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44913Y1 - 복수 회전콘형 탈수기 - Google Patents

복수 회전콘형 탈수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44913Y1
KR200344913Y1 KR20-2003-0040236U KR20030040236U KR200344913Y1 KR 200344913 Y1 KR200344913 Y1 KR 200344913Y1 KR 20030040236 U KR20030040236 U KR 20030040236U KR 200344913 Y1 KR200344913 Y1 KR 200344913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e
attached
flesh
tip
shaf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3-0040236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오인숙
Original Assignee
오인숙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오인숙 filed Critical 오인숙
Priority to KR20-2003-0040236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44913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44913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44913Y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4CENTRIFUGAL APPARATUS OR MACHINES FOR CARRYING-OUT 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 B04BCENTRIFUGES
    • B04B11/00Feeding, charging, or discharging bowls
    • B04B11/08Skimmers or scrapers for discharging ; Regulating thereof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4CENTRIFUGAL APPARATUS OR MACHINES FOR CARRYING-OUT 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 B04BCENTRIFUGES
    • B04B7/00Elements of centrifuges
    • B04B7/02Casings; Lids
    • B04B7/04Casings facilitating discharg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4CENTRIFUGAL APPARATUS OR MACHINES FOR CARRYING-OUT 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 B04BCENTRIFUGES
    • B04B9/00Drives specially designed for centrifuges; Arrangement or disposition of transmission gearing; Suspending or balancing rotary bowls
    • B04B9/10Control of the drive; Speed regulating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1/00Treatment of sludge; Devices therefor
    • C02F11/12Treatment of sludge; Devices therefor by de-watering, drying or thickening
    • C02F11/121Treatment of sludge; Devices therefor by de-watering, drying or thickening by mechanical de-watering
    • C02F11/127Treatment of sludge; Devices therefor by de-watering, drying or thickening by mechanical de-watering by centrifuga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4CENTRIFUGAL APPARATUS OR MACHINES FOR CARRYING-OUT 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 B04BCENTRIFUGES
    • B04B5/00Other centrifuges
    • B04B5/10Centrifuges combined with other apparatus, e.g. electrostatic separators; Sets or systems of several centrifuges
    • B04B2005/105Centrifuges combined with other apparatus, e.g. electrostatic separators; Sets or systems of several centrifuges being a grinding mill

