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44770Y1 - 캔 화분 - Google Patents
캔 화분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0344770Y1 KR200344770Y1 KR20-2003-0036941U KR20030036941U KR200344770Y1 KR 200344770 Y1 KR200344770 Y1 KR 200344770Y1 KR 20030036941 U KR20030036941 U KR 20030036941U KR 200344770 Y1 KR200344770 Y1 KR 200344770Y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seeds
- metal
- fertilizer
- seed
- soil
- Prior art date
Links
Classifications
-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9/00—Cultivation in receptacles, forcing-frames or greenhouses; Edging for beds, lawn or the like
- A01G9/02—Receptacles, e.g. flower-pots or boxes; Glasses for cultivating flowers
- A01G9/021—Pots formed in one piece; Materials used therefor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Cultivation Receptacles Or Flower-Pots, Or Pots For Seedlings (AREA)
- Cultivation Of Plant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각종 꽃이나 화초의 씨앗과 배양토가 함께 내장된 금속재로 된 캔(CAN) 화분에 관한 것으로서,
상부와 하부에는 개방가능한 입구 및 배수구가 각각 형성된 금속재캔과, 씨앗을 포함하며 상기 금속재캔에 내입되는 건조된 배양토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캔(can) 화분에 있어서, 상기 금속재캔의 중간부에는 다수개의 관통공이 형성된 구분판을 착탈가능하게 설치하거나 다수개의 인공섬유볼층을 이격되게 배치하고, 상기 구분판 또는 인공섬유볼층의 상부와 하부에는 씨앗이 내입되며 비료를 포함하지 않는 배양토와 비료를 포함하며 씨앗이 내입되지 않은 배양토가 각각 배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므로,
씨앗과 비료가 조기에 직접적으로 접촉하는 것이 방지되고 운반과정 중에도 상하의 배양토가 쉽게 섞이지 않도록 화분 내의 배치구조를 개선함으로써, 씨앗상태 또는 씨앗의 뿌리가 썩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므로, 씨앗의 발아율 및 생장율이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금속재 캔의 구조를 개선하여 배수성이 더욱 향상될 뿐만 아니라, 씨앗의 생육상태를 용이하게 관찰할 수 있다는 장점도 있다.
Description
본 고안은 각종 꽃이나 화초의 씨앗과 배양토가 함께 내장된 금속재로 된 캔(CAN) 화분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캔 화분의 배치구조를 개선하여 씨앗의 발아율 및 생장율을 향상시킨 캔 화분에 관한 것이다.
최근, 음류수 캔과 유사한 금속재의 캔에 씨앗과 건조된 배양토를 넣고 물을 주어 꽃이나 화초를 키울 수 있는 캔 화분이 시판되고 있다. 이러한 캔 화분은, 종래의 화분처럼 무겁지 않으면서도, 운반 및 보관이 용이할 뿐 아니라, 비료가 포함된 배양토가 내장되어 있어, 별도의 비료를 주지 않고도 물을 주어 간편하게 꽃이나 화초를 키울 수 있으므로, 점차 많이 사용되는 추세에 있다.
도 1 및 도 2는, 종래의 캔 화분을 나타내는 사시도 및 단면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종래 캔 화분은 상부와 하부에 개방가능한 입구(11) 및 배수구(12)가 각각 형성된 금속재 캔(10)을 포함한다.
도 2를 참조하면, 상기 금속재 캔(10)의 바닥면 위에는 배수망(20)이 설치되어 있으며, 금속재 캔 내부에는 씨앗(30)이 분산배치된 배양토(40)가 충전되어 있다. 배양토(40)는 질석을 주성분으로 하며 깸묵과 같은 비료(50)성분이 약 5% 정도 포함된 건조된 상태의 식재이다. 상기 입구를 통하여 물을 주면 배양토(40) 속에 포함된 씨앗(30)이 물을 흡수하여 발아하게 되고, 비료성분은 물에 녹아서 씨앗 주위에 영양분이 충만한 상태가 되므로, 발아한 씨앗(30)은 자라면서 이 영양분을 흡수하면서 차츰 생장해가게 된다.
그러나, 이러한 구조의 종래의 캔 화분은 화분 내의 씨앗(30) 중 상당부분이 썩게 되어 씨앗의 생장율이 낮은 문제점이 있다.
즉, 상기 씨앗에 물을 주면 상대적으로 삼투압이 높은 씨앗으로부터 주변의 비료성분쪽으로 수분을 빼앗기게 되고, 수분이 빠져 나간 부분이 쪼그라들면서 씨앗이 미처 발아하지 못한 상태에서 썩게 되는 단점이 있다.
