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46798Y1 - 개인 다기 셋트가 구비되는 녹차통 - Google Patents

개인 다기 셋트가 구비되는 녹차통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46798Y1
KR200346798Y1 KR20-2003-0039422U KR20030039422U KR200346798Y1 KR 200346798 Y1 KR200346798 Y1 KR 200346798Y1 KR 20030039422 U KR20030039422 U KR 20030039422U KR 200346798 Y1 KR200346798 Y1 KR 200346798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ea
green tea
main body
cover
mu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3-0039422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상호
김지언
Original Assignee
김지언
김상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지언, 김상호 filed Critical 김지언
Priority to KR20-2003-0039422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46798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46798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46798Y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19/00Table service

Landscapes

  •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녹차통에 관한 것으로, 상부가 개방되고, 하부가 폐색되게 이루어지며, 그 내부에 제1 수납부가 구비되는 원통형상체형상의 본체와, 하부가 개방되고, 상부가 폐색되게 이루어지며, 그 내부에 제2 수납부가 구비되는 원통형상체형상의 덮개로 구성되며, 상기 본체의 상부에 상기 덮개가 결합되게 이루어지는 녹차통에 있어서, 상기 본체의 제1 수납부에 다기세트와 이 세트의 구성요소들 간의 충격을 완화 또는 방지하는 완충수단; 상기 덮개의 제2 수납부에 녹차봉지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차를 마시는데 사용되는 각종 도구를 하나의 녹차통에 간편하게 수납하여 사용함으로써 사용자에게 보다 향상된 사용의 편의성을 제공하고, 수납 및 보관이 간편할 뿐만 아니라 휴대가 간편하여 이동 및 야외에서의 사용이 간편용이할 뿐만 아니라 파손 등의 우려를 사전에 방지할 수 있는 등의 효과를 거둘 수 있다.

Description

개인 다기 셋트가 구비되는 녹차통{Green tea case with china set of individual}
본 고안은 녹차통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차를 마시는데 사용되는 각종 도구를 하나의 녹차통에 간편하게 수납하여 사용함으로써 사용자에게 사용의 편의성을 제공할 수 있는 개인 다기 셋트가 구비되는 녹차통에 관한 것이다.
차는 동백과에 속하는 상록식물로서 온대에서 열대에 거쳐 생육하고 있으며, 이러한 차의 주산지는 일본, 중국, 타이완, 한국 등이다. 이러한 차는 뜨거운 물에 담궈 맛과 향을 우려낸 뒤에 이를 여과하여 마시게 된다.
일반적으로, 녹차나 홍차와 같은 전통차들은 용기내에서 1회 마실 만큼의 차잎을 뜨거운 물에 넣고 차를 우려내거나, 차잎과 물을 함께 달여 맛과 향을 우려내는 방법으로 차를 만들어 내었으며, 근래에 들어서는 차잎을 건조하여 미세한 분말로 만들어 물과 함께 섞어 타먹을 수 있는 가루형태나, 내부에 차잎이 구비되는 티백 포장을 뜨거운 물에 담궈 간편하게 차를 우려내는 1회용 티백 포장제가 사용되고 있는 실정이다.
이러한, 티백 포장제는 제조 공법상 재료가 분쇄되고, 많은 양을 투입하기 때문에 녹차의 잎이 대작급 이상의 엽차 수준의 재료를 사용하고 있기 때문에 잎을 대작급 이상의 엽차 수준의 재료를 사용한다. 이로 인해 잎차보다 못한 질과 향을 가지며, 보다 향상된 질과 향과 맛을 느끼기 위해서는 다기 등의 차도구를 사용하여야 한다.
한편, 문화의 발전에 따라 근래에는 옛 것을 되찾고자 하는 마음으로 녹차 등과 같은 우리 고유의 전통차를 각종 다기나 차 도구들을 이용하여 차를 마시는 경향이 늘어가면서 차를 마시는데 필요한 각종 다기나 차 도구들이 다양하게 개발되고 있다.
