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44256Y1 - 다중배율 렌즈구 - Google Patents

다중배율 렌즈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44256Y1
KR200344256Y1 KR20-2003-0038312U KR20030038312U KR200344256Y1 KR 200344256 Y1 KR200344256 Y1 KR 200344256Y1 KR 20030038312 U KR20030038312 U KR 20030038312U KR 200344256 Y1 KR200344256 Y1 KR 200344256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ens
eyepiece
objective lens
magnification
hous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3-0038312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신석균
Original Assignee
신석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신석균 filed Critical 신석균
Priority to KR20-2003-0038312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44256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44256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44256Y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7/00Mountings, adjusting means, or light-tight connections, for optical elements
    • G02B7/02Mountings, adjusting means, or light-tight connections, for optical elements for lenses
    • G02B7/04Mountings, adjusting means, or light-tight connections, for optical elements for lenses with mechanism for focusing or varying magnification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3/00Simple or compound lenses
    • G02B3/10Bifocal lenses; Multifocal lense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7/00Mountings, adjusting means, or light-tight connections, for optical elements
    • G02B7/02Mountings, adjusting means, or light-tight connections, for optical elements for lenses
    • G02B7/021Mountings, adjusting means, or light-tight connections, for optical elements for lenses for more than one len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7/00Mountings, adjusting means, or light-tight connections, for optical elements
    • G02B7/02Mountings, adjusting means, or light-tight connections, for optical elements for lenses
    • G02B7/023Mountings, adjusting means, or light-tight connections, for optical elements for lenses permitting adjustment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Lens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다중배율 렌즈구에 관한 것으로, 이는 특히 하나의 렌즈구로 선택적인 조작에 의해 복수의 배율을 얻을 수 있도록 한 것이다.
본 고안은 대물렌즈(22)의 하나의 렌즈면에 배율이 대물렌즈(22)의 배율과 상호 다른 다수의 대물렌즈부(23,25)가 배치 형성되어져 있는 대물렌즈하우징(2)과, 이 대물렌즈하우징(2)에 결합되어 지면서 접안렌즈(12)의 렌즈면에 접안렌즈(12)의 초점거리가 상호 다른 제2접안렌즈부(13)가 형성되어져 있는 접안렌즈하우징(1)으로 이뤄져 있는 다중배율 렌즈구를 제공하는데 있다.
이러한 본 고안은 하나의 접안렌즈면 및 상호 배율이 다른 접안렌즈부를 하나의 대물렌즈 및 이 대물렌즈면에 형성한 상호 배율이 다른 다수의 대물렌즈부를 선택적으로 일치시켜 자기가 원하는 배율의 확대 및 축소 관찰이 가능한 것이다.

Description

다중배율 렌즈구{Multiply ratio lense device}
본 고안은 다중배율 렌즈구에 관한 것으로, 이는 특히 하나의 렌즈구로 선택적인 조작에 의해 복수의 배율을 얻을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종래에는 사물을 확대하거나 축소시켜 볼 수 있도록 한 렌즈는 하나의 렌즈면을 갖는 렌즈체로 이뤄져 있고, 이들 독립된 렌즈체들을 조합하여 사용자가 원하는 배율의 확대경이나 축소경 또는 광학장치들이 구성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 광학장치 또는 광학기구는 원하는 배율의 광학도구를 얻기 위해 개별적인 배율을 각기 갖는 렌즈체를 상호 수직 또는 수평적으로 조합하여 구성하고 있고 그 배율은 하나의 배율로 고정되어 변환될 수 없기 때문에 이러한 광학도구의 사용적 호환성을 보장하기 어려운 것이었다.
본 고안의 목적은 하나의 접안렌즈 및 대물렌즈를 갖는 렌즈체로 사용자가 원하는 다수의 배율을 간단하고 편리하게 확대 또는 축소하여 볼 수 있도록 한 다중배율 렌즈구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고안은 특히 대물렌즈의 하나의 렌즈면에 배율이 상호 다른 다수의 대물렌즈부가 배치 형성되어져 있는 대물렌즈하우징과, 이 대물렌즈하우징에 결합되어 지면서 접안렌즈의 렌즈면에 제2접안렌즈부가 형성되어져 있는 접안렌즈하우징으로 이뤄져 있는 다중배율 렌즈구에 그 특징이 있다.
도 1은 본 고안에 의한 다중배율 렌즈구를 분리하여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의 종단면도
도 3은 본 고안의 사용상태 참고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설명*
1. 접안렌즈하우징 11. 접안렌즈본체
12. 접안렌즈 13. 제2접안렌즈부
2. 대물렌즈하우징 21. 대물렌즈본체
22. 대물렌즈 23,25. 제2대물렌즈부
이하에서 이를 첨부된 도면에 따라 좀더 구체적으로 설명하여 봄으로서 본 고안의 보다 상세한 특징들이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 내지 도 3은 본 고안에 의한 다중배율 렌즈구를 나타내었다.
상기 다중배율 렌즈구는 대물렌즈본체(21)에 설치한 대물렌즈(22)에는 하나의 렌즈면에 배율이 상호 다른 다수의 대물렌즈부(23,25)가 상호 적당한 이격거리로 떨어져서 배치 형성되어져 있고, 이 대물렌즈본체(21)는 지면에 닿는 투명지대(26)와 함께 대물렌즈하우징(2)을 구성하고 있다.
또, 상기 대물렌즈하우징(2)에는 이 대물렌즈하우징(2)에 결합되어 지면서 하나의 접안렌즈(12)의 렌즈면에 제2접안렌즈부(13)가 형성된 접안렌즈(12)를 갖고 있는 접안렌즈하우징(1)이 나사결합으로 결합되어져 있다.
이러한 본 고안은 도 3과 같이 지면에 놓여진 사물을 투명지대(26)로 지지되는 대물렌즈하우징(2)의 투명지대(26) 중앙에 놓고 접안렌즈하우징(1)을 통해 사물을 본다.
우선, 상기 접안렌즈하우징(1)의 접안렌즈(12)와 대물렌즈하우징(2)의 대물렌즈(22)를 통하여 사물을 볼 때는 접안렌즈(12)와 대물렌즈(22) 배율이 상호 곱해진 배율로 사물을 볼 수 있다.
또, 사용자가 다른 배율을 원할 때는 접안렌즈(12) 면에 형성된 제2접안렌즈부(13)를 통해 사물을 보게되면 제2접안렌즈부(13)-대물렌즈(22)의 배율로, 다시 제2접안렌즈부(13)-다른 배율의 대물렌즈부(23)를 상호 일치시켜 사물을 볼 때는제2접안렌즈부(13)-다른 배율의 대물렌즈부(23)의 상호 관계된 배율로 사물을 볼 수 있다.
마찬가지로, 제2접안렌즈부(13)-또다른 배율의 대물렌즈부(25), 접안렌즈(12)-다른 배율의 대물렌즈부(23), 접안렌즈부(12)-또 다른 배율의 대물렌즈부(25) 등의 상호 관계에 의한 배율로 사물을 볼 수 있다.
그러므로, 이들 렌즈의 조합에 의하여 사용자가 원하는 배율로 사물을 확대하여 보거나 축소하여 볼 수 있는 것이다.
이러한 본 고안은 하나의 렌즈구로 다중 초점을 갖는 하나의 대물렌즈와 다중 초점을 갖는 접안렌즈로 사용자 선택에 의해 상호 다중 렌즈들을 일치시켜 사물을 볼 수 있어 이러한 도구를 다양한 광학장치에 폭넓게 적용 가능한 것이다.

