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0043204A - 절첩식텐트의 텐트골조 - Google Patents

절첩식텐트의 텐트골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0043204A
KR20020043204A KR1020020026594A KR20020026594A KR20020043204A KR 20020043204 A KR20020043204 A KR 20020043204A KR 1020020026594 A KR1020020026594 A KR 1020020026594A KR 20020026594 A KR20020026594 A KR 20020026594A KR 20020043204 A KR20020043204 A KR 2002004320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le
hub
groove
tent
fasten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002659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손호대
Original Assignee
손호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손호대 filed Critical 손호대
Priority to KR1020020026594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0043204A/ko
Publication of KR2002004320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043204A/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5/00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5/32Parts, components, construction details, accessories, interior equipment, specially adapted for tents, e.g. guy-line equipment, skirts, thresholds
    • E04H15/34Supporting means, e.g. frames
    • E04H15/44Supporting means, e.g. frames collapsible, e.g. breakdown type
    • E04H15/48Supporting means, e.g. frames collapsible, e.g. breakdown type foldable, i.e. having pivoted or hinged mea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Tents Or Canop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절첩식텐트의 텐트골조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구체적으로는 다수의 폴대 및 지지폴대가 우산살형태로 설치되는 텐트골조의 상부 허브와 하측 체결구가 삽입되어 결합시 강한 바람에도 회전하지 않도록 서로의 결합부를 육각형이나 또는 팔각형과 같이 각형으로 형성함으로서, 서로 결합되는 허브와 체결구가 결합시 서로 돌아가지(회전하지) 않아 우산살형태로 설치되는 다수의 폴대 및 지지폴대가 비틀리면서 손상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절첩식텐트의 텐트골조는, 상측 외주연에 방사상으로 요홈(22)을 형성한 허브(2)에 3단으로 절첩되는 폴대(3)를 방사상으로 힌지 결합하고, 상기 허브(2)의 직하방에는 하측 외주연에 방사상으로 요홈(42)을 형성하고 이 요홈(42)에 지지폴대(5)가 방사상으로 힌지 결합된 체결구(4)를 설치하되, 상기 각각의 지지폴대(5)의 외측단을 상단 폴대(3)에 힌지식으로 절첩되게 설치하여 우산식으로 절첩되는 절첩식텐트의 텐트골조에 있어서, 상기 허브(2)는 상측 외주연에 8개의 요홈(22)을 형성한 허브몸체(21)의 내측 하부에 각홈(24)이 형성되고, 각홈(24)의 내측상부에는 각홈(24)과 통하는 통공(25)이 관통되게 형성되며, 상기 체결구(4)는 하측 외주연에 8개의 요홈(42)을 형성한 체결구몸체(41)의 상부에 상기 각홈(24)에 대응되게 삽입되는 각끼움부(44)가 형성되고, 각끼움부(44)의 상부에는 각홈(24)을 통하여 통공(25)에 삽입되는 둥근 원추형의 삽입안내부(45)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절첩식텐트의 텐트골조{Frame of foldable tant}
본 발명은 절첩식텐트의 텐트골조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구체적으로는 다수의 폴대 및 지지폴대가 우산살형태로 설치되는 텐트골조의 상부 허브와 하측 체결구가 삽입되어 결합시 강한 바람에도 회전하지 않도록 서로의 결합부를 육각형이나 또는 팔각형과 같이 각형으로 형성함으로서, 서로 결합되는 허브와 체결구가 결합시 서로 돌아가지(회전하지) 않아 우산살형태로 설치되는 다수의 골대 및 지지폴대가 비틀리면서 손상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종래의 원터치방식으로 절첩되는 텐트는 그 텐트골조가 우산형태로 이루어져 우산을 접고 펼치는 것과 같은 간단한 조작으로 텐트를 펴고 접을 수 있도록 발명되었다.
위와 같이 우산형태로 펴고 접을 수 있는 텐트에 대하여 특허와 실용신안으로 다수 건들이 출원되었는데, 그 들중 일부건인 실용신안등록 제207141호(명칭 : 절첩식텐트의 골조 결합부재), 실용신안등록 제213389호(명칭 : 우산식텐트), 실용신안등록출원 제1999-8017호(명칭 : 우산식텐트의 절첩방지용 폴대), 특허출원 제 2000-61390호(명칭 : 원터치텐트), 특허출원 제1999-10359호(명칭 : 우산식텐트의 알루미늄골격) 등의 공통적인 구성은 다음과 같다.
