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43609Y1 - 다방향으로절첩이가능한텐트용폴대 - Google Patents

다방향으로절첩이가능한텐트용폴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43609Y1
KR200343609Y1 KR2019980019998U KR19980019998U KR200343609Y1 KR 200343609 Y1 KR200343609 Y1 KR 200343609Y1 KR 2019980019998 U KR2019980019998 U KR 2019980019998U KR 19980019998 U KR19980019998 U KR 19980019998U KR 200343609 Y1 KR200343609 Y1 KR 200343609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le
tent
folding
rotary
fold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80019998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9990004079U (ko
Inventor
장재철
Original Assignee
장재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장재철 filed Critical 장재철
Priority to KR2019980019998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43609Y1/ko
Publication of KR19990004079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04079U/ko
Priority to NZ511212A priority patent/NZ511212A/en
Priority to EP99947995A priority patent/EP1127203A1/en
Priority to CNA2003101047505A priority patent/CN1502765A/zh
Priority to AU61262/99A priority patent/AU6126299A/en
Priority to CN 200310104746 priority patent/CN1572996A/zh
Priority to CN 200310104751 priority patent/CN1266362C/zh
Priority to CA002347778A priority patent/CA2347778A1/en
Priority to JP2000577380A priority patent/JP2002527655A/ja
Priority to CN 99813405 priority patent/CN1131922C/zh
Priority to PCT/KR1999/000624 priority patent/WO2000023676A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43609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43609Y1/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5/00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5/32Parts, components, construction details, accessories, interior equipment, specially adapted for tents, e.g. guy-line equipment, skirts, thresholds
    • E04H15/34Supporting means, e.g. frames
    • E04H15/44Supporting means, e.g. frames collapsible, e.g. breakdown type
    • E04H15/48Supporting means, e.g. frames collapsible, e.g. breakdown type foldable, i.e. having pivoted or hinged mea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5/00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5/32Parts, components, construction details, accessories, interior equipment, specially adapted for tents, e.g. guy-line equipment, skirts, thresholds
    • E04H15/60Pol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Tents Or Canopies (AREA)

Abstract

가. 청구범위에 기재된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
본 고안은 야영시 사용하는 텐트에 있어서 텐트의 골격를 형성하는 폴대에 관한 것으로, 특히 폴대에 텐트천이 결합된 상태에서도 텐트를 펴거나 접는 것이 용이함은 물론 부러짐을 방지토록 하기 위한 원터치 텐트용 폴대에 관한 것이다.
나. 고안이 해결하려는 기술적 과제.
원터치 텐트에 있어서 텐트의 폴대는 텐트천과 일체로 형성되어 있어 일반적인 텐트의 폴대보다는 상당한 강도의 보강이 요구되는 것이다.
그러나 통상의 원터치 텐트의 폴대는 단순히 휨성이 용이한 재질을 이용함으로서 별도의 절첩을 위한 보강의 수단이 요구되지 않았던 것이다.
그러나 원터치 텐트의 폴대는 텐트천이 일체로 형성된 상태에서 접어짐과 펼침이 이루어져야 함으로 별도의 절첩을 위한 관절이 사용되는 것이다.
따라서 이러한 관절에 작용되는 압력에 의하여 부러짐이 발생되는 문제점이 있는 것이다.
다. 고안의 해결방법의 요지.
폴대의 절첩을 위한 관절에 보강수단을 부여하고 폴대의 절첩이 펼쳐접과 접어질 경우에 각도의 조절이 자유롭도록 함으로서 종래의 문재점을 해소한 것이다.
라. 고안의 중요한 용도
텐트용 폴대

