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45421Y1 - 경사형 코일 적재함을 갖춘 코일 운반용 트레일러 - Google Patents

경사형 코일 적재함을 갖춘 코일 운반용 트레일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45421Y1
KR200345421Y1 KR20-2003-0040632U KR20030040632U KR200345421Y1 KR 200345421 Y1 KR200345421 Y1 KR 200345421Y1 KR 20030040632 U KR20030040632 U KR 20030040632U KR 200345421 Y1 KR200345421 Y1 KR 200345421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il
trailer
support
reinforcing
loading box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3-0040632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공용
Original Assignee
한국특장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특장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한국특장차주식회사
Priority to KR20-2003-0040632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45421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45421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45421Y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PVEHICLES ADAPTED FOR LOAD TRANSPORTATION OR TO TRANSPORT, TO CARRY, OR TO COMPRISE SPECIAL LOADS OR OBJECTS
    • B60P7/00Securing or covering of load on vehicles
    • B60P7/06Securing of load
    • B60P7/08Securing to the vehicle floor or sides
    • B60P7/12Securing to the vehicle floor or sides the load being tree-trunks, beams, drums, tubes, or the lik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63/00Motor vehicles or trailer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2D63/06Trail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200/00Type of vehicle
    • B60Y2200/10Road Vehicles
    • B60Y2200/14Trucks; Load vehicles, Busses
    • B60Y2200/147Trailers, e.g. full trailers or carava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Handcart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코일의 하중이 적재면에 고르게 분산되도록 횡단면상 양측 대칭형 경사로 코일 지지부가 형성된 경사형 코일 적재함을 갖춘 코일 운반용 트레일러에 관한 것으로, 그 목적은 코일의 하중을 전, 후, 좌, 우 4방향으로 분산시킴으로써 트레일러의 어느 한 부분에 집중하중이 작용하지 않도록 하여, 트레일러의 중량을 경량화함에 따라 코일 적재량을 극대화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본 고안에 따른 경사형 코일 적재함을 갖춘 코일 운반용 트레일러는 메인 비임의 각 내측에 대칭형으로 형성된 경사가 길이방향으로 배치된 코일 지지부와, 이 코일 지지부의 각 하측과 연계하여 평면으로 형성된 보강부로 이루어진 코일 적재함과, 이 코일 적재함의 하측에 선(線)접촉으로 장착되도록 코일 적재함의 하측과 동일형상의 보강 홈이 형성된 보강부재를 포함한다.
이에 따라, 환형으로 형성된 코일이 트레일러의 횡방향으로 적재되어 코일의 하중이 전, 후, 좌, 후 4방향으로 고르게 분산됨에 따라 트레일러에 집중하중이 작용하지 않으므로, 트레일러의 메인 프레임을 경량화할 수 있고, 그에 따라, 코일의 적재량 또한 극대화한 이점이 있다.

Description

경사형 코일 적재함을 갖춘 코일 운반용 트레일러{COIL CARRIAGE TRAILER HAVE A TAPPER TYPE COIL LOADING BOX}
본 고안은 코일 운반용 트레일러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코일이 안착되는 코일 적재함이 길이 방향으로 형성되어 횡방향으로 배치된 환형의 코일 하중이 전, 후, 좌, 우 4방향으로 고르게 분산되도록 횡단면상 양측 대칭형으로 경사가 형성된 경사형 코일 적재함을 갖춘 코일 운반용 트레일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코일을 운반하는 코일 운반용 트레일러 (100)(이하, "트레일러"라 칭한다.)에 대해서는 여러 가지가 개시되어 있다.
예를 들면,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은 트레일러(100)가 그 대표적인 것으로, 도시한 바와 같은 종래의 트레일러(100)는 전방에 견인차(미도시)의 후방과 결합할 수 있도록 킹핀(111)이 구비된 피견인부(110)가 마련되며, 후방에는 도로를 주행 할 수 있도록 바퀴(121)가 구비된 주행부(120)가 마련되며, 이 피견인부(110)와 주행부(120) 상측에 메인 프레임(130)이 배치되는데, 이 메인 프레임(130)은 평면에서 바라볼 때, 직사각형상을 이루도록 각 90도 방향에 배치된 아웃사이드 프레임 (131)과, 이 아웃사이드 프레임(131)의 중앙부에 소정간격을 두고 길이방향으로 나란히 메인 비임(133)이 배치되어 있다.
이와 같은 메인 프레임(130)은 적어도 하나이상의 코일(10)을 상부에 적재할 수 있도록 횡방향으로 마련된 다수의 코일 적재함(140)을 포함한다.