Abstract

본 고안은 현탁액의 고형분 입자에 의해 탈수공이 막히지 않게 하여 탈수효율을 높일 수 있는 복수 회전콘형 탈수기를 제공하기 위한 것으로서, 기판의 원주를 등분한 곳마다 방사상으로 부착한 골재의 외측 또는 내측에 도너츠형 살을 상대측 살과의 사이에 미세한 탈수공이 남도록 부착해 내축의 선단에 장착한 내부콘과 외축의 선단에 장착한 외부콘으로 하고, 내·외부콘의 회전수를 차등화하여 각각의 살이 탈수공에 낀 고형분 입자를 맷돌질하듯이 문질러 분쇄하거나 굴려서 탈수되는 물기에 섞여 배출되도록 구성한 복수 회전콘형 탈수기를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복수 회전콘형 탈수기{Hydroextractor having plural rotating cones}
본 고안은 미세한 탈수공이 천공된 회전콘이 회전할 때 그 회전중심의 전방에 위치한 노즐로부터 분사된 현탁액이 회전콘의 앞면에 부딪쳐 원심방향으로 분산되는 과정에서 물기가 탈수공으로 배출되고 고형분은 회전콘의 선단쪽으로 배출시키는 회전콘형 탈수기의 탈수성능 개선에 관한 것이다 .
본 고안에서 현탁액이란 순수 잔반, 하수 오니의 처리과정에서 발생하는 슬러지, 슬러리를 망라한다. 이러한 현탁액을 탈수하는데 쓰이는 회전콘형 탈수기가 있는데, 탈수과정에서 회전콘에 천공된 미세한 탈수공이 현탁액의 입자가 끼어서 막히는 경향이 있다.
회전콘에 뚫린 수많은 탈수공 중의 일부라도 막히게 되면 탈수효율이 저하된다. 경시적으로 탈수효율이 저하된 경우에는 가동중인 탈수기를 멈추고 탈수공을 청소하지 않으면 안된다.
탈수공 점검작업 빈도가 높을수록 현탁액의 탈수효율은 더욱 감소되며, 이러한 점에서 현탁액 탈수과정에서 고형분으로 인해 탈수공이 막히지 않게 하기 위한 유효적절한 대책을 강구할 필요성이 대두되는 것이다.
본 고안의 목적은 탈수과정에서 고형분에 의해 탈수공이 막히지 않게 하여 탈수효율을 높일 수 있는 복수 회전콘형 탈수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이 과제는, 기판의 원주를 등분한 곳마다 방사상으로 부착한 골재의 외측 또는 내측에 도너츠형 살을 상대측 살과의 사이에 미세한 탈수공이 형성되도록 부착된 채로 내축의 선단에 장착되는 내부콘 및 외축의 선단에 장착되는 외부콘으로 하고, 내·외부콘의 회전수를 차등화하여 탈수공에 낀 현탁액의 고형분 입자를 맷돌질하듯이 문질러 분쇄하거나 굴려서 탈수되는 물기에 섞여 배출되도록 한 복수 회전콘형 탈수기로 달성하게 된다.
도 1은 본 고안에 의한 복수 회전콘형 탈수기의 종단면 및 부분
확대도
도 2는 내외측 회전콘의 분리도
도 3은 복수 회전콘의 조립사시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내축 2: 내부콘
3: 외축 4: 외부콘
5: 모터 13: 탈수공
22,41: 살대 23,42: 살
도 1에서, 본 고안의 복수 회전콘형 탈수기는 내축(1)과 그 선단에 부착된 내부콘(2), 외축(3)과 그 선단에 부착된 외부콘(4), 및 내외축 구동용 모터(5)로 구성된다.
내축(1)의 선단은 외축(3)의 선단 앞으로 약간 튀어나와 있고, 여기에 내부콘(2)이 부착되어 있으며, 내축(1)의 후단에 장착된 풀리(6)는 벨트로 모터(5)의 구동풀리(9a)에 연결되어 있다.
외축(3)은 관상 축이며, 선단에는 외부콘(4) 부착용 플랜지(7)를 갖고, 후단에는 상기 모터(5)의 제2 구동풀리(9b)에 벨트로 연결되는 풀리(8)가 장착되어 있다. 풀리(6)는 외축(3)의 풀리(8) 보다도 반경이 작고, 모터(5)의 구동풀리(9a,b)는 동일하다. 이에 따라 내축(1)은 외축(3) 보다도 빠르게 회전하게 된다. 이를테면 내축(1)이 2000rpm/min 이면 외축(3)은 1800rpm/min으로 차등화한 것이다. 이는 내부콘(2)과 외부콘(4)의 살 사이에 낀 고형분의 입자를 문질러 부숴서 배출되게 하는데 필요하다.
내축(1)은 외축(3)의 베어링(10)에 의해 회전가능하게 지지되고, 외축(3)은 케이싱(11)의 베어링(12)에 지지되어 회전하게 된다.
내부콘(2)은 원형 기판(21)의 가장자리를 등분한 곳마다 둔각으로 살대(22)를 부착하고 그 외면에 도너츠형 살(23)을 둘러 붙인 것이며, 외부콘(4)은 외축(3)의 선단에 부착된 플랜지(7)의 원주를 등분한 곳에 부착되는 살대(41)의 내면에 도너츠형 살(42)을 부착한 것이다.
내부콘(2)용 살대(22)는 외면쪽에서 살(23)이 부착될 곳에 살좌(24)를 형성하고, 외부콘(4)용 살대(41)는 내면쪽에서 살(42)이 부착될 곳에 살좌(43)를 형성한다. 살대(22,41)는 거기에 부착되는 살(23,42)의 안정과 등간격 유지가 절대적이다. 그래서 살대(22,41)의 살좌(24,43)는 등간격으로 형성하되, 자기쪽 빗살(23) 또는 (42) 사이로 상대측 빗살(42) 또는 (23)이 끼어들어 가 물기만 빠져나갈 수 있는 좁은 틈의 탈수공(13)이 남도록 반(半)피치차를 두고 서로 엇갈리게 형성한다.
도 2와 도 3에서, 외부콘(4)은 살(42)이 내부콘(2)의 살(23)에 걸리기 때문에 완성형으로는 내부콘(2)에 씌울 수 없다. 그래서 외부콘(4)은 살(42)을 원주방향으로 등분하여 살대(41)에 부착한 분할형으로 제작하여 원심방향에서 향심방향으로 내부콘(2)에 씌우듯이 조립하고, 이음새는 보울트-너트 등의 체결수단(14)으로 체결하여 온전한 형태를 갖출 수 있게 한다.
조립은 다음 요령에 준한다. 케이싱(11)의 베어링(12)에 외축(3)을 지지시키고, 외축(3)의 베어링(10)에는 내축(1)을 끼워 지지시킨다. 내축(1)의 선단에는 내부콘(2)의 기판(21)을 부착하고, 외축(3)의 플랜지(7)에는 분할제작된 외부콘 부재를 하나씩 내부콘(2) 쪽으로 접근시켜 살대(22,41) 끼리 나란하고 살(23,42) 끼리도 평행하도록 플랜지(7)에다 살대(41)의 후단과 맨 뒤쪽 살(42)을 부착한다. 이때, 내부콘(2)측 살(23) 사이로 접촉되지 않게 외부콘(4)의 살(42)이 끼워지게 한다.
내축(1)과 외축(3)의 후단에 풀리(6,8)를 장착하여 별개의 벨트로 모터(5)의 구동풀리(9a,b)에 연결한다.
모터(5)를 가동하면 내부콘(2)과 외부콘(4)은 풀리(6,8)의 반경차에 상응하는 속도차를 두고 고속회전한다. 내부콘(2)의 회전중심 전방에 설치된 기존의 현탁액 노즐(A)로 현탁액을 분사한다. 분사된 현탁액은 내부콘(2)의 기판(21)에 정면으로 부딪쳤다가 그 원심력에 의해 앞면을 타고 사방으로 흩어져 나간다.
이렇게 흘러나가는 현탁액 중에서 물기는 살(23,42) 사이의 탈수공(13)으로 빠져나가고, 고형분은 내부콘(2)을 타고 선단쪽으로 이동하여 배출된다.
이렇게 탈수가 이뤄지는 동안 혹시라도 고형분의 입자가 탈수공(13)에 끼었을 때에는 살(23)은 빠르게 회전하고 살(42)은 이보다 느리게 회전할 때 이들간에는 손바닥으로 문지르는 듯한 마찰력이 작용한다. 바로 그 마찰력에 의해 탈수공(13)에 낀 고형분의 입자는 맷돌에 갈리듯 부서지기도 하고 구르기도 한다. 그리고 그 고형분 입자는 뒤따라오는 탈수력에 밀려 외부콘(4) 밖으로 배출됨에 막힌 탈수공(13)은 저절로 뚫리게 된다.
이상 설명한대로, 본 고안의 복수 회전콘형 탈수기는 회전수가 다른 내부콘과 외부콘의 살 사이에서 일어나는 비비는 듯한 마찰력에 의해 탈수공에 낀 고형분의 입자가 분쇄되거나 굴러다니다가 이어지는 탈수압에 의해 외부콘 밖으로 저절로 배출되게 한 것으로, 탈수공이 고형분 입자로 인해 막히더라도 탈수기의 가동을 중지시켜 청소하지 않고도 탈수공의 정상기능을 회복시킬 수 있으므로 현탁액을 더욱 효과적으로 탈수할 수 있다.