Description

다방향으로 절첩이 가능한 텐트용 폴대.
본 고안은 텐트에 사용되는 폴대에 관한 것으로, 특히 원터치 텐트에 있어서의 폴대의 관절보호에 관한 것이다.
현재 일반적인 텐트에서의 폴대는 절첩이 요구되어지지 않기 때문에 하나의 폴대로 이루어지거나 또는 보관의 용이성을 갖도록 하기 위한 접힘수단을 제공하고있는 것이다.
그러나 이러한 접힘수단이 단지 접어짐을 위한 것이기 때문에 원터치 텐트에서의 작용은 불가능한 것이 있다.
따라서 원터치 텐트에 사용되어지는 폴대는 관절에 의한 절첩이 이루어지도록 되고, 이러한 폴대에는 텐트천이 일체로 형성된 상태에서 펼쳐짐과 접어짐이 이루어지게 되는 것이다.
따라서 이러한 관절은 텐트천이 일체로 형성된 폴대가 펼쳐짐과 접어질 경우에 부러짐을 방지하기 위한 수단이 제공되어야 하는 것이다.
따라서 최근에는 이러한 관절의 부러짐을 방지하기 위하여 관절의 두게를 크게함으로서 부러짐을 최소화하고 있으나 이러한 두터운 살은 취급의 불편함은 물론 과다중량에 의한 원터치 텐트로서의 접어짐과 펼쳐짐에 문제가 발생되는 것이 었다.
따라서 최근에는 이러한 관절을 사출성형에 의하여 저중량화함으로서 원터치 텐트를 치고 접을 경우에 용이하게 하고 있는 것이다.
그러나 이럴 경우에 폴대가 텐트천과 일체로 형성된 상태에서 폴대의 집어짐에 의한 텐트의 접는 과정과 펼쳐지는 과정에 관절의 절첩이 통상 일방향으로 접어지는 것이 아니고 서로 반대되는 방향으로 접어지게 됨으로 이럴 경우에 폴대의 비틀림에 의하여 관절이 파손되어지는 문제가 발생되는 것이다.
본 고안은 상기한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한 것으로서, 관절에 보강을 갖도록 하여 관절의 부러짐을 방지하고 동시에 폴대의 절첩을 위한 탄성관의 양측단에 끼임구가 삽입고정되어 끼임구의 타측이 연결구에 절첩될 수 있도록 결합되어 반복되게 길게 연결된 폴대의 중심부에 형성된 연결구의 양측으로 절첩될 수 있도록 얼결된 끼임구에 삽입되는 탄성관은 회전이 가능토록 삽입될 상태에서 고정시키지 않고 회전구를 이용하여 회전구의 내측으로 돌설된 회전돌기가 끼임구의 외측에 요설된 회전홈에 회전이 가능하게 삽입된 상태에서 회전구의 일측은 탄싱관에 고정토록 함으로서 회전구를 회전시키면 회전구의 일측에 고정된 탄성관만이 회전토록 하면서 폴대의 중심부를 정점으로 하여 좌우측의 폴대가 각각 다른 방향으로 회전시킴으로서 폴대의 절첩되어지는 방향을 바꿀 수 있도록 함으로서 텐트천이 폴대에 결합된 상태에서도 용이하게 펴지거나 접을 수 있도록 한 것이다.
도 1은 폴대의 연결구성을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폴대의 중심부에 연결구가 장착된 상태의 사시도.
도 3은 연결구에 회전구가 장착되는 상태의 분해사시도.
도 4는 도3의 결합된 상태의 단면도.
도 5는 회전구의 또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사시도.
<도면의주요부분에대한부호의설명>
1 : 탄성관 2 : 끼임구
3 : 연결구 4 : 회전홈
5 : 회전돌기 6 : 회전구
7 : 끼임환테 8 :
9 : 10 : 폴대
이하 본고안을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명세서 및 도면에 기재되는 명칭 및 부호가 종래의 기술과 동일한 부분에 대하여는 동일한 부호를 붙임과 동시에 서로 대칭되는 부분에 대하여는 부호 및 설명을 생략한다.
