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46495Y1 - 붙임머리 이음구조 - Google Patents

붙임머리 이음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46495Y1
KR200346495Y1 KR20-2003-0040369U KR20030040369U KR200346495Y1 KR 200346495 Y1 KR200346495 Y1 KR 200346495Y1 KR 20030040369 U KR20030040369 U KR 20030040369U KR 200346495 Y1 KR200346495 Y1 KR 200346495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air
resin tube
extension
raw
extension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3-0040369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찬일
Original Assignee
이찬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찬일 filed Critical 이찬일
Priority to KR20-2003-0040369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46495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46495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46495Y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GARTIFICIAL FLOWERS; WIGS; MASKS; FEATHERS
    • A41G5/00Hair pieces, inserts, rolls, pads, or the like; Toupées
    • A41G5/004Hair pieces
    • A41G5/0086Applicators or tools for applying hair extension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GARTIFICIAL FLOWERS; WIGS; MASKS; FEATHERS
    • A41G5/00Hair pieces, inserts, rolls, pads, or the like; Toupées
    • A41G5/004Hair piece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GARTIFICIAL FLOWERS; WIGS; MASKS; FEATHERS
    • A41G5/00Hair pieces, inserts, rolls, pads, or the like; Toupées
    • A41G5/004Hair pieces
    • A41G5/0053Fastening thereof
    • A41G5/008Fastening thereof by adhesiv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Hair Curling (AREA)

Abstract

붙임머리를 원모에 시술시 연질의 수지관에 의해 서로 이음되게 하고, 이 수지관은 일정온도의 열을 가하면 수축되면서 내벽에 형성된 접착층에 의해 원모와 붙임머리가 일체로 이음되게 함으로써, 사용시에는 원모에서 붙임머리가 분리되지 않을뿐 아니라 착용상태가 가벼운 느낌을 줄수 있도록 하고, 시술시에는 이음작업이 간편하면서 제품이 손상이 가는것을 방지하여 고품질의 제품을 소비자에게 제공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Description

