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90033677U - 우산식텐트의절첩방지용폴대 - Google Patents

우산식텐트의절첩방지용폴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90033677U
KR19990033677U KR2019990008017U KR19990008017U KR19990033677U KR 19990033677 U KR19990033677 U KR 19990033677U KR 2019990008017 U KR2019990008017 U KR 2019990008017U KR 19990008017 U KR19990008017 U KR 19990008017U KR 19990033677 U KR19990033677 U KR 19990033677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le
tent
folded
support
unfold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90008017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장재철
Original Assignee
장재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장재철 filed Critical 장재철
Priority to KR2019990008017U priority Critical patent/KR19990033677U/ko
Publication of KR19990033677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33677U/ko
Priority to CN 200310104746 priority patent/CN1572996A/zh
Priority to CNA2003101047505A priority patent/CN1502765A/zh
Priority to NZ511212A priority patent/NZ511212A/en
Priority to EP99947995A priority patent/EP1127203A1/en
Priority to CN 200310104751 priority patent/CN1266362C/zh
Priority to CA002347778A priority patent/CA2347778A1/en
Priority to JP2000577380A priority patent/JP2002527655A/ja
Priority to CN 99813405 priority patent/CN1131922C/zh
Priority to PCT/KR1999/000624 priority patent/WO2000023676A1/en
Priority to AU61262/99A priority patent/AU6126299A/en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5/00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5/32Parts, components, construction details, accessories, interior equipment, specially adapted for tents, e.g. guy-line equipment, skirts, threshold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5/00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5/32Parts, components, construction details, accessories, interior equipment, specially adapted for tents, e.g. guy-line equipment, skirts, thresholds
    • E04H15/60Pol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Tents Or Canopies (AREA)

Abstract

가. 청구범위에 기재된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
본 고안은 다수개의 탄성관이 연결구에 의해서 절첩식으로 구성된 폴대를 텐트천이 결합된 상태에서 원터치로 펴거나 접을 수 있도록 되는 텐트에 있어서, 텐트가 펼쳐진 상태에서 텐트에 외압이 가해질 경우에 지면에서 일정위치에서 고정되어 지지되어 있는 지지폴대와 휨이 요구되는 휨폴대의 연결구가 접혀지면서 텐트가 무너지게 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한 것이다.
나. 고안이 해결하려는 기술적 과제.
종래에 이러한 방식의 절첩식 텐트는 휨폴대와 지지폴대의 연결이 각각의 폴대로 사용되는 탄성관의 선단으로 끼임구를 결합하여 끼임구를 절첩이 가능토록 연결구에 연결되어 있고 지지폴대와 휨폴대는 외측으로만 접어지게 되어 있는 것이다.
따라서 텐트가 펼쳐진 상태에서 외압이 작용하여 텐트의 지지폴대와 휨폴대를 건드리면 지지폴대와 휨폴대를 연결하고 있는 연결구가 접혀지면서 펼쳐진 텐트가 무너지게 되는 문제점이 있는 것이다.
다. 고안의 해결방법의 요지.
휨폴대에 결합된 끼임구의 선단에 내향턱이 형성된 결합돌기를 형성하고, 지지폴대에 결합된 끼임구의 선단으로는 외향턱이 형성된 내입홈을 형성하여, 결합돌기의 측방으로 천공된 가동구멍에 내입홈의 격벽에서 축핀에 의하여 회동이 가능하게 결합하여 텐트가 펼쳐질 경우에 휨폴대의 내향턱이 지지폴대의 외향턱과 맞물리면서 외력이 작용할 경우에도 폴대가 접어지지 않토록 한 것이다.
라. 고안의 중요한 용도
절첩식 텐트.

