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46845Y1 - 아파트의 층간 차음패널 - Google Patents

아파트의 층간 차음패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46845Y1
KR200346845Y1 KR20-2004-0001244U KR20040001244U KR200346845Y1 KR 200346845 Y1 KR200346845 Y1 KR 200346845Y1 KR 20040001244 U KR20040001244 U KR 20040001244U KR 200346845 Y1 KR200346845 Y1 KR 200346845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partment
lower plate
plate body
sound insulation
insulation pane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4-0001244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광우
Original Assignee
이광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광우 filed Critical 이광우
Priority to KR20-2004-0001244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46845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46845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46845Y1/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5/00Flooring
    • E04F15/18Separately-laid insulating layers; Other additional insulating measures; Floating floors
    • E04F15/20Separately-laid insulating layers; Other additional insulating measures; Floating floors for sound insulation
    • E04F15/203Separately-laid layers for sound insulation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5/00Flooring
    • E04F15/22Resiliently-mounted floors, e.g. sprung floors
    • E04F15/225Shock absorber members therefo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Floor Finish (AREA)
  • Building Environment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모서리에 빙둘러서 테두리부(112)를 구비하는 하부판체(110)와, 상기 하부판체(110)의 상부에 얹혀서 결합되는 상부판체(130)와, 상기 하부판체 윗면 또는 상부판체 아랫면에 일정간격 이격되도록 고정되는 다수개의 탄성부재(111)로 구성되는 아파트의 층간 차음패널을 제공하기 위한 것으로, 이처럼 본 고안은 차음패널의 내부에 다수개의 탄성부재을 배열되도록 형성하며 또한 일정상태의 진공도를 유지시키도록 하여 아파트의 상층에서 하층으로 전달되는 충격과 소음을 보다 효율적으로 차단하여 쾌적한 아파트의 주거환경을 개선하는 효과를 갖는 것이다. 또한 본 고안 차음패널은 기포 콘크리트층의 균열을 방지하여 내구성 및 시공성을 향상시켜 부실 공사를 미연에 방지하게 되는 매우 유용한 고안인 것이다.

