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45868Y1 - 코인 락커용 자물쇠 - Google Patents

코인 락커용 자물쇠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45868Y1
KR200345868Y1 KR20-2003-0039161U KR20030039161U KR200345868Y1 KR 200345868 Y1 KR200345868 Y1 KR 200345868Y1 KR 20030039161 U KR20030039161 U KR 20030039161U KR 200345868 Y1 KR200345868 Y1 KR 200345868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in
checker
lever
user
cylind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3-0039161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임점영
Original Assignee
임점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임점영 filed Critical 임점영
Priority to KR20-2003-0039161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45868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45868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45868Y1/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65/00Locks or fastenings for special use

Landscapes

  • Coin-Freed Apparatuses For Hiring Articles (AREA)

Abstract

투입된 주화에 의해 주화 체커가 회동되면서 연동 레버와 연결된 디텐트 축의 구속을 해방시키는 것에 의해 사용자용 실린더의 회동 조작이 가능하게 되어 있는 코인 락커용 자물쇠로서, 상기 연동 레버에 핀으로 축 지지되는 보조 레버를 설치하여, 상기 사용자용 실린더의 잠금 위치에서, 보조 레버의 홀더가, 상기 주화 체커의 스톱퍼를 타고 넘어 그 선단부로 상기 주화 체커의 뒷면을 지지하는 것에 의해 상기 주화 체커가 세워진 상태로 확실하게 유지되도록 하는 것이다.

