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45002Y1 - 원터치 배수구 마개장치 - Google Patents

원터치 배수구 마개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45002Y1
KR200345002Y1 KR20-2003-0038457U KR20030038457U KR200345002Y1 KR 200345002 Y1 KR200345002 Y1 KR 200345002Y1 KR 20030038457 U KR20030038457 U KR 20030038457U KR 200345002 Y1 KR200345002 Y1 KR 200345002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rain
stopper
elastic
plug
touch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3-0038457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백길순
Original Assignee
백길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백길순 filed Critical 백길순
Priority to KR20-2003-0038457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45002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45002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45002Y1/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C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00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12Plumbing installations for waste water; Basins or fountains connected thereto; Sinks
    • E03C1/22Outlet devices mounted in basins, baths, or sink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Sink And Installation For Waste Water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원터치 배수구 매개장치를 개시한다.
본 고안에 따른 원터치 배수구 마개장치는 배수관로 입구상에 설치되어 선택적으로 배수구 개폐를 이루는 배수구 마개장치에 있어서, 배수관로내에 삽입되는 것으로 양단이 개방된 원기둥 형태를 갖는 외관과, 등간격으로 세 개의 돌출편이 방사상으로 연장되어 상기 외관내에 연결되는 고리 형상의 부재로 내주면에는 나선이 형성된 브라켓트과, 상기 외관에 삽입되는 것으로 하단부에 구비되어 상기 브라켓트에 나사결합되는 고정축과, 이 고정축에 탄성 결합되며 가압력에 의해 직선 왕복 변위를 갖는 탄성 이동축과, 상기 탄성 이동축의 상단에 연결되어 일체로 연동하는 것으로 외관의 상부면 전체를 커버하는 크기로 마련되는 버튼 마개부로 구성되는 탄성버튼 어셈블리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고 작용되는 원터치 배수구 마개는 배수관 상에 설치되는 외관과, 이 외관상에 설치되는 탄성버튼 어셈블리는 사용자가 버튼마개를 누르는 간소한 동작을 통해 배수구의 개폐가 이뤄지므로 사용상의 편리함과 더불어 외관이 미려하므로 소비자의 만족도를 높일 수 있는 이점이 있다.

Description

원터치 배수구 마개장치{Drain stopper}
본 고안은 욕조나 세면대 또는 씽크대 등의 배수구에 설치되는 배수구 마개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누름 작동에 의해 배수구의 개폐 작동을 가능하게 하여 사용상의 편리성을 높일 수 있는 원터치 배수구 마개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세면대, 욕조, 씽크대 등의 물을 사용하는 곳에는 사용후 물을 배수하기 위한 배수구가 마련되어져 있다. 이러한 배수구에는 배수관로를 통제하기 위한 배수구개폐장치가 설치된다. 배수구개폐장치의 기능은 세면대를 예로 들어 설명하면 세면 등을 행할 시에는 배수구를 폐쇄시켜 세면대에 용수 등을 저장할 수 있게 하고, 용수를 배수하고자 할 때에는 배수구를 개방시켜 세면대와 배수관을 개방상태로 전환하게 된다. 이에 대한 종래의 일예가 도 1 및 도 2에 도시되어 있다.
도 1은 일반적인 배수구개폐장치의 구조를 보여주는 단면도이고, 도 2는 도 1에 도시된 배수구개폐장치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의 세면대에 사용되는 배수구개폐장치는 세면대(10)의 배수구(12)를 밀폐시키도록 원반형으로 형성된 마개(20)와, 마개(20)를 상하로 연동시켜 배수구(12)를 개폐하도록 마개(20)와 링크 연결된 마개개폐수단으로 구성되어 있다. 마개개폐수단은 마개누름대(30)와, 중간링크(32)와, 마개스템(22)으로 구성되어 있다. 마개누름대(30)는 사용자가 누르거나 당김에 따라 소정구간 상하로 이동가능하도록 세면대(10)의 일측부를 관통하여 결합되어 있다. 마개스템(22)은 마개(20)하부에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 마개누름대(30)와 마개스템(22)은 중간링크(32)로 연결되어 링크작동가능하게 구성되어 있다. 마개스템(22)은 4방향으로 대향되게 연장된 4개의 리브(24)를 형성하고 있다. 이로 인하여, 마개스템(24)이 좌우로 흔들리지 않게 됨으로써 마개(20)의 진행방향을 가이드하여 배수구(12)를 정확히 밀폐시키게 된다.
