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46922Y1 - 케이블 트레이 - Google Patents

케이블 트레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46922Y1
KR200346922Y1 KR20-2003-0040650U KR20030040650U KR200346922Y1 KR 200346922 Y1 KR200346922 Y1 KR 200346922Y1 KR 20030040650 U KR20030040650 U KR 20030040650U KR 200346922 Y1 KR200346922 Y1 KR 200346922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ower plate
side plates
tray
heat dissipation
cab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3-0040650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형인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성진기업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성진기업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성진기업
Priority to KR20-2003-0040650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46922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46922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46922Y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3/00Installations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protective tubing therefor in or on buildings, equivalent structures or vehicles
    • H02G3/30Installations of cables or lines on walls, floors or ceiling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3/00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e.g. hangers, holders, clamps, cleats, clips, brackets
    • F16L3/26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e.g. hangers, holders, clamps, cleats, clips, brackets specially adapted for supporting the pipes all along their length, e.g. pipe channels or duct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3/00Installations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protective tubing therefor in or on buildings, equivalent structures or vehicles
    • H02G3/02Details
    • H02G3/04Protective tubing or conduits, e.g. cable ladders or cable troughs
    • H02G3/0406Details thereof
    • H02G3/0418Covers or lids; Their fastening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Details Of Indoor Wiring (AREA)
  • Installation Of Indoor Wiring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케이블 트레이를 개시한다. 본 고안은 다수의 방열구멍을 갖는 장방형의 긴 하판과, 이 하판의 양측 가장자리에서 서로 대향하도록 상방으로 연장 절곡되며 다수의 방열구멍을 갖는 두 측판과, 하판과 두 측판들의 경계부위에서 하방으로 돌출되는 제1비드와, 하판에 그 길이방향을 따라 적정간격으로 배열되고 하판의 폭방향으로 길게 배치되어 상방으로 돌출 형성되는 다수의 제2비드를 구비하여 구성된다. 두 측판의 상단에는 그 안쪽으로 둥글게 연장 절곡되는 호형 플랜지가 구비되고, 경우에 따라 두 측판의 상단에 체결되어 그 상부 개구를 차폐시키는 덮개가 더 구비된다.
본 고안은 철제로 이루어진 트레이 몸체의 두께를 증가시키지 않고서도 구조적 강도가 크게 향상되어 다량의 케이블을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게 됨은 물론 운반과 시공시에도 비교적 용이한 취급을 보장할 수 있으며, 특히 케이블이 하판의 상부로 돌출된 제2비드들 위에 부분적으로 접촉되어 대부분 하판으로부터 부상된 상태를 유지하게 됨으로써 트레이 내부에서의 원활한 기류이동으로 방열효율이 좋아진다.