Claims (1)

  1. 기판(21)의 원주를 등분한 곳마다 방사상으로 부착한 살대(22)의 외측에 도너츠형 살(23)이 등간격으로 부착된 내부콘(2)은 내축(1)의 선단에 장착하고 원주를 등분한 곳마다 방사상으로 배열된 살대(41)의 내측에 도너츠형 살(42)이 등간격으로 부착된 외부콘(4)은 내축(1)의 겉에 끼워서 케이싱(11)에 지지시킨 외축(3)의 선단에 장착하되 살(23) 사이로 살(42)이 들어가 이들간에 탈수공(13)이 형성되도록 하고, 내축(1)과 외축(3)은 회전속도가 다르게 벨트로 모터(5)에 연결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수 회전콘형 슬러리 탈수기.
KR20-2003-0040236U 2003-12-26 2003-12-26 복수 회전콘형 탈수기 KR200344913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3-0040236U KR200344913Y1 (ko) 2003-12-26 2003-12-26 복수 회전콘형 탈수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3-0040236U KR200344913Y1 (ko) 2003-12-26 2003-12-26 복수 회전콘형 탈수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44913Y1 true KR200344913Y1 (ko) 2004-03-18

Family

ID=4934431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3-0040236U KR200344913Y1 (ko) 2003-12-26 2003-12-26 복수 회전콘형 탈수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44913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0664727B1 (en) Wear resistant basket for scroll centrifuge
US5570517A (en) Slurry dryer
CA2002384C (en) Fluidizing centrifugal pump
US5302082A (en) Improved efficiency grinding pump for slurry
WO1994001218A9 (en) Grinding pump
US7374115B2 (en) Ball mill provided with an agitator
US20120004088A1 (en) Centrifugal liquid separation machine to efficiently flow multi-phase solids from a heavy phase discharge stream
US8997370B2 (en) Centrifugal dryer with replaceable blades and self-cleaning rotor seal and centrifugal dewatering tower
KR200344913Y1 (ko) 복수 회전콘형 탈수기
RU2124401C1 (ru)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обработки твердых, жидких и газообразных материалов, способ изготовления отверждаемых масс, способ изготовления многофазных устойчивых сред и способ обработки газов с использованием этого устройства
EP0100345B1 (en) Screen machine
KR101422567B1 (ko) 배출성능 향상형 배출구를 갖는 원심 분리기
JP2007136346A (ja) 汚泥等の濃縮装置
JP5653005B2 (ja) 多軸スクリュープレス
KR102145039B1 (ko) 디스크타입 스크린 탈수장치
CN114797278A (zh) 一种工业水过滤处理装置
JPH08294644A (ja) 遠心脱水機のスクレーパー装置
US5125166A (en) Sectionalized centrifugal drying basket/screen assembly
CN205379987U (zh) 一种用于离心脱水机的分料推送装置
JP2958618B2 (ja) 連続遠心脱水装置
JP2002239416A (ja) 遠心分離装置
JP2000237630A (ja) 遠心脱水装置
JP2000271510A (ja) 遠心脱水装置
RU2157922C2 (ru) Центробежный насос с рабочим колесом закрытого типа
JP2004290831A (ja) デカンタ型遠心脱水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00304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