Description

우산식 텐트의 절첩 방지용 폴대{Pole preventing fold in tent}
본 고안은 플라스틱이나 금속등의 재질로 된 봉이나 관타입의 탄성관을 이용하여 상기 탄성관을 끼임구를 이용하여 절첩되어질 수 있도록 연결구에 의해서 구성된 폴대에 텐트천이 결합된 상태에서 원터치로 펴거나 접을 수 있도록 되는 텐트에 있어서, 텐트가 펼쳐진 상태에서 텐트에 외압이 가해질 경우에 지지폴대와 휨폴대 부분이 접혀지면서 텐트가 무너지게 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한 것이다.
종래에 이러한 방식의 절첩식 텐트는 그 구성이 휨폴대(10)가 방사상으로 형성될 수 있도록 휨폴대에 끼임구(11)가 결합된 상태에서 끼임구가 끼여져 연결될 수 있도록 끼임부(21)가 4등분되게 구분된 상부연결체(20)에 절첩이 가능토록 연결하고, 상기 상부연결체(20)의 직하방으로는 결합관(22)이 형성되어진 상태에서 상부연결체(20)에 연결된 각각의 휨폴대(10)중간에는 절첩되어지도록 지지대(40)가 연결되고 상기 지지대(40)의 타측은 하부연결체(60)의 끼임부(21)에 연결토록 되면서 상기 하부연결체(60)의 상부로는 결합돌축(61)이 형성되어 있어, 텐트를 펼칠경우에 지지대(40)가 연결되어진 하부연결체(60)를 밀어올리면 지지대(40)가 상부연결체(20)에 연결된 휨폴대(10)를 밀어올리면서 결합돌축(61)이 상부연결체(20)의 하부에 형성된 결합관(22)으로 삽입토록 되면 휨폴대(10)의 하단에 연결된 지지폴대(80)는 지면에 텐트를 치고자 하는 폭으로 고정되어 있기 때문에 휨폴대(10)만이 휘어지게 되면서 텐트가 펼쳐지게 되고 펼쳐진 후에는 지지대(40)의 지지력과 휨폴대(10)의 탄력에 의하여 텐트가 펼쳐진 상태에서 외력이 발생되지 않는 한 고정된 상태에서 돔의 형상으로 텐트가 펼쳐지게 되는 것이다.
그러나 이때 2개의 지지폴대(80)와 휨폴대가 텐트천에 바람이나 외력이 작용하여 접혀지게 될 경우에는 펼쳐진 텐트가 무너지게 되는 원인이 되는 것이다.
본 고안은 상기한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한 것으로서, 휨폴대(10a)에 결합된 끼임구(11a)의 선단에는 내향턱이 형성된 결합돌기를 형성하고, 지지폴대(80)에 결합된 끼임구(11b)의 선단에는 외향턱이 형성된 내입홈을 형성하여, 결합돌기의 측방으로 천공된 가동구멍에 내입홈의 격벽에서 축핀에 의하여 회동이 가능하게 결합하여 텐트가 펼쳐질 경우에 가동구멍에 의하여 결합돌기가 내입홈에서 이동되면서 휨폴대의 내향턱이 지지폴대의 외향턱과 맞물리게 되어 외력이 작용할 경우에도 폴대가 접어지지 않토록 한 것이다.
도 1은 본 고안의 지지폴대와 휨폴대의 연결 구성을 나타낸 분해 사시도.
도 2는 지지폴대의 끼임구와 휨폴대의 끼임구가 외향턱과 내향턱이 맞물린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
도 3은 지지폴대의 끼임구와 휨폴대의 끼임구가 외향턱과 내향턱이 이격된 상태의 단면도.
도 4는 지지폴대의 끼임구와 휨폴대의 끼임구가 외향턱과 내향턱이 이격된 상태에서 접어지게 되는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
도 5는 본 고안의 폴대로 형성된 텐트의 사용 상태도.
도 6은 종래의 폴대의 구성을 나타낸 사시도.
<도면의주요부분에대한부호의설명>