즉, 다도를 행하기 위하여 차잎으로 전통차를 음용할 경우에는 차를 마시기 위한 찻잔(다기), 여과기, 뚜껑 등의 각종 다기 셋트(차 도구)를 필요로 하며, 이러한 다기 셋트는 각종 보관함에 수납하여 보관하도록 이루어져 있다.
이렇게 전통차를 음용하는 다도를 행할 시에는 전통차를 마시기 위한 많은 도구들이 필요하지만 이러한 도구들을 사용한 후 일일이 정리하고, 보관하기가 어려울 뿐만 아니라, 야외에서 차를 식음하게 되는 경우 차를 마시기 위한 도구들을 일일이 챙겨 나가야 하는 불편함으로 인해 다도를 행하는 사람들에가 번거로움과 불편함을 주게 되며, 사용자의 부주의에 의하여 다기 등이 파손될 위험이 높아 다기를 휴대하기가 부담스러운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이러한 전통차를 음용할 경우 찻잔, 여과기, 뚜껑 등의 각종 다기 셋트를 별도로 구입하여야 하며, 이로 인해 구입 비용이 상승되는 등의 문제로 인해일상 생활에서 다도를 접하기가 쉽지 않은 문제점이 있었다.
한편,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1회용 티백 포장제는 사용 후 바로 버려지는 등 쓰레기를 발생시킨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고안은 상기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차를 마시는데 사용되는 각종 도구를 하나의 녹차통에 간편하게 수납하여 사용함으로써 사용자에게 보다 향상된 사용의 편의성을 제공하고, 수납 및 보관이 간편할 뿐만 아니라 휴대가 간편하여 이동 및 야외에서의 사용이 간편용이할 뿐만 아니라 파손 등의 우려를 사전에 방지할 수 있는 개인 다기 셋트가 구비되는 녹차통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도 1은 본 고안에 의한 개인 다기가 구비되는 녹차통을 나타내는 단면도,
도 2는 본 고안에 의한 개인 다기가 구비되는 녹차통을 나타내는 분해사시도,
도 3, 도 4, 도 5, 도 6, 도 7, 도 8, 도 9, 도 10은 본 고안에 의한 개인 다기 셋트가 구비되는 녹차통의 내부에 각 구성요소들이 결합되는 과정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녹차통, 10...본체,
11...제1 수납부, 13...고정부재,
13a...고정턱, 14...찻잔,
15...제1 완충부재, 15a...관통공,
16...여과기, 16a...여과구멍,
16b...단턱, 17...제2 완충부재,
17a...관통공, 18...뚜껑,
18a...손잡이, 18b...이탈 방지턱,
30...덮개, 31...제2 수납부,
33...녹차봉지, 35...지지턱,
37...걸림턱.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은, 상부가 개방되고, 하부가 폐색되게 이루어지며, 그 내부에 제1 수납부가 구비되는 원통형상체형상의 본체와, 하부가 개방되고, 상부가 폐색되게 이루어지며, 그 내부에 제2 수납부가 구비되는 원통형상체형상의 덮개로 구성되며, 상기 본체의 상부에 상기 덮개가 끼움 또는 나사 결합되게 이루어지는 녹차통에 있어서, 상기 본체의 제1 수납부에 다기세트와 이 세트의 구성요소들 간의 충격을 완화 또는 방지하는 완충수단; 상기 덮개의 제2 수납부에 녹차봉지가 구비된다.
좀더 구체적인 구성은 상기 본체의 제1 수납부에 그 하부에서 상부로 고정부재, 찻잔, 제1 완충부재, 여과기, 제2 완충부재, 뚜껑이 순차적으로 구비되며; 상기 덮개의 제2 수납부에 녹차봉지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고정부재는 방습기능이 있으며 소정길이를 갖는 종이 또는 플라스틱 재질의 원통형상체로 이루어진다. 이때 원통형상체의 상측 단부 내주면상에 돌출되는 고정턱을 부가로 구성할 수 있다.