Description

케이블 트레이{Cable tray}
본 고안은 건물내의 천정 또는 지하공동구 등에 전력선이나 통신선 등의 케이블을 배선할 때 케이블이 자중에 의해 처지지 않도록 받쳐주는 케이블 트레이 (cable tray)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구조적 강도가 크게 향상되면서 내부의 열이 외부로 신속하게 방출되도록 된 케이블 트레이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도심지역의 건물이나 대단위의 아파트단지 또는 공장 등에는 전력선과 통신선 등의 많은 케이블이 설치되는데, 이러한 케이블은 통상 지하공동구 또는 건물의 천정이나 벽체를 따라 배선된다. 이때, 케이블이 자체 하중으로 인하여 아래로 심하게 처질 뿐 아니라 다른 구조물과 간섭되어 손상될 우려가 높고, 미관도 해치게 된다.
이에 따라 케이블은 도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적절한 구조적 강도를 갖는 트레이(1)를 사용하여 받쳐주는 것이 일반적이다. 트레이(1)는 하판(2)의 양측에서 수직 상방으로 연장되는 두 측판(side plate:3)을 갖는 채널(channel)형태로 이루어져 하판(2)과 측판(3)에 다수의 방열구멍(도시되지 않음)을 가지며, 브래킷 (bracket)이나 행거(hanger:H)에 의해 벽 또는 천정에 수평으로 지지된다.
그리고 별도로 도시하지는 않았으나, 위로부터 이물질이나 빗물 등이 낙하되어 케이블(C)이 손상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트레이(1)의 상부 개구에 덮개를 씌워 케이블(C)을 보호하기도 한다.
한편, 전력선과 통신선은 좁은 지역에 전기통신선로와 초고압송배전선로 및 교류 전기철도선로 등이 양적으로 급증하고 있는 현대의 복잡한 도시구조와 건물의 특성상 경우에 따라 하나의 케이블 트레이에 동시에 지지되거나 또는 상하좌우로 인접하여 배선될 수밖에 없는데, 이 경우 약한 전류가 흐르는 통신선에 강한 전류가 흐르는 전력선에 의한 이상전압 및 전류가 유도되어 통신시설에 노이즈나 누화 등의 각종 유도장애가 발생된다.
이에 따라, 통신선을 도체인 금속으로 피복하여 접지하거나 트레이(1)를 철제로 구성하여 양단을 접지함으로써 인접하는 전력선으로부터 통신선에 유도되는 유도전압과 전류가 트레이(1)에서 흡수되도록 하여 통신선의 유도장애를 억제하고 있다.
그런데, 현대는 정보통신이 급격히 발달하여 트레이(1)에 다량의 통신선들이 배선되고, 또한 날로 급증하고 있는 바, 이를 안정적으로 지지해주기 위해서는 트레이(1)가 더욱 높은 구조적 강도를 가지지 않으면 안 된다. 이를 위해 단순히 트레이(1)의 두께를 증가시키는 방안이 고려될 수도 있지만, 이 경우 트레이(1)의 중량이 크게 증가하게 되어 운반과 설치시의 취급이 대단히 어려워진다.
또한, 트레이(1)의 상부 개구에 커버가 씌워진 경우에는 유도전류에 의해 트레이의 내부에 와전류가 발생되어 발열량도 커지게 되는데, 종래의 트레이(1)는 하판(2)이 편평하게 구성되어 케이블(C)이 전체적으로 접촉하므로 기류의 이동이 원활하지 못해 방열구멍의 존재에도 불구하고 방열효과가 그다지 좋지 못한 문제도있었다.
본 고안은 상술한 종래의 제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고안된 것으로서, 몸체의 두께를 증가시키지 않고서도 구조적 강도를 크게 향상시킬 수 있어 다량의 케이블을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음은 물론 운반과 시공시에도 비교적 용이하게 취급할 수 있는 케이블 트레이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트레이 내부에서의 기류이동이 원활하여 발생된 열이 외부로 용이하게 방출될 수 있는 케이블 트레이를 제공하는 것이다.
도1은 케이블 트레이의 일례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설치상태 정면도,
도2는 본 고안에 의한 케이블 트레이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
도3은 도2의 결합상태 단면도,
도4는 도3의 Ⅳ-Ⅳ선을 따라 취한 발췌 단면도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트레이바디 11: 하판
12: 측판 13: 호형 플랜지
14: 제1비드 15: 제2비드
20: 덮개 21: 스커트
30: 클램프 C: 케이블
H: 행거
이와 같은 목적들을 달성하기 위해 본 고안에 의한 케이블 트레이는, 다수의 방열구멍을 갖는 장방형의 긴 하판; 이 하판의 양측 가장자리에서 서로 대향하도록 상방으로 연장 절곡되며, 다수의 방열구멍을 갖는 두 측판; 하판과 두 측판들의 경계부위에서 하방으로 돌출되는 제1비드(bead); 하판에 그 길이방향을 따라 적정간격으로 배열되고, 하판의 폭방향으로 길게 배치되어 상방으로 돌출 형성되는 다수의 제2비드;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러한 본 고안의 바람직한 특징에 의하면, 두 측판의 상단에 그 안쪽으로 둥글게 연장 절곡되는 호형 플랜지가 구비되고, 경우에 따라 두 측판의 상단에 체결되어 그 상부 개구를 차폐시키는 덮개를 더 구비함으로써 상부로부터의 이물질유입도 차단하게 된다.
