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43956Y1 - 팬틸트 카메라를 구비한 키오스크 장치 - Google Patents

팬틸트 카메라를 구비한 키오스크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43956Y1
KR200343956Y1 KR20-2003-0037142U KR20030037142U KR200343956Y1 KR 200343956 Y1 KR200343956 Y1 KR 200343956Y1 KR 20030037142 U KR20030037142 U KR 20030037142U KR 200343956 Y1 KR200343956 Y1 KR 200343956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mera
unit
illuminance
pan tilt
human bod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3-0037142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봉일수
Original Assignee
(주)아이티큐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아이티큐브 filed Critical (주)아이티큐브
Priority to KR20-2003-0037142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43956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43956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43956Y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FCOIN-FREED OR LIKE APPARATUS
    • G07F17/00Coin-freed apparatus for hiring articles; Coin-freed facilities or services
    • G07F17/26Coin-freed apparatus for hiring articles; Coin-freed facilities or services for printing, stamping, franking, typing or teleprinting apparatu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7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 G06F3/048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using a touch-screen or digitiser, e.g. input of commands through traced gesture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FCOIN-FREED OR LIKE APPARATUS
    • G07F9/00Details other than those peculiar to special kinds or types of apparatus
    • G07F9/006Details of the software used for the vending machin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60Control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Studio Devic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팬틸트 카메라를 구비한 키오스크 장치에 관한 것으로써, 사용자가 촬영하고자 하는 사진의 규격에 따라 촬영 대상물의 현재 위치상태 및 내부 카메라와의 촬영거리를 측정하는 인체 감지기(63); 상기 인체 감지기(63)와 연결되어, 수신되는 촬영 대상물의 위치정보에 따라 종횡으로 회전하여 카메라 촬영각이 조절되고, 수신되는 거리정보에 따라 줌배율이 조절되어 최적의 촬영상태로 포커싱이 사전 제어되는 팬틸트 카메라부(40); 상기 팬틸트 카메라부(40)가 촬영하고자 하는 소정 조명구역의 현재 조도를 감지하여 해당 조명구역에 대한 소정의 현재 조도 데이터를 측정하는 조도 센서(64); 상기 조도 센서(64)와 연결되어, 수신되는 조명구역의 현재 조도 데이터에 관한 정보에 따라 결정된 소정 설정 조도레벨에 상응하도록 내부 조명등(54)의 점등 조도가 조절되는 조명부(50); 상기 팬틸트 카메라부(40)의 렌즈(43)에 투영되는 피사 영상을 전송받아 각종 제어 메뉴와 함께 표시시키는 터치 스크린(61); 및 상기 인체 감지기(63)와 상기 팬틸트 카메라부(40)를 연결시키고 상기 조도 센서(64)와 상기 조명부(50)를 연결시켜 상호 데이터 전송을 제어하며, 상기 카메라부(40)로부터 촬영된 이미지를 전송받아 터치 스크린(61)에 표시시켜 사용자의 요청에 따라 외부로 인화 또는 전송시키는 중앙 제어부(10);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팬틸트 카메라를 구비한 키오스크 장치{KIOSK WITH PAN TILT CAMERA}
본 고안은 팬틸트 카메라를 구비한 키오스크 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키오스크에 고정형이 아닌 광범위한 영역에 대한 촬영대상의 감지 및 촬영이 가능한 팬틸트 카메라와 단계별 조명등을 내설하고 센서를 통해 감지한 촬영 대상물에 대하여 최적의 촬영각도 및 촬영조명을 제공할 수 있게 되는 팬틸트 카메라를 구비한 키오스크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키오스크(KIOSK) 장치는 무인 정보 단말기로서 정부기관이나 지방 자치 단체, 은행, 학교, 백화점 및 전시장 등과 같이 많은 사람들이 공유하게 되는 공공 장소에 설치되어 각종 행정절차나 상품정보, 시설물의 이용방법 등에 대한 안내 서비스나 간단한 구매, 발권, 등록, 사진촬영 등의 업무를 수행하여 사용자에게 편의를 제공하는데 사용된다.
하지만, 거리에 설치되어 긴급한 증명사진이나 여권사진 등을 촬영하거나 개인적인 이미지 사진 등을 촬영하는 포토 키오스크 장치의 경우, 촬영시 대부분 해당 무인 키오스크 장치가 요구하는 촬영 대상자의 정해진 위치에 사용자가 정확하게 위치해야만 제대로 된 사진을 찍는 것이 가능하였으며, 또한 이러한 키오스크 장치에는 정해진 일정한 단일 패턴의 조명만이 비추게 되어 다양한 조명과 주변여건에 따라 개성적이고 독특한 자신만의 사진을 원하는 최근의 급변하는 사용자 추세를 맞추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그 목적은 거리에서 편리하게 각종 증명사진이나 여권사진 그리고 개인적인 이미지 사진의 촬영을 위한 키오스크 장치에 팬틸트 카메라를 구비시켜 사용자의 촬영위치에 관계없이 촬영자의 위치를 자동으로 파악하여 원하는 사진을 정확하게 촬영할 수 있도록 하는 팬틸트 카메라를 구비한 키오스크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키오스크 장치에서의 사용자 사진 촬영에 필요한 조명을 촬영대상물의 현재 조도 상태를 인식하여 자동적으로 다양한 조도의 단계로 조절되는 조명등으로 구비시킴으로써 사용자에게 필요한 최적의 조명환경에서 원하는 사진촬영이 이루어질 수 있는 팬틸트 카메라를 구비한 키오스크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도 1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팬틸트 카메라를 구비한 키오스크 장치를 나타내는 블럭도.
도 2는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팬틸트 카메라부를 나타내는 블럭도.
도 3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조명부를 나타내는 블럭도.