그리고, 제1 완충부재와 제2 완충부재는 방습기능이 있는 종이, 플라스틱 또는 고무 재질로서, 그 내측에 소정크기를 갖는 관통공이 각각 형성되는 환형의 판체형상으로 이루어진다.
또한, 제1 완충부재와 제2 완충부재가 각각 엠보싱처리된 골판지로 이루어 질 수 있다.
이하, 본 고안에 의한 바람직한 일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면서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고안에 의한 개인 다기가 구비되는 녹차통을 나타내는 단면도이고, 도 2는 본 고안에 의한 개인 다기가 구비되는 녹차통을 나타내는 분해사시도이다. 도면에서 도시하고 있는 바와 같이, 본 고안에 의한 녹차통(1)은 방습기능이 있는 종이재질 또는 플라스틱재질로 이루어지며, 본체(10)와 덮개(30)로 구성된다.
상기 본체(10)는 상부가 개방되고, 하부가 폐색되게 이루어지는 원통형상체로 이루어지며, 그 내부에는 제1 수납부(11)가 형성되고, 상기 제1 수납부(11)에는 그 하부에서 상부로 고정부재(13), 찻잔(14), 제1 완충부재(15), 여과기(16), 제2완충부재(17), 뚜껑(18)으로 이루어지는 개인용 다기 셋트가 순차적으로 구비된다.
상기 고정부재(13)는 소정길이를 갖는 원통형상체로 이루어지고, 상측 단부 내주면상에는 그 상부에 끼움결합되는 찻잔(14)을 고정시키기 위한 고정턱(13a)이 돌출형성되며, 상기 고정턱(13a)에 의하여 상기 고정부재(13)에 끼움결합되는 찻잔(14)의 유동 및 이탈이 방지된다. 상기 고정부재(13)는 상기 본체(10)의 내부벽면과 찻잔(14) 사이에 개재되어 상기 본체(10)와 찻잔(14)이 맞닿거나 외부 충격에 의하여 찻잔(14)이 파손 및 훼손되는 것을 방지한다.
그리고, 상기 고정턱(13a)의 직경은 상기 고정부재(13)에 찻잔(14)을 끼움결합시킬 때 상기 찻잔(14)의 외주면 적소와 맞닿게 결합되어 찻잔(14)을 고정하기 위하여 상기 찻잔(14)의 외주면 직경보다 조금 작게 형성되며, 상기 고정부재(13)의 직경은 상기 본체(10)의 제1 수납부(11)에 위치하기 위하여 상기 본체(10)의 제1 수납부(11)의 직경보다 약간 작게 이루어진다.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서는 상기 고정부재(13)의 상측 단부 내주면상에 고정턱(13a)이 구비되어 있으나, 상기 고정부재(13)의 상측 단부를 그 내측으로 말아서 고정턱(13a)을 돌출형성시키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상기 고정부재(13)의 고정턱(13a)이 형성되지 않고, 상기 고정부재(13)의 내주면상에 상기 찻잔(14)이 밀착되게 끼움결합되도록 이루어지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 찻잔(14)은 녹차 등의 전통차가 그 내부에 주입되기 위하여 상부가 개방되고, 하부가 폐색되게 형성되며, 상기 본체(10)의 제1 수납부(11) 내부에 수납 및 적층되기 위하여 상기 찻잔(14)의 직경은 상기 본체(10)의 내부 직경보다 작게이루어진다.
상기 여과기(16)는 녹차 잎을 담기 위하여 그 내부에 공간이 형성되고, 하단부에는 소정크기를 갖는 여과구멍(16a)이 일정간격을 유지하면서 규칙 또는 불규칙적으로 다수개 형성되며, 그 입구측 단부 외주면상에는 단턱(16b)이 형성된다.