중앙 상부에 위치하는 허브에 방사상으로 4개 정도의 폴대가 힌지식으로 설치되고, 허브의 직하방에 위치하는 체결구에는 방사상으로 지지폴대의 일측이 힌지식으로 설치되며, 이 지지폴대의 타단은 상기 각각의 폴대의 하방을 지지토록 폴대에 힌지식으로 설치되어 있다.
상기 폴대는 접는 우산의 우산살과 같이 각각의 폴대가 2∼3마디로 접어질 수 있도록 되었으며, 각각의 접어지는 부위에는 관절형식의 절첩구가 설치되어 있다.
이와 같은 종래의 텐트골조가 펼쳐질 때는 접이식 우산을 펴는 것과 같이 상부의 허브와 하부의 체결구가 근접하게 결합되거나, 또는 종류에 따라 중심축과 같은 매개물을 통하여 허브와 체결구가 서로 근접하게 이동시켜 결합됨에 따라 지지폴대가 상측으로 올라가면서 2∼3마디로 절첩 가능한 폴대를 펼쳐주어 텐트골조가 펼쳐진 상태를 유지하게 한다.
이때, 상기 텐트골조에는 직물지로 만들어진 텐트본체가 고정되게 결합되어 있어서 텐트골조가 펼쳐지는 대로 텐트 전체가 펼쳐지게 되고, 반대로 텐트를 접고자 하는 경우에는 상기 허브와 체결구와의 결합상태를 해제시키면 허브와 체결구 사이의 거리가 멀어지면서 지지폴대와 폴대가 힌지식으로 접어지면서 텐트가 전체적으로 접혀지게 되는 것이다.
이와 같은 종래의 우산식텐트에서 허브와 체결부가 결합되는 부위가 허브의 중심에 상하로 관통되게 형성된 원형구멍으로 체결부의 삽입부가 삽입되는 형태이므로 허브와 체결구와의 결합상태를 보면, 허브와 그 내부로 삽입 결합된 체결구간에 서로 회전이 가능한 상태가 된다.
이처럼 허브와 체결구와의 결합부위가 회전이 가능한 상태이므로 직물지로 제작된 텐트본체가 바람에 의해 펄럭이며 좌우로 불규칙하게 움직일 때 폴대와 텐트본체가 고정식으로 연결되어 있기 때문에 상기 바람의 영향을 받아 허브와 폴대의 힌지연결부와, 체결구와 지지폴대와의 힌지연결부, 그리고, 지지폴대와 폴대와의 힌지연결부 및 절첩구에 의해 절첩 가능하게 연결된 폴대의 2∼3마디의 관절 연결부(절첩구)에 상기와 같은 외력이 불규칙하게 작용하여 허브와 체결구, 폴대, 지지폴대의 각각의 연결부에 불규칙적인 비틀림 하중과, 서로의 연결부위에 급작스런 반대 방향으로의 외력이 작용하면서 상기 각각의 연결부가 파손될 위험성을 지니고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허브에 육각홈이나 또는 팔각홈 등의 각홈을 형성하고, 허브와 삽입식으로 결합되는 체결구에는 상기 허브의 각홈으로 삽입될 각끼움부를 각홈과 대응하는 형태로 형성함으로서, 허브와 체결구가 서로 삽입되게 결합된 상태에서 바람이 불어 텐트본체가 펄럭이는 경우에도 허브와 체결구와의 삽입결합부가 서로 돌아가지 않으므로 허브와 체결구, 폴대, 지지폴대의 각각의 연결부에 서로 반대 방향으로 급작스런 외력이 작용하지 않아 텐트골조의 각각의 연결부위가 손상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기술적과제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텐트본체가 바람에 의해 펄럭이며 폴대에 외력이 작용하는 경우에 폴대 사이를 연결하고 있는 절첩구가 그 비틀림하중에 대응할 수 있도록 내부절첩구의 양측에 걸림돌기를 돌출되게 형성하고, 외부절첩구의 양측 내벽에는 상기 걸림돌기가 삽입되어 지지될 걸림홈을 추가로 형성하여 폴대 사이에 연결되어 절첩되는 절첩구가 손상되는 것을 예방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또 다른 기술적과제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절첩식텐트의 텐트골조는, 상측 외주연에 방사상으로 요홈을 형성한 허브에 3단으로 절첩되는 폴대를 방사상으로 힌지 결합하고, 상기 허브의 