이 세로로 다수회 절곡되어 단면이 사각형인 좌우 보강부(141)(141')를 이격 형성하고, 상기 좌우 보강부(141)(141') 사이에서 리베팅 홀(14a)이 형성되는 구조의 신축 프레임(14)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이와 같은 본 실시예에 의하면 도 4에 나타난 것과 같이 리베팅 홀(14a)이 보강부(141)(141')에 겹치지 않기 때문에 신축 프레임(14)의 제조 시보강부(141)(141')가 절개됨으로써 리베팅 홀(14a) 주변 강도가 급격히 약해지는 구조적인 단점을 나타내지 않게 된다.
그리고, 리베팅 홀(14a)이 평면부위에 형성되기 때문에 천공과정에서 천공기의 커터날에 큰 저항이 가해지지 않게 됨으로써, 천공기 등의 제작기기가 손상될 위험이 감소된다.
더불어, 본 실시예의 신축 프레임(14)은 좌우 보강(141)(141')부는 그 단면이 폐곡선을 형성하는 구조로 이루어지는데(도 5 참조), 이에 따르면, 폐곡선의 형태 특성상 외력에 대해 강한 버팀력을 발휘하게 됨으로써 변형될 위험이 줄어들게 된다.
뿐만 아니라,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신축 프레임(14)의 양선단이 아래위로 압착 마감되고 모서리가 둥글게 됨으로써 날카로운 부분이 없는 깔끔한 형태로 이루어지는데, 이에 따르면 제작이나 운반 내지는 시공과정에서 작업자가 다칠 우려가 감소된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신축형 방범창의 보강구조에 의하면, 이격 구성된 신축 프레임의 보강부 구조상, 리베팅 홀 형성에 따른 신축 프레임의 강도저하 문제가 발생하지 않고, 제작과정에서 제작기기의 손상이 적기 때문에 보안기능 및 제작효율이 향상된다는 이점이 있다.

Claims (3)

  1. 좌우로 수평이동 가능하게 수직설치된 다수개의 메인 프레임과,
    상기 각 메인프레임에 교차 지지되는 형태로 조밀하게 연결되어 각 메인 프레임을 서로 연결하는 신축 프레임으로 이루어진 신축형 방범창에 있어서;
    상기 신축 프레임은 횡방향 양 선단이 세로로 다수회 절곡되어 단면이 사각형인 좌우 보강부를 이격 형성하고,
    상기 좌우 보강부 사이에서 리베팅 홀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축형 방범창의 보강구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신축 프레임의 좌우 보강부는 단면이 폐곡선을 이루는 형태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축형 방범창의 보강구조.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신축 프레임의 양선단은 아래위로 압착 마감되며 모서리가 둥근 형태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축형 방범창의 보강구조.
KR20-2003-0040854U 2003-12-31 2003-12-31 신축형 방범창의 보강구조 KR200347432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3-0040854U KR200347432Y1 (ko) 2003-12-31 2003-12-31 신축형 방범창의 보강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3-0040854U KR200347432Y1 (ko) 2003-12-31 2003-12-31 신축형 방범창의 보강구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47432Y1 true KR200347432Y1 (ko) 2004-04-08

Family

ID=4942824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3-0040854U KR200347432Y1 (ko) 2003-12-31 2003-12-31 신축형 방범창의 보강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47432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DE3816985B4 (de) Sektionaltorblatt
US7464743B1 (en) Roll formed roll-up door guide with double wind bar end
US9534441B2 (en) Interlocking rolling sheet door system
US5979137A (en) Security door
EP0665724B1 (de) Metallkoffer, sowie verfahren zur herstellung eines metallkoffers
EP2923024B1 (de) Abdeckvorrichtung
WO2008135060A1 (de) Bauelement zum herstellen eines sektionaltorblatts, schale für ein solches bauelement, verstärkungsstrebe für ein solches bauelement, sektionaltorblatt mit einem solchen bauelement und sektionaltor mit einem entsprechenden sektionaltorblatt
KR200347432Y1 (ko) 신축형 방범창의 보강구조
DE1509553A1 (de) Fensterkonstruktion
EP2354431B1 (de) Rollladenkasten mit Lamellenführungsteilen
EP0575937A1 (de) Strangförmiges Dichtungsprofil
DE19526207A1 (de) Stahltürblatt
EP3055476B1 (de) Verbundprofil, verstärkungsband für ein verbundprofil und ein verfahren zur herstellung eines verbundprofils
DE20321194U1 (de) Durchgangstür für Lamellentore mit austauschbaren Teilstücken
DE19719671B4 (de) Lamelle für ein Torblatt eines zwischen einer Offenstellung und einer Schließstellung bewegbaren Wandverschlusses
EP2993297B1 (de) Rolltor
DE102015012161A1 (de) Fenster- oder Türeinbruchsschutz
EP0806540A1 (de) Lamelle für ein Blatt eines vorzugsweise auf und ab bewegbaren Rollverschlusses für ein Tor, eine Tür, ein Fenster oder dgl. Öffnung
KR0139482Y1 (ko) 커텐월 밴딩부위에 설치되는 창틀프레임
DE102009033437B4 (de) Sonnenschutzrollo
EP1835118A2 (de) Dämmelement für Sektionaltore
GB2353316A (en) Reinforcement member for a hollow extruded plastics frame section
DE60306849T2 (de) Durchgangstür für Lamellentore mit austauschbaren Teilstücken
DE202015102101U1 (de) Schließblech, Anordnung mit einem solchen Schließblech und Türzarge mit einem solchen Schließblech
EP3085869A1 (de) Sektionaltorblatt sowie sektionaltor mit einem sektionaltorblatt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118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