특히, 도 2는 도 1에 개시된 일반적인 배수구개폐장치의 구성부품들을 조립순서에 따라 나열한 것으로, 보는 바와 같이 배수마개(20)를 작동하기 위한 장치를 구성하기 위하여 패킹(13), 로크너트(14), 플랜지너트(15) 및, T자관(16)등의 수많은 부품들이 사용되고 있다. 따라서, 제작비가 많이 들 뿐만 아니라, 설치가 어렵고 보수유지도 힘든 폐단이 있었다.
또한, 위와 같은 배수구개폐장치는 배수구의 개폐에는 무리가 없으나, 머리카락과 같은 이물질이 링크(레버)부재에 걸려 결국 배수구가 막히는 결과를 초래하는 단점이 있었다. 따라서, 막힌 배수관을 뚫기 위하여 유해성분의 화학제를 다량 사용하게 되어 환경오염을 유발할 우려도 높았다. 또한, 세면대에서 배수관내로 유입되어 배수되는 용수는 배수관내부로 진입되어 마개와 연결된 중간링크부재와 충돌하여 흐름에 제약을 받게됨은 물론 배수관 내/외부에 걸쳐 위치하고 있는 중간링크부재를 타고 T자배관을 통해 누수가 일어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러한 문제를 해소하기 위하여 마개누름대와 링크를 제거한 배수구개폐장치가 고안되었는 데, 이에 대한 일예가 도 3 및 도 4에 개시되어 있다.
도 3은 종래의 누름작동식 배수구개폐장치의 구조를 나타낸 단면도이고, 도 4는 도 3의 핵심부분을 상세하게 나타낸 분해사시도이다.
도시한 바와 같이, 배수전본체(50)의 배수구(52)안에 안내통(60)을 스크류들(54)로 고정하고, 이 안내통(60)에 마개(70)를 지지하는 지지축(72)을 상하방향으로 자유롭게 진출입할 수 있도록 삽입하여, 안내통(60) 내부에 설치된 상하구동수단인 쓰러스트로크(Thrust Lock)기구(80)에 결합하고 있다. 이 쓰러스트로크기구(80)는 볼펜등의 펜심을 드나들게 하기 위해서도 사용되는 기구로, 도 4에서 보는 바와 같이 지지축(72)의 위쪽부분에 끼워 고정되는 고정링(82)과, 이 고정링(82)의 아래에 결합되며 지지축(72)상에 끼워져 일정거리 상하동가능하게 되는 회전링(84) 및, 안내통(60)에 형성된 걸착돌출부(62)와 안내홈(64)으로 구성되어진다. 고정링(82)과 회전링(84)은 그 대응면부에 각각 톱니들(82a,84a)이 형성되어 맞물리며, 그 톱니들(82a,84a)과 인접한 외주면에 90° 간격을 두고 걸림턱들(82b,84b)이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마개(70)를 밀면 지지축(72)이 하강하면서 고정링(82)의 걸림턱(82b)은 안내홈(64)의 아래쪽까지 내려가서, 회전링(84)의 걸림턱(84b)을 밀어내게 된다. 이때, 회전링(84)을 밀고 있는 스프링(86)의 탄성력에 의해 회전링(84)의 톱니(84a)는 고정링(82)의 톱니(82a)에서 미끄러지면서 이동하게 된다. 이 상태에서 마개(70)에서 손을 떼면 스프링(86)의 복원력에 의해 지지축(72)이 상승하면서 회전링(84)의 걸림턱(84b)은 안내통(60)의 걸착돌출부(62)에 걸리게 되고, 그에 따라 지지축(72)도 상승이 정지되면서 하강위치에 정지되어 지지축(72)의 상단에 고정된 마개(70)를 하강상태로 유지하여 배수구(52)를 폐쇄하게 된다.