1: 내향턱 2: 결합돌기
3: 외향턱 4: 내입홈
5: 가동구멍 6: 격벽
7: 축핀 8: 내벽
이하에서는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가장 바람직한 일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하고, 명세서 및 도면에 기재되는 명칭 및 부호가 종래의 기술과 동일한 부분에 대하여는 동일한 부호를 붙임과 동시에 서로 대칭되는 부분에 대하여는 부호 및 설명을 생략한다.
제 1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텐트 구성은 휨폴대(10)가 방사상으로 형성될 수 있도록 끼임부(21)가 직각으로 4등분되게 구분된 상부연결체(20)에 절첩이 가능토록 휨폴대(10)에 고정된 끼임구(11)가 연결된 상태에서 상부연결체(20)의 직하방으로는 결합관(22)이 형성되어지고, 상부연결체(20)에 연결된 각각의 휨폴대(10)중간에는 절첩되어지도록 연결된 지지대(40)의 타측은 끼임구(11)에 의하여 하부연결체(60)의 끼임부(21)에 연결된 상태에서 하부연결체(60)의 상부로는 결합돌축(61)이 형성되어 있어, 텐트를 펼칠경우에 지지대(40)가 연결되어진 하부연결체(60)를 밀어올리면 지지대(40)가 상부연결체(20)에 연결된 휨폴대(10)를 밀어올리면서 결합돌축(61)이 상부연결체(20)의 하부에 형성된 결합관(22)으로 삽입토록 되는 것이다.
이때 또다른 휨폴대(10a)의 하단에 연결된 지지폴대(80)는 텐트를 치고자 하는 폭으로 텐트 또는 지면에 고정되어 있기 때문에 휨폴대(10,10a)만이 휘어지게 되면서 텐트가 돔 형상으로 펼쳐지게 되고 펼쳐진 후에는 지지대(40)의 지지력과 휨폴대(10,10a)의 탄력에 의하여 텐트가 펼쳐진 상태에서 외력이 발생되지 않는 한 고정된 상태가 유지토록 되는 공지의 것에 있어서, 휨폴대(10a)와 지지폴대(80)가 연결되는 휨폴대(10a)에 결합된 끼임구(11a)의 선단에는 내향턱(1)이 형성된 결합돌기(2)를 형성하고, 지지폴대(80)에 결합된 끼임구(11b)의 선단으로는 외향턱(3)이 형성된 내입홈(4)을 형성하여, 결합돌기(2)의 측방으로 천공된 가동구멍(5)에 내입홈(4)의 격벽(6)에서 축핀(7)에 의하여 회동이 가능하게 결합되어지는 구성이다.
따라서 텐트가 펼쳐질 경우에 지지폴대(80)가 지지되어진 상태에서 휨폴대(10a)가 휘어질 경우에 자연적으로 휨폴대(10a)의 끼임구(11a)측방으로 천공된 가동구멍에 의하여 휨폴대가 지지폴대(80)측으로 밀리게 되면서 휨폴대(10a)의 내향턱(1)이 지지폴대(80)의 외향턱(3)과 맞물리면서 외력이 작용할 경우에도 휨폴대와 지지폴대가 접어지지 않토록 되는 것이다.
이때 휨폴대(10a)와 지지폴대(80)는 텐트를 펼칠 경우에 지지폴대의 지지력과 휨폴대의 휘어지는 힘에 의하여 텐트가 펼쳐지는 것이기 때문에 지지폴대가 휨폴대의 내측으로 접어지지 않게 되어야 하는 것이고 이를 위하여 내입홈(4)의 내벽(8)에 결합돌기(2)가 걸려지게 됨으로 지지폴대(80)가 휨폴대(10a)의 내측으로 접어지게 되는 것을 방지하게 되는 것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은 텐트를 칠 경우에 발생되는 자연적인 지지력에 의하여 자동적으로 지지폴대의 암연결구와 휨폴대의 숫연결구가 맞물리도록 함으로서 펼쳐진 텐트가 외력에 의하여 넘어지지 않토록 되는 것이다.