직하방에는 하측 외주연에 방사상으로 요홈을 형성하고 이 요홈에 지지폴대가 방사상으로 힌지 결합된 체결구를 설치하되, 상기 각각의 지지폴대의 외측단을 상단 폴대에 힌지식으로 절첩되게 설치하여 우산식으로 절첩되는 절첩식텐트의 텐트골조에 있어서, 상기 허브는 상측 외주연에 8개의 요홈을 형성한 허브몸체의 내측 하부에 각홈이 형성되고, 각홈의 내측 상부에는 각홈과 통하는 통공이 관통되게 형성되며, 상기 체결구는 하측 외주연에 8개의 요홈을 형성한 체결구몸체의 상부에 상기 각홈에 대응되게 삽입되는 각끼움부가 형성되고, 각끼움부의 상부에는 각홈을 통하여 통공에 삽입되는 등근 원추형의 삽입안내부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폴대의 관절 연결부에 절첩 가능하게 설치되는 절첩구는 서로 관절식으로 연결되는 일측 폴대의 단부에는 상부에 수평 길이방향으로 장공이 형성되고, 장공의 후방 양측 중앙부에는 걸림돌기가 양측으로 돌출되게 형성된 내부절첩구가 설치되고, 서로 관절식으로 연결되는 타측 폴대의 단부에 내부절첩구가 삽입되어 절첩가능하게 후방과 상부가 개구된 삽입공간이 형성되고, 삽입공간 양측의 날개부 상부에는 장공과 대응하는 위치에 핀삽입구멍이 관통되게 형성되며, 양측 날개부의 내벽에는 내부절첩구의 걸림돌기가 슬라이드식으로 삽입되어 걸리게 되는 걸림홈이 길이방향으로 형성된 외부절첩구가 설치되며, 상기 내부절첩구가 외부절첩구의 삽입공간으로 삽입되어 핀삽입구멍과 장공을 핀으로 관통하여 절첩 가능하게 설치한 것을 또 다른 특징으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텐트골조가 접혀지는 상태를 나타내는 구조도.
도 2는 본 발명의 주요부인 허브와 체결구의 결합상태와 구조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주요부인 허브와 체결구의 결합상태를 나타내는 종단면도.
도 4는 도 3의 A-A선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결합구조를 나타내는 부분발췌 단면도.
도 6은 폴대를 절첩시키는 절첩구의 구조를 나타내는 분해사시도.
도 7의 (가)(나)는 도 6에 도시된 절첩구의 작동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텐트골조 2 : 허브 3 : 폴대
4 : 체결구 5 : 지지폴대 6 : 절첩구
21 : 허브몸체 22 :요홈 23 : 걸림돌기
24 : 각홈 25 : 통공 26 : 마감고정판
31 : 경사걸림홈 32 : 연결구 33 : 힌지연결구
41 : 체결구몸체 42 : 요홈 43 : 걸림돌기
44 : 각끼움부 45 : 삽입안내부 46 : 마감고정판
51 : 경사걸림홈 52 : 연결구
61 : 내부절첩구 62 : 외부절첩구 63 : 장공
64 : 걸림돌기 65 : 삽입공간 66 : 날개부
67 : 핀삽입구멍 68 : 걸림홈
이하 첨부된 도면 도 1 내지 도 7을 참고하여 본 발명의 절첩식텐트의 텐트골조를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의 절첩식텐트의 텐트골조는 도 1에서 보는 바와 같이 중앙상부에 위치하는 허브(2)와, 허브(2)에 방사상으로 절첩가능하게 힌지 설치되는 폴대(3)와, 허브(2)와 삽탈식으로 결합되어 텐트골조(1)가 절첩되게 하는 체결구(4)와, 체결구(4)의 방사방향과 각각의 폴대(3) 사이에 힌지식으로 연결되어 폴대(3)를 지지하는 지지폴대(5)로 이루어진다.
상기 허브(2)는 도 2 내지 도 5에서 보는 바와 같이 전구소켓 형태로 허브몸체(21)의 상부 외주연에 8개의 요홈(22)이 방사상 일정한 각도로 형성되고, 이 요홈(22)의 양측 내벽에는 걸림돌기(23)가 돌출되게 형성된다.