Description

아파트의 층간 차음패널{Noise preventing panel of apartment}
본 고안은 아파트의 층간 소음과 충격을 차단하기 위한 차음패널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아파트의 상층에서 하층으로 전달되는 충격과 소음을 효과적으로 차단하여 쾌적한 주거환경을 조성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아파트의 층간 차음패널에 관한 것이다.
근래에 와서 아파트의 층간 소음이 주거환경과 삶의 질을 좌우하는 중요한 요소의 하나로 인식되면서 층간 소음에 대한 불만족 요인을 해결하기 위한 다양한 방안이 제시되고 있다.
즉 종래의 아파트의 바닥구조(1)는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콘크리트 슬래브층(10)의 상부에 차음부재(20)와, 기포 콘크리트층(30)과, 온수배관(40)과, 모르타르 마감층(50)과, 바닥마감재층(60)이 순차적으로 시공되어지며, 이때 상기 차음부재(20)는 대부분 일정 두께를 갖는 스티로폼, 합성고무 및 발포수지로 이루어져 상층 바닥면에서 하층으로 전달되는 충격(고체 전달음)을 최소화시키기 위한 차음(遮音)역할을 하게 된다.
그러나 상기 차음부재(20)는 단순히 일정두께를 갖는 평판형태의 탄성재로 이루어진 것이어서, 차음효과를 증대시키기 위해서는 불필요하게 차음부재의 두께가 두꺼워질 수 밖에 없으므로 시공성이 저하되는 단점을 갖게 되었다.
또한 상기 차음부재(20)는 경량 충격음의 차음에는 효과적이나 중량 충격음은 충격음이 하층으로 쉽게 전달되는 구조이고, 재질의 특성상 탄발력이 발생하는 것이어서 기포 콘크리트(30)의 양생(養生) 과정중 흔들림이 발생하게 되고, 이로인해 균열(龜裂)이 발생하여 시공성 및 안전성이 결여되어 부실 시공의 원인이 되는 폐단을 갖는 것이다.
이처럼 본 고안은 종래의 아파트의 바닥구조에 있어서 시공되는 차음부재가 갖는 단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차음패널의 내부에 이격되도록 배열되는 다수개의 탄성부재를 형성하여 상층에서 전달되는 충격음과 진동을 최대한 흡수할 수 있도록 하였으며, 또한 몸체 내부에 일정상태의 진공도를 유지시켜 아파트의 층간 소음을 하층으로 전달되는 것을 최소화하므로써 보다 쾌적한 주거환경을 조성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아파트의 층간 차음패널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도 1 - 종래 아파트의 바닥구조를 도시한 단면도.
도 2 - 본 고안 아파트의 층간 차음패널의 분리사시도.
도 3 - 본 고안 아파트의 층간 차음패널의 사시도.
도 4 - 도 3의 A-A선 단면도.
도 5 -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기 위한 단면도.
도 6 - 본 고안의 사용상태 참고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종래 아파트의 바닥구조
10: 콘크리트 슬래브층(Concrete slab) 20: 차음부재층
30: 기포 콘크리트층 40: 온수배관
50: 모르타르 마감층
100: 본 고안 아파트의 층간 차음패널(이하 차음패널이라 한다)
110: 하부판체 110a: 발포수지
111: 탄성부재 111a: 스프링
111b: 탄력판
112: 테두리부 120: 진공도유지부재
121: 배기공
130: 상부판체 130a: 발포수지
본 고안의 구성을 첨부한 도면에 의해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고안 차음패널(100)은 크게 모서리에 빙둘러서 테두리부(112)를 구비하는 하부판체(110)와, 상기 하부판체(110)의 상부에 얹혀서 결합되는 상부판체(130)와, 상기 하부판체 윗면 또는 상부판체 아랫면에 일정간격 이격(離隔)되도록 고정되는 다수개의 탄성부재(111)와, 상기 하부판체와 상부판체 내부가 진공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하부판체와 상부판체 사이에 끼워져 결합되어지는 진공도유지부재(120)로 이루어진다.
상기 상부판체(110)와 하부판체(130)의 상단과 하단에는 아파트 시공시 발생되는 차음패널의 유동을 방지하여 시공성을 향상시키고, 콘크리트층과의 밀착력을 증대시켜 보다 견고하게 결합되도록 하므로써 양생과정에서 발생되는 균열을 미연에 방지하기 위한 발포수지(110a,130a)가 각각 접착되어 형성되어질 수도 있다.
이때 콘크리트와 시공시 분리되는 단점을 보완하기 위해서 밀착력이 좋은 재질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이를 위해 본 고안에서는 발포우레탄수지를 사용하였다.
또한 하부판체(130)의 상면에는 발포수지(미도시)가 형성될 수 있는데, 이는 상기 다수개의 탄성부재(111)에서 전달되는 소음 및 충격을 저감시키기 위한 구성이다.
상기 탄성부재(111)는 상층(上層)에서 발생되는 충격 및 진동을 저감(低減)시키기 위한 구성으로, 이때 상기 탄성부재로는 충격의 흡수와 분산이 효율적으로 이루어지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은 압축 스프링(111a)을 사용함이 바람직하며, 필요에 따라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은 탄력판(111b)으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이때 상기 탄성부재의 재질 및 형태, 개수는 아파트의 바닥구조와 작업의 환경에 따라 얼마든지 조절가능하다.
이처럼 본 고안은 상기 탄성부재(111a,111b)들에 의해 상부판체(130)로 전달되는 충격과 진동이 최대한 분산 및 흡수된 상태로 하부판체(110)로 전달되어지며, 따라서 상층의 소음 및 진동이 하층으로 전달되지 않게 되어 아파트의 주거환경을 개선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상기 진공도유지부재(120)는 상기 상부판체(130)와 하부판체(110)의 내부의 진공도를 유지시키기 위한 것으로, 상기 상부판체와 하부판체는 서로 밀착시킨 상태에서 융착시켜 밀폐되도록 하였으며, 일측면에는 배기공(121)을 형성하여 몸체 내부의 공기를 외부로 배기시키도록 형성하였다.
따라서 상기와 같이 결합된 본 고안 차음패널(100)은 배기공(121)을 통해서 내부공기를 진공펌프(미도시)를 이용하여 외부로 배기(排氣)시키게 되므로 일정한 진공도를 유지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이때 상기 차음패널의 내부에는 전체면적의 20%~30%의 내부공기를 배기시키도록 하여 일정한 진공도를 유지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본 고안은 상층에서 전달되는 충격과 소음이 상기 탄성부재과 일정의 진공도를 유지하고 있는 차음패널을 통과하면서 분산 및 흡수되도록 하여 매우 효율적인 아파트의 층간 차음역할이 가능하게 되는 것이다.
이처럼 본 고안은 진공상태를 갖는 차음패널의 내부에 다수개의 탄성부재를 형성하여 아파트의 상층에서 전달되는 충격과 소음을 보다 효율적으로 차단하도록 하여 쾌적한 아파트의 주거환경을 개선하는 효과를 갖는 것이다.
또한 본 고안 차음패널은 콘크리트 슬래브층과 기포 콘크리트층과의 보다 밀착력을 증대시켜 내구성 및 시공성을 향상시켜 부실 공사를 미연에 방지하게 되는 매우 유용한 고안인 것이다.

