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44261Y1 - 컴퓨터에서 재생되는 사운드의 녹음기능을 구비한엠피쓰리 플레이어 - Google Patents

컴퓨터에서 재생되는 사운드의 녹음기능을 구비한엠피쓰리 플레이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44261Y1
KR200344261Y1 KR20-2003-0038375U KR20030038375U KR200344261Y1 KR 200344261 Y1 KR200344261 Y1 KR 200344261Y1 KR 20030038375 U KR20030038375 U KR 20030038375U KR 200344261 Y1 KR200344261 Y1 KR 200344261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ound
computer
usb
player
play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3-0038375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운식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빅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빅빔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빅빔
Priority to KR20-2003-0038375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44261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44261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44261Y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0/00Signal processing not specific to the method of recording or reproducing; Circuits therefor
    • G11B20/10Digital recording or reproduc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Signal Processing For Digital Recording And Reproducing (AREA)

Abstract

개시된 내용은 컴퓨터에서 재생되는 사운드의 녹음기능을 구비한 엠피쓰리 플레이어에 관한 것으로서, MP3 플레이어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하며 사용자의 조작에 따른 현재의 동작상태를 표시수단을 통해 표시하도록 하는 제어수단과, USB 케이블로 연결된 컴퓨터에서 재생되는 사운드를 녹음하기 위한 사용자의 키조작 신호를 제어수단으로 출력하는 키입력수단과, 제어수단의 제어에 따라 USB 케이블로 연결된 컴퓨터에서 재생되어 USB 데이터 형식으로 입력되는 사운드를 아날로그 신호로 변환처리하는 USB 사운드 코덱 인터페이스와, 컴퓨터에서 재생되는 사운드를 녹음하기 위한 사용자의 키신호를 입력받은 제어수단의 제어에 따라 MP3 플레이어를 USB 사운드 코덱 인터페이스 사용모드로 절환하여 USB 사운드 코덱 인터페이스를 통해 출력되는 컴퓨터에서 재생되는 사운드를 후단으로 출력하는 절환 스위치와, 절환 스위치를 통해 입력되는 USB 사운드 코덱 인터페이스에서 처리된 컴퓨터에서 재생되는 사운드의 아날로그 신호를 PCM 신호로 변환하여 출력하는 A/D 컨버터와, A/D 컨버터를 통해 PCM 신호로 변환된 컴퓨터에서 재생되는 사운드를 MP3 데이터로 변환하는 MP3 인코더와, MP3 인코더를 통해 MP3 데이터로 변환된 컴퓨터에서 재생되는 사운드를 파일로 저장하는 저장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따라서, 본 고안은 USB 케이블 연결만으로 음질의 열화를 최소화한 상태에서 파일 형태로 저장되지 않는 인터넷 방송이나 컴퓨터에서 재생되는 모든 사운드를 편리하게 녹음할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한다.

Description

컴퓨터에서 재생되는 사운드의 녹음기능을 구비한 엠피쓰리 플레이어{MP3 player for recording of sound regenerated in PC}
본 고안은 MP3 플레이어에 관한 것이다.
보다 상세하게는 인터넷 방송 및 컴퓨터에서 재생되는 모든 사운드 등을 USB(Universal Serial Bus) 인터페이스를 통해 MP3 플레이어에 녹음할 수 있도록 하는 컴퓨터에서 재생되는 사운드의 녹음기능을 구비한 MP3 플레이어에 관한 것이다.
최근 들어 언제 어디서나 이동중에도 자유롭게 방송국에서 송신되는 각종 방송 신호를 수신하여 청취하거나, 또는 카세트테이프, CD, 디지털 오디오 파일로 된 음악, 어학 등의 각종 오디오 신호를 재생하여 청취할 수 있는 장점으로 인하여 CD 플레이어, MP3 플레이어, 카세트테이프 플레이어 등의 오디오 기기의 사용과 보급이 크게 늘어나고 있다.
이와 같은 오디오 기기는 휴대가 용이하고 소형으로 제작됨에 따라 오디오 기기 본체에 별도의 스피커를 구비하지 않고, 이어폰이나 헤드폰 등을 사용하여 방송신호나 오디오 신호를 청취하도록 하고 있다.