Description

코인 락커용 자물쇠{LOCK FOR COIN RACKER}
본 고안은 코인 락커용 자물쇠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코인 락커가 사용 중인 상태인 때에는 주화 투입구를 차단하고 열쇠 사용 없이는 열리지 않게 하는 기구를 개량한 것에 특징이 있는 코인 락커용 자물쇠에 관한 것이다.
코인 락커는 기차역이나 백화점 등에 설치되어 여행객, 손님 등에게 자신의 휴대품을 임시로 보관할 수 있는 공간을 제공하여 주는 설비로서, 여기에는 휴대품의 도난을 방지하기 위한 자물쇠가 설치되어 있고, 이것은 정해진 액면의 주화를 투입해야만 잠글 수 있는 구조를 가지고 있다.
코인 락커에 일반화된 자물쇠의 구성을 도 1로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자물쇠 프레임(2)의 상부 내측에는 마스터 실린더(4)가 장착되고, 그 옆의 측판(6)에는 주화 채널 어셈블리(8)가 부착된다. 마스터 실린더(4)의 하측에 마련된 핀은 마스터 래치(10)와 연계되어, 이를 통해 그 하측에 설치된 사용자용 실린더(12)를 자물쇠 프레임(2)에 고정시켜 두거나, 또는 분리 가능한 상태로 해방시킬 수 있다. 주화 채널 어셈블리(8)에는 주화 계수판(14)과, 이를 연동시키는 캠(16)이 설치되어 있고, 이 캠(16)은 플런저(18)를 개재하여 사용자용 실린더(12)와 연결된다. 사용자용 실린더(12)에 열쇠가 끼워지면 플런저(18)가 밀리면서 캠(16)을 회동시키고, 이에 따라 주화 계수판(14)이 주화 채널 어셈블리(8)의 내측 통로에 밀착되어, 투입된 주화를 일정 위치에 정지시켜 두는 작용을 한다.
또 주화 계수판(14)의 상방에는, 무게 중심을 후방에 두어 평상 시에는 약간 전도된 자세로 놓여지는 주화 체커(20)가 축 지지되어 있고, 이것은 하측의일단부(22)를 주화 채널 어셈브리(8)의 내측 통로로 돌출시켜 놓고 있어서, 투입된 주화의 무게가 일단부(22)에 가해지면 회동하여 세워지게 된다. 그리고 투입된 주화는 주화 체커(20)의 일단부(22)와 접촉하는 위치에서, 주화 계수판(14)에 의해 정지하고 있게 된다.
한편, 주화 체커(20)는 타단부(24)를 보유하고, 이 타단부(24)는 마스터 래치(10)의 안쪽으로 연장되어서 마스터 실린더(4)의 하측방으로 위치하게 된다.
그리고 타단부(24)에 인접한 부위에는 스톱퍼(26)가 절곡 형성되어 있고, 이 스톱퍼(26)는 락커가 열려 있는 상태인 때에, 사용자용 실린더(12)에 부착되는 연동레버(28)의 상측변부(30)로 접촉 지지되어, 주화 체커(20)의 세워진 자세를 유지시켜 주는 것이다.
마스터 실린더(4)와 사용자 실린더(12) 사이에는 락커를 록킹하는 래치(32)가 수평으로 왕복 이동 가능하게 배치되어 있고, 이 래치(32)는 토션 스프링(34)에 지지된 디텐트 축(36)의 일단에 의해 연동되는 구조이다.
또 디텐트 축(36)에는 주화 채널 어셈블리(8)의 하측 통로를 개폐하는 게이트 레버(38)가, 링크(40)를 개재하여 축 이음되어 있음과 동시에, 상기 디텐트 축(36)의 타단에는 연동레버(28)의 상단에 형성된 훅크(42)가 걸려지게 된다.
이러한 구조는, 사용자용 실린더(12)의 회동력이 연동레버(26)를 개재하여 디텐트 축(34)으로 전달되는 것에 의해, 래치(30)는 개 또는 폐 위치로 이동 전환되고, 이와 동시에 게이트 레버(36)도 측판(6)과 주화 채널 어셈브리(8) 사이의 하측 통로를 개 또는 폐하게 된다.
한편, 래치(32)가 열려 있고, 주화 체커(20)가 전도된 상태인 때는, 타단부(24)가 디텐트 축(36)에 접촉하고 있게 되어, 사용자용 실린더(12)는 회동 불능 상태로 놓여지고 있게 된다. 그러나 주화를 투입하면 주화 체커(20)가 회동되면서 타단부(24)는 디텐트 축(36)의 구속을 해제하게 되므로 사용자용 실린더(12)를 회동시켜 락커를 잠글 수 있게 된다. 이 때, 세워진 주화 체커(20)의 선단부(44)는 도 2의 도시와 같이, 주화 투입구(46)를 가로 막아 더 이상 주화 투입을 받아들일 수 없는 상태가 되고, 또 한편으로는 사용자용 실린더(12)의 회동으로 말미암아, 연동 레버(28)의 상측변부(30)이 스톱퍼(26)의 밑면을 받쳐 주게 됨으로써, 일단부(22)로 가해지던 주화 무게가 소멸되더라도 주화 체커(20)는 전도된 자세를 유지하고 있게 된다.
이와 같은 구성으로 된 종래의 코인 락커용 자물쇠는, 사용자용 실린더(12)를 회동 조작할 때 마다, 연동 레버(28)의 상측변부(30)를 통해 스톱퍼(26)가 타격을 받게 되어 있다.
한편, 스톱퍼(26)는 밴딩 프레스 방식으로 형성되는 바, 이것은 처음에 성혀외는 치수와, 금형을 장시간 사용하여 마모가 누적되었을 때에 성형되는 치수가 상이하게 되어, 점차 오차를 가지는 형태로 성형된다.
게다가, 스톱퍼(26)는 자물쇠를 열고 닫을 때에 연동 레버(28)의 상측변부(30)와 충돌하여 타격을 받게 되므로, 사용 중에도 변형을 일으키게 되며, 이렇게 발생되는 스톱퍼(26)의 변형이 심해지면, 주화 체커(20)가 바르게 지지되지 못하여 그 선단부(44)는 주화 투입구(44)를 제대로 가로 막지 못하게 된다.
그 결과 사용 중이어서 잠겨 있는 락카에도 주화가 투입될 수 있게 되어, 잘못 투입된 주화를 반환해야 하는 운영상의 번거로움이 파생될 뿐만 아니라, 스톱퍼(26)와 연동 레버(28)의 상측변부(30) 사이로 큰 유격이 생기게 되어, 사용자용 실린더(12)에 열쇠를 꽂고 회동 조작할 때에 불안정한 흔들림을 느끼게 되어 제품 신뢰성도 저하된다. 물론 연동 레버(28)에는 가이드 핀(48)이 달려 있어서 정해진 궤적에 따라 회동되게 하고 있으나, 사용자용 실린더(12)의 유격은 스톱퍼(26)의 변형에 의해 발생하는 것이기 때문에, 상기 가이드 핀(48)으로는 유격을 없앨 수 없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은, 연동 레버(28)의 길리를 길게 설정하고, 그 상단부로 주화 체커(20)의 뒷면을 지지하게 하는 구조로 해결될 수 있으나, 이렇게 하면 좁은 설치 공간에서, 연동 레버(28)의 회동 반경이 증대되어 사용자용 실린더(12)를 개폐할 수 없게 되는 문제를 일으키게 된다.
본 고안의 목적은 락커가 사용 중인 때에 주화 투입구의 차단을 확실하게 유지시킬 수 있고, 열쇠의 회동 시에 사용자가 유격을 느끼지 않게 하여 제품의 신뢰성을 향상시킨 코인 락커용 자물쇠를 제공함에 있다.
