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43385Y1 - 두겹 직물지 - Google Patents

두겹 직물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43385Y1
KR200343385Y1 KR20-2003-0036712U KR20030036712U KR200343385Y1 KR 200343385 Y1 KR200343385 Y1 KR 200343385Y1 KR 20030036712 U KR20030036712 U KR 20030036712U KR 200343385 Y1 KR200343385 Y1 KR 200343385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yarn
loop
yarns
group
doub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3-0036712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남철우
정재임
Original Assignee
남철우
정재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남철우, 정재임 filed Critical 남철우
Priority to KR20-2003-0036712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43385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43385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43385Y1/ko

Link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3WEAVING
    • D03DWOVEN FABRICS; METHODS OF WEAVING; LOOMS
    • D03D11/00Double or multi-ply fabric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3D11/02Fabrics formed with pockets, tubes, loops, folds, tucks or flaps
    • DTEXTILES; PAPER
    • D01NATURAL OR MAN-MADE THREADS OR FIBRES; SPINNING
    • D01FCHEMICAL FEATURES IN THE MANUFACTURE OF ARTIFICIAL FILAMENTS, THREADS, FIBRES, BRISTLES OR RIBBONS;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F CARBON FILAMENTS
    • D01F6/00Monocomponent artificial filaments or the like of synthetic polymers; Manufacture thereof
    • D01F6/58Monocomponent artificial filaments or the like of synthetic polymers; Manufacture thereof from homopolycondensation products
    • D01F6/70Monocomponent artificial filaments or the like of synthetic polymers; Manufacture thereof from homopolycondensation products from polyurethane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MTREATMENT, NOT PROVIDED FOR ELSEWHERE IN CLASS D06, OF FIBRES, THREADS, YARNS, FABRICS, FEATHERS OR FIBROUS GOODS MADE FROM SUCH MATERIALS
    • D06M11/00Treating fibres, threads, yarns, fabrics or fibrous goods made from such materials, with inorganic substances or complexes thereof; Such treatment combined with mechanical treatment, e.g. mercerising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MTREATMENT, NOT PROVIDED FOR ELSEWHERE IN CLASS D06, OF FIBRES, THREADS, YARNS, FABRICS, FEATHERS OR FIBROUS GOODS MADE FROM SUCH MATERIALS
    • D06M15/00Treating fibres, threads, yarns, fabrics, or fibrous goods made from such materials, with macromolecular compounds; Such treatment combined with mechanical treatment
    • D06M15/19Treating fibres, threads, yarns, fabrics, or fibrous goods made from such materials, with macromolecular compounds; Such treatment combined with mechanical treatment with synthetic macromolecular compounds
    • D06M15/37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D06M15/564Polyureas, polyurethanes or other polymers having ureide or urethane links; Precondensation products forming them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Woven Fabrics (AREA)
  • Laminated Bodi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일정간격을 갖고 상 ·하로 이격되어진 상판직과 하판직을 연결하는 루프사를 탄성이 우수한 재질로 형성하되, 여러 가닥을 하나의 그룹으로 묶어 실기둥 형태로 이루도록 한 후, 상기 탄성이 우수하고 하나의 그룹별로 이루어진 실기둥을 다양한 형상으로 배열하고 상호 연결시킴에 따라, 디자인을 향상시키며, 그룹별로 이루어진 실기둥 형태의 루프사의 간격이 넓게 이격되어서 쿠션감을 일층 향상시킴과 동시에 루프사가 자체적으로 신축성이 우수하여 외부충격을 효과적으로 완충 및 흡수함에 따라, 진동 및 소음을 최소로 줄일 수 있도록 한 두겹 직물지에 관한 것이다.