상기 뚜껑(18)은 상부면에 손잡이(18a)가 형성되고, 그 하부면 중심측 적소에 이탈 방지턱(18b)이 돌출형성되며, 상기 이탈 방지턱(18b)에 의하여 상기 뚜껑(18)이 상기 찻잔(14)의 상부에 결합된 상태에서 벗겨지거나 흘러내리는 등의 이탈이 방지된다.
즉, 상기 뚜껑(18)이 상기 찻잔(14)의 상부에 결합된 상태에서 일측 방향으로 흘러내리거나 벗겨지려 할 때 상기 뚜껑(18)의 하부면에 구비되는 이탈 방지턱(18b)이 상기 찻잔(14)의 상부 개구측 가장자리에 걸림으로써 상기 찻잔(14)의 상부에 결합된 뚜껑(18)이 흘러내리거나 벗겨지는 등의 이탈이 방지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찻잔(14)과 여과기(16)와 뚜껑(18)은 일반적인 도자기로 형성된다.
상기 제1 완충부재(15)와 상기 제2 완충부재(17)는 그 내측에 소정크기 관통공(15a, 17a)을 갖는 환형의 판체형상으로 이루어지며, 찻잔(14), 여과기(16), 뚜껑(18)으로 이루어지는 다기 셋트의 각 구성요소(14, 16, 18)의 사이에 개재되어 각 구성요소(14, 16, 18)의 맞닿은 부위를 완충시킬 뿐만 아니라, 각 구성요소(14, 16, 18)의 파손 및 훼손을 방지한다.
상기 제1 완충부재(15)는 상기 찻잔(14)과 여과기(16) 사이에 개재되어 상기찻잔(14)과 여과기(16)의 맞닿은 부분을 완충시켜 주는 역할을 담당하며, 상기 제1 완충부재(15)의 내측에 형성되는 관통공(15a)의 크기는 상기 여과기(16)의 외주면의 크기와 대응되게 이루어진다.
즉, 상기 찻잔(14)과 여과기(16) 사이에 개재되는 제1 완충부재(15)는 그 내측에 상기 여과기(16)가 끼움결합되기 위하여 상기 여과기(16)의 외주면과 대응되는 크기의 관통공(15a)이 형성되고, 상기 제1 완충부재(15)의 관통공(15a)상에 끼움결합된 여과기(16)는 그 입구측 단부 외주면상에 형성되는 단턱(16b)에 의하여 상기 제1 완충부재(15)와 결합된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또한, 상기 제2 완충부재(17)는 상기 여과기(16)와 뚜껑(18) 사이에 개재되어 상기 여과기(16)와 뚜껑(18)의 맞닿은 부분을 완충시켜 주는 역할을 담당하며, 상기 제2 완충부재(17)의 내측에 형성되는 관통공(17a)의 크기는 상기 뚜껑(18)의 이탈 방지턱(18b)의 크기와 대응되게 이루어진다.
즉, 상기 여과기(16)와 뚜껑(18) 사이에 개재되는 상기 제2 완충부재(17)는 그 내측에 상기 뚜껑(18)의 이탈 방지턱(18b)의 외주면이 끼움결합되기 위하여 상기 뚜껑(18)의 하부면에 형성되는 이탈 방지턱(18b)의 외주면과 대응되는 크기의 관통공(17a)이 형성되며, 상기 제2 완충부재(17)의 관통공(17a)상에 끼움결합되는 뚜껑(18)의 이탈 방지턱(18b)은 상기 뚜껑(18)의 가장자리 부분에 의하여 상기 제2 완충부재(17)와 결합된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상기와 같은 구성에 의하여 상기 제1 완충부재(15)와 제2 완충부재(17)의 내측에 각각 형성되는 관통공(15a, 17a)의 크기는 상기 제1 완충부재(15)에 형성되는관통공(15a)의 크기가 상기 제2 완충부재(17)에 형성되는 관통공(17a)의 크기보다 크게 이루어진다.