물론, 마개(70)를 한번더 누르면 위와 같이 고정링(82)의 톱니(82a)에서 회전링(84)의 톱니(84a)가 선회되면서 회전링(84)의 걸림턱(84b)이 안내통(60)의 안내홈(64)에 위치하게 되고, 이 상태에서 손을 떼면 걸림이 해제되어 스프링(86)의 복원력에 의해 고정링(82) 및 회전링(84)의 걸림턱들(82b,84b)이 안내홈(64)을 따라 상승하면서 지지축(72)과 마개(70)도 일체로 상승하여 마개(70)가 배수구(52)를 개방하게 된다.
이상 설명한 종래의 누름작동식 배수구개폐장치는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많은 구성요소들이 결합되어 이루어지므로 그 구조가 복잡할 뿐만 아니라, 플라스틱의 고정링과 회전링의 톱니들 및 걸림턱들이 맞물려 작동하면서 마모가 발생하므로 내구성이 떨어지는 단점이 있었다. 더욱이, 마개와 결합되어 지지축을 파지하고 있는 안내통이 배수전몸체에 스크류로 완전히 고정되어 있으므로 배수구로부터 마개의 장착 및 분리가 어려워 조립이 힘들 뿐만 아니라, 배수구의 청소도 곤란하였다. 또한, 복잡한 구조로 인하여 고장 및 일부품의 파손시 교체 및 수리가 불가능한 문제점도 있었다
본 고안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 고안의 목적은 원터치 누름 동작에 의해 배수구를 개방 및 차단시키도록 하여 사용상의 편리성을 제공하여 제품에 대한 소비자의 만족도를 충족시킬 수 있도록 한 원터치 배수구 마개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배수구 개폐장치의 구조를 보여주는 단면도이고,
도 2는 도 1에 도시된 배수구개폐장치의 분해사시도이고,
도 3은 종래의 누름작동식 배수구개폐장치의 구조를 나타낸 단면도이고,
도 4는 도 3의 핵심부분을 상세하게 나타낸 분해사시도이고,
도 5 및 도 6은 본 고안에 따른 원터치 배수구 마개장치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500 : 외관
600 : 브라켓트
700 : 탄성버튼 어셈블리
상기의 목적을 실현하기 위한 본 고안에 따른 원터치 배수구 마개장치는, 배수관로 입구상에 설치되어 선택적으로 배수구 개폐를 이루는 배수구 마개에 있어서,
배수관로내에 삽입되는 것으로 양단이 개방된 원기둥 형태를 갖는 외관과;
등간격으로 세 개의 돌출편이 방사상으로 연장되어 상기 외관내에 연결되는 고리 형상의 부재로 내주면에는 나선이 형성된 브라켓트를 포함하며,
상기 외관내에 삽입설치되는 것으로 하단부에 구비되어 상기 브라켓트에 나사결합되는 고정축과, 이 고정축에 탄성 결합되며 가압력에 의해 직선 왕복 변위를 갖는 탄성 이동축과, 상기 탄성 이동축의 상단에 연결되어 일체로 연동하는 것으로 외관의 상부면 전체를 커버하는 크기로 마련되는 버튼 마개부로 구성되는 탄성버튼 어셈블리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그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고안에 따른 원터치 배수구 마개장치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6 및 도 7은 본 고안에 따른 원터치 배수구 마개장치를 나타낸 단면도로서, 이에 나타내 보인 바와 같이, 원터치 배수구 마개장치는 크게 외관(500)과, 브라켓트(600)과, 탄성버튼 어셈블리(700)로 구성된다.
상기 외관은 중공의 파이프 형태로 제공되어지는 것으로서 통상 배수구(300)의 지름에 비례하는 크기로 구비되어 삽입되어진다. 이러한, 외관은 그 내부 중심에 고리 형상을 갖는 브라켓트(600)이 구비된다.
상기 브라켓트(600)은 상술한 외관에 비하여 현격이 작은 지름으로서 구비되며, 그 내주면에는 나선이 가공되고 외주면으로는 등간격으로 돌출편이 방사상으로 연장 형성된다. 이때의 상기 돌출편은 외관의 내주면에 연결되어지게 된다.