도 4는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키오스크 장치의 이미지 촬영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전체 흐름도.
도 5는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촬영 대상 사용자의 위치 및 현재 조도 인식 단계에 대한 상세 흐름도.
도 6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자동 포커싱과 자동 조명의 수행 및 이에 따른 최적화 화상의 디스플레이 단계에 대한 상세 흐름도.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촬영 대상자 인식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 중앙 제어부 20 : 데이터 저장부
31 : 메모리카드 접속구 32 : 휴대폰 접속구
33 : 과금 인식부 40 : 팬틸트 카메라부
41 : 카메라 컨트롤러 42 : 줌동작 수행부
43 : 렌즈 44 : 장착대 컨트롤러
45 : 팬동작 수행부 46 : 틸트동작 수행부
47 : 카메라 장착대 50 : 조명부
51 : 조명 컨트롤러 52 : 릴레이 제어기
53 : 조도 조절기 54 : 조명등
61 : 터치 스크린 62 : 인화기
63 : 인체 감지기 64 : 조도 센서
65 : 이미지 편집부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의 일측면에 따른 팬틸트 카메라를 구비한 키오스크 장치는 사용자가 촬영하고자 하는 사진의 규격에 따라 촬영 대상물의 현재 위치상태 및 내부 카메라와의 촬영거리를 측정하는 인체 감지기(63); 상기 인체 감지기(63)와 연결되어, 수신되는 촬영 대상물의 위치정보에 따라 종횡으로 회전하여 카메라 촬영각이 조절되고, 수신되는 거리정보에 따라 줌배율이 조절되어 최적의 촬영상태로 포커싱이 사전 제어되는 팬틸트 카메라부(40); 상기 팬틸트 카메라부(40)가 촬영하고자 하는 소정 조명구역의 현재 조도를 감지하여 해당 조명구역에 대한 소정의 현재 조도 데이터를 측정하는 조도 센서(64); 상기 조도 센서(64)와 연결되어, 수신되는 조명구역의 현재 조도 데이터에 관한 정보에 따라 결정된 소정 설정 조도레벨에 상응하도록 내부 조명등(54)의 점등 조도가 조절되는 조명부(50); 상기 팬틸트 카메라부(40)의 렌즈(43)에 투영되는 피사 영상을 전송받아 각종 제어 메뉴와 함께 표시시키는 터치 스크린(61); 및 상기 인체 감지기(63)와 상기 팬틸트 카메라부(40)를 연결시키고 상기 조도 센서(64)와 상기 조명부(50)를 연결시켜 상호 데이터 전송을 제어하며, 상기 카메라부(40)로부터 촬영된 이미지를 전송받아 터치 스크린(61)에 표시시켜 사용자의 요청에 따라 외부로 인화 또는 전송시키는 중앙 제어부(10);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인체 감지기(63)는, 발광부와 수광부로 구성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광센서로 이루어져, 서로 다른 방사각으로 감지빔을 출력시키고 인체를 감지한 감지빔의 감지범위를 통해 정확한 촬영 대상물의 위치를 인식하고, 수광시간을 통해 촬영 대상물과 카메라와의 거리를 측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상기 팬틸트 카메라부(40)는, 상기 인체 감지기(63)로부터의 촬영 대상물 위치정보를 수신하여 상응하는 위치변화를 위한 수평 및 수직의 회전 제어신호를 출력하는 장착대 컨트롤러(44); 상기 장착대 컨크롤러(44)로부터 수평회전 제어신호를 수신하여 내부의 팬모터 및 구동기어를 통해 수평회전 동작을 수행하는 팬동작 수행부(45); 상기 장착대 컨트롤러(44)로부터 수직회전 제어신호를 수신하여 내부의 틸트모터 및 랙크를 통해 수직회전 동작을 수행하는 틸트동작 수행부(46); 상기 팬동작 수행부(45)와 틸트동작 수행부(46)의 수평 및 수직 회전에 연동되어 촬영각 변경을 위해 위치변동되는 카메라 장착대(47); 상기 인체 감지기(63)로부터 촬영 대상물의 거리정보를 수신하여 상응하는 줌배율변화를 위한 줌동작 제어 신호를 출력하는 카메라 컨트롤러(41); 상기 카메라 컨트롤러(41)로부터 줌동작 제어신호를 수신하여 내부의 줌모터를 통해 줌배율을 제어하는 줌동작 수행부(42); 및 상기 카메라 장착대(47)에 장착되어 해당 카메라 장착대(47)의 위치변동 및 줌동작 수행부(42)의 줌배율 제어에 따라 촬영 대상물에 대한 자동 포커싱에 의한 촬영이 이루어지는 렌즈(43);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상기 팬틸트 카메라부(40) 및 조명부(50)의 자동 포커싱 및 조명조도의 제어가 상기 터치 스크린(61)을 통한 사용자 단계별 선택에 의해 수동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이하에서 본 고안은 키오스크 장치에서 인체 감지기에 의해 정확한 촬영대상물의 위치 파악이 이루어지고 이러한 위치 파악에 따라 촬영각도 및 줌동작이 자동 조절되는 팬틸트 카메라부와, 조도 센서에 의해 파악된 촬영대상물의 현재 조도 상태에 따라 적절한 조도의 단계별 조명을 자동으로 제공하게 되는 조명부를 바람직한 실시예로 설명할 것이나,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은 이에 한정하거나 제한되지 않고 당업자에 의해 변형되어 다양하게 실시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도 1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팬틸트 카메라를 구비한 키오스크 장치를 나타내는 블럭도이고, 도 2는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팬틸트 카메라부를 나타내는 블럭도이고, 도 3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조명부를 나타내는 블럭도이다.