상기 제1 완충부재(15)와 제2 완충부재(17)와 고정부재(13)는 찻잔(14), 여과기(16), 뚜껑(18)으로 이루어지는 각 구성요소(14, 16, 18)의 사이에 개재되어 각 구성요소(14, 16, 18)들을 완충시키기 위하여 방습성의 종이재질, 플라스틱재질 또는 고무재질 등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와 같이 상기 각 구성요소(14, 16, 18)들을 완충시키기 위하여 각 구성요소(14, 16, 18)의 사이에 개재되는 제1 완충부재(15), 제2 완충부재(17), 고정부재(13)가 방습성 재질로 이루어짐으로써 녹차를 음용한 후에 상기 녹차통(1)에 상기 각 구성요소(14, 16, 18)를 보관 및 수납할 경우 각 구성요소(14, 16, 18)에서 발생되는 수분이 자연적으로 방습되는 자연 방습효과를 거둘 수 있다.
한편, 상기 제1 완충부재(15)와 제2 완충부재(17)가 각 구성요소(14, 16, 18)의 사이에 개재되어 각 구성요소(14, 16, 18)들을 상호 완충시킬 수만 있다면 상기 제1 완충부재(15)와 제2 완충부재(17)가 엠보싱처리된 재질로 이루어지는 것도 바람직하다.
상기 덮개(30)는 상기 본체(10)의 상부에 끼움결합되기 위하여 하부가 개방되고, 상부가 폐색되게 이루어지는 원통형상체로 형성되며, 그 내부에 제2 수납부(31)가 형성되고, 상기 제2 수납부(31)에 녹차봉지(33)가 구비된다.
그리고, 상기 제2 수납부(31)상에는 그 내부에 수납되는 녹차봉지(33)가 상기 덮개(30)의 외측으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고, 상기 제2 수납부(31)상에 상기녹차봉지(33)를 고정 및 지지하기 위하여 상기 제2 수납부(31)의 하측 단부 내주면상에는 지지턱(35)이 돌출형성된다.
또한, 상기 덮개(30)의 외주면 적소에는 상기 덮개(30)가 상기 본체(10)의 상부에 끼움결합될 때 소정깊이 및 길이까지만 끼움결합되도록 걸림턱(37)이 원주방향으로 형성된다.
즉, 상기 덮개(30)를 본체(10)의 상부에 끼움결합시킬 때 상기 덮개(30)의 외주면 적소에 그 원주방향으로 형성되는 걸림턱(37)에 상기 본체(10)의 상부측 단부가 맞닿음으로써 상기 본체(10)의 내부에 끼움결합되는 상기 덮개(30)는 소정 깊이 및 길이까지만 결합되도록 이루어진다.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서는 상기 녹차통(1)의 본체(10) 제1 수납부(11)에 그 하부에서 상부로 고정부재(13), 찻잔(14), 제1 완충부재(15), 여과기(16), 제2 완충부재(17)가 순차적으로 구비되고, 상기 녹차통(1)의 덮개(30) 제2 수납부(31)에 녹차봉지(33)가 구비되어 있으나, 상기 본체(10)의 제1 수납부(11)에 그 하부에서 상부로 녹차봉지(33), 고정부재(13), 찻잔(14), 제1 완충부재(15), 여과기(16), 제2 완충부재(17)가 순차적으로 구비되고, 상기 덮개(30)는 단순히 상기 본체(10)를 밀봉하는 역할을 담당하게 이루어지는 것도 가능하다.
한편, 상기 녹차통(1)의 덮개(30) 제2 수납부(31)에 고정부재(13), 찻잔(14), 제1 완충부재(15), 여과기(16), 제2 완충부재(17) 등이 순차적으로 구비되고, 상기 녹차통(1)의 본체(10) 제1 수납부(11) 내부에 녹차봉지(33)가 구비되는 등 상기 녹차통(1)의 내부에 적층 및 보관되는 각 구성요소(13, 14, 15, 16, 17,18, 33)의 위치 및 순서를 다양하게 변경하여 실시할 수 있으며, 상기 고정부재(13), 제1 완충부재(15), 제2 완충부재의 형상 및 크기도 다양하게 변경실시 가능하다.