따라서,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갖는 브라켓트(600)은 상기 외관(500)에 일체로 구비되어지는 구성이며, 방사상으로 돌출 연장된 복수개의 돌출편들 사이로 배수 물이 배수되어지게 된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외관(500)과 브라켓트(600)은 탄성버튼 어셈블리(700)의 일단이 결합 및 구비되어지게 된다.
상기 탄성버튼 어셈블리(700)은 크게 고정축(710)과, 탄성 이동축(720) 그리고 버튼 마개부(730)로 구성된다.
이러한 탄성버튼 어셈블리(700)에서 상기 고정축(710)은 상기 배수관로(300)내에 설치되어지는 외관(500)내에 구비되어지는 것으로서, 그 하단부는 상술한 브라켓트(600)의 내주연에 나사체결되어 고정되어지고, 그 상단부는 상측으로 연장되는 것으로 그 일측면으로는 대략 하트 형상을 갖는 가이드홈과 이 가이드홈을 따라 이동하는 탄성핀 그리고 코일 스프링(s)이 내설되어지는 구조이다. 이러한, 고정축(710)은 상부 내주면으로 탄성 이동축의 하단부 일부가 삽입되는 구조이다.
한편, 상기 고정축(720)은 외주면에 길이 방향으로 직선이동 홈이 형성되는 구조로서, 이러한 직선 이동홈으로는 상기 고정축(710) 상에 구비된 돌기가 삽입된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해 상기 탄성 이동축(720)은 고정축(710)을 중심으로 일정한 구간 즉, 직선 이동홈이 형성된 구간내에서 직선 이동을 하게 된다.
특히, 상기 탄성 이동축(720)은 고정축(710)과의 결합시 구비되는 탄성핀과 가이드홈 그리고 코일 스프링의 결합구조에 의해 가압력을 받을 경우에는 왕복 변위를 갖는 특징을 갖는다. 이는 통상의 푸시버튼의 구조와 대동소이하다.
한편, 상기 탄성 이동축(720)의 상단으로는 버튼 마개부(730)가 일체로 연결 형성되는 구조이며, 이때의 상기 버튼 마개부(720)는 상술한 외관(500)의 지름을 커버하는 크기로서 구비되어진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어지는 본 고안에 따른 원터치 배수구 마개장치의 동작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본 고안의 원터치 배수구(300) 마개장치는 세면대나 욕조의 배수구(300) 부분에 삽입 설치되어질 수 있다.
이때, 상기 외관(500)은 상기 배수구(300)의 지름에 비례하는 크기로서 구비되어짐에 따라 배수구(300)는 외관(500)을 통해 연결된 상태를 이루게 된다.
이와 같은 상태에서 버튼마개를 일회 가압하게 되면 푸시버튼의 동작원리에 의해 탄성 이동축(720)이 상방향으로 변위를 갖게됨에 따라 버튼마개가 일체로 상승하게 되어 결과적으로 버튼마개와 외관(500)의 상면 사이에 공간이 형성되게 된다.
따라서, 상기 공간을 통해 배수구(300)가 연결되어짐에 따라 배수작업이 이루어질 수 있게 된다.
한편, 상기와 같은 상태에서 배수구(300)를 차단하는 경우에는 다시 버튼 마개를 일회 가압하게 되면, 푸시버튼의 동작원리에 의해 상기 탄성 이동축(720)이 하방향으로 변위를 갖게된다.
따라서, 상기 탄성 이동축(720)과 일체로 연동하는 버튼 마개 역시 하방향으로 이동되어짐에 따라 상기 외관(500)의 상면을 차폐시키게 된다. 따라서, 상기 외관(500)의 차폐되어짐에 따라 결과적으로 배수구(300)가 차폐된 상태를 유지하게 되는 것이다.