상기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이 적용되는 팬틸트 카메라를 구비한 키오스크 장치는 무인 단말기로서, 중앙 제어부(10), 데이터 저장부(20), 메모리카드 접속구(31), 휴대폰 접속구(32), 과금 인식부(33), 팬틸트 카메라부(40), 조명부(50), 터치 스크린(61), 인화기(62), 인체 감지기(63), 조도 센서(64) 및 이미지 편집부(65)로 구성된다.
상기 메모리카드 접속구(31)는 해당 키오스크를 사용하는 사용자의 휴대 디지털 카메라로부터 그 내부 메모리에 저장된 이미지 자료를 수신하기 위한 접속구로서, 이러한 메모리카드 접속구(31)는 특정 메모리 전용 리더기가 아닌 최근 사용되는 대부분의 메모리 카드 예를 들면, 스마트 미디어 카드(Smart Media Card), 메모리 스틱(Memory Stick), 콤팩트 플래쉬(Compact Flash), SD 메모리 카드(SDMemory Card), 멀티미디어 카드(Multi Media Card) 등의 서로 다른 접속구의 형태를 가지는 디지털 카메라용 메모리카드들에 대하여 그 접속 형태별로 다양하게 구성된 다수의 접속구들로 이루어지게 되며, 이러한 접속 상태의 메모리카드로부터의 이미지 자료를 상기 중앙 제어부(10)가 인식하여 수신할 수 있도록 읽어내게 되는데 다양한 형태의 외부 접속구를 가지며 USB 인터페이스로 호환 구성되어 각종 메모리카드와 연결된 상태로 다양한 메모리카드의 이미지 저장 자료를 읽을 수 있는 통합 리더기이다.
상기 휴대폰 접속구(32)는 해당 키오스크를 사용하는 사용자의 모바일 단말기와 데이터 송수신을 위한 기능을 수행하는데, 이러한 휴대폰 접속구(32)는 USB 인터페이스를 통해 해당 모바일 단말기와 연결이 가능하여 이를 통해 연결된 모바일 단말기와 이미지 및 동영상의 상호 송수신이 이루어지게 된다.
상기 과금 인식부(33)는 해당 키오스크의 다양한 동작을 사용자가 이용하기 위해 지불하는 요금을 투입구로부터 인식하여 해당 금액에 관한 정보를 상기 중앙 제어부(10)로 전달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상기 이미지 편집부(65)는 상기 메모리카드 접속구(31)과 휴대폰 접속구(32)를 통해 인식된 이미지 파일이나 후술되는 팬틸트 카메라부(40)로부터 촬영되는 이미지 파일에 대하여 밝기 조절, 색상 변환, 크기 조절, 글자 입력, 사진 합성, 분할 출력 등의 다양한 편집 기능을 수행하는데, 이러한 이미지 편집부(65)는 이미지를 입력받아 후술되는 터치 스크린(61)상에 디스플레이시킴으로써 사용자의 편집 명령에 따라 이미지에 대한 다양한 편집이 이루어지고 후술되는 인화부(580)를 통해 용지에 프린트하여 즉시 출력시키거나 상기 휴대폰 접속구(32)를 통해 사용자의 모바일 단말기에 직접 저장할 수 있도록 하거나 또는 상기 메모리카드 접속구(31)를 통해 접속된 디지털 카메라용 메모리카드로 전송하는 다운로드 기능을 지원하게 된다.
상기 터치 스크린(61)은 소정 크기를 가지며 전면에 설치되는 터치판넬을 통해 디스플레이시킨 화면에서 직접 사용자의 입력 명령를 받을 수 있게 하는 접촉식 화면으로써, 상기 메모리카드 접속구(31)과 휴대폰 접속구(32)를 통해 인식된 이미지 파일이나 후술되는 팬틸트 카메라부(40)로부터 촬영되는 이미지 파일을 디스플레이하고 해당 이미지 파일에 대한 밝기 조절, 색상 변환, 크기 조절, 글자 입력, 사진 합성, 분할 출력 등의 이미지 편집을 위한 메뉴들이 디스플레이되며 해당 키오스크 장치의 동작에 따른 다양한 안내 화면과 상기 데이터 저장부(20)에 저장된 광고 영상들을 이용한 각종 광고 화면이 외부로 드러나도록 다양한 방식으로 디스플레이되게 되며, 또한 후술되는 사용자의 사진 촬영시 수동 포커싱 조작을 위한 메뉴 및 수동 조도설정을 위한 메뉴가 디스플레이된다.
이러한 수동 포커싱을 위한 메뉴 및 조도설정을 위한 메뉴는 사용자의 편의를 위해 소정의 단계로 나누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인화기(62)는 상기 메모리카드 접속구(31)과 휴대폰 접속구(32)를 통해 인식된 이미지 파일이나 후술되는 팬틸트 카메라부(40)로부터 촬영되는 이미지 파일 그리고 이를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편집한 이미지 파일을 프린터 장치를 통하여 지정된 인화 용지 또는 스티커 용지에 출력시키는 기능을 한다.
상기 데이터 저장부(20)는 키오스크 사용자의 휴대기기로부터 입력되거나 직접 촬영된 이미지 파일에 믹싱시키기 위한 다양한 배경 화면, 예를 들면 자연, 꽃, 동물, 3D그래픽, 자동차, 로고, 만화, 연예인, 스포츠, 잡지, 영화 등의 풀사이즈 또는 조각 사이즈의 이미지가 저장되는 편집용의 배경화면 DB, 해당 키오스크의 휴식기나 동작시 외부로 디스플레이되는 각종 광고 이미지 및 동영상 자료들이 저장되는 광고영상 DB, 후술되는 인체 감지기(63)로부터 출력되는 각 인체감지용 빔의 방사각 정보와 해당 빔 별로 담당하는 감지범위에 관한 정보를 저장하는 인체감지 DB, 후술되는 조도 센서(64)로부터 측정된 조도 데이터에 따라 설정 가능한 복수의 조도 레벨에 관한 정보를 저장하는 조명 DB 를 포함한다.