이 코일적재함(140)은 트레일러(100)의 횡단면상으로 배치되어 환형으로 형성된 코일(10)을 길이방향으로 다수 적재하도록 하는 것이다.
그러나, 상기한 종래의 트레일러(100)는 적재된 다수의 환형 코일(10)의 수직선상 하측중심에 하중("P"표시부위)이 집중되므로서, 이 코일(10)을 운반하는 트레일러(100)가 하측방향으로 휘는 벤트(Bent) 변형이 발생하므로서, 이를 보강하기 위해 메인 프레임(130)을 보강하는데 따라, 다수의 금속재 보강이 추가됨으로써, 트레일러의 공차(空車)중량이 무겁게 형성되는 문제가 있었다.
이에 따라, 트레일러 상부에 적재되는 코일의 운반량이 한정적이므로, 물류비용이 과다하게 투입되는 문제가 있었다.
본 고안은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본 고안의 목적은 코일 하부의 접촉면을 증대함으로써, 코일의 하중을 전, 후, 좌, 우 4방향으로 분산시켜 트레일러에 불필요한 보강을 최소화하고, 그에 따라, 트레일러를 경량화하는데 있다.
또한,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경량화된 트레일러에 의해 코일의 적재량을 극대화하여 물류비용을 절감함으로써, 사용자들의 신뢰를 얻도록 하는데 있다.
도 1은 종래의 코일 운반용 트레일러를 보인 일측면도이고,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코일 운반용 트레일러를 보인 사시도이고,
도 3은 도 2 "A"-"A"선의 단면도이고,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코일 운반용 트레일러의 다른 실시예를 보인 횡단면도이고,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코일 운반용 트레일러의 사용상태를 보인 참고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코일 운반용 트레일러 110;피견인부
120;주행부 121;바퀴
130;메인 프레임 131;아웃 사이드 프레임
133;메인 비임 140;코일 적재함
141;코일 지지부 143;보강부
145;지지 브라켓 150;보강 부재
151;보강 홈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은;
견인차의 후방에 결합할 수 있도록 전방에 킹핀이 구비된 피견인부와, 상기 피견인부의 후방에 도로를 주행 할 수 있도록 바퀴가 마련된 주행부와, 상기 견인부와 주행부의 상측에 마련되며 평면에서 바라볼 때, 직사각형상을 이루도록 각 90도 방향에 배치된 아웃사이드 프레임과, 상기 아웃사이드 프레임의 중앙부에 소정간격 떨어져 길이방향으로 나란히 배치되며, 그 사이에는 횡방향으로 다수 마련된 보강부재에 의해 보강되는 메인 비임이 배치된 메인 프레임과, 상기 메인 프레임 상부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코일을 적재할 수 있도록 코일 적재함이 마련된 코일 운반용 트레일러에 관한 것으로,
상기 코일 적재함은 상기 메인 비임의 각 내측에 소정 각도 대칭형으로 형성된 경사가 길이방향으로 배치된 코일 지지부와, 상기 코일 지지부의 각 하측과 연계하여 평면으로 형성된 보강부를 포함하며,
상기 보강 부재는 상기 코일 지지부, 보강부의 단면상 하측과 동일한 형상의 보강 홈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고안은 견인차의 후방에 결합할 수 있도록 전방에 킹핀이 구비된 피견인부와, 상기 피견인부의 후방에 도로를 주행 할 수 있도록 바퀴가 마련된 주행부와, 상기 견인부와 주행부의 상측에 마련되며 평면에서 바라볼 때, 직사각형상을 이루도록 각 90도 방향에 배치된 아웃사이드 프레임과, 상기 아웃사이드 프레임의 중앙부에 소정간격 떨어져 길이방향으로 나란히 배치되며, 그 사이에는 횡방향으로 다수 마련된 보강부재에 의해 보강되는 메인 비임이 배치된 메인 프레임과, 상기 메인 프레임 상부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코일을 적재할 수 있도록 코일 적재함이 마련된 코일 운반용 트레일러에 관한 것으로,
상기 코일 적재함은 상기 메인 비임의 각 내측에 소정 각도 대칭형으로 형성된 경사가 길이방향으로 배치된 코일 지지부와, 상기 코일 지지부의 각 하측과 연계하여 평면으로 형성된 보강부를 포함하며;
상기 보강 부재는 상기 코일 지지부, 보강부의 단면상 하측과 동일한 형상의 보강 홈이 형성되고;
상기 메인 비임의 길이 방향 상측에는 상기 코일 지지부 경사각도의 연장선상과 동일 각도를 이루도록 예각으로 형성된 지지브라켓이 대칭형으로 배치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지지 브라켓은 수직상태로 형성된 고정부와, 상기 고정부의 상단과 연계하여 상기 코일 지지부 경사각도의 연장선상에서 동일 각도로 형성된 지지부로 이루어진다.