그리고, 허브몸체(21)의 내측 하부의 삽입개시부에는 사각 내지 팔각형 등의 각홈(24)이 형성되고, 허브몸체(21)의 내측 상부에는 각홈(24)과 통하는 통공(25)이 관통되게 형성되며, 이 허브몸체(21)의 상부에는 각각의 요홈(22)을 막아주는 마감고정판(26)이 나사로서 고정되게 설치되어 있다.
또한, 상기 허브(2)와 삽탈식으로 결합되는 체결구(4)는 체결구몸체(41)의 하부 외주연에 허브(2)와 동일하게 8개의 요홈(42)이 방사상 일정한 각도로 형성되고, 이 요홈(42)의 양측 내벽에는 걸림돌기(43)가 돌출되게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체결구몸체(41)의 상부에는 상기 각홈(24)에 대응되게 삽입되는 각 체로 형성된 각끼움부(44)가 형성되고, 상기 각끼움부(44)의 상부에는 각홈(24)을 통하여 통공(25)에 삽입되는 둥근 원추형의 삽입안내부(45)가 형성되며, 체결구몸체(41)의 하방에는 각각의 요홈(42)을 막아주는 마감고정판(46)이 나사로서 고정되게 설치되어 있다.
이때, 상기 각홈(24)과 통공(25)이 연결되는 부분에는 각홈(24) 보다 내경이 축소된 부분을 둥글게 형성하여 삽입안내부(45)의 삽입이 용이하도록 하며, 통공(25)의 내주연에 삽입안내부(45)의 근원부가 꼭 들어맞아 유동하지 않는 굵기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위에서 각각의 요홈(22,42)은 서로 동일한 숫자로 마주보게 형성되어야 하는데 본 발명에서는 8개를 형성하여 폴대(3)를 방사상 4개부터 8개까지 선택하여 설치할 수 있으며, 각홈(24)과 각끼움부(44)를 본 발명에서는 일실시예로서 팔각으로 형성하였다.
상기 폴대(3)는 도 1 및 도 4 ,5에서 보는 바와 같이 3개의 마디로 절첩되게 구성되며, 최상단에는 양측에 요홈(22)으로 삽입되어 양측 걸림돌기(23)에 끼워질 경사걸림홈(31)이 40∼45°각도로 경사지게 형성된 연결구(32)가 설치되어 있고, 상단 폴대(3)와 중간 폴대(3) 사이의 관절 연결부, 중간 폴대(3)와 하단 폴대(3)의 관절 연결부에는 절첩구(6)가 연결되어 있다.
상기 상단 폴대(3)의 중간부분에는 "T"자형의 힌지연결구(33)가 설치되고, 이 힌지연결구(33)과 체결구(4)의 요홈(42) 사이에는 지지폴대(5)가 힌지식으로 절첩되게 연결되어 있다. 이때, 이 지지폴대(5)는 체결구(4)의 요홈(42)에 연결되는 부분에 요홈(42)으로 삽입되어 요홈(42) 양측 내벽의 걸림돌기(43)에 끼워져 걸리는 경사걸림홈(51)이 양측에 40∼45°각도로 경사지게 형성된 연결구(52)가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폴대(3)의 관절 연결부에 절첩 가능하게 설치되는 절첩구(6)는 도 6 및 도 7에서 보는 바와 같이 서로 관절식으로 연결되는 폴대(3)의 단부에 내외부절첩구(61,62)가 각각 고정되게 설치되며, 내부절첩구(61)의 단부에는 상부에 수평 길이방향으로 장공(63)이 형성되고, 장공(63)의 후방 양측 중앙부에는 걸림돌 기(64)가 양측으로 돌출되게 형성되어 있다.