이중에서 기존의 MP3 플레이어 제품들은 외부의 소리를 녹음하기 위한 장치로 마이크, 아날로그 입력, S/PDIF(Sony Philips Digital Interface Format) 등을 채용하고 있다.
마이크는 외부의 소리를 직접 녹음할 수 있도록 하는 장치이며, 아날로그 입력 및 S/PDIF는 외부의 다른 재생장치에서 나오는 소리를 녹음할 수 있도록 하는장치이다.
그러나, 상술한 바와 같은 기존의 MP3 플레이어에서는 사용자들이 인터넷 방송이나 컴퓨터에서 재생되는 사운드를 녹음할 경우 마이크 또는 아날로그 입력을 사용하게 되는 데, 이는 음질의 열화를 초래하고 사용에 있어서도 불편한 문제점이 발생하였다.
본 고안의 목적은 전술한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도록, 파일 형태로 저장되지 않는 인터넷 방송 및 컴퓨터에서 재생되는 모든 사운드 등을 USB 인터페이스를 통해 MP3 플레이어에 녹음할 수 있도록 하는 컴퓨터에서 재생되는 사운드의 녹음기능을 구비한 MP3 플레이어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MP3 플레이어가 가지고 있는 컴퓨터와의 인터페이스 형태인 USB 저장 기능에 USB 사운드 코덱 기능을 추가함으로써, 인터넷 방송 및 컴퓨터에서 재생되는 사운드를 고음질로 MP3 플레이어에 직접 녹음할 수 있도록 하는 컴퓨터에서 재생되는 사운드의 녹음기능을 구비한 MP3 플레이어를 제공하는 데 있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컴퓨터에서 재생되는 사운드의 녹음기능을 구비한 MP3 플레이어의 일 실시예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
도 2는 본 고안에 따라 컴퓨터에서 재생되는 사운드를 녹음할 경우의 신호흐름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0 : MP3 플레이어 105 : 제어수단
110 : 키입력수단 115 : 표시수단
120 : USB 사운드 코덱 인터페이스 125 : 마이크
130 : 외부 아날로그 입력수단 135 : FM 튜너
140 : 절환 스위치 145 : A/D 컨버터
150 : MP3 인코더 155 : 저장수단
160 : MP3 디코더 165 : D/A 컨버터
170 : 헤드폰/이어폰 175: USB 저장수단 인터페이스
200 : 컴퓨터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에 따른 컴퓨터에서 재생되는 사운드의 녹음기능을 구비한 MP3 플레이어는, USB 케이블로 연결된 컴퓨터로부터 전송되는 디지털 오디오 파일을 USB 저장수단 인터페이스를 통해 입력받아 저장수단에 저장하고, MP3 디코더를 통해 저장수단에 저장된 디지털 오디오 파일의 압축을 해제한후, 압축이 해제된 디지털 오디오 파일을 D/A 컨버터를 통해 아날로그 신호로 변환하여 헤드폰/이어폰으로 출력하는 MP3 플레이어에 있어서, MP3 플레이어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하며, 사용자의 조작에 따른 현재의 동작상태를 표시수단을 통해 표시하도록 하는 제어수단과; USB 케이블로 연결된 컴퓨터에서 재생되는 사운드를 녹음하기 위한 사용자의 키조작 신호를 제어수단으로 출력하는 키입력수단과; 제어수단의 제어에 따라 USB 케이블로 연결된 컴퓨터에서 재생되어 USB 데이터 형식으로 입력되는 사운드를 아날로그 신호로 변환처리하는 USB 사운드 코덱 인터페이스와; 컴퓨터에서 재생되는 사운드를 녹음하기 위한 사용자의 키신호를 입력받은 제어수단의 제어에 따라 MP3 플레이어를 USB 사운드 코덱 인터페이스 사용모드로 절환하여 USB 사운드 코덱 인터페이스를 통해 출력되는 컴퓨터에서 재생되는 사운드를 후단으로 출력하는 절환 스위치와; 절환 스위치를 통해 입력되는 USB 사운드 코덱 인터페이스에서 처리된 컴퓨터에서 재생되는 사운드의 아날로그 신호를 PCM 신호로 변환하여 출력하는 A/D 컨버터와; A/D 컨버터를 통해 PCM 신호로 변환된 컴퓨터에서 재생되는 사운드를 MP3 데이터로 변환하는 MP3 인코더와; MP3 인코더를 통해 MP3 데이터로 변환된 컴퓨터에서 재생되는 사운드를 파일로 저장하는 저장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컴퓨터에서 재생되는 사운드의 녹음기능을 구비한 MP3 플레이어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컴퓨터에서 재생되는 사운드의 녹음기능을 구비한 MP3 플레이어의 일 실시예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제어수단(105)은 키입력수단(110)을 통한 사용자의 키입력에 따라 후술하는 MP3 플레이어(100)의 각 부분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하며, 사용자의 조작에 따른 현재의 동작상태를 표시수단(115)을 통해 표시하여 사용자가 확인할 수 있도록 한다.