이에 따라 본 고안은, 철제로 이루어진 트레이 몸체의 두께를 증가시키지 않고서도 구조적 강도가 크게 향상되므로 다량의 케이블을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게 됨은 물론이고, 종래와 동일한 구조적 강도를 유지할 수 있으면서도 몸체의 두께를 줄일 수 있어 운반과 시공시에도 비교적 용이한 취급을 보장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케이블이 하판의 상부로 돌출된 제2비드들 위에 부분적으로 접촉하게 되어 대부분 하판으로부터 부상된 상태를 유지하므로 트레이 내부에서의 기류이동이 원활해져 발생된 열이 외부로 용이하게 방출된다.
그러므로 본 고안은, 케이블 트레이의 신뢰성과 시공성 및 구조적 안정성 향상 등에 큰 효과를 발휘하게 된다.
이와 같은 본 고안의 구체적 특징과 다른 이점들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한 이하의 바람직한 실시예의 설명으로 더욱 명확해질 것이다.
도2 내지 도4에서, 본 고안에 의한 케이블 트레이는, 전력선에 의한 유도장애를 차폐하기 위해 철제로 구성되어 내부에 케이블(C)을 수용하는 채널형태의 트레이바디(10)와, 이 트레이바디(10)의 상부 개구를 차폐시키는 덮개(20)로 대별된다. 여기서, 덮개(20)는 트레이바디(10)와 반드시 함께 구비되는 것은 아니고, 필요에 따라 함께 구비될 수도 있고, 또는 트레이바디(10)만이 단독으로 사용될 수도 있다.
트레이바디(10)는 장방형의 긴 하판(11)과, 이 하판(11)의 양측 가장자리에서 두 측판(12)이 서로 마주보도록 상방으로 연장 절곡되어 단일몸체의 채널형태를 갖는다. 이러한 트레이바디(10)의 하판(11)과 두 측판(12)에는 트레이바디(10)의 내부에서 발생된 열, 즉 트레이바디(10)에 수용된 케이블(C)과 트레이바디(10)를 흐르는 유도전류에 의해 발생된 열이 외부로 용이하게 방출되도록 유도하기 위한 다수의 방열구멍(11a)(12a)들이 적절히 배열 형성된다.
각 측판(12)의 상단은 바람직하기로 내측으로 둥글게 절곡되어 호형의 플랜지(13)를 구성한다. 이러한 호형 플랜지(13)는 트레이바디(10), 특히 측판(12)의 강도를 크게 향상시키며, 후술한 바와 같이 덮개(20)를 고정하는 클램프(30)의 걸림턱으로도 기능하게 된다.
또한, 트레이바디(10) 하판(11)의 양 측단과 두 측판(12)의 경계부위에는 강도보강을 위한 제1비드(14)가 각각 하방으로 볼록하게 절곡 형성되고, 하판(11)상에는 케이블(C)을 받쳐주기 위한 다수의 제2비드(15)들이 그 길이방향을 따라 일정간격으로 배열되면서 하판(11)의 폭방향으로 길게 배치되어 상방으로 볼록하게 돌출 형성된다.
한편, 덮개(20)는 트레이바디(10)의 상부를 덮을 수 있는 긴 판상으로 구성되고, 양측 가장자리에 트레이바디(10)의 두 측판(12) 상단부를 감싸주는 스커트 (skirt:21)를 갖는다.
이러한 덮개(20)는 그 양측 자장자리부에 복수의 클램프(clamp:30)를 일체적으로 구비하여, 각 클램프(30)의 걸림편(31)이 트레이바디(10)의 두 측판(12) 상단에 구비된 호형 플랜지(13)에 걸림으로써 트레이바디(10)에 체결되어 그 상부 개구를 차폐한다.
이와 같은 구조적 특징을 가지는 본 고안에 의한 케이블 트레이는, 하판(11)과 두 측판(12)의 경계부에 제1비드(14)가 절곡 형성되고, 비교적 넓은 하판(11)에 다수의 제2비드(15)가 절곡 형성되어 있음은 물론, 두 측판(12)의 상단에 둥글게 절곡된 호형 플랜지(13)가 구비되어 있으므로 철제로 이루어진 트레이바디(10)의 두께를 증가시키지 않더라도 그 구조적 강도가 크게 향상된다.
따라서 많은 수량의 케이블(C)들을 매우 안정적으로 수용 지지할 수 있게 됨은 물론이고, 예컨대 종래와 동일한 구조적 강도를 유지할 수 있으면서도 트레이바디(10)의 두께를 줄이는 것이 가능하게 되며, 이에 따라 트레이가 비교적 가벼워져 운반과 시공에 있어서도 보다 용이하게 취급할 수 있게 된다.
또한, 트레이바디(10)내에 수용된 케이블(C)은 하판(11)상에 직접 접촉하지 않고, 하판(11)의 상부로 돌출 형성된 다수의 제2비드(15)들 위에 군데군데 부분적으로 접촉하게 되어 케이블(C)이 하판(11)으로부터 적절히 부상된 상태로 수용 유지되게 된다.
이에 따라, 도4에 잘 도시된 바와 같이 케이블(C)과 트레이바디(10)의 하판 (11) 사이에 일정한 공간이 형성되게 되는 바, 트레이바디(10) 내부에서의 기류이동이 원활해지게 됨으로써 트레이바디(10)의 내부에 수용된 각 케이블(C) 및 전력선으로부터의 유도전류에 의해 트레이바디(10) 자체에서 발생된 열이 각 방열구멍 (11a)(12a)들을 통해 외부로 매우 용이하게 방출되게 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의한 케이블 트레이에 의하면, 철제로 이루어진 트레이 몸체의 두께를 증가시키지 않고서도 구조적 강도가 크게 향상되므로 다량의 케이블을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게 됨은 물론이고, 종래와 동일한 구조적 강도를 유지할 수 있으면서도 몸체의 두께를 줄일 수 있어 운반과 시공시에도 비교적 용이한 취급을 보장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케이블이 하판의 상부로 돌출된 제2비드들 위에 부분적으로 접촉하게 되어 대부분 하판으로부터 부상된 상태를 유지하므로 트레이 내부에서의 기류이동이 원활해져 발생된 열이 외부로 용이하게 방출된다.
그러므로 본 고안은, 케이블 트레이의 신뢰성과 시공성 및 구조적 안정성 향상 등에 크게 기여하는 매우 우수한 효과를 갖는다.