상기 외부절첩구(62)는 단부에 내부절첩구(61)가 삽입되어 절첩가능하게 후방과 상부가 개구된 삽입공간(65)이 형성되고, 삽입공간(65) 양측의 날개부(66) 상부에는 장공(63)과 대응하는 위치에 핀삽입구멍(67)이 관통되게 형성되며, 양측 날개부(66)의 내벽에는 내부절첩구(61)의 걸림돌기(64)가 슬라이드식으로 삽입되어걸리게 되는 걸림홈(68)이 길이방향으로 형성되어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조립 및 작용관계를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허브(2)에 폴대(3)를 연결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허브몸체(21)의 상부의 마감 고정판(26)을 분해하면 각각의 요홈(22)이 상하로 개구된 상태가 된다. 이 상태에서 연결구(32)의 경사걸림홈(31)이 수직방향으로 위치하도록 한 상태에서 연결구(32)를 위에서 아래로 내리면서 경사걸림홈(31)이 요홈(22) 양측의 걸림돌기(23)에 삽입되도록 삽입시킨다. 그 뒤 허브몸체(21)의 상부에 마감고정판(26)을 나사로 고정시키면 요홈(22)의 상부가 막혀서 연결구(32)는 요홈(22)에서 이탈하지 않고 힌지식으로 각 운동할 수 있게 된다.
체결구(4)의 요홈(42)에 지지폴대(5)의 연결구(52)를 설치하는 것도 위의 허브(2)에 폴대(3)의 선단 연결구(32)를 끼우는 것과 동일하게 설치한다.
위와 같이 허브(2)와 체결구(4)가 폴대(3)와 지지폴대(5)에 도 1에서와 같이 조립되어 텐트골조(1)를 완성한 뒤에는 이 텐트골조(1)를 직물지로 제작된 텐트본체(도시생략)에 고정되게 결합시키는데, 텐트골조(1)를 텐트본체에 결합시키는 과정은 일반적인 우산식으로 절첩되는 인반적인 종래의 텐트와 동일하게 결합되므로 그것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한다.
상기와 같이 결합 완료된 우산식으로 절첩되는 텐트의 절첩과정을 설명해 보이면 다음과 같다.
먼저 접혀있던 텐트를 펼칠 때는 도 1에서와 같이 텐트골조(1)가 접혀져 있는 상태인데, 이 상태에서 허브(2)는 아래로 누르면서 체결구(4)는 상측으로 밀어올려서 허브(2)와 체결구(4)가 근접하게 되면, 체결구(4)의 상부에 둥근 원추형으로 형성되어 있는 삽입안내부(45)가 허브(2)의 각홈(24)을 통하여 통공(25)으로 삽입되는데, 체결구(4)와 허브(2)가 삽입식으로 결합시 허브(2)와 체결구(4)는 각기 힌지결합부가 허브(2)는 상측에 위치하고 체결구(4)는 하측에 위치하므로 각각의 힌지결합부를 중심으로 사방으로 유동하게 되어 체결구(4)의 선단부가 허브(2)의 내부로 삽입되지 않고 어긋날 것으로 염려할 수 있겠으나, 체결구(4)의 상부 삽입 안내부(45)는 둥근 원추형으로 형성되고, 이 삽입안내부(45)가 삽입되는 각홈(24)은 삽입안내부(45)의 선단부보다 내경이 대폭 확대된 상태이므로 허브(2)와 체결구(4)가 결합되는 부위가 각기 사방으로 유동되더라도 체결구(4)의 선단 삽입안내부(45)가 각홈(24)의 내부로 용이하게 삽입이 이루어 진다.
이렇게 체결구(4)의 삽입안내부(45)가 허브(2)의 각홈(24)으로 삽입이 이루어지면서 삽입안내부(45)는 계속 상승하면서 각홈(24)을 관통하여 통공(25)으로 삽입되는데, 삽입안내부(45)의 하부에는 각끼움부(44)가 일체로 연결되게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팔각으로 형성된 각끼움부(44)가 팔각홈으로 형성된 각홈(24)에 키이(Key) 또는 축 이음의 스플라인이나 세레이션 형태로 끼워지게 되며, 삽입안내부(45)는 통공(25)의 내부로 완전한 삽입이 이루어지게 된다.
위에서와 같이 결합된 상태의 도면이 도 3에 도시되어 있는데, 이처럼 허브(2)와 체결구(4)가 삽입이 완료되면, 허브(2)와 체결구(4)의 거리가 가까워 졌으므로 지지폴대(5)가 펼쳐지게 됨과 아울러 상단 폴대(3)도 펼쳐지게 되는데, 상단의 폴대(3)가 펼쳐짐에 따라 중간 폴대(3)와 하단 폴대(3)도 종래의 우산식으로 절첩되는 텐트(텐트골조 포함)와 동일하게 펼쳐지면서 텐트를 펼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이렇게 텐트가 펼쳐졌을 때 허브(2)의 각홈(24)에 체결구(4)의 각끼움부(44)가 키이(Key) 또는 축 이음의 스플라인이나 세레이션 형태로 삽입되어 허브(2)와 체결구(4)는 한 몸이 된 상태이기 때문에, 제각기 따로 돌아가는 회전 또는 유동하는 상황은 발생하지 않게 된다.