상기 인체 감지기(63)는 키오스크의 전면 소정 위치에 설치되어 해당 키오스크 장치를 이용하여 사진을 촬영하고자 하는 촬영 대상물을 인식하여 해당 촬영 대상물의 위치를 감지하는 한편 해당 촬영 대상물과 촬영이 이루어지는 카메라와의 거리를 측정하여 이러한 촬영 대상물의 위치 정보 및 거리 정보를 상기 중앙처리장치(10)로 전송한다.
이러한 인체 감지기(63)는 발광부와 수광부로 구성되는 다수의 광센서로 이루어지거나 또는 단일의 발광부와 수광부로 구성되는 단일의 광센서로 이루어질 수 있는데, 다수의 광센서로 이루어지는 경우 각각의 광센서에서 각 발광부들은 서로 다른 방사각으로 인체를 감지하기 위한 감지빔을 출력하고 이러한 광센서 중 인체로부터 반사되는 감지빔을 수광한 수광부를 가진 광센서를 이용하여 해당 키오스크의 전면에 위치한 촬영 대상물의 정확한 위치를 감지하는 방식으로, 감지를 성공한빔을 가진 광센서에 대하여 상기 중앙 제어부(10)가 상기 데이터 저장부(20)의 인체감지 DB를 검색하여 해당 광센서가 담당하는 감지범위를 통해 정확한 촬영 대상물의 위치를 인식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단일의 광센서로 이루어지는 경우 단일 광센서의 발광부에서 다양한 방사각으로 인체를 감지하기 위한 감지빔을 다수 출력하고 수광부로 수광되는 감지성공빔을 통해 해당 키오스크의 전면에 위치한 촬영 대상물의 정확한 위치를 감지하는 방식이며, 이러한 촬영 대상물의 위치정보는 후술되는 팬틸트 카메라부(40)의 카메라 장착대(47)의 정밀 위치 조작을 위한 제어 정보로 사용된다.
도 7을 참조하면, 상기 인체 감지기(63)가 다양한 방위로 다수의 인체 감지빔을 출력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으로, 출력된 해당 인체 감지빔들은 인체를 감지하는데 성공한 빔(S)과 인체를 감지하는데 실패한 빔(F)으로 구분되며 이러한 인체 감지성공빔(S)이 담당하는 소정 감지범위들을 통해 현재 해당 키오스크의 전면에 위치한 촬영 대상자의 위치와 자세 및 그 변화, 특히 사용자의 설정에 따라 촬영 대상자의 흉부, 두상, 전신 등의 다양한 규격에 대한 정확한 인식이 가능하게 되는데, 이러한 방식은 이후 좀더 상세히 설명한다.
한편, 이러한 다수의 감지빔 출력을 통한 촬영 대상물의 위치 검색시 수광부를 통해 수광되는 감지빔의 수광시간을 이용하여 상기 중앙 제어부(10)는 해당 촬영 대상물과 후술되는 팬틸트 카메라부(40)의 렌즈(43)까지의 거리를 계산할 수 있게 되며 이러한 촬영 대상물과 렌즈(43)와의 거리정보를 정확한 카메라의 촛점조절을 위한 줌 동작을 제어하기 위해 사용한다.
상기 팬틸트 카메라부(40)는 상기 중앙 제어부(10)를 통해 상기 인체 감지기(63)로부터 촬영 대상물의 현재 위치정보 및 거리정보를 수신하여 촬영에 필요한 카메라 사전 제어를 하게 되는데, 이러한 팬틸트 카메라부(40)는 장착대 컨트롤러(44), 팬동작 수행부(45), 틸트동작 수행부(46), 카메라 장착대(47) 및 카메라 컨트롤러(41), 줌동작 수행부(42), 렌즈(43)를 포함한다.
상기 장착대 컨트롤러(44)는 상기 인체 감지기(63)로부터의 촬영 대상물 위치정보를 수신하고 해당 위치정보에 따라 적절한 카메라 장착대(47)의 위치변화를 위한 수평, 수직의 회전 제어 신호를 출력한다.
상기 팬동작 수행부(45)는 상기 장착대 컨트롤러(44)로부터 수평회전 제어신호를 수신하여 내부의 팬모터 및 구동기어 등을 통해 수평(팬) 동작을 수행한다.
상기 틸트동작 수행부(46)는 상기 장착대 컨트롤러(44)로부터 수직회전 제어신호를 수신하여 내부의 틸트모터 및 랙크 등을 통해 수직(틸트) 동작을 수행한다.
상기 카메라 장착대(47)는 상기 렌즈(43)가 장착되어 지지되는 구성요소로서 상기 팬동작 수행부(45)와 틸트동작 수행부(46)의 수평, 수직 회전에 연동되어 해당 렌즈(43)의 촬영각이 변경되도록 위치변동된다.
상기 카메라 컨트롤러(41)는 상기 인체 감지기(63)로부터 촬영 대상물의 거리정보를 수신하고 해당 거리정보에 따라 적절한 포커싱을 위한 줌동작 제어 신호를 출력한다.
상기 줌동작 수행부(42)는 상기 카메라 컨트롤러(41)로부터 줌동작 제어신호를 수신하여 내부의 줌모터를 통해 줌배율을 제어하게 된다.