또한, 씨앗은 일단 물을 흡수하면 발아하게 되는데, 발아 직후의 씨앗의 뿌리는 매우 연약한 상태에 있어 상기 뿌리가 너무 일찍 비료와 접촉하게 되면, 주위의 비료로부터 과다한 영양이 공급되어 뿌리가 미처 생장하기도 전에 썩어버리는 등의 문제가 있다.
또한, 종래의 캔 화분은 금속재 캔 바닥이 평평하게 구성되어 있고, 그 중앙에 배수구가 형성되어 있어 배수구 주위 부분의 배수효율이 좋지 않게 되며 이로 인하여, 물이 배양토 중에 오래 머물러 있게 되어 씨앗 및 뿌리 부패의 문제가 더욱 심각해지는 단점이 있었다.
상기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씨앗을 되도록 비료와 멀리 분리하여 배치시키는 방법을 강구할 수 있으나, 캔 화분을 운반하는 과정에서 비료와 씨앗이 섞여 버릴 염려가 있고, 시간이 흐르면 씨앗이나 비료가 자체 하중에 의하여 하강하여 결국 가까이 위치하게 되므로, 완벽한 해결책이 되기는 힘들다.
본 고안은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씨앗을 비료와 분리배치하여 씨앗과 비료가 조기에 접촉되는 것을 방지하여 씨앗의 발아율과 생장율을 향상시킬 수 있는 캔 화분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금속재 캔의 구조를 개선하여 배수효율이 향상된 캔 화분을 제공하는 것에 있다.
또한, 본 고안의 또 다른 목적은 씨앗의 생육상태를 용이하게 관찰할 수 있는 캔 화분을 제공하는 것에 있다.
도 1은, 종래의 캔 화분을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2는, 종래의 캔 화분의 단면도이고,
도 3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인 캔 화분의 단면도 및 요부확대도이고,
도 4는,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인 캔 화분의 단면도 및 요부확대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금속재 캔, 110...상부면,
120...바닥면, 121...배수구,
122...배수홈, 130...투명재질창,
140...구분판, 140a...관통공,
B...인공섬유볼층, 200...배수망,
300...씨앗, 400...배양토,
500...비료.
1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의 캔 화분은,
상부와 하부에는 개방가능한 입구 및 배수구가 각각 형성된 금속재캔과, 씨앗을 포함하며 상기 금속재캔에 내입되는 건조된 배양토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캔(can) 화분에 있어서,
상기 금속재캔의 중간부에는 다수개의 관통공이 형성된 구분판이 착탈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구분판의 상부와 하부에는 씨앗이 내입되며 비료를 포함하지 않는 배양토와 비료를 포함하며 씨앗이 내입되지 않은 배양토가 각각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인 캔 화분은,
상부와 하부에는 개방가능한 입구 및 배수구가 각각 형성된 금속재캔과, 씨앗을 포함하며 상기 금속재캔에 내입되는 건조된 배양토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캔(can) 화분에 있어서,
상기 금속재캔의 중간부에는 다수개의 인공섬유볼이 이격되게 배치되어 층을이루고, 상기 인공섬유볼층의 상부와 하부에는 씨앗이 내입되며 비료를 포함하지 않는 배양토와 비료를 포함하며 씨앗이 내입되지 않은 배양토가 각각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금속재캔의 바닥면은 아래로 만곡되도록 형성되고, 상기 바닥면의 최하단부에 배수구가 형성되며, 상기 바닥면 주위에는 상기 배수구보다 더 낮은 위치까지 연장되는 테두리부가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바닥면 상에 배수구를 향하여 연장되는 다수개의 배수홈이 형성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금속재캔의 측면에는 투명재질의 창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도 3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인 캔 화분의 단면도 및 요부확대도이고,
도 4는,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인 캔 화분의 단면도 및 요부확대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본 고안의 캔 화분은 종래의 캔 화분과 달리, 배양토(400)가 캔 중간부의 구분판(140)을 기준으로 하여 분리배치된 점에 특징이 있다.
즉, 본 고안에 따른 금속재 캔(100)의 중간부에는 다수개의 관통공(140a)이 형성된 구분판(140)이 착탈가능하게 설치되어 있으며, 상기 구분판을 기준으로 상부에는 씨앗(300)이 내입되며 비료(500)성분을 포함하지 않는 배양토(400)가 배치되고, 하부에는 비료성분을 포함하며 씨앗이 내입되지 않은 배양토(400)가 배치되어 있다.
이와 같은 배치에 의하여, 씨앗(300)이 물을 흡수하더라도 비료(500)와 접촉하지 않으므로, 삼투압 현상 등에 의하여 씨앗상태에서 썩는 것이 방지되며, 이로 인하여 씨앗의 발아율이 향상된다.
