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44281Y1 - 텐트의 처짐과 무너짐이 동시에 방지된 우산식 텐트 - Google Patents

텐트의 처짐과 무너짐이 동시에 방지된 우산식 텐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44281Y1
KR200344281Y1 KR20-2003-0038811U KR20030038811U KR200344281Y1 KR 200344281 Y1 KR200344281 Y1 KR 200344281Y1 KR 20030038811 U KR20030038811 U KR 20030038811U KR 200344281 Y1 KR200344281 Y1 KR 200344281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ent
fixing
fixing means
prevent
connect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3-0038811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장재철
Original Assignee
장재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장재철 filed Critical 장재철
Priority to KR20-2003-0038811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44281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44281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44281Y1/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5/00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5/28Umbrella type tent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5/00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5/32Parts, components, construction details, accessories, interior equipment, specially adapted for tents, e.g. guy-line equipment, skirts, thresholds
    • E04H15/34Supporting means, e.g. frames
    • E04H15/44Supporting means, e.g. frames collapsible, e.g. breakdown type
    • E04H15/48Supporting means, e.g. frames collapsible, e.g. breakdown type foldable, i.e. having pivoted or hinged mea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Tents Or Canopies (AREA)

Abstract

가. 청구범위에 기재된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
본 고안은 외압에 의한 상부연결체와 하부연결체의 임의 분리가 방지토록 고정수단이 형성된 우산식 텐트에 있어서, 텐트의 처짐 방지 기능까지 동시에 가능토록 고정수단을 개량한 것이다.
나. 고안이 해결하려는 기술적 과제.
종래에 상부연결체와 하부연결체의 임의 분리를 방지를 위하여 고정수단이 형성된 우산식 텐트로는 본 출원인이 출원하여 등록(등록번호 제20-17544호)한 바 있으나, 이때 사용되는 고정수단은 양측에 걸고리가 형성된 밴드형태로 되어 있어 양측의 걸고리를 하부연결체의 대향되는 양측 지지대에 걸어 상부연결체의 상부가 교차되게 고정시키는 것이다.
그러나 이러한 고정방식의 고정수단은 고정력의 증진을 위하여 걸고리의 입구가 협소하여 지지대에 걸어 고정시키는 작업이 용이치 않고, 또한 텐트를 펴거나 접을 경우에는 별도로 분리하게 됨으로서 분실 가능성이 있는 단점이 있다.
다. 고안의 해결방법의 요지.
따라서 본 고안의 텐트는 고정수단을 텐트천의 양측에 암클립과 수클립에 의한 한쌍의 결합체로 이루어지는 고정밴드로 형성시켜 원터치 방식으로 결합 및 해체가 가능토록 함으로서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도록 함과 동시에 고정밴드의 결합 시 텐트천이 상부로 들어올려져 텐트천의 하부 처짐도 동시에 방지할 수 있도록 한것이다.