상기 렌즈(43)는 촬영 대상물에 대한 촬영이 이루어지며 상기 카메라 장착대(47) 상에 놓여져 해당 카메라 장착대(47)의 위치변동 및 줌동작 수행부(42)의 줌배율 제어에 따라 촬영 대상물에 대한 자동 포커싱이 이루어져 정확한 촬영이 이루어지게 되며, 촬영 대상물의 위치 및 상태를 정확히 인지할 수 있게 됨으로써 촬영시 촬영 대상 사용자에 대한 흉부, 두상, 전신 등의 다양한 포맷으로 정확한 촬영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이때, 이러한 카메라 컨트롤러(41)는 USB 케이블 연결방식이 사용되고, 상기 장착대 컨트롤러(44)는 시리얼 포트 케이블 연결방식이 사용되는 것이 바람직하나, 본고안이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또한 이러한 카메라 컨트롤러(41) 및 장착대 컨트롤러(44)는 상기 터치 스크린(61)으로부터 전송되는 포커싱을 위한 사용자의 수동 설정 신호를 수신하여 상술한 바와 동일한 방식으로 팬동작, 틸트동작 및 줌동작을 통한 수동 포커싱을 수행하게 된다.
한편, 상기 조도 센서(64)는 키오스크의 전면 소정 위치에 설치되어 촬영 대상자가 촬영을 위해 위치하는 소정 조명구역의 현재 조도를 감지하는 것으로, 상기 소정 조명구역에 대한 현재 조도를 측정한 조도 데이터를 이용하여 상기 중앙 제어부(10)는 상기 데이터 저장부(20)의 조명 DB 에 기저장된 조도 레벨에 따라 소정의 설정 조도레벨을 결정하게 된다.
상기 조명부(50)는 상기 중앙 제어부(10)를 통해 상기 조도 센서(64)로부터 촬영 대상물의 현재 조도에 따른 설정 조도레벨 정보를 수신하여 촬영에 필요한 조명의 사전 제어를 하게 되는데, 이러한 조명부(50)는 조명 컨트롤러(51), 릴레이제어기(52), 조도 조절기(53), 조명등(54)을 포함한다.
상기 조명 컨트롤러(51)는 상기 조도 센서(64)로부터의 촬영 대상물에 대한 현재 조도 측정치에 따른 설정 조도레벨 정보를 수신하고 해당 설정 조도레벨 정보에 따라 조명턴온 신호 및 조도 제어신호를 출력한다.
상기 릴레이 제어기(52) 및 상기 조도 조절기(53)는 상기 조명 컨트롤러(51)로부터 조명턴온 신호 및 조도 제어신호를 수신하여 상기 조명등(54)을 턴온시켜 조명하도록 하는 동시에 상기 설정 조도레벨 정보에 따라 해당 조명등(54)의 조명조도를 조절하게 되는데, 이러한 릴레이 제어기(52)는 상기 조명등(54)에 전원을 공급 또는 차단하여 점소등하는 것이고, 상기 조도 조절기(53)는 해당 조명등(54)을 조명하는데 있어 다수의 조도레벨 상기 설정 조도레벨 정보에 따라 조도 조절용 딤머(Dimmer)를 통해 조명등(54)의 밝기를 조절하게 된다.
이때, 이러한 상기 조명등(54)는 백열등(incandescent electric lamp)이나 형광등(fluorescent lamp) 또는 할로겐등(halogen lamp)으로 구성될 수 있으며, 상술한 조도 조절을 위해 다수의 램프를 설치하고 각 조도 단계에 따라 차등적으로 해당 램프들을 점등시키도록 구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상술한 키오스크 장치의 구성을 이용한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이미지 촬영 과정의 전체적인 흐름을 도 4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4는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키오스크 장치의 이미지 촬영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전체 흐름도이다.
상기 키오스크 장치의 중앙 제어부(10)는 전면에 구성된 상기 터치스크린(61)에 디스플레이되어 사용자의 접촉에 따라 사용자의 제어 명령을 입력시키게 되는 메뉴 중 촬영모드 메뉴에 대한 선택신호를 수신한다(S10).
상기 중앙 제어부(10)는 전면에 형성된 상기 인체 감지기(63)를 통해 촬영 대상물인 사용자의 현재 위치 및 촬영 카메라와의 거리를 인식하고 이를 통해 계산된 촬영 대상물의 현재 위치정보 및 거리정보를 저장하는 한편, 상기 조도 센서(64)를 통해 촬영 대상물인 사용자가 존재하는 소정 조명구역의 현재 조도를 측정하고 측정된 조도 데이터를 기준 조도레벨과 비교하여 소정의 설정 조도레벨을 결정하여 저장한다(S20).
상기 중앙 제어부(10)는 상기 제 S20 단계를 통하여 저장된 촬영 대상물에 대한 위치정보 및 거리정보를 상기 팬틸트 카메라부(40)로 전송하여 상기 위치정보 및 거리정보에 따라 해당 팬틸트 카메라부(40)가 자동으로 촬영 대상물을 향해 촬영이 가능한 상태로 위치변동되고 줌배율이 조절되도록 하는 한편, 촬영 대상물에 대한 설정 조도레벨 정보를 상기 조명부(50)로 전송하여 상기 조명부(50)의 조명등(54)이 해당 조도레벨에 상응하는 조도로 점등되도록 하여 해당 팬틸트 카메라부(40)로부터 현재 촬영 가능하도록 자동으로 위치 및 조명 조절된 화면을 전송받아 터치 스크린(61)상에 디스플레이시킨다(S30).
