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47213Y1 - 오폐수 처리장치 - Google Patents

오폐수 처리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47213Y1
KR200347213Y1 KR20-2004-0001643U KR20040001643U KR200347213Y1 KR 200347213 Y1 KR200347213 Y1 KR 200347213Y1 KR 20040001643 U KR20040001643 U KR 20040001643U KR 200347213 Y1 KR200347213 Y1 KR 200347213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lter
water
waste water
main tank
tan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4-0001643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지민용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바이오제닉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바이오제닉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바이오제닉
Priority to KR20-2004-0001643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47213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47213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47213Y1/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heating
    • C02F1/04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heating by distillation or evaporation
    • C02F1/1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heating by distillation or evaporation by direct contact with a particulate solid or with a fluid, as a heat transfer medium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heating
    • C02F1/04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heating by distillation or evaporation
    • C02F1/048Purification of waste water by evaporation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1/00Treatment of sludge; Devices therefor
    • C02F11/12Treatment of sludge; Devices therefor by de-watering, drying or thickening
    • C02F11/121Treatment of sludge; Devices therefor by de-watering, drying or thickening by mechanical de-watering
    • C02F11/125Treatment of sludge; Devices therefor by de-watering, drying or thickening by mechanical de-watering using screw filter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1/00Treatment of sludge; Devices therefor
    • C02F11/12Treatment of sludge; Devices therefor by de-watering, drying or thickening
    • C02F11/13Treatment of sludge; Devices therefor by de-watering, drying or thickening by heating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2201/00Apparatus for 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2201/002Construction details of the apparatu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Heat 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오폐수 처리장치에 있어서, 집수조로부터 공급된 오폐수가 저장되는 탱크 바디와, 상기 탱크 바디 하부에 설치되어 오폐수를 증기화시키기 위한 고온의 열을 발생하는 금속 발열체로 이루어진 메인 탱크와; 상기 메인 탱크에서 발생한 증기에서 오염 물질은 걸려내고 순수한 수증기만 분리하여 통과시키도록 다수개의 필터를 가진 여과기와; 상기 메인 탱크에서 발생한 증기를 여과기까지 강제 송풍하는 이송 팬과; 상기 여과기를 통과한 수증기를 응축하여 물로 환원시키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액상기와; 상기 액상기를 통과한 물을 냉각시켜 배출하는 냉동기를 포함하여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오폐수 처리장치를 제공한다.