도 4, 도 5, 도 6, 도 7, 도 8, 도 9, 도 10은 본 고안에 의한 개인 다기 셋트가 구비되는 녹차통의 내부에 각 구성요소들이 결합되는 과정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면에서 도시하고 있는 바와 같이, 상기 본체(10)의 제1 수납부(11) 하측에 상기 고정부재(13)를 끼움결합시킨다. 이때, 상기 고정부재(13)에 형성되는 끼움턱(13a)이 상방향에 위치하도록 한 다음 상기 고정부재(13)를 상기 본체(10)의 제1 수납부(11)에 끼움결합시킨다.
상기와 같이 상기 본체(10)의 제1 수납부(11) 하측에 끼움결합된 고정부재(13)의 내부공간 상부에 상기 찻잔(14)을 결합시킨다. 이때, 상기 찻잔(14)은 상기 고정부재(13)의 상측 단부 내주면상에 형성되는 끼움턱(13a)에 안착 및 결합되게 이루어지며, 상기 고정부재(13)의 끼움턱(13a)에 결합된 찻잔(14)은 유동 및 이탈이 방지된다.
그리고, 상기 찻잔(14)의 개방된 상부에 제1 완충부재(15)를 설치하고, 상기 제1 완충부재(15)의 관통공(15a)상에 여과기(16)를 끼워 삽입결합시킨다. 이때, 상기 제1 완충부재(15)의 관통공(15a)상에 설치되는 여과기(16)는 그 입구측 단부 외주면상에 형성되는 단턱(16a)에 의하여 상기 제1 완충부재(15)의 관통공(15a)상에 소정깊이까지만 결합되도록 이루어진다.
그 다음, 상기 여과기(16)의 상부에 제2 완충부재(17)를 설치하고, 상기 제2완충부재(17)의 관통공(17a)상에 상기 뚜껑(18)의 하부면에 형성되는 이탈 방지턱(18b)을 끼움결합시킨다. 이때, 상기 제2 완충부재(17)의 관통공(17a)상에 설치되는 뚜껑(18)은 상기 이탈 방지턱(18b)의 외측 가장자리에 의하여 상기 제2 완충부재(17)의 관통공(17a)상에 소정깊이까지만 결합되도록 이루어진다.
상기와 같은 구성에 의하여 상기 여과기(16)의 하부와 상기 뚜껑(18)의 이탈 방지턱(18b)이 상기 찻잔(14)과 상기 여과기(16)의 내부에 소정깊이까지 삽입되도록 이루어진다.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서는 상기 찻잔(14)의 상부에 제1 완충부재(15)를 설치한 다음, 상기 제1 완충부재(15)의 관통공(15a)에 여과기(16)를 끼워 삽입결합시키고, 상기 여과기(16)의 상부에 제2 완충부재(17)를 설치한 다음, 상기 제2 완충부재(17)의 관통공(17a)에 뚜껑(18)의 이탈 방지턱(18b)을 끼움결합시키도록 이루어져 있으나, 상기 제1 완충부재(15)의 관통공(15a)에 여과기(16)를 끼움결합시킨 다음 상기 찻잔(14)의 상부에 설치하고, 상기 제2 완충부재(17)의 관통공(17a)에 상기 뚜껑(18)의 이탈 방지턱(18b)을 결합시킨 다음 상기 여과기(16)의 상부에 설치하는 것도 가능하다.