이러한 구성에 의해, 코일의 하중을 횡방향 양측으로 분산시켜 트레일러를 경량화할 수 있으며, 그에 따라, 코일의 적재량을 극대화한 이점이 있다.
이하, 본 고안에 따른 하나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첨부도면을 간략히 설명하면,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코일 운반용 트레일러를 보인 사시도이고, 도 3은 도 2 "A"-"A"선의 단면도이고,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코일 운반용 트레일러의 다른 실시예를 보인 횡단면도이고,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코일 운반용 트레일러의 참고도이다.(이하, 설명 편의상, 종래의 구성과 동일한 구성은 동일 명칭과 동일 부호를 붙여 설명하고, 코일 적재함(140)의 구성을 제외한 나머지 피 견인부(110)와, 주행부(120), 메인 프레임(130)의 기술적 구성은 종래와 동일하므로, 중복되는 설명을 생략하고 코일 적재함(140)의 구성에 대해서만 설명한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고안에 따른 코일 적재함(140)은 길이방향으로 나란히 배치된 메인 비임(133)의 사이에 배치되며, 전방의 피 견인부(110) 후단에서 주행부(120)의 후방까지 길게 배치된다.
이 코일 적재함(140)은 단면상 소정각도의 경사가 길이방향 대칭형으로 형성된 코일 지지부(141)와, 이 코일 지지부(141)의 각 하측과 연계하여 평면으로 형성된 보강부(143)를 포함한다.
코일 지지부(141)는 금속판을 단면상 양측으로 상향하도록 소정 각도의 경사로 절곡한 형태로서, 메인 프레임(130) 중간에 길이방향 나란히 배치된 메인 비임 (133) 상단의 각 내측 양단에 장착되어 있다.
보강부(143)는 상기한 코일 지지부(141)의 각 하측과 연계된 평면으로 형성되며, 코일(10)의 하중이 분산되는 코일 지지부(141)의 변형을 방지하도록 하는 것이다.
이와 같은 코일 적재함(140), 다시 말해서, 코일 지지부(141)와 보강부(143)의 하측과 선접촉으로 장착되는 보강 홈(151)이 마련된 보강부재(150)가 배치되어있다.
보강 부재(150)는 상기한 메인 비임(133)의 내측 횡방향으로 배치되며, 이 메인 비임(133)의 길이방향으로 소정 거리 떨어져 다수 배치되어 있다.
보강 부재(150)는 상기한 메인 비임(133)을 보강하는 역할 이외에도 상기한 코일 적재함(140)의 코일 지지부(141)와 보강부(143)의 변형이 방지되도록 보강하는 것으로, 상기한 코일 지지부(141)와 보강부(143) 하측과 동일한 형상으로 상측에 형성된 보강 홈(151) 상측이 코일 지지부(141)의 하측을 지지하고 있으므로, 코일(10)의 하중("P"표시)이 작용하여도 변형이 방지되도록 보강하는 것이다.
도 4에 도시한 것은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를 보인 것으로, 메인 비임(133)의 상측에 대칭형으로 지지 브라켓(145)이 더 배치된 것을 보인 것이다.
지지 브라켓(145)은 단면상 예각(銳角)으로 형성되며, 수직상태로 마련된 고정부(145a)와, 이 고정부(145a)의 상단과 연계하여 상기한 코일 지지부(141) 경사각도의 연장선상에서 동일 각도로 형성된 지지부(145b)를 포함한다.
지지 브라켓(145)은 상기한 코일 적재함(140)의 길이와 동일하게 배치되어 대형 코일(10)의 지지가 용이하도록 하였다.
도시한 바를 참조하면, 메인 비임(133)의 상측면에 용접으로 장착된 것을 보이고 있으나, 그 것은 당업계의 제조기술로서, 볼트결합으로 변형하여 장착할 수도 있고, 짧게 형성하여 부분적으로 코일(10)의 양 하측을 지지할 수도 있다.