본 고안은 기재된 실시예에 한정하는 것이 아니고, 본 고안의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다양하게 수정 및 변형을 할 수 있음은 이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는 자명하다. 따라서, 그러한 변형예 또는 수정예들은 본 고안의 실용신안등록청구범위에 속한다 해야 할 것이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고 작용되는 원터치 배수구 마개장치는 배수관 상에 설치되는 외관과, 이 외관상에 설치되는 탄성버튼 어셈블리는 사용자가 버튼마개를 누르는 간소한 동작을 통해 배수구의 개폐가 이뤄지므로 사용상의 편리함과 더불어 외관이 미려하므로 소비자의 만족도를 높일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구조가 간소하고 배수구상에 단일체로서 설치되어지므로 보수 및 교체가 용이한 이점이 있다.

Claims (1)

  1. 배수관로 입구상에 설치되어 선택적으로 배수구 개폐를 이루는 배수구 마개장치에 있어서,
    배수관로내에 삽입되는 것으로 양단이 개방된 원기둥 형태를 갖는 외관과;
    등간격으로 세 개의 돌출편이 방사상으로 연장되어 상기 외관내에 연결되는 고리 형상의 부재로 내주면에는 나선이 형성된 브라켓트과;
    상기 외관내에 삽입설치되는 것으로 하단부에 구비되어 상기 브라켓트에 나사결합되는 고정축과, 이 고정축에 탄성 결합되며 가압력에 의해 직선 왕복 변위를 갖는 탄성 이동축과, 상기 탄성 이동축의 상단에 연결되어 일체로 연동하는 것으로 외관의 상부면 전체를 커버하는 크기로 마련되는 버튼 마개부로 구성되는 탄성버튼 어셈블리;
    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터치 배수구 마개장치.
KR20-2003-0038457U 2003-12-10 2003-12-10 원터치 배수구 마개장치 KR200345002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3-0038457U KR200345002Y1 (ko) 2003-12-10 2003-12-10 원터치 배수구 마개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3-0038457U KR200345002Y1 (ko) 2003-12-10 2003-12-10 원터치 배수구 마개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45002Y1 true KR200345002Y1 (ko) 2004-03-12

Family

ID=4942671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3-0038457U KR200345002Y1 (ko) 2003-12-10 2003-12-10 원터치 배수구 마개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45002Y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78385B1 (ko) 2006-05-19 2007-02-02 이상철 세면대의 원터치 배수밸브 개폐장치
KR200461793Y1 (ko) 2010-12-09 2012-08-07 황학기 세면대용 원터치 배수밸브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78385B1 (ko) 2006-05-19 2007-02-02 이상철 세면대의 원터치 배수밸브 개폐장치
KR200461793Y1 (ko) 2010-12-09 2012-08-07 황학기 세면대용 원터치 배수밸브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762307B2 (ja) 洗濯機
US4380834A (en) Pop-up plunger
US4456222A (en) Mechanism for water valve
KR20060091052A (ko) 위생용기내 급속 설치용 개선된 배수관 조립체
CA2469521A1 (en) Valve for a water faucet
US20220213977A1 (en) Arbitrary directional touch switch
US10487485B2 (en) Drain cover assembly
KR200345002Y1 (ko) 원터치 배수구 마개장치
KR200368843Y1 (ko) 팝업밸브
KR100978682B1 (ko) 배수구 개폐장치
KR101076273B1 (ko) 배수구 개폐장치
CN202432059U (zh) 双模式延时自动水龙头
KR200273579Y1 (ko) 누름작동식 배수구개폐장치
US20230148123A1 (en) Pop-up drain stopper and actuator assembly
CN216813028U (zh) 一种延时阀芯
KR20070045652A (ko) 세면대 배수구 개폐장치
KR200273518Y1 (ko) 누름버튼식 배수구개폐장치
JP2008025331A (ja) 排水栓装置
KR200212084Y1 (ko) 세면대의 배수구 개폐장치
CN113374045A (zh) 一种除垢装置和便器的下水管道
KR20100008003U (ko) 세면대용 배수 개폐장치
KR200405568Y1 (ko) 세면대 배수구 개폐장치
KR200250204Y1 (ko) 세면대의 배수구 개폐장치
JP2000240123A5 (ko)
KR200279917Y1 (ko) 배수밸브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