그리고, 상기 덮개(30)에 형성되는 제2 수납부(31)에 녹차봉지(33)를 수납하고, 상기 덮개(30)를 상기 본체(10)의 상부에 끼움결합시킴으로써 상기 개인 다기가 구비되는 녹차통(1)의 모든 구성요소(13, 14, 15, 16, 17, 18, 33)들의 결합이 완료된다. 이때, 상기 덮개(30)의 제2 수납부(31)의 단부 내주면상에 돌출형성되는 지지턱(35)에 의하여 녹차봉지(33)가 제2 수납부(31)의 외부로 이탈되는 것이 방지되고, 상기 덮개(30)의 외주면 적소에 그 원주방향으로 형성되는 걸림턱(37)에 의하여 상기 본체(10)의 내부에 끼움결합되는 덮개(30)는 상기 본체(10)의 내부에 소정 깊이 및 길이까지만 끼움결합됨과 동시에 상기 본체(10)의 상측 단부와 상기 덮개(30)의 걸림턱(37)이 맞닿으면서 결합이 완료되도록 이루어진다.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서는 상기 본체(10)의 상부에 개방된 부분을 통하여 상기 덮개(30)가 끼움결합되도록 이루어져 있으나, 밀봉 및 밀폐의 효과를 향상시키기 위하여 상기 본체(10)와 덮개(30)가 나사결합되도록 이루어질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상기 본체(10)와 덮개(30)의 결합을 기타 다양한 구조로 변경실시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결합된 상기 개인 다기가 구비되는 녹차통(1)을 사용할 때에는 상기 덮개(30)와 본체(10)의 결합을 해제한 다음, 상기 본체(10)의 제1 수납부(11)상에 구비되는 뚜껑(18), 제2 완충부재(17), 여과기(16), 제1 완충부재(15), 찻잔(14)로 이루어지는 개인 다기 셋트를 외부로 꺼낸다.
그리고, 상기 덮개(30)의 제2 수납부(31)에 구비되는 녹차봉지(33)에서 녹차 잎을 꺼내어 상기 여과기(16)의 내부 공간에 담은 다음, 상기 여과기(16)를 상기 찻잔(14)의 내부공간에 위치시킨 후, 상기 여과기(16)에 끓는 물을 부어 상기 여과기(16)의 하단부에 형성되는 소정크기의 여과구멍(16a)을 통하여 녹차를 찻잔(14)의 내부 공간에 주입한 다음 상기 찻잔(14)에서 여과기(16)를 제거하고 식음하거나, 상기 여과기(16)의 내부 공간에 녹차 잎을 담고, 상기 찻잔(14)의 내부 공간에 끓는 물을 부은 후 녹차 잎이 담긴 여과기(16)를 상기 찻잔(14)의 내부에 위치시켜충분히 녹차의 향과 맛이 우러나게 한 다음 상기 여과기(16)를 제거하고, 찻잔(14)을 통하여 식음하는 등 다양한 방법으로 녹차를 식음 또는 음용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찻잔(14)의 내부에 담긴 녹차가 식거나 외부의 먼지 또는 이물질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상기 찻잔(14)의 상부에 뚜껑(18)을 결합시켜 사용할 수도 있다.
본 고안은 상술한 특정의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고안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하게 변경실시 가능하며, 그와 같은 변경은 본 고안의 청구범위 기재의 범위 내에 있게 된다.
상기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갖는 본 고안은, 차를 마시는데 사용되는 각종 도구를 하나의 녹차통에 간편하게 수납하여 사용함으로써 사용자에게 보다 향상된 사용의 편의성을 제공하고, 수납 및 보관이 간편할 뿐만 아니라 휴대가 간편하여 이동 및 야외에서의 사용이 간편용이하게 차를 음용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다기 세트의 파손 등의 우려를 사전에 방지할 수 있는 효과를 거둘 수 있으며, 방습성 재질로 인하여 차를 음용한 보관된 다기세트와 녹차잎에 외부로부터 습기가 유입되지 않아서 다기세트가 건조한 상태로 보관이 되고 녹차 잎이 건조하게 보관이 되는 효과가 있으며, 또한 녹차를 우려낸 후에 폐기하는 녹차잎을 별도의 절차 없이 또는 장소의 구애 받음이 없이 폐기할 수 있으므로 자연환경을 해하지 아니하는 부수적인 효과를 거둘 수 있다.