키입력수단(110)은 MP3 플레이어(100)의 기능 이용을 위한 사용자의 키조작 신호를 제어수단(105)으로 출력하며, USB 케이블을 통해 MP3 플레이어(100)와 컴퓨터(200)를 연결한 사용자가 파일 형태로 저장되지 않는 인터넷 방송 및 컴퓨터에서 재생되는 모든 사운드 등을 녹음하기 위해 입력하는 키조작 신호를 제어수단(105)으로 출력한다.
표시수단(115)은 통상적인 LCD 등으로 구성되며, 제어수단(105)의 제어에 따라 MP3 플레이어(100)의 현재 동작상태를 문자, 기호 등으로 표시한다.
USB 사운드 코덱 인터페이스(120)는 제어수단(105)의 제어에 따라 USB 케이블로 연결된 컴퓨터(200)에서 재생되어 USB 데이터 형식으로 입력되는 사운드를 아날로그 신호로 변환처리하여 절환 스위치(140)를 통해 A/D 컨버터(145)로 출력한다.
마이크(125)는 사용자의 녹음기능 선택에 따라 외부에서 발생된 사운드를 입력받아 전기적인 신호로 변환하여 절환 스위치(140)를 통해 A/D 컨버터(145)로 출력한다.
외부 아날로그 입력수단(130)은 사용자의 녹음기능 선택에 따라 MP3 플레이어(100)에 연결된 다른 외부 재생장치(예를 들어, CD 플레이어, 가정용 오디오 기기 등)로부터 입력되는 사운드를 입력받아 절환 스위치(140)를 통해 A/D 컨버터(145)로 출력한다.
FM 튜너(135)는 사용자의 FM 방송 청취 선택에 따라 특정 방송신호를 수신, 처리하여 절환 스위치(140)를 통해 헤드폰/이어폰(170)으로 출력하며, 방송신호를 청취하는 사용자의 녹음기능 선택시에는 수신, 처리한 특정 방송신호를 A/D 컨버터(145)로 동시에 출력한다.
절환 스위치(input selector)(140)는 컴퓨터(200)에서 재생되는 사운드를 녹음하기 위한 사용자의 키신호를 입력받은 제어수단(105)의 제어에 따라 MP3 플레이어(100)를 USB 사운드 코덱 인터페이스 사용모드로 절환하여 USB 사운드 코덱 인터페이스(120)를 통해 출력되는 컴퓨터(200)에서 재생되는 사운드를 A/D 컨버터(145)로 출력하도록 한다.
또한, 절환 스위치(140)는 사용자의 마이크 녹음, 외부 재생장치를 이용한 녹음, FM 방송수신 등의 기능선택에 따라 사용모드를 절환하여 마이크(125), 외부 아날로그 입력수단(130), FM 튜너(135)로부터 입력되는 사운드를 A/D 컨버터(145) 또는 헤드폰/이어폰(170)으로 출력하도록 한다.
A/D(Analog to Digital) 컨버터(145)는 절환 스위치(140)를 통해 입력되는 USB 사운드 코덱 인터페이스(120)에서 처리된 컴퓨터(200)에서 재생되는 사운드의 아날로그 신호를 PCM(Pulse Coded Modulation) 신호로 변환하여 MP3 인코더(150)로 출력한다.
MP3 인코더(150)는 A/D 컨버터(145)를 통해 PCM 신호로 변환된 컴퓨터(200)에서 재생되는 사운드를 MP3 데이터로 변환하여 저장수단(155)에 저장한다.