붙임머리 이음구조{Connection structural of hair and wig}
본 고안은 붙임머리 이음구조에 관한 것으로, 특히 붙임머리를 원모에 시술시 연질의 수지관에 의해 서로 이음되게 하고, 이 수지관은 일정온도의 열을 가하면 수축되면서 내벽에 형성된 접착층에 의해 원모와 붙임머리가 일체로 이음되게 함으로써, 사용시에는 원모에서 붙임머리가 분리되지 않을뿐 아니라 착용상태가 가벼운 느낌을 줄수 있도록 하고, 시술시에는 이음작업이 간편하면서 제품이 손상이 가는것을 방지하여 고품질의 제품을 소비자에게 제공할 수 있도록 한 붙임머리 이음구조에 관한 것이다.
근래에 들어 문화수준이 급격히 향상되면서 외모에 대한 관심이 날로 집중되고 있으며, 이러한 추세를 감안하여 붙임머리를 원모에 시술하는 헤어 시술방법이 널리 소개된 바 있다.
상기한 붙임머리는 짧은 머리, 숱이 적은 모발의 증가를 원할때, 잘못 커트하여 복원을 원할때나 헤어스타일에 변화를 주고 싶을때 주로 사용하는 것으로서, 이는 다수의 가모 상단을 실리콘 처리하고, 별도의 연결관을 이용하여 원모에 이음하고 있다.
헤어 시술과정을 살펴보면 준비된 연결관 내부에 코바늘을 이용하여 삽입한 후, 실리콘 처리된 붙임머리 상단을 삽입한다. 이후 별도의 압착기구를 이용하여 연결관을 압착함으로써 원모와 붙임머리를 이음하고 있다.
이러한 시술과정과 붙임머리를 통하여 소기의 목적을 달성할 수 있다는 잇점은 있으나, 종래 연결관은 경질이거나 또는 금속재, 알루미늄 재질로 이루어져 있기 때문에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발생되었다.
첫째, 헤어 시술시 연결관을 압착해야 하기 때문에 많은 힘이 요구될뿐 아니라 작업이 불편하였으며, 경우에 따라서는 고도의 기술이 요구 되었다.
둘째, 연결관을 압착하는 과정에서 상기한 연결관의 표면에 기스가 발생하거나 또는 너무 많은 힘을 가함에 따라 제품이 파손되었으며, 압착하는 과정에서 원모나 붙임머리가 절단되었다.
셋째, 연결관을 이용하여 붙임머리와 원모를 이음한 후에는 압착방법을 통하여 서로 이음되어 있기 때문에 연결관 내부에서 붙임머리가 빠지거나 흘러내렸으며, 연결관 자체 중량에 의해 착용감이 부담되는 등의 제반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고안의 목적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감안하여 안출한 것으로, 붙임머리를 원모에 시술시 연질의 수지관에 의해 서로 이음되게 하고, 이 수지관은 일정온도의 열을 가하면 수축되면서 내벽에 형성된 접착층에 의해 원모와 붙임머리가 일체로 이음되게 함으로써, 사용시에는 원모에서 붙임머리가 분리되지 않을뿐 아니라 착용상태가 가벼운 느낌을 줄수 있도록 하고, 시술시에는 이음작업이 간편하면서 제품이 손상이 가는것을 방지하여 고품질의 제품을 소비자에게 제공할 수 있도록 한 붙임머리 이음구조를 제공하는데 있다.
도1은 본 고안에 따른 붙임머리의 사시도,
도2는 본 고안에 따른 붙임머리의 이음 상태를 나타낸 요부 확대단면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원모 20 ; 붙임머리
30 ; 수지관 40 ; 접착층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수단으로 본 고안은 붙임머리와 원모를 일체로 이음하는 연질의 수지관을 마련하되, 이 수지관은 비교적 직경이 크게 형성된 상태에서 일정온도의 열을 가하면 직경이 수축되고, 수축되면서 내벽에 형성된 접착층이 원모와 붙임머리를 접착 이음되게 하는 것을 그 기술적 구성상의 기본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1은 본 고안에 따른 붙임머리의 사시도 이고, 도2는 본 고안에 따른 붙임머리의 이음 상태를 나타낸 요부 확대단면도이다.
본 고안의 붙임머리도 다수의 가모를 통하여 하나의 제품으로 형성되고, 상단이 실리콘 처리되는 것은 종래와 같다.
다만, 본 고안은 이음구조를 통하여 더욱 간편하게 붙임머리(20)와 원모(10)가 이음될 수 있도록 한 것으로 이는 도1과 도2에서와 같이 다수의 가모 상단이 실리콘 처리된 붙임머리(20)와, 상기 붙임머리를 원모(10)에 이음하는 수지관(30)이 동원된다.
수지관(30)은 열을 가하면 수축될 수 있도록 연질의 수지로 형성되는데, 이러한 수지관(30) 내부에 붙임머리(20)와 원모(10)가 용이하게 삽입될 수 있도록 비교적 직경이 크게 형성된다. 여기서 직경이 너무 작으면 원모(10)와 붙임머리(20)가 간편하게 삽입되지 않기 때문에 적정의 직경을 가지는게 바람직하다.
또한 수지관(30)은 150℃이상의 열을 가하면 직경이 수축되고, 수축되면서 내벽에 형성된 접착층(40)이 원모(10)와 붙임머리(20)를 접착 이음되도록 구성된다.
수지관(30)에 대해 열을 가하는 열기구(도시하지 않음)는 히터선을 이용하여 열을 발생하는 매직기 형태로서, 이의 구조는 통상 미용실에서 기자재로 사용되는 기술 내용이므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 하기로 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을 사용하기 위해서는 먼저 연질의 수지관(30)을 마련한 후, 상기 수지관(30) 상단 내부에 원모(10)를 삽입함과 동시에 붙임머리(20) 상단을 수지관(30) 하단 내부에 각각 삽입한다.
상기와 같은 상태에서 열기구를 이용하여 수지관(30)에 열을 가하면 상기 수지관은 연질로 이루어져 있기 때문에 직경이 축소되면서 붙임머리(20)와 원모(10)를 압착하는 상태가 되고, 이때 수지관 내벽에 형성된 접착층(40)은 붙임머리와 원모에 접착되는 것이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고안에 의하면, 붙임머리를 원모에 시술시 연질의 수지관에 의해 서로 이음되게 하고, 이 수지관은 일정온도의 열을 가하면 수축되면서 내벽에 형성된 접착층에 의해 원모와 붙임머리가 일체로 이음되기 때문에 사용시 원모에서 붙임머리가 분리되지 않을뿐 아니라 착용상태가 가벼운 느낌을 줄 수 있는 것이며, 이러한 수지관은 경질로 이루어져 있어 수면시 통증이 오지 않는 것이다.
또한, 헤어 시술시 수지관에 열을 가하여 수지관을 수축하는 형태로 작업하기 때문에 종래 압착방법 보다 작업이 간편하게 이루어지고, 나아가서는 제품에 손상이 가는것이 방지되어 고품질의 제품을 소비자에게 제공할 수 있는 것이다.
이상에서는 본 고안을 특정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고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고안은 상기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본 고안의 요지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에 의해 다양한 변경과 수정이 이루어질 수 있는 것임을 밝혀둔다.