Description

텐트의 처짐과 무너짐이 동시에 방지된 우산식 텐트{Umbrella style tent protecting tent from being drooped and falling down}
본 고안은 외압에 의한 상부연결체와 하부연결체의 임의 분리가 방지토록 고정수단이 형성된 우산식 텐트에 있어서, 텐트의 처짐 방지 기능까지 동시에 가능토록 고정수단을 개량한 것이다.
종래의 우산식 텐트는 연결체를 중심으로 방사상으로 폴대가 연결되어 있어 텐트의 골격이 일체로 형성되어 있고, 각각의 폴대에는 텐트천이 연결되어 있어 원터치 방식으로 펼쳐지거나 접어지도록 되어 있다.
따라서 이러한 텐트의 작동 방식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부연결체(100)를 들어올려 하부연결체(100)의 결합돌기(100a)를 상부연결체(200)의 결합관(200a)에 삽입시켜 결합시키면 하부연결체(100)에 연결된 지지대(300)가 펼쳐져 지지토록 함으로서 그 지지력에 의하여 상부연결체(200)와 하부연결체(100)의 결합상태가 유지토록 되어 상부연결체(200)에 연결된 폴대(400)가 돔 형태로 펼쳐지는 것이고, 반대로 상부연결체(200)에 외압이 작용하여 하부연결체(100)까지 외압이 전달되면 펼쳐진 지지대(300)가 접혀지면서 지지력이 상실되기 때문에 상부연결체(200)와 하부연결체(100)가 분리되어 접혀지게 됨으로서 원터치 방식으로의 작동이 가능하게 되는 것이다.
그러나, 이러한 작동방식은 외압에 의하여 상부연결체(200)로부터 하부연결체(100)가 쉽게 분리토록 되어 원치 않은 외압의 작용 시 텐트가 임의로 무너지게 되는 문제점이 있는 것이었다.
따라서 본 출원인이 출원하여 등록한 등록실용신안공보(등록번호 제20-17544호)에서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부연결체(100)의 일측 지지대(300a)에 양측으로 걸고리(400a)가 형성된 고정수단(400)을 형성하여 상부연결체(200)의 상부로엇갈리게 교차시켜 서로 대향되어지는 타측의 지지대(300b)에 걸려지도록 하여 상부연결체(200)와 하부연결체(100)를 고정토록 함으로서 외력에 의한 임의 분리를 방지토록 된 기술이 제안된 바 있다.
그러나 이러한 고정방식의 고정수단(400)은 걸고리(400a)가 지지대(300a)(300b)로부터 쉽게 빠지지 않도록 입구가 협소하게 형성되기 때문에 고정력이 증진되는 장점이 있는데 반하여 지지대에 걸어 고정시키는 작업이 용이치 않아 사용이 불편한 단점이 있고, 또한 텐트를 펴거나 접을 경우 별도로 분리하게 됨으로서 분실의 가능성도 있게 되는 것이다.
따라서 본 고안의 텐트는 고정수단을 텐트천의 양측에 암클립과 수클립에 의한 한 쌍의 결합체로 이루어지는 고정밴드로 형성시켜 원터치 방식으로 결합 및 해체가 가능토록 함으로서 사용상의 편리함을 도모할 수 있도록 함과 동시에 고정밴드의 결합 시 텐트천이 상부로 들어올려져 텐트천의 하부 처짐도 동시에 방지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도 1은 본 고안 텐트의 고정밴드가 해체된 상태의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 텐트의 고정밴드가 결합된 상태의 사시도.
도 3은 종래 우산식 텐트의 작동상태를 나타낸 텐트 골격의 사시도.
도 4는 본출원인이 등록한 텐트의 고정밴드가 결합된 상태의 사시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암결합부가 형성된 고정밴드 1a: 암결합부
2: 수결합부가 형성된 고정밴드 2a: 수결합부
10: 하부연결체 20: 상부연결체
30: 지지대 40: 폴대
50: 텐트천
이하에서는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과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은 외압에 의하여 텐트골격의 상부연결체(20)와 하부연결체(10)의 임의 분리가 방지토록 하기 위한 고정수단이 형성된 우산식 텐트에 있어서, 상기 고정수단은 상기 텐트골격에 연결되어지는텐트천(50)의 상부 일측에는 일단에 암클립(1a)이 구비된 고정밴드(1)의 타단이 결합되고, 타측에는 일단에 수클립(2a)이 구비된 고정밴드(2)의 타단이 결합되어 하부연결체(10)를 중심으로 앙측에서 하부연결체(10)와 결합된 상부연결체(20)의 상부로 교차되게 원터치 방식으로 고정시킬 수 있도록 한 쌍의 결합체로 형성된 것이 특징이다.
이때 상기 고정밴드(1)(2)는 탄성체로 형성시켜 신축성이 있도록 함으로서 하부연결체(10)와 상부연결체(20)의 고정작업이 용이토록 함과 동시에 고정력을 증진시킬 수 있도록 할 수 있는 것이고, 고정밴드(1)(2) 중의 어느 하나는 길이 조정이 가능토록 하여 암클립(1a)과 수클립(2a)을 결합시킨 상태에서 어느 하나의 고정밴드(2)를 당겨 밀착 고정이 가능토록 할 수 있는 것이다.
한편, 상기 고정밴드(1)(2)는 텐트천(50)에 봉착의 방식으로 형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텐트골격은 직하방으로 결합관(20a)이 형성된 상부연결체(20)를 중심으로 휨폴대(40a)와 지지폴대(40b)로 이루어진 폴대가 방사상으로 연결되어 있고, 각각의 휨폴대(40a)에는 직상방으로 결합돌기(10a)가 형성된 하부연결체(10)를 중심으로 지지대(30)가 방사상으로 연결되어 일체형으로 이루어져 있고, 이 텐트골격에는 텐트천(50)이 연결되어 있어 하부연결체(10)를 들어올려 결합돌기(10a)가 상부연결체(20)의 결합관(20a)에 삽입되게 끼우면 텐트가 원터치 방식으로 펼쳐지고, 상부연결체(20)를 가압하여 상부연결체(20)로부터 하부연결체(10)가 빠져 분리되어지면 원터치 방식으로 접혀지도록 되어 있는 것으로서, 이것은 공지된 우산식 텐트의 작동방식이다.
따라서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텐트는 고정밴드(1)(2)가 암클립(1a)과 수클립(2a)을 갖는 한 쌍의 결합체로 이루어져 텐트가 펼쳐져 하부연결체(10)가 상부연결체(20)에 결합된 상태에서는 일측의 고정밴드(2)와 타측의 고정밴드(1) 중의 어느 하나를 상부연결체(20)의 상부로 교차되게 감아 올려 암클립(1a)과 수클립(2a)을 결합시키면 원터치 방식으로 결합되어져 상부연결체(20)와 하부연결체(10)가 간단히 고정되어져 임의 분리를 방지할 수 있음과 동시에 텐트천(50)이 상부로 들어 올려져 텐트천(50)의 상부가 하부연결체(10)의 하부를 감싸안게 됨으로서 하부로 쳐지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고정밴드(1)(2)를 해체시킬 경우에도 원터치 방식으로 해체되어 고정밴드(1)(2)의 일단이 텐트천에 봉착되어 있어 분실의 가능성이 없게 되는 것이다.
따라서 본 고안의 텐트는 고정수단이 원터치 방식으로의 결합 및 해체가 가능한 암클립과 수클립을 갖는 한 쌍의 결합체인 고정밴드로 개량되어 사용상의 편리함을 도모할 수 있는 장점이 있음과 동시에 텐트천이 하부로 쳐지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고, 또한 고정수단의 분실을 방지할 수 있는 장점이 있는 것이다.