Claims (7)

  1. 상부가 개방되고, 하부가 폐색되게 이루어지며, 그 내부에 제1 수납부가 구비되는 원통형상체형상의 본체와, 하부가 개방되고, 상부가 폐색되게 이루어지며, 그 내부에 제2 수납부가 구비되는 원통형상체형상의 덮개로 구성되며, 상기 본체의 상부에 상기 덮개가 끼움 또는 나사 결합되게 이루어지는 녹차통에 있어서,
    상기 본체의 제1 수납부에 다기셋트와 이 셋트의 구성요소들 간의 충격을 완화 또는 방지하는 완충수단; 및
    상기 덮개의 제2 수납부에 녹차봉지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인 다기 셋트가 구비되는 녹차통.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다기셋트와 완충수단이 제2 수납부에 형성되고 상기 녹차봉지가 제1 수납부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인 다기 셋트가 구비되는 녹차통.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다기셋트와 완충수단이 하부에서 상부로 고정부재, 찻잔, 제1 완충부재, 여과기, 제2 완충부재와 뚜껑으로 순차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인 다기 셋트가 구비되는 녹차통.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재는 방습기능을 가지며 소정길이를 갖는 종이재질 또는 플라스틱재질의 원통형상체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인 다기 셋트가 구비되는 녹차통.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재의 원통형상체의 상측 단부 내주면상에 고정턱이 돌출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인 다기 셋트가 구비되는 녹차통.
  6. 제2항 또는 제4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완충부재와 제2 완충부재는 방습성의 종이, 플라스틱 또는 고무재질로서, 그 내측에 소정크기를 갖는 관통공이 각각 형성되는 환형의 판체형상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인 다기 셋트가 구비되는 녹차통.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완충부재와 제2 완충부재가 그 표면이 엠보싱처리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인 다기 셋트가 구비되는 녹차통.
KR20-2003-0039422U 2003-12-18 2003-12-18 개인 다기 셋트가 구비되는 녹차통 KR200346798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3-0039422U KR200346798Y1 (ko) 2003-12-18 2003-12-18 개인 다기 셋트가 구비되는 녹차통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3-0039422U KR200346798Y1 (ko) 2003-12-18 2003-12-18 개인 다기 셋트가 구비되는 녹차통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46798Y1 true KR200346798Y1 (ko) 2004-04-06

Family

ID=4934494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3-0039422U KR200346798Y1 (ko) 2003-12-18 2003-12-18 개인 다기 셋트가 구비되는 녹차통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46798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958816B2 (en) Multi-function beverage brewer and cup
US20090229472A1 (en) Brewing system and packaging
AU2013403894B2 (en) Hand drip coffee tumbler
US20090250479A1 (en) Method &amp; device for enhancing aroma from beverage cup
US20100112164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brewing beverages
CA2423793C (en) Integrated container and infuser apparatus
US8485089B2 (en) Microwave coffee maker
JP2012515043A (ja) 使い捨てコーヒー豆抽出機
KR200455438Y1 (ko) 일회용 원두커피 추출용기
KR200346798Y1 (ko) 개인 다기 셋트가 구비되는 녹차통
US20180042411A1 (en) Universal lid system and methods
KR20110002519A (ko) 차 거름용기
KR101968816B1 (ko) 기능성 차 우림 물병
JP2005027980A (ja) 飲用具
KR200446131Y1 (ko) 거름망 차용기
KR101409497B1 (ko) 필터가 부착된 일회용 컵
KR20080097280A (ko) 위생적이며 간편한 다구
KR200434951Y1 (ko) 일회용 찻컵
KR200341752Y1 (ko) 차컵
TWM564993U (zh) Coffee filter cup combination
KR200434949Y1 (ko) 일회용 찻컵
KR200467397Y1 (ko) 티 메이커
KR102057924B1 (ko) 보틀 타입의 휴대용 핸드드립 기구
KR200331944Y1 (ko) 거름용기가 형성된 찻잔
JP3058907U (ja) 携帯用原豆コーヒー飲用容器セット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G701 Publication of correc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10124

Year of fee payment: 8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