저장수단(155)은 MP3 인코더(150)를 통해 MP3 데이터로 변환된 컴퓨터(200)에서 재생되는 사운드를 파일로 저장한다.
MP3 디코더(160)는 저장수단(155)에 저장되어 있는 MP3, WMA, WAV 파일 등의 각종 디지털 오디오 파일 및 컴퓨터(200)에서 재생되는 사운드를 녹음한 MP3 파일의 압축을 해제하여 D/A 컨버터(165)로 출력한다.
D/A(Digital to Analog) 컨버터(165)는 MP3 디코더(160)를 통해 압축이 해제된 각종 디지털 오디오 파일 및 컴퓨터(200)에서 재생되는 사운드를 녹음한 MP3 파일을 아날로그 신호로 변환하여 헤드폰/이어폰(170)으로 출력한다.
헤드폰/이어폰(170)은 D/A 컨버터(165)에서 출력되는 아날로그 신호를 재생, 출력하여 사용자가 청취할 수 있도록 한다.
USB 저장수단 인터페이스(175)는 사용자의 키조작에 따라 USB 케이블을 통해 연결된 컴퓨터(200)와 MP3, WMA, WAV 파일 등의 각종 디지털 오디오 파일을 주고받기 위한 처리를 수행한다.
이때, 저장수단(155)에 MP3 파일로 녹음되는 컴퓨터(200)에서 재생되는 사운드는, 컴퓨터(200)에 파일 형태로 저장되지 않는 각종 오디오 관련 컨텐츠(예를 들어, 실시간으로 재생되는 인터넷 방송, 스트리밍(streaming) 형태로 재생되는 오디오 파일 등)이다.
또한, 절환 스위치(140)를 통해 A/D 컨버터(145)로 출력되는 컴퓨터(200)에서 재생되는 사운드의 아날로그 신호는, 헤드폰/이어폰(170)으로 동시에 출력되어사용자가 자신이 녹음하는 사운드를 모니터링할 수 있다.
다음에는, 이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에 따른 컴퓨터에서 재생되는 사운드의 녹음기능을 구비한 MP3 플레이어의 동작과정을 도 2를 참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2는 본 고안에 따라 컴퓨터에서 재생되는 사운드를 녹음할 경우의 신호흐름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우선, 파일 형태로 저장되지 않는 인터넷 방송이나 컴퓨터(200)에서 재생되는 모든 사운드 등을 MP3 플레이어(100)에 고음질로 녹음하고자 하는 사용자가 USB 케이블을 사용하여 MP3 플레이어(100)와 컴퓨터(200)를 연결하면, 컴퓨터(200)는 MP3 플레이어(100)를 USB 저장수단과 USB 사운드 코덱의 복합 디바이스로 인식하게 된다. 즉, USB 사운드 코덱으로 인식된 MP3 플레이어(100)는 컴퓨터(200)에서 재생되는 모든 사운드의 재생장치로 채택되는 것이다.
이후, 컴퓨터(200)에서 재생되는 모든 사운드는 USB 데이터 형식으로 USB 사운드 코덱 인터페이스(120)에 전송되고(S10), USB 사운드 코덱 인터페이스(120)에서 아날로그 신호로 변환처리되어 절환 스위치(140)로 입력된다(S20).
그리고, USB 사운드 코덱 인터페이스(120)에서 아날로그 신호로 변환처리된 컴퓨터(200)에서 재생되는 사운드가 절환 스위치(140)를 통해 A/D 컨버터(145)로 출력되며(S30), 절환 스위치(140)로부터 입력된 아날로그 신호의 컴퓨터(200)에서 재생되는 사운드가 A/D 컨버터(145)를 통해 PCM 신호로 변환되어 MP3 인코더(150)로 출력된다(S40).
그러면, A/D 컨버터(145)에서 PCM 신호로 변환된 컴퓨터(200)에서 재생되는 사운드가 MP3 인코더(150)를 통해 MP3로 압축되며(S50), MP3로 압축된 컴퓨터(200)에서 재생되는 사운드가 저장수단(155)에 파일로 저장된다(S60).