도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구성은 봉이나 관으로 되어 휨성이 우수한 금속이나 합성수지로 제조되는 탄성관(1)의 양측단에 끼임구(2)가 탈리되지 않토록 삽입된 상태에서 나사나 리벳 또는 접착의 수단으로 고정되어 끼임구(2)의 타측(2a)이 연결구(3)에 일측방향으로만 절첩될 수 있도록 절첩되어지는 방향으로 만만곡면(2b)을 갖도록 하여 연결구(3)를 구성하는 격벽(3a)의 내측 모서리변으로 보강살(3b)을 형성하고, 이러한 연결구(3)를 이용하여 연속으로 결합되어 길게 연결된 폴대(10)와; 상기 폴대(10)의 중심부에 형성된 연결구(3a)의 양측으로 절첩될 수 있도록 연결된 끼임구(2)에 삽입되는 탄성관(1)은 삽입된 상태에서 회동이 가능토록 하고, 상기 끼임구(2)의 외측면에 요설된 회전홈(4)에 도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내측으로 회진돌기(5)가 돌설된 회전구(6)가 회전이 가능토록 끼워진 상태에서 상기 회전구(6)의 일측(6a)이 탄성관(1)에 리벳이나 나사로 고정토록 된 구성이다.
이때 회전구(6)의 일측(6a)은 반듯이 탄성관(1)에 고정되어야 하는 것이고 고정의 방법으로는 접착이나 나사를 이용한 결합방식을 사용할 수 있는 것이고, 회전돌기(5)는 끼임구(2)의 외측에 요설된 회전홈(4)에 삽입된 상태에서 이탈되지 않토록 하면서 회전구(6)를 끼임구(2)에 결합이 용이토록 하기 위하여 회전구(6)는 몸체의 절반이 절단된 상태에서 회전돌기(5)가 형성된 상부로 끼임환테(7)만을 형성함으로서 끼임구(2)에 결합이 용이토록 하면서 끼임환테(7)에 의하여 회전홈(4)에 끼여진 회전돌기(5)가 쉽게 탈리되지 않게 되는 것이다.
이때 회전구(6)의 몸채를 절반으로 절단하지 않고 끼임구(2)에 가방에 의한 방법으로 삽입하여 회전돌기(5)가 회전홈(4)을 감싸지도록 일체로 형성할 수 있으며, 또한 회전구(6)를 절반으로 절단한 상태에서 회전구(6)의 일측(6a)을 탄성관 (1)에 나사결합함으로서 회전돌기(5)가 회전홈(4)에서 이탈되지 않토록 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도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회전구(6)의 일측(6a)을 탄성관(1)에 나사결합할 경우에 2개의 나사를 이용하어 상하나 좌우로 결합하여야 정확한 고정이 가능토록 되는 것이다.
이때 회전돌기(5)는 회전구(6)의 내측에 일정간격을 유지하여 듬성듬성 형성하거나 연결되어진 상태로 일체로 형성할 수 있는 것이다.
따라서 탄성관(1)이 끼임구(2)에 고정되지 않고 삽입된 상태이기 때문에 탄성관(1)은 끼임구(2)에서 회전이 가능토록 되는 것이고 이때 탄성관(1)이 끼임구(2)에서 탈리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회전구(6)의 회전돌기(5)가 끼임구(2)의 회전홈(4)에 삽입토록 하고, 삽입된 상태에서도 회전돌기(5)가 끼임구(2)의 회전홈(4)에서 이탈될 경우에 탄성관(1)이 끼임구(2)에서 탈리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끼임환테(7)를 형성함으로서 전체적으로 탄성관(1)이 방향을 전환하게 되면서 절첩 되어지는 것이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폴대는 텐트의 골격을 일체로 형성하여 설치된 텐트의 전방에 차양막으로 추가 설치하거나 소형의 텐트용으로 사용할 때 텐트와 폴대가 일체로 형성된 상태에서도 접어지는 폴대의 방향을 원하는 방향으로 자유롭게 전환이 가능하기 때문에 텐트의 설치와 철거가 용이토록 한 것이다.
또한 텐트폴대 1개 또는 2개의 라인을 이용하여 텐트천과 폴이 함께 결합되어진 일자형 텐트 혹은 터널형 텐트 더나아가 2개의 폴대를 교차하도록 텐트천과 결합하여 일반텐트도 쉽게 설치와 철거가 가능토록 한 것이다.
또한 연결구에 형성되어진 보강살에 의하여 연결구의 격벽에 연결되어진 탄성관의 만곡부가 비틀림될 경우에도 보강살에 의하여 격벽의 부러짐이 발생되지 않게 되는 것이다.