이렇게 허브(2)와 체결구(4)가 한 몸으로 결합되어 있으므로 텐트를 펼쳤을 때 바람에 의해 직물지로 된 텐트본체가 바람에 펄럭이면서 폴대(3)가 움직일 때, 허브(2)와 연결된 폴대(3)와, 체결구(4)에 연결된 지지폴대(5)가 각기 반대방향으로 움직이는 현상이 발생하지 않고 서로 같은 방향으로 움직이게 되어 상단 폴대(3)와 지지폴대(5)를 힌지식으로 연결하는 힌지연결구(33)에 가해지는 불규칙한 외력에 커다란 무리를 받지 않게 되고, 뒤이어 허브(2)와 폴대(3) 선단 연결부, 그리고, 체결구(4)와 지지폴대(5)와의 연결부에 무리한 외력이 작용하지 않아 텐트골조(1)의 각각의 연결부가 손상되는 것을 예방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상단 폴대(3)가 펼쳐지기 전에는 도 7의 (나)와 같이 내부절첩구(61)의 걸림돌기(64)가 외부절첩구(62)의 걸림홈(68)의 내부로 들어가 있지 않고 외부에 나와 있는 상태인데, 상단 폴대(3)가 펼쳐지게 되면 상중하 3개의 폴대(3)가 텐트본체에 고정되고 특히, 하단 폴대(3)의 하단은 텐트본체의 모서리 하단에서 이탈하지 못하도록 고정된 상태이므로 3단의 폴대(3)는 수축하중을 받고 있는 상태가 된다.
이러한 상황에서 상단 폴대(3)가 펼쳐질 때 중간 폴대(3)와 하단 폴대(3)가 펼쳐지도록 가볍게 벌려주면 내외부절첩구(61,62)가 일직선 상태에 놓이면서 텐트본체에 의한 수축력에 의해 걸림홈(68)의 외부에 있던 걸림돌기(64)는 걸림홈(68)의 내부로 슬라이드식으로 삽입이 이루어 진다.
이때, 외부절첩구(62)의 핀삽입구멍(67)과 내부절첩구(61)의 장공(63)을 관통하여 결합된 핀(6a)도 장공(63)을 따라 직선방향으로 이동하면 내부절첩구(61)의 선단부가 삽입공간(65)의 내벽에 맞닿음에 따라 삽입이 정지된다. 이렇게 내부절첩구(61)의 선단부가 외부절첩구(62)의 삽입공간(65) 내벽에 맞닿은 상태에서 핀(6a)이 내외부절첩구(61,62)를 서로 관통하고 있으며, 내부절첩구(61)의 양측에 외측으로 돌출된 2개의 걸림돌기(64)가 외부절첩구(62)의 양측 날개부(66)의 내벽에 형성된 걸림홈(68)에 삽입되어 걸린 상태이므로 내외부절첩구(61,62)로 이루어진 절첩구(6)에 상하좌우 사방으로 외력이 작용하는 경우에도 견고하게 펼친 상태를 유지하게 되는 것이다.
이렇게 펼쳐진 우산식 텐트를 사용하다가 그 텐트를 접고자 하는 경우에는 상기 펼칠 때와 반대로 서로 삽입식으로 결합된 허브(2)와 체결구(4)를 상하로 벌리면, 허브(2)와 체결구(4)와의 간격이 멀어지면서 접이식 우산이 접히듯이 접혀지게 되는 것이다.