이때, 저장수단(155)에 저장되는 컴퓨터(200)에서 재생되는 사운드는 절환 스위치(140) 이후에서 헤드폰/이어폰(170)으로도 전송되므로 사용자는 자신이 녹음하는 사운드를 모니터링할 수 있다.
이와 같은 과정을 통해 컴퓨터(200)에서 재생되는 사운드를 USB를 이용하여 녹음하는 기능을 수행한 이후, MP3 플레이어(100)는 사용자의 재생 키조작에 따라 저장수단(155)에 녹음된 MP3 파일을 MP3 디코더(160)를 통해 압축을 해제하고, 압축이 해제된 디지털 신호를 D/A 컨버터(165)를 통해 아날로그 신호로 변환시켜 헤드폰/이어폰(170)으로 출력되도록 한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고안의 컴퓨터에서 재생되는 사운드의 녹음기능을 구비한 MP3 플레이어에 따르면, MP3 플레이어에 USB 사운드 코덱을 내장시켜 컴퓨터의 사운드 재생도구로 MP3 플레이어가 선택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사용자가 단순히 USB 케이블만을 연결하는 것으로 종래의 마이크나 아날로그 입력을 이용하여 녹음할 때 발생되는 음질의 열화를 최소화한 상태에서 파일 형태로 저장되지 않는 인터넷 방송이나 컴퓨터에서 재생되는 모든 사운드를 편리하게 녹음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여기에서, 상술한 본 고안에서는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해당 기술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는 하기의 실용신안등록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고안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고안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할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Claims (3)

  1. USB 케이블로 연결된 컴퓨터로부터 전송되는 디지털 오디오 파일을 USB 저장수단 인터페이스를 통해 입력받아 저장수단에 저장하고, MP3 디코더를 통해 저장수단에 저장된 디지털 오디오 파일의 압축을 해제한 후, 압축이 해제된 디지털 오디오 파일을 D/A 컨버터를 통해 아날로그 신호로 변환하여 헤드폰/이어폰으로 출력하는 MP3 플레이어에 있어서,
    상기 MP3 플레이어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하며, 사용자의 조작에 따른 현재의 동작상태를 표시수단을 통해 표시하도록 하는 제어수단;
    상기 USB 케이블로 연결된 컴퓨터에서 재생되는 사운드를 녹음하기 위한 사용자의 키조작 신호를 상기 제어수단으로 출력하는 키입력수단;
    상기 제어수단의 제어에 따라 상기 USB 케이블로 연결된 컴퓨터에서 재생되어 USB 데이터 형식으로 입력되는 사운드를 아날로그 신호로 변환처리하는 USB 사운드 코덱 인터페이스;
    상기 컴퓨터에서 재생되는 사운드를 녹음하기 위한 사용자의 키신호를 입력받은 상기 제어수단의 제어에 따라 MP3 플레이어를 USB 사운드 코덱 인터페이스 사용모드로 절환하여 상기 USB 사운드 코덱 인터페이스를 통해 출력되는 상기 컴퓨터에서 재생되는 사운드를 후단으로 출력하는 절환 스위치;
    상기 절환 스위치를 통해 입력되는 상기 USB 사운드 코덱 인터페이스에서 처리된 컴퓨터에서 재생되는 사운드의 아날로그 신호를 PCM(Pulse Coded Modulation)신호로 변환하여 출력하는 A/D 컨버터;
    상기 A/D 컨버터를 통해 PCM 신호로 변환된 상기 컴퓨터에서 재생되는 사운드를 MP3 데이터로 변환하는 MP3 인코더; 및
    상기 MP3 인코더를 통해 MP3 데이터로 변환된 상기 컴퓨터에서 재생되는 사운드를 파일로 저장하는 저장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컴퓨터에서 재생되는 사운드의 녹음기능을 구비한 MP3 플레이어.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저장수단에 MP3 파일로 녹음되는 컴퓨터에서 재생되는 사운드는,
    상기 컴퓨터에 파일 형태로 저장되지 않는 각종 오디오 관련 컨텐츠임을 특징으로 하는 컴퓨터에서 재생되는 사운드의 녹음기능을 구비한 MP3 플레이어.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절환 스위치를 통해 상기 A/D 컨버터로 출력되는 상기 컴퓨터에서 재생되는 사운드의 아날로그 신호는,
    상기 헤드폰/이어폰으로 동시에 출력되어 사용자가 자신이 녹음하는 사운드를 모니터링할 수 있음을 특징으로 하는 컴퓨터에서 재생되는 사운드의 녹음기능을 구비한 MP3 플레이어.