Description

오폐수 처리장치{WASTE HANDLING MACHINE}
본 고안은 오폐수 처리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금속 발열체를 이용하여 오폐수를 증기화시켜 오염 물질과 수증기로 분리하는 오폐수 처리장치에 관한 것이다.
통상적으로, 산업 발전에 따라 오폐수의 발생량은 급격히 늘어나는 추세인 반면 물은 부족하게 되어, 오폐수의 처리에 의한 물의 재활용 및 환경 오염 방지에 대한 중요성은 날이 갈수록 증가하고 있다. 그에 따라 오폐수의 정화 및 처리에 대한 많은 연구가 이루어지고 있다.
대한민국 실용신안등록출원번호 제2000-54525호 "혐기, 호기 접촉순환법과 부착여과법을 이용한 오폐수처리시스템 및 그 방법"에는 a) 오수에 포함된 고형물 또는 협잡물을 침전분리조로 수거시켜 침전 처리하는 침전분리단계와; (b) 상기 침전분리조로부터 월류된 1차 처리수를 각기 혐기여재를 포함하는 순환수조1실과 순환수조2실로 순차 공급시켜 혐기성 미생물에 의해 질소를 제거하는 혐기처리단계와; (c) 상기 (b)단계에서 처리된 처리수를 각기 호기여재를 포함하는 접촉포기조 1실과 접촉포기조 2실로 순차 월류시키고 동시에 각 접촉포기조내로 포기시켜 호기성 미생물의 활성화로 유기물을 분해시키는 호기처리단계와; (d) 상기 (c)단계에서 처리된 처리수를 침전조내로 유입시켜 3차 처리수내 유기물을 침강시키는 침전단계 및; (e) 상기 침전조내에서 월류되는 처리수를 접촉재를 포함하는 부착여과조에 투입시켜 산소공급으로 호기성 미생물을 활성화시켜 잔류 오염물질을 제거한 후 방류하는 부착여과처리단계를 포함한 오폐수 처리시스템"이 개시된 바 있다.
그러나, 상술한 바와 같은 종래의 오폐수 처리시스템은 호기성 미생물을 이용하므로 오폐수 정화에 많은 시간이 소요되고, 오폐수의 정화 정도가 자연 방류나 재활용하기에 부족하여 2차, 3차에 걸쳐 재정화 과정을 거쳐야 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구조가 복잡하고 설비가 대형화될 수 밖에 없어 설비 비용이나 공간 활용에 많은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종래의 오폐수 처리시스템은 음식물 쓰레기, 축사 오물 등 사용 영역이 한정되어 다양한 오염원에 적용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었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고안의 목적은 별도의 화학제 첨가나 침적과정이 없이 빠른 시간 내에 정화 과정이 완료되는 오폐수 처리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일반 음식물 쓰레기 뿐만 아니라 피혁, 축사, 화학, 염색 공장 등 다양한 산업 분야의 오폐수 처리에 활용될 수 있는 오폐수 처리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은 오폐수 처리장치에 있어서, 집수조로부터 공급된 오폐수가 저장되는 탱크 바디와, 상기 탱크 바디 하부에 설치되어 오폐수를 증기화시키기 위한 고온의 열을 발생하는 금속 발열체로 이루어진 메인 탱크와; 상기 메인 탱크에서 발생한 증기에서 오염 물질은 걸려내고 순수한 수증기만 분리하여 통과시키도록 다수개의 필터를 가진 여과기와; 상기 메인 탱크에서 발생한 증기를 여과기까지 강제 송풍하는 이송 팬과; 상기 여과기를 통과한 수증기를 응축하여 물로 환원시키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액상기와; 상기 액상기를 통과한 물을 냉각시켜 배출하는 냉동기를 포함하여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오폐수처리장치를 제공한다.
도 1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오폐수 처리장치를 나타낸 구성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10 : 집수조 120 : 메인 탱크
130 : 여과기 140 : 이송 팬
150 : 액상기 160 : 냉동기
170 : 슬러지 제거기 180 : 레벨 게이지
190 : 캐스터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고안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고안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도 1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오폐수 처리장치를 나타낸 구성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오폐수 처리장치(100)는 집수조(110), 메인 탱크(120), 여과기(130), 이송 팬(140), 액상기(150) 및 냉동기(160)를 포함하여 구성하고, 슬러지 제거기(170), 레벨 게이지(180) 및 캐스터(190)를 추가로 포함한다.
상기 집수조(110)는 정화를 시키기 위한 오폐수를 저장하는 수단이다. 상기 집수조(110)는 오염 물질을 1차적으로 걸러내기 위한 필터(112) 및 메인 탱크로 오폐수를 공급하기 위한 펌프(114)를 구비한다.
상기 메인 탱크(120)는 오폐수를 가열하여 증기화시키는 수단으로서, 불순물이 함유된 물과 오염물질을 증발시켜 많은 양의 오폐수를 단시간에 정화시킬 수 있는 핵심 부분이다. 상기 메인 탱크(120)는 집수조(110)로부터 공급된 오폐수가 저장되는 탱크 바디(122)와, 상기 탱크 바디 하부에 설치되어 오폐수를 증기화시키기 위한 고온의 열을 발생하는 금속 발열체(124)로 이루어진다. 특히, 상기 금속 발열체(124)는 세라믹 재질에 스테인레스가 코팅된 발열체를 사용한다. 상기 금속 발열체(124)는 표면 온도가 1700 ~ 1900℃에 이르러 오폐수 내에서도 600 ~ 800℃의 고온을 유지한다. 상기 금속 발열체(124)는 적어도 세 개 이상을 구비한다. 또한, 상기 메인 탱크(120)는 드래인 밸브(126)를 구비한다.
상기 여과기(130)는 메인 탱크(120)에서 발생한 증기에서 오염 물질은 걸려내고 순수한 수증기만 분리하여 통과시키는 수단이다. 상기 여과기(130)는 다수개의 필터(132)를 가진다.
상기 이송 팬(140)은 메인 탱크(120)에서 발생한 증기를 여과기(130)까지 강제 송풍하는 수단이다. 상기 이송 팬(140)은 증기가 액상기(150)까지 이동할 수 있도록 강제 송풍시킨다.
상기 액상기(150)는 여과기(130)를 통과한 수증기를 응축하여 물로 환원시키는 수단이다. 상기 액상기(150)는 적어도 하나 이상을 구비하여 다단으로 응축이 이루어지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냉동기(160)는 액상기(150)를 통과한 물을 냉각시켜 배출하는 수단이다. 상기 냉동기(160)는 액상기(150)를 통과하여 고온의 상태인 물을 냉각시켜 저온의 물로 변환시킨다.
상기 슬러지 제거기(170)는 오폐수 정화 과정에서 발생하는 슬러지를 처리하는 수단이다. 상기 슬러지 제거기(170)는 메인 탱크(120) 및 여과기(130)에서 형성된 슬러지를 분해하여 복토로 변화시키는 교반 스크류(172)와, 상기 교반 스크류(172)를 회전시키기 위한 구동력을 제공하는 모터(174)를 포함한다.
상기 레벨 게이지(180)는 메인 탱크(120)에 설치되어 증기로 배출되는 양을 감지함으로써 집수조(110)에서 메인 탱크(120)로 공급되는 오폐수의 양을 조절할 수 있도록 해주는 수단이다.
상기 캐스터(190)는 본 고안이 오폐수 처리장치(100)를 이동시킬 수 있도록 해주는 회전수단이다.
한편, 본 고안의 오폐수 처리장치는 각 공정의 자동화 및 무인화 시스템을 위한 콘트롤 박스, 온도계 등의 감지 수단을 추가로 구비할 수 있음은 자명하다 할 것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오폐수 처리장치는 별도의 화학제 첨가나 침적과정이 없이 오폐수를 증기화시켜 정화시킴으로써 빠른 시간 내에 정화 과정이 완료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오폐수 처리장치는 일반 음식물 쓰레기 뿐만 아니라 피혁, 축사, 화학, 염색 공장 등 다양한 산업 분야의 오폐수 처리에 활용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오폐수 처리장치는 구조가 간단하고 제조비가 저렴하여 공장, 축사 등 대형 시설은 물론 가정과 같은 소형 시설에서도 활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3)