상기와 같은 본 고안은 다수겹의 직물지를 부착하여 된 상판직과 하판직 사이를 연결하며 일정길이를 가지는 다수개의 미세한 루프사를 합성수지재의 섬유사로 형성하고, 외부표면으로 방수코팅층을 갖는 두겹 직물지에 있어서, 상기 외부표면에 방수코팅층(40)이 형성된 상판직(10)과 하판직(20)을 연결하는 루프사(30)를 탄성재로 형성하되, 상기 루프사(30)를 여러 가닥을 하나의 그룹으로 묶어 실기둥(50) 형태로 형성한 다음, 상기 그룹별로 형성된 루프사(30)로 이루어진 실기둥(50)을 등 간격으로 배열하고 루프사(30)를 이용하여 실기둥(50)과 실기둥(50)을 상호 연결되도록 제직 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두겹 직물지{Twofold woven stuff}
본 고안은 두겹 직물지에 관한 것으로, 더 상세하게는 일정간격을 갖고 상 ·하로 이격되어진 상판직과 하판직을 연결하는 루프사를 탄성이 우수한 재질로 형성하되, 여러 가닥을 하나의 그룹으로 묶어 실기둥 형태로 이루도록 한 후, 상기탄성이 우수하고 하나의 그룹별로 이루어진 실기둥을 다양한 형상으로 배열하고 상호 연결시킴에 따라, 디자인을 향상시키며, 그룹별로 이루어진 실기둥 형태의 루프사의 간격이 넓게 이격되어서 쿠션감을 일층 향상시킴과 동시에 루프사가 자체적으로 신축성이 우수하여 외부충격을 효과적으로 완충 및 흡수함에 따라, 진동 및 소음을 최소로 줄일 수 있도록 한 두겹 직물지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두겹 직물지는 본인이 선출원 등록(특허등록 제1995-5436;두겹직물지)한 것이 있다.
상기와 같이 선 등록된 두겹 직물지는 상판직과 하판직을 직조하는 과정에서 경사를 따라 직조되는 별도의 루프사를 일정간격을 유지하기 위해 상판직과 하판직을 연결한 상태로 직조하게 된다.
한편 위사와 경사가 평조직으로 제직되는 상판직과 하판직을 직조함에 있어서, 루프사를 상기 경사 방향으로 공급시켜 상판직과 하판직이 일정한 간격으로 유지된 상태로 연결되게 제직하게 된다.
상기와 같은 종래의 직물지는 위사와 경사를 제직하여 이루어지는 상 ·하판직이 한겹으로 이루어짐에 따라 외부 충격이 가해지면 진동에 의한 소음이 심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어, 이를 개선하기 위해 본인이 선등록(실용신안등록 제20-302365호;복층바닥 공간직물)한 것이 있으나 이는 상 ·하판직을 다수겹으로 형성하였을 뿐 상 ·하판직 사이의 루프사는 기존과 동일하므로 외부 충격시 발생하는 진동 및 소음에 따른 근본적인 해결은 되지 못하였다.
결론적으로 종래의 상 ·하판직을 연결하는 루프사는 통상의 직물로 형성됨에 따라, 신축성이 부족하므로 외부의 충격이 가해지면 눌렸다가 펴지는 단순한 역할만을 할 뿐 충격시 발생한 진동을 흡수하지 못해 소음이 과다하게 발생하고, 쿠션감이 저하되는 등의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본 원인은 이를 개량하여 선등록(신안등록제20-324013호;두겹직물지)한 것이 있는데 이의 구성을 보면 다음과 같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판직(1)과 하판직(2) 사이에 일정길이를 가지는 다수개의 미세한 루프사(3)로 연결하여 된 두겹 직물지에 있어서, 상기 상판직(1)과 하판직(2)의 외부 표면으로 방수코팅층(4)을 형성하고, 상판직(1)과 하판직(2)의 연결수단인 루프사(3)를 합성수지재의 섬유사 형태로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두겹 직물지인 것을 알 수 있다.
그러나 전술한 바와 같은 선 등록 고안의 경우는 상·하판직 사이의 루프사가 신축성이 발생하여 충격을 일부 흡수하고 완충시킬 수는 있으나, 상·하판직 전체에 걸쳐 일정간격으로 세밀하게 제직됨에 따라 전체적으로 면이 딱딱해져 쿠션감이 저하됨은 물론 디자인이 단순하다는 문제점은 계속적으로 발생하고 있다.