Claims (5)

  1. 공지의 아파트의 층간 차음부재에 있어서,
    모서리에 빙둘러서 테두리부(112)를 구비하는 하부판체(110)와, 상기 하부판체(110)의 상부에 얹혀서 결합되는 상부판체(130)와, 상기 하부판체 윗면 또는 상부판체 아랫면에 일정간격 이격되도록 고정되는 다수개의 탄성부재(111)로 구성되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아파트의 층간 차음패널.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판체(110)와 상부판체(130)의 사이에 서로 밀착시킨 상태에서 융착시켜 밀폐되며, 일측면에는 배기공(121)을 형성하여 몸체 내부의 공기를 외부로 배기시켜 내부 진공도를 유지시키기 위한 진공도유지부재(120)가 형성되도록 구성되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아파트의 층간 차음패널.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판체(110)와 하부판체(130)의 상단과 하단에는 발포수지(110a,130a)가 각각 접착되어 형성되도록 구성되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아파트의 층간 차음패널.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판체(110)의 상면에는 발포수지가 더 형성되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아파트의 층간 차음패널.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부재(111)는 압축 스프링(111a) 또는 탄력판(111b) 중 어느 하나를 선택적으로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아파트의 층간 차음패널.
KR20-2004-0001244U 2004-01-16 2004-01-16 아파트의 층간 차음패널 KR200346845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4-0001244U KR200346845Y1 (ko) 2004-01-16 2004-01-16 아파트의 층간 차음패널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4-0001244U KR200346845Y1 (ko) 2004-01-16 2004-01-16 아파트의 층간 차음패널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46845Y1 true KR200346845Y1 (ko) 2004-04-08

Family

ID=4934496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4-0001244U KR200346845Y1 (ko) 2004-01-16 2004-01-16 아파트의 층간 차음패널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46845Y1 (ko)

Cited B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91402B1 (ko) 2006-08-11 2007-03-12 (주)계림건축사사무소 건축용 조립식 바닥패널 설치구조
KR100744973B1 (ko) 2007-05-17 2007-08-02 (주)한터인종합건축사사무소 건축물 조립식 바닥패널
KR100756280B1 (ko) 2006-04-07 2007-09-06 김석규 건축의 차음설비구조
KR100793074B1 (ko) 2007-09-06 2008-01-10 김부열 공기 정화 및 살균 기능을 갖는 건축물용 층간 소음 저감패널
KR100910729B1 (ko) 2007-11-05 2009-08-04 이덕현 공동주택의 활동성 진동 소음 흡수장치 및 그것을 이용한 헬쓰룸
KR200471099Y1 (ko) * 2012-08-10 2014-02-03 성윤 전자드럼 연주용 방진보드
KR101858667B1 (ko) 2017-11-14 2018-05-17 주식회사 종합건축사사무소가전 공동주택 층간 소음 방지용 바닥재
KR20180086107A (ko) * 2017-01-20 2018-07-30 최선영 진공 흡음판 및 이의 시공방법
KR102061573B1 (ko) * 2016-12-19 2020-01-09 이광우 건물의 층간흡음장치