절첩구(6)의 내부절첩구(61)가 외부절첩구(62)의 삽입공간에서 이탈하는 것은 상단 폴대(3)가 접히면서 상단 폴대(3)와 고정된 직물지로 된 텐트본체가 팽팽한 상태에서 쭈그러들면서 이완될 때 내부절첩구(61)의 걸림돌기(64)가 외부절첩구(62)의 걸림홈(68)에서 이탈되어 텐트골조(1)를 포함한 텐트를 접을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은 본 발명의 절첩식텐트의 텐트골조는, 허브에 육각홈이나 또는 팔각홈 등의 각홈을 형성하고, 허브와 삽입식으로 결합되는 체결구에는 상기 허브의 각홈으로 삽입될 각끼움부를 각홈과 대응하는 형태로 형성함으로서, 허브와 체결구가 서로 삽입되게 결합된 상태에서 바람이 불어 텐트본체가 펄럭이는 경우에도 허브와 체결구와의 삽입결합부가 서로 돌아가지 않으므로 허브와 체결구, 폴대, 지지폴대의 각각의 연결부에 불규칙적인 비틀림 하중이 작용하지 않아 텐트골조의 허브와 체결구, 폴대, 지지폴대의 각각의 연결부위가 손상되는 것을 예방하는 효과가 있는 것이다.
또한, 폴대 사이를 연결하고 있는 절첩구의 내부절첩구 양측에 걸림돌기를 돌출되게 형성하고, 외부절첩구의 양측 내벽에는 상기 걸림돌기가 삽입되어 지지될 걸림홈을 추가로 형성하여 텐트본체가 바람에 의해 펄럭이며 폴대에 불규칙적인 외력이 사방으로 작용하는 경우에도 견고하게 텐트의 펼친 상태를 유지하게 되는 효과가 있는 것이다.

Claims (2)

  1. 상측 외주연에 방사상으로 요홈(22)을 형성한 허브(2)에 3단으로 절첩되는 폴대(3)를 방사상으로 힌지 결합하고, 상기 허브(2)의 직하방에는 하측 외주연에 방사상으로 요홈(42)을 형성하고 이 요홈(42)에 지지폴대(5)가 방사상으로 힌지 결합된 체결구(4)를 설치하되, 상기 각각의 지지폴대(5)의 외측단을 상단 폴대(3)에 힌지식으로 절첩되게 설치하여 우산식으로 절첩되는 절첩식텐트의 텐트골조에 있어서,
    상기 허브(2)는 상측 외주연에 8개의 요홈(22)을 형성한 허브몸체(21)의 내측 하부에 각홈(24)이 형성되고, 각홈(24)의 내측 상부에는 각홈(24)과 통하는 통공(25)이 관통되게 형성되며,
    상기 체결구(4)는 하측 외주연에 8개의 요홈(42)을 형성한 체결구몸체(41)의 상부에 상기 각홈(24)에 대응되게 삽입되는 각끼움부(44)가 형성되고, 각끼움부(44)의 상부에는 각홈(24)을 통하여 통공(25)에 삽입되는 둥근 원추형의 삽입안내부(45)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절첩식텐트의 텐트골조.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폴대(3)의 관절 연결부에 절첩 가능하게 설치되는 절첩구(6)는 서로 관절식으로 연결되는 일측 폴대(3)의 단부에는 상부에 수평 길이방향으로 장공(63)이 형성되고, 장공(63)의 후방 양측 중앙부에 걸림돌기(64)가 양측으로 돌출되게 형성된 내부절첩구(61)가 설치되고,
    서로 관절식으로 연결되는 타측 폴대(3)의 단부에는 내부절첩구(61)가 삽입되어 절첩가능하게 후방과 상부가 개구된 삽입공간(65)이 형성되고, 삽입공간(65)양측의 날개부(66) 상부에는 장공(63)과 대응하는 위치에 핀삽입구멍(67)이 관통되게 형성되며, 양측 날개부(66)의 내벽에는 내부절첩구(61)의 걸림돌기(64)가 슬라이드식으로 삽입되어 걸리게 되는 걸림홈(68)이 길이방향으로 형성된 외부절첩구(62)가 설치되며,
    상기 내부절첩구(61)가 외부절첩구(62)의 삽입공간(65)으로 삽입되어 핀삽입구멍(67)과 장공(63)을 핀(6a)으로 관통하여 절첩 가능하게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절첩식텐트의 텐트골조.