따라서 본 고안의 목적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한 것으로, 일정간격을 갖고 상 ·하로 이격되어진 상판직과 하판직을 연결하는 루프사를 탄성이 우수한 재질로 형성하되, 여러 가닥을 하나의 그룹으로 묶어 실기둥 형태로 이루도록 한 후, 상기 탄성이 우수하고 하나의 그룹별로 이루어진 실기둥을 다양한형상으로 배열하고 상호 연결시킴에 따라, 디자인을 향상시키며, 그룹별로 이루어진 실기둥 형태의 루프사의 간격이 넓게 이격되어서 쿠션감을 일층 향상시킴과 동시에 루프사가 자체적으로 신축성이 우수하여 외부충격을 효과적으로 완충 및 흡수함에 따라, 진동 및 소음을 최소로 줄일 수 있도록 한 두겹 직물지를 제공하는 데 있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의한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의 부분확대 단면예시도
도 3은 본 고안을 적용하여 제작되어진 제품의 일 예를 보인 예시도
도 4는 종래 두겹 직물지를 보인 예시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상판직
20 ; 하판직
30 ; 루프사
40 ; 방수코팅층
50 ; 실기둥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은 다수겹의 직물지를 부착하여 된 상판직과 하판직 사이를 연결하며 일정길이를 가지는 다수개의 미세한 루프사를 합성수지재의 섬유사로 형성하고, 외부표면으로 방수코팅층을 갖는 두겹 직물지에 있어서, 상기 외부표면에 방수코팅층(40)이 형성된 상판직(10)과 하판직(20)을 연결하는 루프사(30)를 탄성재로 형성하되, 상기 루프사(30)를 여러 가닥을 하나의 그룹으로 묶어 실기둥(50) 형태로 형성한 다음, 상기 그룹별로 형성된 루프사(30)로 이루어진 실기둥(50)을 등 간격으로 배열하고 루프사(30)를 이용하여 실기둥(50)과 실기둥(50)을 상호 연결되도록 제직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두겹 직물지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방수코팅층은 폴리우레탄과 토르마린 성분이 혼합되어 원적외선이 방출되도록 한다.
상기와 같은 본 고안은 상기 상·하판직(10)(20)을 연결하는 탄성재의 루프사(30)는 폴리우렌탄 섬유사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더 바람직하기로는 상기 실기둥(50)과 실기둥(50)은 두개 이상의 루프사(30)를 이용하여 상호 연결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그룹별로 형성된 루프사(30)로 이루어진 실기둥(50)의 배열은 일정의 주제를 선정하고, 상기 주제에 따라 형상을 이루도록 배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두겹직물지를 제공하고자 한다.
이하, 본 고안의 실시예를 첨부된 예시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더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의한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고안의 부분확대 단면예시도이며, 도 3은 본 고안을 적용하여 제작되어진 제품의 일 예를 보인 예시도, 도 4는 종래의 두겹 직물지를 보인 예시도이다.
도면 부호중 10은 상판직, 20은 하판직, 30은 루프사, 40은 방수코팅층, 50은 실기둥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판직(10)과 하판직(20)은 다수겹의 직물지를 부착하여 이루어지며, 그 부착은 접착재 또는 직조 및 재봉에 의해 부착이 이루어지게 된다.
상기 상판직(10)과 하판직(20)의 외부 표면으로 이루어진 방수코팅층(40)은 상 ·하판직(10)(20)의 외부 표면 전체에 걸쳐 형성되며, 상기 방수코팅층은 폴리우레탄과 토르마린을 혼합한 혼합물을 도포하여 코팅 처리함에 따라 직물지로 이루어진 상 ·하판직(10)(20)의 외부 표면이 완벽하게 방수처리됨과 동시에 원적외선이 방출되어 인체에 유익하게 된다.
상기 상판직(10)과 하판직(20) 사이는 일정간격을 유지토록 하며, 상기 상·하판직(10)(20) 사이의 간격은 루프사(30)에 의해 결정되게 된다.
상기 루프사(30)는 폴리우레탄 섬유사 또는 폴리에틸렌 섬유사 등과 같이 주로 합성수지 섬유사로 이루어져 자체의 탄성이 우수하여 외부 충격시 신축이 용이하여, 완충됨에 따라 진동 및 소음을 효과적으로 완화 및 흡수시키게 된다.
한편 폴리우레탄(Polyurethane)과 폴리에틸렌(Polyethylene)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습니다.
먼저 폴리우레탄은 제2차 세계대전 중에 합성섬유 페를론 U로서 처음 독일에서 만들어진 것으로, 알코올기(基) OH와 이소시안산기 NCO의 결합으로 우레탄결합이 만들어지게 된다.
이와 같이 폴리우레탄과 같은 합성수지 섬유사로 이루어진 루프사(30)는 여러 가닥을 하나의 그룹으로 묶어 실기둥(50) 형태로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와 같이 하나의 그룹별로 된 루프사(30)로 이루어진 실기둥(50)은 일정의 형상을 따라 등 간격으로 배열하되, 상기 일정간격을 갖고 배열된 실기둥(50)과 실기둥(50)은 적어도 두개 이상의 루프사(30)를 이용하여 상호 연결되도록 제직하여 진동 소음을 전체적으로 균일하게 전달되도록 한다.