  1. 오폐수 처리장치에 있어서,
    오폐수가 저장되며 필터를 내장한 집수조와;
    상기 집수조로부터 공급된 오폐수가 저장되는 탱크 바디와, 상기 탱크 바디 하부에 설치되어 오폐수를 증기화시키기 위한 고온의 열을 발생하는 금속 발열체로 이루어진 메인 탱크와;
    상기 메인 탱크에서 발생한 증기에서 오염 물질은 걸려내고 순수한 수증기만 분리하여 통과시키도록 다수개의 필터를 가진 여과기와;
    상기 메인 탱크에서 발생한 증기를 여과기까지 강제 송풍하는 이송 팬과;
    상기 여과기를 통과한 수증기를 응축하여 물로 환원시키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액상기와;
    상기 액상기를 통과한 물을 냉각시켜 배출하는 냉동기를 포함하여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오폐수 처리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금속 발열체는 세라믹의 표면에 스테인레스 코팅이 된 것을 사용함을 특징으로 하는 오폐수 처리장치.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 탱크 및 여과기에서 형성된 슬러지를 분해하여 복토로 변화시키는 교반 스크류와, 상기 교반 스크류를 회전시키기 위한 구동력을 제공하는 모터로 이루어진 슬러지 제거기를 추가로 가짐을 특징으로 하는 오폐수 처리장치.
KR20-2004-0001643U 2004-01-20 2004-01-20 오폐수 처리장치 KR200347213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4-0001643U KR200347213Y1 (ko) 2004-01-20 2004-01-20 오폐수 처리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4-0001643U KR200347213Y1 (ko) 2004-01-20 2004-01-20 오폐수 처리장치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03645A Division KR20050075928A (ko) 2004-01-19 2004-01-19 오폐수 처리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47213Y1 true KR200347213Y1 (ko) 2004-04-08

Family

ID=4934509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4-0001643U KR200347213Y1 (ko) 2004-01-20 2004-01-20 오폐수 처리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47213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33082B1 (ko) * 2013-03-14 2013-12-03 신화산업 주식회사 음식물쓰레기 비료화 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33082B1 (ko) * 2013-03-14 2013-12-03 신화산업 주식회사 음식물쓰레기 비료화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Fricke et al. Operating problems in anaerobic digestion plants resulting from nitrogen in MSW
JP3552912B2 (ja) 活性炭の理化学的再生装置及び再生方法
US8187429B2 (en) Wastewater treatment apparatus and method with stair-like heat treatment tanks
KR101825784B1 (ko) 정삼투법을 이용한 액비 제조 시스템 및 제조 방법
KR200347213Y1 (ko) 오폐수 처리장치
KR200450243Y1 (ko) 가용화장치를 갖춘 폐수처리시설에 있어서의 마을하수처리장에서 발생한 잉여슬러지 감량설비
KR20050075928A (ko) 오폐수 처리장치
KR100789427B1 (ko) 폐기물 종합 처리 장치
KR200399253Y1 (ko) 오폐수 처리 장치
KR200397934Y1 (ko) 폐기물 종합 처리 장치
KR101782556B1 (ko) 진공감압 폐수처리장치 및 폐수처리 방법
CN111681797B (zh) 一种小型核设施退役现场放射性废水处理方法
CN108502956B (zh) 一种残液清洗回收设备
JP2992931B2 (ja) クリーニング工場排水処理システム
KR20170020151A (ko) 폐수에 포함된 이소프로필 알콜의 회수 처리장치 및 그 방법
NO324285B1 (no) Apparat for a rense vaeske i form av damp fra et kretslop.
KR20070011739A (ko) 오폐수 처리 장치
JP2008188533A (ja) 水処理装置
KR100710591B1 (ko) 1,4-다이옥산 함유폐수의 처리공정
JP3184996B2 (ja) アンモニア態窒素含有排水の処理方法
KR100487609B1 (ko) 감압증류법과 생물학적 처리공정을 병행한 축산폐수처리방법
KR20140041189A (ko) 축산 분뇨와 폐수 처리 장치 및 방법
CN209226791U (zh) 一种高浓度有机废水处理系统
KR101908588B1 (ko) 내부순환식 악취 제거 기능을 갖는 폐수 처리시설 및 악취 제거방법
EP3788011B1 (en) Process and installation for purification of washing waters of chemical plant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U107 Dual application of utility model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