상기 중앙 제어부(10)는 상기 터치 스크린(61)으로부터 사용자의 화면 접촉에 따라 발생되는 수동 포커싱 메뉴에 대한 선택신호를 수신하였는지 여부를 판단하여(S40), 사용자로부터 수동 포커싱에 대한 요청이 있는 경우, 상기 중앙 제어부(10)는 해당 터치 스크린(61)상으로 사용자가 직접 카메라의 위치조절 및 줌배율을 조절할 수 있도록 상하좌우 조절키 및 배율레벨키 등을 포함하는 수동 포커싱 선택메뉴를 디스플레이시키고 이에 대한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해당 팬틸트 카메라부(40)의 위치조절 및 줌배율 조절을 수행하는 동시에 수동 포커싱 조절된 팬틸트 카메라부(40)로부터의 화면을 전송받아 즉시 터치 스크린(61)상에 디스플레이시킨다(S41).
한편, 상기 중앙 제어부(10)는 상기 터치 스크린(61)으로부터 사용자의 화면 접촉에 따라 발생되는 수동 조명 메뉴에 대한 선택신호를 수신하였는지 여부를 판단하여(S50), 사용자로부터 수동 조명에 대한 요청이 있는 경우, 상기 중앙 제어부(10)는 해당 터치 스크린(61)상으로 사용자가 직접 현재 조명의 조도를 조절할 수 있도록 조도레벨키 등을 포함하는 수동 조명 선택메뉴를 디스플레이시키고 이에 대한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해당 조명부(50)의 조도 조절을 수행하는 동시에 수동 조명조절에 따른 팬틸트 카메라부(40)로부터의 화면을 전송받아 즉시 터치 스크린(61)상에 디스플레이시킨다(S51).
한편, 상기 중앙 제어부(10)는 상기 터치 스크린(61)으로 현재 디스플레이되는 화면으로 촬영할 것인지 여부를 묻는 촬영 메뉴를 디스플레이시키고 이에 대한 선택신호가 수신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하여(S60), 사용자로부터 촬영에 대한 요청이 없는 경우, 상기 제 S40 단계로 절차를 이행한다.
한편, 상기 제 S60 단계의 판단결과, 사용자로부터 촬영에 대한 요청이 있는 경우, 상기 중앙 제어부(10)는 상기 팬틸트 카메라부(40)를 통하여 현재 상태로 촬영 대상물에 대한 촬영을 수행하고, 해당 촬영된 이미지를 상기 터치 스크린(61)에정지 이미지 화면으로 디스플레이시킨다(S70).
상기 중앙 제어부(10)는 상기 터치 스크린(61)으로부터 사용자의 화면 접촉에 따라 발생되는 촬영 이미지 편집 메뉴에 대한 선택신호를 수신하였는지 여부를 판단하여(S80), 사용자로부터 촬영된 이미지에 대한 편집 요청이 있는 경우, 상기 중앙 제어부(10)는 상기 터치 스크린(61)으로 촬영된 이미지 파일 및 사용자의 접촉 선택에 따라 활성화되는 밝기 조절 메뉴, 색상 변환 메뉴, 크기 조절 메뉴, 글자 입력 메뉴, 사진 합성 메뉴, 분할 출력 메뉴 등의 편집 메뉴를 디스플레이시켜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상기 이미지 편집부(65)를 통해 해당 편집 메뉴에 따른 다양한 이미지 파일의 편집을 수행한다(S81).
상기 중앙 제어부(10)는 상기 터치 스크린(61)으로 편집된 이미지 파일 및 외부저장 메뉴와 즉시인화 메뉴를 포함하는 결과물 처리 메뉴를 디스플레이시킴으로써 사용자로부터의 선택에 따라 해당 이미지 파일에 대한 결과물의 처리 방법을 판단하여(S90), 사용자로부터 외부저장에 대한 요청이 있는 경우, 상기 중앙 제어부(10)는 상기 메모리카드 접속구(31)를 통해 접속된 사용자의 디지털 카메라나 상기 휴대폰 접속구(32)를 통해 접속된 사용자의 휴대 단말기로 해당 이미지 파일을 전송한다(S91).
한편, 상기 제 S90 단계의 판단결과, 사용자의 외부저장에 대한 요청이 없는 경우, 상기 중앙 제어부(10)는 상기 인화기(62)의 프린터를 통해 사진 인화 용지 또는 스티커 용지에 해당 이미지 파일을 즉시 프린트시켜 사용자가 소지할 수 있도록 외부로 출력시킨다(S92).
상기 제 S20 단계인 촬영 대상 사용자의 위치 및 현재 조도 인식 단계에 대하여 도 5를 참조하여 좀더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5는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촬영 대상 사용자의 위치 및 현재 조도 인식 단계에 대한 상세 흐름도이다.
우선, 상기 중앙 제어부(10)는 상기 인체 감지기(63)를 통해 전면으로 미리 정해진 경로의 다양한 각도로 인체를 감지하기 위한 다수의 감지빔들을 출력한다(S21).
이때, 이러한 다수의 감지빔을 출력하기 위한 상기 인체 감지기(63)는 발광부와 수광부로 구성되는 다수의 광센서로 이루어지거나 또는 단일의 발광부와 수광부로 구성되는 단일의 광센서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중앙 제어부(10)는 상기 인체 감지기(63)를 통해 출력된 다수의 감지빔들 중 인체를 감지한 감지빔(즉, 인체에 반사되어 수광되는 감지빔)이 존재하는지 여부를 판단하여(S22), 인체를 감지한 감지빔이 존재하지 않는 경우, 상기 중앙 제어부(10)는 상기 제 S21 단계로 절차를 이행한다.
한편, 상기 제 S22 단계의 판단결과, 인체를 감지하는데 성공한 감지빔이 존재하는 경우, 상기 중앙 제어부(10)는 상기 감지성공빔의 코드를 이용해 상기 데이터 저장부(20)의 인체감지 DB를 검색하여 해당 감지성공빔들이 담당하는 각각의 감지범위를 체크한다(S23).