또한, 본 고안에 따르면, 씨앗(300)이 물을 흡수하여 뿌리가 성장하더라도, 바로 비료(500)와 접촉하지 않고, 구분판(140)의 관통공(140a)을 통과하여 일정길이 이상 성장된 후에야 비료와 접촉하게 되므로, 뿌리가 과다한 영양분에 의하여 썩는 비율이 크게 감소하여 생장율도 향상된다.
본 고안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구분판(140) 대신에 인공섬유로 이루어진 볼(B) 형태의 층을 화분 중간부에 배치하여도 상기와 동일한 효과를 얻을 수 있다(도 4 참조).
즉, 예컨대 인공솜과 같은 부드러운 재질로 이루어진 볼을 서로 이격되게 배치하면, 씨앗(300)이 비료(500)와 직접 접촉되는 것을 막을 수 있을 뿐 아니라, 향후 씨앗에서 성장해나온 뿌리가 상기 인공섬유볼의 사이를 비집고 내려와서 비료와 접촉하게 되므로, 구분판(140)을 사용하는 경우보다는 뿌리의 생장에 방해가 덜 되므로, 구분판(140)을 사용하는 경우에 비하여 보다 유용한 면이 있다.
특히, 상기 실시예들은 화분을 운반하는 과정에서도, 구분판(140) 또는 인공섬유볼층(B)이 상하부의 배양토(400)에 의하여 상하압박되어 지지되므로, 상하부의 배양토(400), 비료(500), 씨앗(300)이 잘 섞이지 않으므로, 비료의 악영향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상부와 하부의 배양토(400)는 필요에 따라 서로 다른 성분의 것을 사용할 수도 있으나, 통상 씨앗(300)(상부 배양토)과 비료(500)(하부 배양토)의 포함여부를 제외하고는 동일한 성분, 예컨대 질석이 주성분으로 포함되어 있는 배양토를 쓰는 것이 보통이다.
구분판의 관통공(140a) 직경, 인공섬유볼(B)의 배치간격은 크게 중요하지는 않지만, 적어도 씨앗(300)의 평균직경보다 큰 것은 바람직하지 않다. 또한, 상기 관통공 직경이나 배치간격은 이론적으로는, 비료의 평균직경보다 작은 것이 좋겠지만, 하부에 깔려 배치된 비료가 위로 상승하기는 힘들므로, 비료의 크기와 관련되어서는 실제 크게 문제되지 않는다.
본 실시예에 따른 금속재 캔(100)은, 그 바닥면(120)이 아래로 만곡되게 형성되고 그 최하단부에 배수구(121)가 형성되어 있어 배수성이 우수하다. 특히, 상기 바닥면(120) 상에 배수구까지 연장된 배수홈(122)을 형성해 두면 물빠짐이 더욱 우수하게 된다. 물이 배양토(400) 내에 오래 체류해서 생기는 씨앗 부패의 문제를 줄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상기 바닥면의 테두리부분(123)은 배수구(121)보다 더 낮은 위치까지 연장되어 캔 화분을 지지한다. 상기 바닥면(120) 상에 배수망(200)이 설치되는 것은 종래와 마찬가지이며, 상기 배수망(200)은 배양토(400)의 하중에 의하여 바닥면(120)과 유사한 형상으로 아래로 휘게 된다.
한편, 상기 금속재 캔(100)의 측벽에 하나 이상의 투명재질창(130)을 형성하여 두면, 씨앗(300)의 발아나 생육상태를 육안으로 관찰할 수 있어, 생육상태에 따라 물의 양 등의 생육조건을 자유로이 조절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투명재질창(130)으로서는, 예컨대 투명플라스틱이나 세라믹 재질의 것을 쓸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르면, 씨앗과 비료가 조기에 직접적으로 접촉하는 것이 방지되고 운반과정 중에도 상하의 배양토가 쉽게 섞이지 않도록 화분 내의 배치구조를 개선함으로써, 씨앗상태 또는 씨앗의 뿌리가 썩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므로, 씨앗의 발아율 및 생장율이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금속재 캔의 구조를 개선하여 배수성이 더욱 향상될 뿐만 아니라, 씨앗의 생육상태를 용이하게 관찰할 수 있다는 장점도 있다.
Claims (5)
- 상부와 하부에는 개방가능한 입구 및 배수구가 각각 형성된 금속재캔과, 씨앗을 포함하며 상기 금속재캔에 내입되는 건조된 배양토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캔(can) 화분에 있어서,상기 금속재캔(100)의 중간부에는 다수개의 관통공(140a)이 형성된 구분판(140)이 착탈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구분판의 상부와 하부에는 씨앗(300)이 내입되며 비료(500)를 포함하지 않는 배양토(400)와 비료를 포함하며 씨앗이 내입되지 않은 배양토가 각각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캔 화분.