이때 실기둥(50)이 배열되는 형상은 일정의 주제를 선정한 후 상기 주제에 따라 형상을 이루도록 배열을 하되, 상기 주제는 다양하게 변화시킬 수 있어 다양한 형상으로 변경할 수 있으며, 그 예를 도 4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벌집형상이나 기타 다양한 형상 등을 선정하고 상기 주제에 맞는 형상에 따라 루프사(30)로 이루어진 실기둥(50)을 배열하되, 상기 실기둥(50)은 등 간격으로 배열하고 위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적어도 두개 이상의 루프사(30)를 이용하여 상호 연결되도록 한다.
상기와 같은 본 고안은 상 ·하판직(10)(20)이 각각 다수겹의 직물지를 부착하여 이루어지며, 상기 상 ·하판직(10)(20)은 폴리우레탄 또는 폴리에틸렌 등의 합성수지 섬유사로 이루어진 루프사(30)에 의해 연결되어서 외부의 충격이 가해지면, 전체적으로 분산되며 효과적으로 완충 및 소음을 흡수시키게 된다.
이때 루프사(30)는 여러 가닥을 하나의 그룹으로 묶은 실기둥(50) 형태로 형성한 후, 다양한 형상에 따라 상기 실기둥(50)을 배열시키고, 다시 실기둥(50)과 실기둥(50)을 상호 연결시킴에 따라 충격발생시 전체적으로 균일하게 전달하여 진동 및 소음을 더욱 효과적으로 완충 및 흡수시키게 된다.
한편, 루프사(30)가 전체적으로 제직되어진 것이 아니라 일정한 형상에 따라 간격을 두고 제직되어서 인체에 접촉되는 부드러운 면이 넓어져 쿠션감이 일층 향상되게 된다.
또한 상 ·하판직(10)(20)의 외부 표면으로 방수코팅층(40)을 형성하여 물의 침투를 방지하게 된다.
바람직하기로는, 상기 방수코팅층(40)은 폴리우레탄과 토르마린을 혼합한 혼합물을 도포하여 코팅시키되, 상기 혼합물은 폴리우레탄 90∼95%, 토르마린 5∼10% 정도의 혼합비율에 의해 얻어지게 된다.
상기와 같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를 보면 다음과 같다.
<실시예 1>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두겹 직물지의 테두리 부위를 접착시키고, 일측으로 공기주입구를 구비한 후, 튜브나, 에어매트리스, 공기방석, 에어리프트 등 공기를 이용하여 쿠션이나 부력을 필요로 하는 제품에 주로 사용되며, 특히 매트리스를 제작할 경우에는 기존 매트리스의 스프링 역할을 루프사(30)와 공기가 대신하게 됨에 따라 매트리스의 무게가 절감되게 될 뿐 아니라, 전체적으로 균일한 쿠션작용 및 세균의 번식 등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외부 충격 및 진동이 가해지면 폴리우레탄 또는 폴리에틸렌 등의 합성수지 섬유사가 신축되어지며 이를 효과적으로 완충시킴에 따라. 진동 및 소음을 최소로 절감시키는 한편 쿠션감이 일층 향상되게 된다.
<실시예 2>
본 고안의 두겹 직물지 테두리 부위를 접착시키고, 공간부 내로 우레탄폼을 충진되게 하되, 상기 우레탄폼으로는 인체에 유익한 성분을 방출하는 즉 원적외선이 방출되는 토르마린 입자나 황토흙 입자, 옥을 분쇄하여된 입자 등 기타 인체에 유익한 성분을 혼합한 후 이와 같이 혼합된 우레탄폼을 내부로 충진시키도록 한다.
전술한 바와 같은 본 고안은 각종 부력재나 건축용 패널 등 다용도로 사용이 용이하다.
상기와 같은 본 고안의 두겹 직물지는 상판직과 하판직을 연결하는 루프사를 탄성이 뛰어난 폴리우레탄 또는 폴리에틸렌과 같은 합성수지 섬유사로 형성함에 따라 외부로부터 충격이 가해지면 루프사가 신축되어지며 완충작용을 하여 진동 및 소음을 최소로 절감시키는 한편 쿠션감을 일층 향상시키게 된다.
또한 표면의 형상을 실기둥의 배열에 따라 다양한 형상으로 변화시킬 수 있어 디자인이 일층 향상됨은 물론 상 ·하판직의 외부 표면으로 코팅된 방수코팅층이 인체에 무해한 폴리우레탄과 토르마린 성분을 혼합하여 된 혼합물로 이루어짐에 따라 인체에 전혀 무해하고 유익한 성분이 방출되어 인체에 도움을 준다.