Cited B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56280B1 (ko) 2006-04-07 2007-09-06 김석규 건축의 차음설비구조
KR100691402B1 (ko) 2006-08-11 2007-03-12 (주)계림건축사사무소 건축용 조립식 바닥패널 설치구조
KR100744973B1 (ko) 2007-05-17 2007-08-02 (주)한터인종합건축사사무소 건축물 조립식 바닥패널
KR100793074B1 (ko) 2007-09-06 2008-01-10 김부열 공기 정화 및 살균 기능을 갖는 건축물용 층간 소음 저감패널
KR100910729B1 (ko) 2007-11-05 2009-08-04 이덕현 공동주택의 활동성 진동 소음 흡수장치 및 그것을 이용한 헬쓰룸
KR200471099Y1 (ko) * 2012-08-10 2014-02-03 성윤 전자드럼 연주용 방진보드
KR102061573B1 (ko) * 2016-12-19 2020-01-09 이광우 건물의 층간흡음장치
KR20180086107A (ko) * 2017-01-20 2018-07-30 최선영 진공 흡음판 및 이의 시공방법
KR102098787B1 (ko) 2017-01-20 2020-04-08 최선영 진공 흡음판 및 이의 시공방법
KR101858667B1 (ko) 2017-11-14 2018-05-17 주식회사 종합건축사사무소가전 공동주택 층간 소음 방지용 바닥재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563097B1 (ko) 건물의 층간소음 저감재 및 그 시공방법
KR200346845Y1 (ko) 아파트의 층간 차음패널
KR102061573B1 (ko) 건물의 층간흡음장치
KR101607546B1 (ko) 건축 자재
KR200386633Y1 (ko) 다층건물의 층간소음방지용 방음패드
KR100783117B1 (ko) 바닥 충격음 저감을 위한 층간 차음재
KR101206929B1 (ko) 탄성체를 이용한 층간소음 완충재의 시공방법 및 그 시공구조
KR200390291Y1 (ko) 방진고무 마운트가 부착된 방진패드를 이용한 중량충격음저감 바닥구조
KR200406912Y1 (ko) 공동주택 층간 차음 바닥재
KR100607829B1 (ko) 건축물의 층간 소음 및 진동 흡수구조
KR100759118B1 (ko) 층간 차음용 패널 구조체 및 이를 적용한 다층 건물의 바닥구조체
KR101942161B1 (ko) 완충재의 상이한 두께를 이용한 층간 소음 완충 구조
KR200366651Y1 (ko) 층간 소음방지재
KR200378945Y1 (ko) 건축물의 층간소음저감재
KR200378944Y1 (ko) 댐핑시트를 구비한 건축물 층간소음저감재
KR200345879Y1 (ko) 건축물의 층간 소음 및 진동 흡수구조
KR200455458Y1 (ko) 방수층 보호시트가 부착된 탄성 이피에스 층간소음 저감 완충재
KR200359989Y1 (ko) 층간 소음 방지재의 적층구조
KR101761242B1 (ko) 층간소음 저감용 반 건식난방패널
KR200395305Y1 (ko) 건축물의 층간바닥 충격음 차단구조
KR20080083756A (ko) 공동주택의 층간 완전건식구조
CN215563725U (zh) 一种建筑隔声结构及其隔声垫
JPH11256802A (ja) 断熱性及び遮音性を具備した床下地ボード
KR200352225Y1 (ko) 층간 충격음 저감을 위한 바닥구조
JP2623398B2 (ja) 緩衝シート及びこれを用いた防音床材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10325

Year of fee payment: 8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