Claims (1)

  1. 휨폴대에 결합된 끼임구의 선단에 내향턱이 형성된 결합돌기를 형성하고, 지지폴대에 결합된 끼임구의 선단으로는 외향턱이 형성된 내입홈을 형성하여 맞물리도록 하고 결합돌기의 측방으로 천공된 가동구멍에는 내입홈의 격벽에서 축핀에 의하여 전후이동되면서 회동이 가능하게 결합되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우산식 텐트의 절첩 방지용 폴대.
KR2019990008017U 1998-10-19 1999-05-12 우산식텐트의절첩방지용폴대 KR19990033677U (ko)

Priority Applications (1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90008017U KR19990033677U (ko) 1999-05-12 1999-05-12 우산식텐트의절첩방지용폴대
AU61262/99A AU6126299A (en) 1998-10-19 1999-10-19 A tent which is pitched and disassembled by one touch
EP99947995A EP1127203A1 (en) 1998-10-19 1999-10-19 A tent which is pitched and disassembled by one touch
CNA2003101047505A CN1502765A (zh) 1998-10-19 1999-10-19 一种通过弹性键搭架与收拢的帐篷
NZ511212A NZ511212A (en) 1998-10-19 1999-10-19 A tent which is pitched and disassembled by one touch
CN 200310104746 CN1572996A (zh) 1998-10-19 1999-10-19 一种通过弹性键搭架与收拢的帐篷
CN 200310104751 CN1266362C (zh) 1998-10-19 1999-10-19 一种通过弹性键搭架与收拢的帐篷
CA002347778A CA2347778A1 (en) 1998-10-19 1999-10-19 A tent which is pitched and disassembled by one touch
JP2000577380A JP2002527655A (ja) 1998-10-19 1999-10-19 ワンタッチで張りかつ折り畳むテント
CN 99813405 CN1131922C (zh) 1998-10-19 1999-10-19 一种通过弹性键搭架与收拢的帐篷
PCT/KR1999/000624 WO2000023676A1 (en) 1998-10-19 1999-10-19 A tent which is pitched and disassembled by one touch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90008017U KR19990033677U (ko) 1999-05-12 1999-05-12 우산식텐트의절첩방지용폴대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33677U true KR19990033677U (ko) 1999-08-16

Family

ID=5475658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90008017U KR19990033677U (ko) 1998-10-19 1999-05-12 우산식텐트의절첩방지용폴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9990033677U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43204A (ko) * 2002-05-11 2002-06-08 손호대 절첩식텐트의 텐트골조
KR102279596B1 (ko) * 2021-02-26 2021-07-19 임홍근 접고 펴기가 편리한 접이식 모기장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43204A (ko) * 2002-05-11 2002-06-08 손호대 절첩식텐트의 텐트골조
KR102279596B1 (ko) * 2021-02-26 2021-07-19 임홍근 접고 펴기가 편리한 접이식 모기장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47640B1 (ko) 가이드부재를 갖는 플렉시블 디스플레이장치
JP3122941B2 (ja) 折畳み式テント
AU6996800A (en) Securing coupling for corrugated pipes
KR19990033677U (ko) 우산식텐트의절첩방지용폴대
KR100946076B1 (ko) 캐노피 텐트용 폴대
KR200245697Y1 (ko) 우산식텐트의 절첩방지용 폴대
CN109779383A (zh) 杆件弯折关节、自动弹开型帐篷支架及帐篷集群
CN215014162U (zh) 一种高效组装折叠伞骨结构
KR200267958Y1 (ko) 절첩식 2인용 텐트
KR910004568Y1 (ko) 원터치식 돔형텐트의 하부관절 접힘방지장치
KR200300951Y1 (ko) 휴대용 텐트의 장대 결합부재
KR200380958Y1 (ko) 고리 연결용 플러그
KR200172539Y1 (ko) 휴대용 텐트의 장대 결합부재
LU90664B1 (de) Verbindungsprofil fuer Spundbohlen
GB2423096A (en) A connector of instant set-up foldable tent frames
CN218759146U (zh) 一种帐篷组件
KR200245696Y1 (ko) 리치바가 일체로 형성된 절첩식 텐트의 폴대
KR200245695Y1 (ko) 고정수단이 형성된 텐트
KR200343609Y1 (ko) 다방향으로절첩이가능한텐트용폴대
KR19990033686U (ko) 우산식텐트의지지대끼임구
CN211747451U (zh) 一种新型折叠伞的多段中棒的接合结构
KR100457094B1 (ko) 지붕 연결구
KR200319078Y1 (ko) 지붕 연결구
KR880004262Y1 (ko) 범용성 절첩식 골조 연결구
KR200278432Y1 (ko) 높이 조절이 가능한 우산식 텐트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