전술한 바와 같은 본 고안의 두겹 직물지는 튜브와 같이 부력을 필요로 하는 곳에 부력재로도 사용이 가능하며, 매트리스나 방석과 같이 쿠션을 필요로 하는 곳에 사용하여도 진동, 소음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을 뿐 아니라, 건축용으로도 사용이 가능하여 다용도의 기능과 함께 제품의 성능을 일층 향상시킬 수 있는 아주 유용한 고안이다.

Claims (5)

  1. 다수겹의 직물지를 부착하여 된 상판직과 하판직 사이를 연결하며 일정길이를 가지는 다수개의 미세한 루프사를 합성수지재의 섬유사로 형성하고, 외부표면으로 방수코팅층을 갖는 두겹 직물지에 있어서, 상기 외부표면에 방수코팅층(40)이 형성된 상판직(10)과 하판직(20)을 연결하는 루프사(30)를 탄성재로 형성하되, 상기 루프사(30)를 여러 가닥을 하나의 그룹으로 묶어 실기둥(50) 형태로 형성한 다음, 상기 그룹별로 형성된 루프사(30)로 이루어진 실기둥(50)을 등 간격으로 배열하고 루프사(30)를 이용하여 실기둥(50)과 실기둥(50)을 상호 연결되도록 제직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두겹 직물지.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방수코팅층은 폴리우레탄과 토르마린 성분이 혼합되어 원적외선이 방출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두겹 직물지.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상 ·하판직(10)(20)을 연결하는 탄성재의 루프사(30)는 폴리우레탄 섬유사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두겹 직물지.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실기둥(50)과 실기둥(50)은 두 개 이상의 루프사(30)를 이용하여 상호 연결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두겹 직물지.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그룹별로 형성된 루프사(30)로 이루어진 실기둥(50)은 일정의 주제를 선정하고, 상기 주제에 따라 형상을 이루도록 배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두겹 직물지.
KR20-2003-0036712U 2003-11-24 2003-11-24 두겹 직물지 KR200343385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3-0036712U KR200343385Y1 (ko) 2003-11-24 2003-11-24 두겹 직물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3-0036712U KR200343385Y1 (ko) 2003-11-24 2003-11-24 두겹 직물지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43385Y1 true KR200343385Y1 (ko) 2004-03-04

Family

ID=4942568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3-0036712U KR200343385Y1 (ko) 2003-11-24 2003-11-24 두겹 직물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43385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90359B1 (ko) 2007-06-11 2011-12-07 코오롱글로텍주식회사 복합기능성 섬유 구조체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90359B1 (ko) 2007-06-11 2011-12-07 코오롱글로텍주식회사 복합기능성 섬유 구조체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Z6686U1 (cs) Distanční textilie
KR100355785B1 (ko) 3차원 네트를 가진 쿳션부재
SE9201245L (sv) Sittdyna, saerskilt en flygplanssits
KR20010033116A (ko) 입체구조형상 네트와 이 네트를 이용한 복합구조재
KR20110076739A (ko) 쿠션형 흡수 매트
DE602005016366D1 (de) Schlaufengewebe mit bamboo-schlaufen und daraus hergestellte frottee-ware
MX2010007077A (es) Almohadilla ultra-elastica.
JPH0527883Y2 (ko)
GB2519244A (en) Inflatable pool
KR200343385Y1 (ko) 두겹 직물지
US2356456A (en) Shock-absorbing or cushioning material made from fibrous substances
KR100355319B1 (ko) 쿠션 구조
CN210679955U (zh) 一种高强度防滑珍珠棉
US3012256A (en) Ventilating and shock absorbing cushion
KR20120122230A (ko) 3차원 메쉬 원단을 포함하는 충격흡수용 매트
KR20110009529A (ko) 탄성 강화 입체직물 및 상기 입체직물로 제조된 카시트
US4542057A (en) Hammock
KR20040000612A (ko) 복층바닥 공간직물
KR200324013Y1 (ko) 두겹 직물지
KR20180053782A (ko) 3차원 메쉬 원단을 포함하는 에어쿠션매트
JPH06126908A (ja) 複合材料
KR101936430B1 (ko) 안전 보호벽을 위한 3차원 입체형상 직물 및 이의 제조방법
JPH0384232A (ja) 免震用支持体
JPH05237963A (ja) 複合シート
KR200302365Y1 (ko) 복층바닥 공간직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10218

Year of fee payment: 8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