KR20-2003-0038375U 2003-12-09 2003-12-09 컴퓨터에서 재생되는 사운드의 녹음기능을 구비한엠피쓰리 플레이어 KR200344261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3-0038375U KR200344261Y1 (ko) 2003-12-09 2003-12-09 컴퓨터에서 재생되는 사운드의 녹음기능을 구비한엠피쓰리 플레이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3-0038375U KR200344261Y1 (ko) 2003-12-09 2003-12-09 컴퓨터에서 재생되는 사운드의 녹음기능을 구비한엠피쓰리 플레이어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44261Y1 true KR200344261Y1 (ko) 2004-03-10

Family

ID=4942625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3-0038375U KR200344261Y1 (ko) 2003-12-09 2003-12-09 컴퓨터에서 재생되는 사운드의 녹음기능을 구비한엠피쓰리 플레이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44261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46115B1 (ko) * 2015-06-29 2017-06-27 주식회사 아이리버 신호 처리 유닛, 이를 이용하는 음원 재생 기기 및 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46115B1 (ko) * 2015-06-29 2017-06-27 주식회사 아이리버 신호 처리 유닛, 이를 이용하는 음원 재생 기기 및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119267B2 (en) Portable mixing recorder and method and program for controlling the same
JP5145633B2 (ja) 音響再生装置及び映像音声視聴システム
WO2006059855A1 (en) Network audio speaker system
WO2007026818A1 (ja) パーソナルコンピュータ用アダプタ装置、パーソナルコンピュータ信号再生システム、パーソナルコンピュータ信号再生方法、パーソナルコンピュータ信号再生プログラム、出力装置制御プログラム、パーソナルコンピュータ用アダプタ装置制御プログラム、パーソナルコンピュータ制御プログラム、電力線通信コネクタ装置及びこれを用いたクレードル装置並びに電力線通信再生システム
JP2006155208A (ja) 電子機器
KR200344261Y1 (ko) 컴퓨터에서 재생되는 사운드의 녹음기능을 구비한엠피쓰리 플레이어
JP3102771U (ja) 再生機能を具有するサウンドシグナルプレーヤ
JP3859200B2 (ja) ポータブルミキシング記録装置及びその制御方法並びにプログラム
JP3700680B2 (ja) ポータブルミキシング記録装置
KR100476750B1 (ko) 외부음향신호처리 기능을 갖는 차량용 오디오 시스템
JP4702046B2 (ja) 記録及び/又は再生装置、制御装置及び制御方法
KR20020090552A (ko) 다이렉트 디지털 오디오 인코딩 장치 및 그 방법
KR20010057890A (ko) 카 오디오 플레이어
KR20070025049A (ko) 착탈식 비디오 유니트를 갖는 휴대용 av 재생장치
KR20010026163A (ko) 카 오디오 시스템의 디지털 오디오 데이터 재생 장치
KR100601287B1 (ko) 영상 녹화 시스템의 데이터 녹화 재생 장치 및 방법
KR20020066888A (ko) 휴대용 단말기의 오디오신호 처리장치 및 방법
JP2007133955A (ja) 音楽データ記録再生装置、及びその音楽データ記録再生方法
KR20000061637A (ko) 플래쉬 메모리를 가진 휴대형 디지털 오디오 재생 장치
KR19980078110A (ko) 유무선 출력 기능을 갖는 사운드 카드
KR20000001637A (ko) 엠팩 오디오 파일 재생 기능이 구비된 카오디오 시스템
JP2007149165A (ja) 音楽データ記録再生装置、及びその音楽データ記録再生方法
KR20030070444A (ko) 녹음 기능을 구비한 인코더 마이크 및 녹음된 데이터의운용방법
JP2004334046A (ja) 圧縮音声データ再生装置、カラオケ装置
JP2000295130A (ja) 放送受信端末及び放送システ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10106

Year of fee payment: 8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