이러한 본 고안의 목적은, 투입된 주화가 일정 위치에 정지되면서 주화 체커를 회동시키는 것에 의해 연동 레버와 연결된 디텐트 축의 구속이 해방되어 사용자용 실린더의 회동 조작이 가능하게 되어 있는 코인 락커용 자물쇠에 있어서, 상기 연동 레버는 그 상측부에 핀으로 축 지지되는 보조 레버의 상단측 홀더가, 상기연동레버의 잠금 위치에서, 상기 스톱퍼를 덮어 씌움과 아울러 상기 연동레버의 상측변부에 의해 상기 스톱퍼가 지지되어서 주화 체커의 세워진 자세를 유지시키는 구성을 통해 달성할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성으로 되는 본 고안은, 주화의 투입에 연동하여 주화 투입구를 차단하여 주는 주화 체커가. 연동 레버의 보조 레버 선단부에 의해 확실하게 세워진 상태로 지지됨에 따라, 사용중인 코인 락커의 주화 투입구 차단이 하ㅘㄱ실하게 행해져서 주화를 잘못 투입하는 사례를 방지할 수 있고, 또 사용자용 실린더에 열쇠를 꽂고 회동 시킬 때에 전혀 유격을 느끼지 않게 되어 제품 신뢰성이 향상되는 이점을 가진다.
도 1은 종래의 코인 락커에 사용되고 있는 자물쇠의 구성을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
도 2는 종래의 자물쇠에 의한 주화 투입 방지 작동 예를 도시하는 측면도.
도 3은 본 고안에 관련된 자물쇠의 구성을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
도 4는 본 고안의 자물쇠에 의한 주화 투입 방지 작동 예를 도시하는 주요부 측면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2 : 자물쇠 프레임 8 : 주화 채널 어셈블리
12 : 사용자용 실린더 14 : 주화 계수판
20 : 주화 체커 22 : 일단부
24 : 타단부 26 : 스톱퍼
28 : 연동레버 30 : 상측변부
36 : 디텐트 축 50 : 핀
52 : 보조 레버 54 : 홀더
이하,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을 첨부 도면 도 3 및 도 4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 예를 통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이 실시 예에서 상기 도 1 및 도 2와 동일한 부분은 설명의 중복을 피하기 위하여 동일 부호로 표시하고 있다.
도 3의 도시에서, 자물쇠 프레임(2)의 하측방에 배치된 사용자용 실린더(12)와 연결되어 회동하게 되는 연동 레버(28)는, 상측부에 핀(50)으로 축 지지되는 보조 레버(52)를 갖추고 있다.
보조 레버(52)의 선단측 홀더(54)는, 주화 체커(20)의 스톱퍼(26)를 수납할 수 있는 형상으로 되어 있고, 이것은 핀(50)을 지점으로 회동할 수 있게 설치되는 것이나, 도 4로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홀더(54)의 반대측 후단부(56)가 가이드핀(48)에 걸려지는 위치까지 연장되어 있기 때문에, 그 회동 방향은 사용자용 실린더(12)의 잠금 방향으로 한정되고, 게다가 핀(50)에 의해 축 지지되는 보조 레버(52)는, 쉽게 회동되지 않을 정도로 긴밀하게 축 지지되어서 대략 1/4원 범위로 회동하게 되어 있다.
이와 같은 구성을 특징으로 하는 본 고안의 코인 락커용 자물쇠는, 사용자용 실린더(12)가 열려 있는 상태에서는, 주화 체커(20)가 후방으로 전도되어 있어서 주화 투입구(46)는 개방상으로 놓여져 있게 되고, 이 때 사용자가 열쇠를 사용자용 실린더(12)에 꽂으면, 주화 채널 어셈브리(8)의 주화 계수판(14)은 주화 채널을 차단하게 된다.
이어서, 사용자에 의해 주화 투입구(46)로 주화가 투입되면, 상기 주화 계수판(14)에서 설정한 개수만큼 투입되었을 때에, 마지막에 투입된 주화는 주화 체커(20)의 일단부(22)를 간섭하여 연동시키는 위치로 놓여지고, 이에 따라 주화 체커(20)는 회동되면서 타단부(24)로 구속시켜 놓았던 디텐트 축(36)을 해방시켜, 사용자용 실린더(12)의 조작을 허용하는 위치로 변환된다.
사용자가 사용자용 실린더(12)를 도 4의 1점 쇄선 위치에서 실선으로 나타낸 잠금 위치로 조작하면, 연동 레버(28)는 사용자용 실린더(12)에 편승하여 회동되어서 그 상측변부(30)를 주화 체커(20)의 스톱퍼(26) 하측면에 접촉시켜서 주화 체커(20)가 하향 회동하지 못하도록 지지함과 동시에 보조 레버(52)는, 그 선단측 홀더(54)가 스톱퍼(26)를 타고 넘어 그 선단부로써 주화 체커(20)의 뒷면을 지지하여 주게 되며, 이에 따라 주화 체커(20)의 세워진 상태가 확실하게 유지되는 것이다.
이러한 작동의 결과로, 상기 주화 체커(20)는 확실하게 주화 투입구(46)를 가로 막게 되어, 사용 중인 코인 락커에 주화를 투입할 수 없게 된다.
또한, 린더(12)가 회동될 때에, 상기 핀(50)을 중심으로 회동되기 때문에 조은 공간에서 연동 레버(28)의 왕복 운동에 지장을 초래하게 되는 일이 없다.
본 고안은 보조 레버(52)의 홀더(54)가 스톱퍼(26)를 내부에 수납하는 형태로 지지함과 동시에 그 선단부로 주화 체커(20)의 뒷면을 지지하게 되는 구조이므로, 스톱퍼(30)가 타격에 의한 변형 오차, 또는 조립 오차가 심한 경우에도, 그 오차와는 관계 없이 주화 체커(20)를 확실하게 세워진 상태로 유지시켜 주기 때문에 상기 주화 체커(20)의 오작동으로 인한 주화 투입구(46)의 차단 부실은 물론, 사용자용 실린더(12)를 조작할 때에 유격이 느껴지지 않게 된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은 연동 레버에 설치된 보조 레버의 선단측 홀더로, 주화 체커의 스톱퍼를 수납 지지하게 한 것이므로, 코인 락카를 수천 번 열고 닫아서 야기되는 스톱퍼의 밴딩 형태 변형에 의한 오차 발생, 또는 조립 오차가 있더라도, 사용 중인 코인 락커의 주화 체커를 항상 바른 자세로 유지시킬 수 있는 것이므로, 오작동이 없고, 게다가 사용자용 실린더의 회동 조작에 유격을 느끼지 않게 되어 제품의 신뢰성이 향상되고, 또한 주화 체커의 회동 억제가 확실하게 행해지기 때문에, 사용 중인 락커로의 주화 투입이 완벽하게 방지되어, 관리 측면에서도 번거로움이 없어지는 효과가 있다.