Claims (1)

  1. 원모(10)에 시술되는 붙임머리(20)에 있어서, 상기 붙임머리(20)와 원모(10)를 일체로 이음하는 연질의 수지관(30)을 마련하되, 이 수지관(30)은 비교적 직경이 크게 형성된 상태에서 일정온도의 열을 가하면 직경이 수축되고, 수축되면서 내벽에 형성된 접착층(40)이 원모(10)와 붙임머리(20)를 접착 이음되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붙임머리 이음구조.
KR20-2003-0040369U 2003-12-27 2003-12-27 붙임머리 이음구조 KR200346495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3-0040369U KR200346495Y1 (ko) 2003-12-27 2003-12-27 붙임머리 이음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3-0040369U KR200346495Y1 (ko) 2003-12-27 2003-12-27 붙임머리 이음구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46495Y1 true KR200346495Y1 (ko) 2004-03-31

Family

ID=4942766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3-0040369U KR200346495Y1 (ko) 2003-12-27 2003-12-27 붙임머리 이음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46495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06073B1 (ko) 2009-01-08 2009-07-03 나윤설 붙임 머리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06073B1 (ko) 2009-01-08 2009-07-03 나윤설 붙임 머리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688127B1 (ko) 모발과의 결합력을 증대시키기 위한 이중의 유도고리를갖는 이음모
KR200333865Y1 (ko) 모발 유도고리를 갖는 이음모
CN205757880U (zh) 头发造型装置及其附件
JP7398140B2 (ja) まつげパーマ施術方法及びその方法の実行のためのまつげパーマ施術セット
JP2008202199A (ja) クイックループ式ポリマーエクステンション
KR200346495Y1 (ko) 붙임머리 이음구조
GB2271057A (en) Hair lengthening/thickening
KR200475214Y1 (ko) 붙임머리
SK284931B6 (sk) Spôsob úpravy vlasov, predovšetkým ich predlžovanie a/alebo zahusťovanie, pramienok prídavných vlasov a spôsob jeho výroby
KR200316019Y1 (ko) 내습성 열수축관을 이용한 모발연결부를 갖는 이음모
JP7420691B2 (ja) 葉脈状エクステンション
JP4955311B2 (ja) 付け毛用毛束ユニット及び髪飾りユニット
KR20050061748A (ko) 자모에 가모를 연결하는 방법
JP2007126805A (ja) エクステンション及びエクステンションの装着方法
KR101297975B1 (ko) 붙임머리 및 붙임머리 형성방법
JPS63294845A (ja) 手術用縫合糸と手術用縫合糸付縫合針
KR200334361Y1 (ko) 가발의 결합구조
KR200460226Y1 (ko) 헤어 쥬얼리 장신구
KR20090005683U (ko) 붙임 머리 연결구 및 이를 포함하는 붙임 머리 유닛
JP2007002397A (ja) ゴム紐製ヘアーバンドの製造方法及びゴム紐製ヘアーバンド
KR200421720Y1 (ko) 모발과의 결합력을 증대시키기 위한 이중의 유도고리를갖는 이음모
KR20090027990A (ko) 붙임머리 및 그 시술방법
TWM647647U (zh) 接髮用假髮結構
JP2004323985A (ja) チップ付エクステンションとその作成方法ならびにチップ付エクステンションの髪への取り付け方
JP3099987U (ja) エクステンション方法に使用する熱収縮チューブ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