상술한 일실시예에서 코일 적재함(140)만 배치된 구성은 대략 Φ1600mm 이하의 중형 코일(10)의 하중("P"표시 부위)이 코일 지지부(141)에 작용하여 트레일러(100)가 도로상에서 운행중 코너부를 돌 때, 양측으로 유동이 방지되도록 하기 위한 것이고, 상기한 지지 브라켓(145)이 배치된 다른 실시예에서는 Φ2200mm 이하의 대형 코일(10)을 안정적으로 지지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한 지지 브라켓(145)을 배치하는 이유로는 양측의 바퀴(121)가 이열(二列)로 구비되는 차종을 선호하는 국내의 실정에 맞춰, 코일 적재함(140)의 깊이가 더 이상 하측으로 배치되기 어려운 상태에서도 대형 코일(10;Φ1600mm이상)의 하부양측 지지가 용이하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계속 해서, 도 4와 도 5를 참조로 하여 본 고안에 따른 코일 적재함(140)을 갖춘 트레일러(100)의 작용을 설명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코일 지지부(141)의 연장선상에 배치된 지지 브라켓(145) 상부에 적재되는 코일(10)은 지지 브라켓(145)의 지지부(145b) 중간 지점에 접촉하며 도시한 바와 같이, 길이 방향으로 코일(10)의 폭 만큼의 거리에 하중이 작용하게 된다.
이에 따라, 코일 적재함(140)에 적재된 코일(10)은 횡단면상 좌, 우 양측 ("P"표시부분)과 일측에서 바라볼 때, 코일(10)의 폭("W"표시부분)에 해당하는 전, 후 양측으로 하중이 분산되며, 메인 프레임(130)의 변형을 방지할 수 있다.
따라서, 급 커브길을 운행할 때에도 코일 적재함(140)에 지지된 부분이 전, 후, 좌, 우 4방향으로 나누어져 있으므로, 대형 코일(10)의 유동이 방지되며, 코일 (10)의 전, 후 방향으로 양측에 지지되므로, 급정거시 전도(顚倒)가 방지된다.
이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트레일러(100)에 의하면, 횡단면상 양측과 일측에서 바라볼 때, 전, 후, 좌, 우 4방향으로 코일의 하중이 분산되어 운행시 안정감을 더 할 수 있으며, 나아가, 트레일러(100)의 어느 한 부분에 하중이 집중되지 않으므로, 메인 비임(133)에 불필요한 보강의 추가가 필요하지 않으므로, 트레일러 (100)의 무게를 경량화할 수 있고, 그에 따라, 운반하는 코일(10)의 적재량을 증가할 수 있다.
본 고안은 상술한 특정 바람직한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고안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용이하게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그와 같은 변경은 청구 항 기재의 범위 내에 있게 된다.
이상에서 상세히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경사형 코일 적재함을 갖춘 코일 운반용 트레일러에 의하면, 적재된 코일의 하중을 전, 후 좌, 우 4방향으로 분산시켜 트레일러에 불필요한 보강을 최소화하고, 그에 따라, 트레일러를 경량화한 효과가 있다.
또한, 상기한 바와 같이, 경량화된 트레일러에 의해 코일의 적재량을 극대화하여 물류비용을 절감하므로서, 사용자들의 신뢰를 얻은 효과가 있다.

Claims (3)

  1. 견인차의 후방에 결합할 수 있도록 전방에 킹핀이 구비된 피견인부와, 상기 피견인부의 후방에 도로를 주행 할 수 있도록 바퀴가 마련된 주행부와, 상기 견인부와 주행부의 상측에 마련되며 평면에서 바라볼 때, 직사각형상을 이루도록 각 90도 방향에 배치된 아웃사이드 프레임과, 상기 아웃사이드 프레임의 중앙부에 소정간격 떨어져 길이방향으로 나란히 배치되며, 그 사이에는 횡방향으로 다수 마련된 보강부재에 의해 보강되는 메인 비임이 배치된 메인 프레임과, 상기 메인 프레임 상부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코일을 적재할 수 있도록 코일 적재함이 마련된 코일 운반용 트레일러에 있어서,
    상기 코일 적재함은 상기 메인 비임의 각 내측에 소정 각도 대칭형으로 형성된 경사가 길이방향으로 배치된 코일 지지부와, 상기 코일 지지부의 각 하측과 연계하여 평면으로 형성된 보강부를 포함하며,
    상기 메인 비임의 내측에 횡방향으로 다수 배치된 보강 부재는 상기 코일 지지부, 보강부의 단면상 하측과 동일한 형상의 보강 홈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사형 코일 적재함을 갖춘 코일 운반용 트레일러.