Claims (3)

  1. 건물의 내부 또는 지하공동구 등에 설치되어 전력선 또는 통신선 케이블을 받쳐주는 케이블 트레이로서,
    다수의 방열구멍을 갖는 장방형의 긴 하판;
    상기 하판의 양측 가장자리에서 서로 대향하도록 상방으로 연장 절곡되며, 다수의 방열구멍을 갖는 두 측판;
    상기 하판과 두 측판들의 경계부위에서 하방으로 돌출되는 제1비드;
    상기 하판에 그 길이방향을 따라 적정간격으로 배열되고, 하판의 폭방향으로 길게 배치되어 상방으로 돌출 형성되는 다수의 제2비드;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블 트레이.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두 측판의 상단에 그 안쪽으로 둥글게 연장 절곡되는 호형 플랜지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블 트레이.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두 측판의 상단에 체결되어 그 상부 개구를 차폐시키는 덮개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블 트레이.
KR20-2003-0040650U 2003-12-30 2003-12-30 케이블 트레이 KR200346922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3-0040650U KR200346922Y1 (ko) 2003-12-30 2003-12-30 케이블 트레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3-0040650U KR200346922Y1 (ko) 2003-12-30 2003-12-30 케이블 트레이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46922Y1 true KR200346922Y1 (ko) 2004-04-03

Family

ID=4934498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3-0040650U KR200346922Y1 (ko) 2003-12-30 2003-12-30 케이블 트레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46922Y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70604B1 (ko) * 2004-06-15 2007-01-17 이종녕 덕트겸용 케이블 트레이
KR101089144B1 (ko) * 2011-03-24 2011-12-02 합자회사 거광산업 차폐성이 좋고 유지관리가 용이한 케이블 트로프
KR101177918B1 (ko) 2012-07-26 2012-08-29 주식회사 수창이앤씨 건축사사무소 공동주택 단지 전기케이블 보호케이스
KR101371732B1 (ko) * 2012-10-10 2014-03-07 (주)쓰리에스 케이블 트레이 및 그 제조 방법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70604B1 (ko) * 2004-06-15 2007-01-17 이종녕 덕트겸용 케이블 트레이
KR101089144B1 (ko) * 2011-03-24 2011-12-02 합자회사 거광산업 차폐성이 좋고 유지관리가 용이한 케이블 트로프
KR101177918B1 (ko) 2012-07-26 2012-08-29 주식회사 수창이앤씨 건축사사무소 공동주택 단지 전기케이블 보호케이스
KR101371732B1 (ko) * 2012-10-10 2014-03-07 (주)쓰리에스 케이블 트레이 및 그 제조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850163A (en) Free-access floor
KR101294101B1 (ko) 와이어형 케이블 레이스웨이, 특히 가정용 케이블레이스웨이
US3573344A (en) Telescopically adjustable junction box
KR200346921Y1 (ko) 케이블 트레이
KR200346922Y1 (ko) 케이블 트레이
US9982752B2 (en) Energy guiding chains for processing machines
KR100826918B1 (ko) 건축물의 전기 배선용 덕트
KR200443797Y1 (ko) 턱트 겸용 케이블 트레이
KR200362776Y1 (ko) 덕트겸용 케이블 트레이
US3161722A (en) Ready access wiring duct
KR100670604B1 (ko) 덕트겸용 케이블 트레이
EP0215920A4 (en) INSPECTION HAT FOR FLOORS.
CN216995916U (zh) 一种集装箱线缆保护装置和集装箱
US6455780B2 (en) Branch connection accessory for fitting at a junction between two lengths of trunking
KR100744470B1 (ko) 건축물 전기 케이블 트레이 구조
KR20150000644U (ko) 선박용 바닥 구조물
KR101966591B1 (ko) 케이블 트레이용 연결레일
JPH11113131A (ja) ケーブルトレイ
JP3263464B2 (ja) 受金具
CN219351219U (zh) 一种用于电缆沟槽的电缆挂钩
KR200282491Y1 (ko) 분할판을 갖는 배선덕트
KR200417765Y1 (ko) 케이블 고정 부재를 구비한 차폐 케이블 트레이
CN210183736U (zh) 导轨装置和变频器柜
KR102512281B1 (ko) 전선관 추가 설치용 레이스웨이 장치
KR20140005495U (ko) 케이블 트레이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50225

Year of fee payment: 3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