- 상부와 하부에는 개방가능한 입구 및 배수구가 각각 형성된 금속재캔과, 씨앗을 포함하며 상기 금속재캔에 내입되는 건조된 배양토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캔(can) 화분에 있어서,상기 금속재캔(100)의 중간부에는 다수개의 인공섬유볼(B)이 서로 이격되게 배치되어 층을 이루고, 상기 인공섬유볼층의 상부와 하부에는 씨앗(300)이 내입되며 비료(500)를 포함하지 않는 배양토(400)와 비료를 포함하며 씨앗이 내입되지 않은 배양토가 각각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캔 화분.
-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상기 금속재캔(100)의 바닥면(120)은 아래로 만곡되도록 형성되고, 상기 바닥면의 최하단부에 배수구(121)가 형성되며, 상기 바닥면 주위에는 상기 배수구보다 더 낮은 위치까지 연장되는 테두리부(123)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캔 화분
- 제3항에 있어서,상기 바닥면(120) 상에 배수구(121)를 향하여 연장되는 다수개의 배수홈(122)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캔 화분.
- 제4항에 있어서,상기 금속재캔(100)의 측면에 투명재질의 창(130)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캔 화분.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2003-0036941U KR200344770Y1 (ko) | 2003-11-26 | 2003-11-26 | 캔 화분 |
JP2004308090A JP2005151980A (ja) | 2003-11-26 | 2004-10-22 | 植栽用缶詰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2003-0036941U KR200344770Y1 (ko) | 2003-11-26 | 2003-11-26 | 캔 화분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344770Y1 true KR200344770Y1 (ko) | 2004-03-11 |
Family
ID=3473782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20-2003-0036941U KR200344770Y1 (ko) | 2003-11-26 | 2003-11-26 | 캔 화분 |
Country Status (2)
Country | Link |
---|---|
JP (1) | JP2005151980A (ko) |
KR (1) | KR200344770Y1 (ko)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06191912A (ja) * | 2004-06-15 | 2006-07-27 | Mokku Co Ltd | 種子の育成方法、種子育成装置およびマーキング装置 |
-
2003
- 2003-11-26 KR KR20-2003-0036941U patent/KR200344770Y1/ko not_active IP Right Cessation
-
2004
- 2004-10-22 JP JP2004308090A patent/JP2005151980A/ja active Pending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JP2005151980A (ja) | 2005-06-16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1210850B1 (ko) | 종자발아 및 재배용 스펀지 | |
KR200344770Y1 (ko) | 캔 화분 | |
CN106472291A (zh) | 一种用于水生植物栽培的浮板 | |
CN109348953A (zh) | 一种猕猴桃生根培养和炼苗移栽方法 | |
CN210695373U (zh) | 一种培养作物幼苗的沙水培装置 | |
KR101292176B1 (ko) | 육묘판 및 육묘판 생장 프레임 | |
JP5010931B2 (ja) | 定量潅水による育苗・栽培方法 | |
CN206743996U (zh) | 一种可拆分可吸水的桌面花盆 | |
CN216960899U (zh) | 一种组合式水稻育秧盆 | |
KR200493718Y1 (ko) | 식물 재배용 파이프형 화분 | |
KR100747515B1 (ko) | 원예다농재배용 다단조립식 화분 | |
KR200183234Y1 (ko) | 배수돌편이 구비된 육묘상자 | |
CN211240994U (zh) | 一种隐藏式宿根花卉移植支撑及浇灌装置 | |
CN219961468U (zh) | 苗木栽植用育苗装置 | |
JP2000092999A (ja) | 貯水面の水位を調整するために高低差を持つ複数の排水口を設けた植物栽培用容器 | |
CN108077002A (zh) | 一种水稻扎根能力的新鉴定方法 | |
CN216087890U (zh) | 一种带衬网的用于林业容器苗的育苗容器 | |
CN220369130U (zh) | 一种水稻种植用育秧盘 | |
CN214316407U (zh) | 一种育苗装置 | |
KR200160181Y1 (ko) | 컵 포트 | |
KR200278197Y1 (ko) | 식물재배용 화분용기 | |
JP5061299B2 (ja) | 栽培装置及びこれを用いた植物の栽培方法 | |
KR200170451Y1 (ko) | 작물재배용 팩 | |
JP2003199423A (ja) | 育苗方法及び育苗培土 | |
KR200295097Y1 (ko) | 작물 재배용 포트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REGI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
T201 |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 ||
T701 |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 ||
G701 | Publication of correction | ||
LAPS |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