  2. 견인차의 후방에 결합할 수 있도록 전방에 킹핀이 구비된 피견인부와, 상기 피견인부의 후방에 도로를 주행 할 수 있도록 바퀴가 마련된 주행부와, 상기 견인부와 주행부의 상측에 마련되며 평면에서 바라볼 때, 직사각형상을 이루도록 각 90도 방향에 배치된 아웃사이드 프레임과, 상기 아웃사이드 프레임의 중앙부에 소정간격 떨어져 길이방향으로 나란히 배치되며, 그 사이에는 횡방향으로 다수 마련된 보강부재에 의해 보강되는 메인 비임이 배치된 메인 프레임과, 상기 메인 프레임 상부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코일을 적재할 수 있도록 코일 적재함이 마련된 코일 운반용 트레일러에 있어서,
    상기 코일 적재함은 상기 메인 비임의 각 내측에 소정 각도 대칭형으로 형성된 경사가 길이방향으로 배치된 코일 지지부와, 상기 코일 지지부의 각 하측과 연계하여 평면으로 형성된 보강부를 포함하며;
    상기 메인 비임의 내측에 횡방향으로 다수 배치된 보강 부재는 상기 코일 지지부, 보강부의 단면상 하측과 동일한 형상의 보강 홈이 형성되고;
    상기 메인 비임의 길이 방향 상측에는 상기 코일 지지부 경사각도의 연장선상과 동일 각도를 이루도록 예각으로 형성된 지지브라켓이 대칭형으로 배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사형 코일 적재함을 갖춘 코일 운반용 트레일러.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 브라켓은 수직상태로 형성된 고정부와, 상기 고정부의 상단과 연계하여 상기 코일 지지부 경사각도의 연장선상에서 동일 각도로 형성된 지지부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사형 코일 적재함을 갖춘 코일 운반용 트레일러.
KR20-2003-0040632U 2003-12-30 2003-12-30 경사형 코일 적재함을 갖춘 코일 운반용 트레일러 KR200345421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3-0040632U KR200345421Y1 (ko) 2003-12-30 2003-12-30 경사형 코일 적재함을 갖춘 코일 운반용 트레일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3-0040632U KR200345421Y1 (ko) 2003-12-30 2003-12-30 경사형 코일 적재함을 갖춘 코일 운반용 트레일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45421Y1 true KR200345421Y1 (ko) 2004-03-27

Family

ID=4942698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3-0040632U KR200345421Y1 (ko) 2003-12-30 2003-12-30 경사형 코일 적재함을 갖춘 코일 운반용 트레일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45421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74297Y1 (ko) 2012-12-17 2014-09-25 (주)유창플러스 대형 트레일러용 상차빔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74297Y1 (ko) 2012-12-17 2014-09-25 (주)유창플러스 대형 트레일러용 상차빔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611570A (en) Unibeam trailer chassis
US7954887B2 (en) Rear structure of vehicle
US7694992B1 (en) Fifth wheel assembly
US5322314A (en) Thin gooseneck assembly
KR200419268Y1 (ko) 알루미늄 평판 트레일러
US4953891A (en) Connecting structure for connecting a spring axle suspension to a vehicle chassis
US4049289A (en) Composite automotive vehicle, components thereof, and a method of constructing and using the same
US7070177B2 (en) Sandwich design of four bag suspension for bus and coach rear drive axles
CN101263044B (zh) 鞍式联接器
KR200345421Y1 (ko) 경사형 코일 적재함을 갖춘 코일 운반용 트레일러
JP4772094B2 (ja) トラクタに牽引されるコンテナシャシ
CN108466528A (zh) 稳定杆结构、底盘及车辆
US3101819A (en) Fabricated beam construction
US8573915B2 (en) Trailer
EP0162511B1 (en) Vehicle comprising an independently air suspended axle assembly, and axle assembly
US6186533B1 (en) Monotubular chassis for trailers
JP2004189225A (ja) 移動式クレーンの下部構造体
US10661833B2 (en) Vehicle body structure
US4418934A (en) Pivotal bolster plate
EP0967139A2 (en) A trailer
JP6457768B2 (ja) 多軸高積載トラック
US10421501B2 (en) Loading platform for wheeled vehicles
CN216684590U (zh) 一种车架及半挂车
CN113442816B (zh) 一种卸式半挂车
KR200373892Y1 (ko) 적재함의 적재공간을 늘리도록 배열간격을 최소화한트레일러의 3축 액슬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106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321

Year of fee payment: 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