Claims (1)

  1. 다중배율 렌즈구에 있어서, 대물렌즈(22)의 하나의 렌즈면에 배율이 상호 다른 초점을 갖는 다수의 대물렌즈부(23,25)가 상호 배치 형성되어져 있는 대물렌즈하우징(2)과, 이 대물렌즈하우징(2)에 결합되어 지면서 접안렌즈(12)의 렌즈면에 접안렌즈(12)와 상호 다른 초점을 갖는 제2접안렌즈부(13)가 형성되어져 있는 접안렌즈하우징(1)으로 이뤄져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중배율 렌즈구.
KR20-2003-0038312U 2003-12-09 2003-12-09 다중배율 렌즈구 KR200344256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3-0038312U KR200344256Y1 (ko) 2003-12-09 2003-12-09 다중배율 렌즈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3-0038312U KR200344256Y1 (ko) 2003-12-09 2003-12-09 다중배율 렌즈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44256Y1 true KR200344256Y1 (ko) 2004-03-10

Family

ID=4942624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3-0038312U KR200344256Y1 (ko) 2003-12-09 2003-12-09 다중배율 렌즈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44256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201640B1 (en) Magnification viewer
US10606046B2 (en) Zoom lens
ATE496574T1 (de) Ophthalmische einweglinse
US20030184859A1 (en) Auxiliary binocular device for astronomical telescope
KR20030031453A (ko) 광학장치
KR200344256Y1 (ko) 다중배율 렌즈구
KR20050055831A (ko) 다중배율 렌즈구
US20110096392A1 (en) Multifunctional Microscopes
KR100797546B1 (ko) 쓰루더 렌즈 타입 의료용 루페장치
US6422705B1 (en) Kaleidoscope
KR20130072310A (ko) 다중배율 렌즈구
WO2000020898A3 (en) Pocket microscope
US7719765B2 (en) Compact keplerian optical system
KR200260940Y1 (ko) 편리한 확대경
KR200253121Y1 (ko) 학습용 돋보기
KR200357056Y1 (ko) 절첩광학기구
KR200260939Y1 (ko) 휴대용 돋보기
JP2006243684A (ja) 挿入型望遠メガネ
JPH09325276A (ja) 望遠機能付顕微鏡
EP1376188A1 (en) Optical system
KR200264580Y1 (ko) 다기능 돋보기
KR910009198Y1 (ko) 입체감(立體感)이 증대된 쌍안경
KR101420148B1 (ko) 2 초점 광학계를 포함하는 영상확대장치
JP2001091862A (ja) ルーペ光学系
JP2005525591A (ja) コンタクトレンズを目に装着するために適した実質的に環状の反射面エレメント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50221

Year of fee payment: 3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