Claims (1)

  1. 투입된 주화가 일정 위치에 정지되면서 주화 체커를 회동시키는 것에 의해 연동 레버와 연결된 디텐트 축의 구속이 해방되어 사용자용 실린더의 회동 조작이 가능하게 되어 있는 코인 락커용 자물쇠에 있어서,
    상기 연동 레버는 그 상측부에 핀으로 축 지지되는 보조 레버를 보유하고, 이 보조 레버의 홀더가, 상기 연동 레버의 잠금 위치에서, 상기 스톱퍼를 수납 지지하여 상기 주화 체커를 세워진 상태로 유지시켜 주는 구성으로 된 코인 락커용 자물쇠.
KR20-2003-0039161U 2003-12-16 2003-12-16 코인 락커용 자물쇠 KR200345868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3-0039161U KR200345868Y1 (ko) 2003-12-16 2003-12-16 코인 락커용 자물쇠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3-0039161U KR200345868Y1 (ko) 2003-12-16 2003-12-16 코인 락커용 자물쇠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45868Y1 true KR200345868Y1 (ko) 2004-03-22

Family

ID=4942727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3-0039161U KR200345868Y1 (ko) 2003-12-16 2003-12-16 코인 락커용 자물쇠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45868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223263B2 (ja) パチンコ機用施錠装置
US4642449A (en) Cashbox for a cash register
US5573098A (en) Card-activated lock mechanism
US3958821A (en) Door operating assembly for merchandising machine or the like
KR200345868Y1 (ko) 코인 락커용 자물쇠
US4455846A (en) Security lock for coin operated machines
JP2002113237A (ja) 遊技機用施錠装置
KR100528841B1 (ko) 문짝 개폐용 핸들의 걸음쇠장치
JP6505924B1 (ja) 遊技機
JP4250919B2 (ja) 遊技機
JP4220712B2 (ja) パチンコ機の施錠装置
JP4235639B2 (ja) 遊技機
JP4533512B2 (ja) パチンコ機の遊技球入賞装置
JP3743241B2 (ja) ゲーム機の施錠装置
JP6477949B2 (ja) 遊技機
JP3384987B2 (ja) コインリターン錠
JP3989700B2 (ja) パチンコ機の施錠装置
JP6332495B2 (ja) 遊技機
JP4098956B2 (ja) パチンコ機の施錠装置
JP2804738B2 (ja) 傘立て用施錠装置
JPH11262569A (ja) パチンコ機の施錠装置
JP4735667B2 (ja) 遊技機
JP5641102B2 (ja) 遊技機
JP6149923B2 (ja) 遊技機
JP5556793B2 (ja) 遊技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G701 Publication of correc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80310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