Claims (3)

  1. 탄성관의 양측단애 끼임구가 결합되어 연결구의 격벽에 끼워져 회전가능하게 연결되어지는 폴대에 있어서, 상기 끼임구의 전단으로 만곡면(2b)을 갖고 후단으로는 회전홈(4)을 갖고, 상기 끼임구(2)의 회전홈에는 내측으로 회전돌기(5)가 돌설된 회전구(6)가 회전이 가능토록 끼워진 상태에서 상기 회전구(6)의 일측(6a)이 탄성관(1)에 리벳이나 나사로 고정토록 됨을 특징으로 하는 다방향으로 절첩이 가능한 폴대
  2. 제1항에 있어서, 회전구(6)의 타측으로는 끼임환테(7)가 형성됨을 특지으로 하는 다방향으로 절첩이 가능한 폴대.
  3. 제1항에 있어서, 연결구의 격벽 내측 모서리 변으로는 보강살이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다방향으로 절첩이 가능한 폴대.
KR2019980019998U 1998-10-19 1998-10-19 다방향으로절첩이가능한텐트용폴대 KR200343609Y1 (ko)

Priority Applications (1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80019998U KR200343609Y1 (ko) 1998-10-19 1998-10-19 다방향으로절첩이가능한텐트용폴대
AU61262/99A AU6126299A (en) 1998-10-19 1999-10-19 A tent which is pitched and disassembled by one touch
EP99947995A EP1127203A1 (en) 1998-10-19 1999-10-19 A tent which is pitched and disassembled by one touch
CNA2003101047505A CN1502765A (zh) 1998-10-19 1999-10-19 一种通过弹性键搭架与收拢的帐篷
NZ511212A NZ511212A (en) 1998-10-19 1999-10-19 A tent which is pitched and disassembled by one touch
CN 200310104746 CN1572996A (zh) 1998-10-19 1999-10-19 一种通过弹性键搭架与收拢的帐篷
CN 200310104751 CN1266362C (zh) 1998-10-19 1999-10-19 一种通过弹性键搭架与收拢的帐篷
CA002347778A CA2347778A1 (en) 1998-10-19 1999-10-19 A tent which is pitched and disassembled by one touch
JP2000577380A JP2002527655A (ja) 1998-10-19 1999-10-19 ワンタッチで張りかつ折り畳むテント
CN 99813405 CN1131922C (zh) 1998-10-19 1999-10-19 一种通过弹性键搭架与收拢的帐篷
PCT/KR1999/000624 WO2000023676A1 (en) 1998-10-19 1999-10-19 A tent which is pitched and disassembled by one touch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80019998U KR200343609Y1 (ko) 1998-10-19 1998-10-19 다방향으로절첩이가능한텐트용폴대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04079U KR19990004079U (ko) 1999-01-25
KR200343609Y1 true KR200343609Y1 (ko) 2004-05-31

Family

ID=4942582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80019998U KR200343609Y1 (ko) 1998-10-19 1998-10-19 다방향으로절첩이가능한텐트용폴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43609Y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04079U (ko) 1999-01-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278449Y1 (ko) 휴대용 텐트를 위한 장대 결합부재의 잠김 자동해제장치
US7621289B2 (en) Connector of instant set-up foldable tent frame
US10494832B2 (en) Removably mountable roof frame for use with an expandable canopy
KR200343609Y1 (ko) 다방향으로절첩이가능한텐트용폴대
US5299590A (en) Sun shade structure
US11828443B2 (en) Tool-free light box
CN218479639U (zh) 户外遮蔽产品
CN207848799U (zh) 视频会议用显示器支撑架
CN215098083U (zh) 折叠器及折叠车辆
KR200382808Y1 (ko) 텐트용 폴대 절첩구조
KR200337137Y1 (ko) 강도가 보강된 조립식 그늘막의 연결대
KR200411723Y1 (ko) 텐트의 폴 지지구
CN220665734U (zh) 一种用于晾衣杆的防雨装置
KR200172539Y1 (ko) 휴대용 텐트의 장대 결합부재
KR200300951Y1 (ko) 휴대용 텐트의 장대 결합부재
CN216453743U (zh) 伞骨关节接头及伞
CN204994135U (zh) 由基础装置和附装装置形成的组件
CN217977547U (zh) 一种阀前进水软管组结构
CN217218698U (zh) 一种防风衣架
CN220100876U (zh) 一种帐篷
CN218759146U (zh) 一种帐篷组件
KR19990033677U (ko) 우산식텐트의절첩방지용폴대
CN218237323U (zh) 一种灯体安装结构
KR200245697Y1 (ko) 우산식텐트의 절첩방지용 폴대
KR200238948Y1 (ko) 안경다리의 힌지결합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15R Request for early opening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