Claims (2)

  1. 텐트골격이 텐트천과 일체로 형성되고 상기 텐트골격은 상부연결체와 하부연결체에 의하여 원터치로 펴고 칠 수 있도록 되는 텐트에 있어서, 상.하부연결체가 위치되어지는 텐트천의 상부에는 고정밴드(1)의 일단이 봉착되어 타단에 암클립(1a)이 구비되고, 이와 대응되어지는 상부에도 고정밴드(2)의 일단이 봉착되어 타단에 수클립(2a)이 구비되어 고정밴드(2)가 하부연결체(10)와 결합된 상부연결체(20)의 상부로 교차되면서 결합되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텐트의 처짐과 무너짐이 동시에 방지된 우산식 텐트.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밴드(1)(2)는 탄성체로 형성되어 신축성이 있도록 함을 특징으로 하는 텐트의 처짐과 무너짐이 동시에 방지된 우산식 텐트.
KR20-2003-0038811U 2003-12-12 2003-12-12 텐트의 처짐과 무너짐이 동시에 방지된 우산식 텐트 KR200344281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3-0038811U KR200344281Y1 (ko) 2003-12-12 2003-12-12 텐트의 처짐과 무너짐이 동시에 방지된 우산식 텐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3-0038811U KR200344281Y1 (ko) 2003-12-12 2003-12-12 텐트의 처짐과 무너짐이 동시에 방지된 우산식 텐트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44281Y1 true KR200344281Y1 (ko) 2004-03-10

Family

ID=4934409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3-0038811U KR200344281Y1 (ko) 2003-12-12 2003-12-12 텐트의 처짐과 무너짐이 동시에 방지된 우산식 텐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44281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149956Y1 (ko) 천과 프레임이 일체로 결합된 절첩식 대형 텐트 프레임
KR100558356B1 (ko) 자동 텐트의 프레임 및 이를 채용한 텐트
GB2363619A (en) Dome tent construction
KR100946076B1 (ko) 캐노피 텐트용 폴대
KR200344281Y1 (ko) 텐트의 처짐과 무너짐이 동시에 방지된 우산식 텐트
KR100643157B1 (ko) 원터치식 텐트용 프레임 및 이를 이용한 원터치식 텐트
KR100904640B1 (ko) 캐노피 텐트
KR100300340B1 (ko) 원터치텐트
CA2347778A1 (en) A tent which is pitched and disassembled by one touch
CN204163469U (zh) 一种帐篷边脚的固定结构
CN201687258U (zh) 按钮式折叠篷
KR200376333Y1 (ko) 접이식 파라솔
KR200373088Y1 (ko) 원터치식 텐트용 프레임 및 이를 이용한 원터치식 텐트
KR200372187Y1 (ko) 절첩식 텐트
KR200314947Y1 (ko) 폴대와 텐트천이 일체로 형성된 텐트의 폴대의 절첩부 커버
JP3922496B2 (ja) テント
KR200300951Y1 (ko) 휴대용 텐트의 장대 결합부재
CN214661286U (zh) 一种合页式家具的连接结构件以及合页式家具
JP4250177B2 (ja) ドーム型テント
KR200443575Y1 (ko) 천장 고정형 모기장
KR200172544Y1 (ko) 무너짐이 방지된 우산식 텐트
KR200359126Y1 (ko) 대형 차양막 프레임 구조체의 삼각 보강 지지수단
CN216341353U (zh) 一种警用折叠帐篷
KR200296325Y1 (ko) 절첩식 밥상덮개
KR200463429Y1 (ko) 접이식 자동 캐노피 텐트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J210 Request for trial for objection to revocation decision
J121 Written withdrawal of request for trial

Free format text: WITHDRAWAL OF TRIAL FOR APPEAL AGAINST DECISION OF CANCELLATION REQUESTED 20051007

Effective date: 20051010

T601 Decision on revocation of utility model registr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