KR1020020026594A 2002-05-11 2002-05-11 절첩식텐트의 텐트골조 KR20020043204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26594A KR20020043204A (ko) 2002-05-11 2002-05-11 절첩식텐트의 텐트골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26594A KR20020043204A (ko) 2002-05-11 2002-05-11 절첩식텐트의 텐트골조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20011501U Division KR200281391Y1 (ko) 2002-04-12 2002-04-12 절첩식텐트의 텐트골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43204A true KR20020043204A (ko) 2002-06-08

Family

ID=2772631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26594A KR20020043204A (ko) 2002-05-11 2002-05-11 절첩식텐트의 텐트골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0043204A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36951B1 (ko) * 2013-08-19 2014-09-25 한광진 차량용 루프탑텐트
US20180298631A1 (en) * 2016-07-26 2018-10-18 Shengyong Yang Collapsible canopy with a self locking central lock
WO2020155371A1 (zh) * 2019-01-31 2020-08-06 路华(厦门)贸易有限公司 一种帐篷的改进结构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750509A (en) * 1985-11-25 1988-06-14 Kim Soon Tae Folding device of a tent-framework
KR19990033677U (ko) * 1999-05-12 1999-08-16 장재철 우산식텐트의절첩방지용폴대
KR19990035076U (ko) * 1999-05-31 1999-09-06 장재철 우산식텐트의절첩방지용폴대
KR200172539Y1 (ko) * 1999-09-14 2000-03-15 함세일 휴대용 텐트의 장대 결합부재
US6345639B2 (en) * 1998-07-24 2002-02-12 Negocios De Estella S.A. Collapsible shelter/tent with frame locking mechanism
KR200267626Y1 (ko) * 2001-12-05 2002-03-12 장재철 연결구가 인서트 사출 성형되는 텐트 폴대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750509A (en) * 1985-11-25 1988-06-14 Kim Soon Tae Folding device of a tent-framework
US6345639B2 (en) * 1998-07-24 2002-02-12 Negocios De Estella S.A. Collapsible shelter/tent with frame locking mechanism
KR19990033677U (ko) * 1999-05-12 1999-08-16 장재철 우산식텐트의절첩방지용폴대
KR19990035076U (ko) * 1999-05-31 1999-09-06 장재철 우산식텐트의절첩방지용폴대
KR200172539Y1 (ko) * 1999-09-14 2000-03-15 함세일 휴대용 텐트의 장대 결합부재
KR200267626Y1 (ko) * 2001-12-05 2002-03-12 장재철 연결구가 인서트 사출 성형되는 텐트 폴대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36951B1 (ko) * 2013-08-19 2014-09-25 한광진 차량용 루프탑텐트
US20180298631A1 (en) * 2016-07-26 2018-10-18 Shengyong Yang Collapsible canopy with a self locking central lock
US10597897B2 (en) * 2016-07-26 2020-03-24 Shengyong Yang Collapsible canopy with a self locking central lock
WO2020155371A1 (zh) * 2019-01-31 2020-08-06 路华(厦门)贸易有限公司 一种帐篷的改进结构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638853A (en) Tent structure
US8485208B2 (en) Canopy tent
US5794640A (en) Quick assembly tent framework
US8925565B2 (en) Hub assembly for a foldable tent
KR200184315Y1 (ko) 원터치조립식 천막후레임
EP3757318B1 (en) Canopy frame with an opening mechanism
US7240686B2 (en) Collapsible canopy having reduced length
KR19980057676U (ko) 천과 프레임이 일체로 결합된 절첩식 대형 텐트 프레임
US20080066795A1 (en) Canopy with automatic roof structure having improved structural stability
US5551463A (en) Skeleton for a telescopic umbrella
KR200281391Y1 (ko) 절첩식텐트의 텐트골조
KR20020043204A (ko) 절첩식텐트의 텐트골조
KR200484217Y1 (ko) 다단 접이식 폴대
KR100946076B1 (ko) 캐노피 텐트용 폴대
KR200440972Y1 (ko) 자동텐트용 접이식 폴대
KR100643157B1 (ko) 원터치식 텐트용 프레임 및 이를 이용한 원터치식 텐트
KR200382808Y1 (ko) 텐트용 폴대 절첩구조
KR20090045701A (ko) 절첩식 텐트
KR200315843Y1 (ko) 스냅 쓰루를 이용한 자동텐트
KR200344232Y1 (ko) 자동 우산식 캐노피 텐트의 프레임
US5865201A (en) Umbrella
KR200339799Y1 (ko) 스냅 쓰루를 이용한 자동텐트
KR100735013B1 (ko) 자동 텐트의 프레임 및 이를 채용한 텐트
KR200272635Y1 (ko) 절첩식 텐트용 폴
KR200359126Y1 (ko) 대형 차양막 프레임 구조체의 삼각 보강 지지수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8 Dual application of pate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