상기 중앙 제어부(10)는 상기 검색된 감지범위에 관한 정보를 통해 촬영 대상물의 정확한 현재 위치를 인식하고 이를 포커싱 방위로 하는 위치정보를 일시적으로 저장한다(S24).
상기 중앙 제어부(10)는 상기 감지성공빔들의 수광경과 시간을 통해 해당 촬영 대상물의 감지거리를 계산하고 이를 통해 상기 팬틸트 카메라부(40)의 렌즈(43)와 촬영 대상물간 거리를 측정하여 해당 거리정보를 일시적으로 저장한다(S25).
한편, 상기 중앙 제어부(10)는 상기 조도 센서(64)를 통해 촬영 대상자가 촬영을 위해 위치하게 되는 소정 조명구역의 현재 조도를 측정한다(S26).
상기 중앙 제어부(10)는 상기 제 S26 단계를 통하여 측정된 소정 조명구역에 대한 조도 데이터를 이용하여 상기 데이터 저장부(20)의 조명 DB 에 기저장된 조도 데이터 범위별 설정 조도 레벨들과 비교한다(S27).
상기 중앙 제어부(10)는 상기 측정된 조도 데이터의 측정치에 따라 미리 정해진 설정 기준에 따라 해당 조도 데이터에 대한 소정의 설정 조도레벨을 결정하고 이를 일시적으로 저장한다(S28).
이때, 이러한 조도레벨은 적어도 3단계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 S30 단계인 자동 포커싱과 자동 조명의 수행 및 이에 따른 최적화 화상의 디스플레이 단계에 대하여 도 6을 참조하여 좀더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6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자동 포커싱과 자동 조명의 수행 및 이에 따른 최적화 화상의 디스플레이 단계에 대한 상세 흐름도이다.
우선, 상기 중앙 제어부(10)는 상기 인체 감지기(63)를 통해 인식된 촬영 대상물에 대한 현재 위치정보를 상기 팬틸트 카메라부(40)의 장착대 컨트롤러(44)로전송하여 해당 팬동작 수행부(45) 및 틸트동작 수행부(46)를 통한 팬동작(수평회전) 및 틸트동작(수직회전)을 수행하여 렌즈(43)를 지지하는 카메라 장착대(47)가 촬영 대상물의 현재 위치를 향해 촬영각 변동되도록 한다(S31).
상기 중앙 제어부(10)는 상기 인체 감지기(63)를 통해 인식된 촬영 대상물에 대한 현재 거리정보를 상기 팬틸트 카메라부(40)의 카메라 컨트롤러(41)로 전송하여 해당 줌동작 수행부(42)를 통한 줌배율이 조절을 수행하여 해당 렌즈(43)가 촬영 대상물에 대한 자동 포커싱을 수행한다(S32).
이때, 이러한 자동 포커싱에 있어서, 미리 사용자의 사진 종류 선택에 따라 촬영 대상자에 대한 흉부, 두상, 전신 등의 다양한 포맷으로 정확한 자동 포커싱이 이루어질 수 있음은 물론이다.
한편, 상기 중앙 제어부(10)는 상기 조도 센서(64)를 통해 인식된 현재 조도정보에 따라 결정된 촬영 대상물의 소정 조명구역에 대한 설정 조도레벨 정보 및 조명턴온 신호를 상기 조명부(50)의 조명 컨트롤러(51)로 전송하여 해당 릴레이 제어기(52) 및 조도 조절기(53)를 통한 조명등(54)의 점등 및 촬영에 필요한 조명의 최적 조도설정을 수행한다(S33).
상기 중앙 제어부(10)는 상기 팬틸트 카메라부(40)의 렌즈(43)로부터 현재 촬영 대상물인 피사체의 이미지를 수신한다(S34).
상기 중앙 제어부(10)는 상기 제 S34 단계를 통하여 수신된 자동 포커싱 및 자동 조명 조절에 따른 촬영 대상물에 대한 이미지를 사용자가 인지 가능하도록 상기 터치 스크린(61)에 디스플레이시킨다(S35).
이상에서 설명한 본 고안은,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있어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므로 전술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나타난 팬틸트 카메라를 구비한 키오스크 장치는 거리에서 편리하게 각종 증명사진이나 여권사진 그리고 개인적인 이미지 사진의 촬영을 위한 키오스크 장치에 팬틸트 카메라를 구비시켜 불필요하게 사용자가 위치이동하거나 자세 변화를 주지 않고도 사용자의 촬영위치에 관계없이 촬영자의 위치를 자동으로 파악하여 원하는 규격과 자세의 사진을 촬영할 수 있게 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사용자 사진 촬영에 필요한 조명을 촬영대상물의 현재 조도 상태를 인식하여 자동적으로 다양한 조도의 단계로 조절되는 조명등으로 구비시킴으로써 사용자에게 필요한 최적의 조명환경에서 원하는 사진촬영이 이루어질 수 있게 되는 효과도 있다.
또한, 이러한 자동 포커싱 및 자동 조명을 원하지 않는 사용자는 자신이 직접 수동으로 촬영각과 포커싱 그리고 조명의 정도를 자유롭게 조절할 수 있게 됨으로써 사용자는 자신의 취향에 맞는 개성적인 자신만의 사진을 직접 촬영할 수 있게 되는 효과도 있다.

Claims (4)

  1. 사용자가 촬영하고자 하는 사진의 규격에 따라 촬영 대상물의 현재 위치상태 및 내부 카메라와의 촬영거리를 측정하는 인체 감지기(63);
    상기 인체 감지기(63)와 연결되어, 수신되는 촬영 대상물의 위치정보에 따라 종횡으로 회전하여 카메라 촬영각이 조절되고, 수신되는 거리정보에 따라 줌배율이 조절되어 최적의 촬영상태로 포커싱이 사전 제어되는 팬틸트 카메라부(40);
    상기 팬틸트 카메라부(40)가 촬영하고자 하는 소정 조명구역의 현재 조도를 감지하여 해당 조명구역에 대한 소정의 현재 조도 데이터를 측정하는 조도 센서(64);
    상기 조도 센서(64)와 연결되어, 수신되는 조명구역의 현재 조도 데이터에 관한 정보에 따라 결정된 소정 설정 조도레벨에 상응하도록 내부 조명등(54)의 점등 조도가 조절되는 조명부(50);
    상기 팬틸트 카메라부(40)의 렌즈(43)에 투영되는 피사 영상을 전송받아 각종 제어 메뉴와 함께 표시시키는 터치 스크린(61); 및
    상기 인체 감지기(63)와 상기 팬틸트 카메라부(40)를 연결시키고 상기 조도 센서(64)와 상기 조명부(50)를 연결시켜 상호 데이터 전송을 제어하며, 상기 카메라부(40)로부터 촬영된 이미지를 전송받아 터치 스크린(61)에 표시시켜 사용자의 요청에 따라 외부로 인화 또는 전송시키는 중앙 제어부(10);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팬틸트 카메라를 구비한 키오스크 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인체 감지기(63)는,
    발광부와 수광부로 구성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광센서로 이루어져, 서로 다른 방사각으로 감지빔을 출력시키고 인체를 감지한 감지빔의 감지범위를 통해 정확한 촬영 대상물의 위치를 인식하고, 수광시간을 통해 촬영 대상물과 카메라와의 거리를 측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팬틸트 카메라를 구비한 키오스크 장치.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팬틸트 카메라부(40)는,
    상기 인체 감지기(63)로부터의 촬영 대상물 위치정보를 수신하여 상응하는 위치변화를 위한 수평 및 수직의 회전 제어신호를 출력하는 장착대 컨트롤러(44);
    상기 장착대 컨크롤러(44)로부터 수평회전 제어신호를 수신하여 내부의 팬모터 및 구동기어를 통해 수평회전 동작을 수행하는 팬동작 수행부(45);
    상기 장착대 컨트롤러(44)로부터 수직회전 제어신호를 수신하여 내부의 틸트모터 및 랙크를 통해 수직회전 동작을 수행하는 틸트동작 수행부(46);
    상기 팬동작 수행부(45)와 틸트동작 수행부(46)의 수평 및 수직 회전에 연동되어 촬영각 변경을 위해 위치변동되는 카메라 장착대(47);
    상기 인체 감지기(63)로부터 촬영 대상물의 거리정보를 수신하여 상응하는줌배율변화를 위한 줌동작 제어 신호를 출력하는 카메라 컨트롤러(41);
    상기 카메라 컨트롤러(41)로부터 줌동작 제어신호를 수신하여 내부의 줌모터를 통해 줌배율을 제어하는 줌동작 수행부(42); 및
    상기 카메라 장착대(47)에 장착되어 해당 카메라 장착대(47)의 위치변동 및 줌동작 수행부(42)의 줌배율 제어에 따라 촬영 대상물에 대한 자동 포커싱에 의한 촬영이 이루어지는 렌즈(43);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팬틸트 카메라를 구비한 키오스크 장치.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팬틸트 카메라부(40) 및 조명부(50)의 자동 포커싱 및 조명조도의 제어가 상기 터치 스크린(61)을 통한 사용자 단계별 선택에 의해 수동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팬틸트 카메라를 구비한 키오스크 장치.
KR20-2003-0037142U 2003-11-28 2003-11-28 팬틸트 카메라를 구비한 키오스크 장치 KR200343956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3-0037142U KR200343956Y1 (ko) 2003-11-28 2003-11-28 팬틸트 카메라를 구비한 키오스크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3-0037142U KR200343956Y1 (ko) 2003-11-28 2003-11-28 팬틸트 카메라를 구비한 키오스크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43956Y1 true KR200343956Y1 (ko) 2004-03-06

Family

ID=4942605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3-0037142U KR200343956Y1 (ko) 2003-11-28 2003-11-28 팬틸트 카메라를 구비한 키오스크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43956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7426887B (zh) 智能照明装置的操作模式转换方法
JP5189377B2 (ja) フラッシュ装置
US8098287B2 (en) Digital camera with a number of photographing systems
US7102686B1 (en) Image-capturing apparatus having multiple image capturing units
CN101860644B (zh) 图像处理设备
JP3929752B2 (ja) 文書カメラ
KR101058011B1 (ko) 터치 스크린을 이용한 디지털 카메라 조작 방법
US7505679B2 (en) Image-taking apparatus
CN101772952A (zh) 摄像装置
WO2006038577A1 (ja) プロジェクタ装置を有する電子機器
JP2003259182A (ja) 携帯情報端末機
CN103873770A (zh) 外部设备及其控制方法和摄像设备及其控制方法
US20060119734A1 (en) Docking station for near-object digital photography
KR20050051748A (ko) 팬틸트 카메라 키오스크를 통한 이미지 촬영 방법 및 이를실행하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기록매체
JP2001346090A (ja) 電子カメラシステム及び電子カメラ
KR200343956Y1 (ko) 팬틸트 카메라를 구비한 키오스크 장치
KR100261603B1 (ko) 포트레이트 촬영 장치 및 그 방법
JP2001167379A (ja) ナンバ読取照合装置
JP2005062753A (ja) 照明装置および撮影システム
JP2003348418A (ja) 電子虫眼鏡
JP2004187140A (ja) 資料提示装置
JP2014197162A (ja) 撮像装置
JP2001208954A (ja) デジタルカメラ
JP2001136430A (ja) 画像取込装置およびその動作制御方法
JP2005333482A (ja) 撮影制限システム、撮影装置及び撮影制限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