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43043Y1 - 고인의 실물형상이 구비된 납골함 - Google Patents

고인의 실물형상이 구비된 납골함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43043Y1
KR200343043Y1 KR20-2003-0035131U KR20030035131U KR200343043Y1 KR 200343043 Y1 KR200343043 Y1 KR 200343043Y1 KR 20030035131 U KR20030035131 U KR 20030035131U KR 200343043 Y1 KR200343043 Y1 KR 200343043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eceased
ossuary
shape
ashes
actual shap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3-0035131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배재열
Original Assignee
배재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배재열 filed Critical 배재열
Priority to KR20-2003-0035131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43043Y1/ko
Priority to JP2003394772A priority patent/JP2005137820A/ja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43043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43043Y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GTRANSPORT, PERSONAL CONVEYANCES, OR ACCOMMODATION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PERATING TABLES OR CHAIRS; CHAIRS FOR DENTISTRY; FUNERAL DEVICES
    • A61G17/00Coffins; Funeral wrappings; Funeral urns
    • A61G17/08Ur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GTRANSPORT, PERSONAL CONVEYANCES, OR ACCOMMODATION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PERATING TABLES OR CHAIRS; CHAIRS FOR DENTISTRY; FUNERAL DEVICES
    • A61G17/00Coffins; Funeral wrappings; Funeral urns
    • A61G17/007Coffins; Funeral wrappings; Funeral urns characterised by the construction material used, e.g. biodegradable material; Use of several material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Details Of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고인의 실물형상이 구비된 납골함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은 이를 위해 내부에 유골 또는, 유골의 결정체(영옥)가 수납되게 일정 크기의 공간부가 형성되는 납골함(10); 상기 납골함의 내부 바닥면에 설치되는 숯가루층(20); 상기 숯가루층의 상면에 구비되는 동판층(21); 상기 동판층의 상면에 잘 정제된 흙층(21a); 상기 흙층의 상면에 구비되는 비단천(22); 상기 납골함의 상단에 구비되어 입구를 개폐시키는 뚜껑(50); 상기 뚜껑의 상면에는 고인의 평소 모습과 유사한 형상(60);이 구비되어 구성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은 고인의 유골 또는 유골의 결정체(영옥)가 담긴 납골함의 상부에 고인의 평소 모습과 유사한 형상을 구비한 것이고 또한 추모객들이 납골함 근처에 오게 되면 센서가 이를 감지하여 자동으로 조명등이 비춰지는 동시에 스피커를 통해서는 고인의 평소 음성이 출력됨은 물론 납골함 곁에 설치된 모니터 화면으로 고인의 생전 활동상과 추모의 글과 화상들이 실시간으로 나타나도록 하였으며 전방으로는 상큼하고 신선한 향이 은은하게 풍겨나도록 방향제가 발산되도록 하였으며 이와 같은 효과에 의해 고인에 대한 추모의 마음을 편리하고 경건하게 할 수 있으며 고인과의 단절감과 유골을 직접 보관하는 곳이다는 혐오감을 해소할 수 있고 흙에서 태어나 흙으로 돌아간다는 이치를 구현하여 이로 인해 제품의 품질과 신뢰성을 대폭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한 것이다.

Description

고인의 실물형상이 구비된 납골함{a ossuary have real shape for deceased}
본 고안은 고인의 실물형상이 구비된 납골함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고인의 유골 또는 유골의 결정체(영옥)가 담긴 납골함(안치단 포함)의 상부에 고인의 평소 모습과 유사한 형상을 구비한 것이고 또한 추모객들이 납골함 근처에 오게 되면 센서가 이를 감지하여 자동으로 조명등이 비춰지는 동시에 스피커를 통해서는 고인의 평소 음성이 출력됨은 물론 납골함 곁에 설치된 모니터 화면으로 고인의 생전 활동상과 추모의 글과 화상들이 실시간으로 나타나도록 하였으며 추모객이 접근할 때에는 센스가 감지하여 전방으로는 상큼하고 신선한 향이 은은하게 풍겨나도록 방향제가 발산되도록 한 것이며 흙에서 태어나 흙으로 돌아간다는 이치를 구현하여 이와 같은 효과에 의해 고인에 대한 추모의 마음을 편리하고 경건하게 할 수 있으며 고인과의 단절감과 유골을 직접 보관하는 곳이다 는 혐오감을 해소할 수 있고 이로 인해 제품의 품질과 신뢰성을 대폭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납골함은 화장(火葬)을 통하여 얻은 유골을 골분 형태로 유골함에 수납시킨 후에 장기간 보관하기 위한 것으로, 이는 해마다 여의도에 해당하는 면적이 묘지로 소요되고 있기 때문에 이를 해소하기 위하여 매장보다 화장을 유도하여 유골을 보관하기 위한 것이다.
이러한 납골함은 대략 수납공간이 형성되고 이러한 수납공간을 도어가 개폐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즉 도어를 개방한 후 수납공간에 납골단지를 안치시키고 다시 도어로 수납공간을 폐쇄하는 것으로, 이때 상기 도어에는 납골함 내부를 들여다 볼 수 있도록 투시창이 형성된다.
그러나 상기한 종래의 기술은 납골함이 차갑고 기계적인 느낌을 주게 되어 추모를 꺼리게 되는 문제점이 발생되었다.
즉, 종래의 납골함은 단순히 유골함을 보관하는 기능 외에 별다른 기능이 없다는 문제점이 발생되었다.
이를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종래의 납골함은 도어의 잠금 해제에 사용되는 키가 단순한 키 기능 외에는 다른 부가적인 기능이 없다는 문제점이 있고 또한 고인 또는 유가족의 음성을 녹음하여 들을 수 없고 더 나아가서는 평소 고인의 모습을 추모객들이 알 수 없다는 문제점이 발생되었다.
또한 종래 납골함의 주위 공기는 납골의 변질로 인한 퀴퀴한 냄새로 인하여 참배객들이 혐오감을 느껴 추모를 꺼리게 되는 문제점이 발생되었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의 제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안출한 것으로, 고인의 유골 또는 유골의 결정체(영옥)가 담긴 납골함의 상부에 고인의 평소 모습과 유사한 형상을 구비함을 제1목적으로 한 것이고, 제2목적은 추모객들이 납골함 근처에 오게 되면 센서가 이를 감지하여 자동으로 조명등이 작동하여 고인의 형상을 비춰주도록 한 것이며, 제3목적은 동시에 스피커와 모니터를 통해서는 고인의 평소 음성과 화상이 출력되도록 한 것이고, 제4목적은 동시에 납골함 전방으로는 상큼하고 신선한 향이 은은하게 풍겨나도록 방향제가 발산되도록 한 것이며, 제5목적은 납골함 내부에 제습제와 해충퇴치제를 구비하여 납골함을 항상 청결하게 보관할 수 있도록 한 것이고, 제6목적은 이와 같은 효과에 의해 고인과의 단절감을 일거에 해소할 수 있도록 한 것이며, 제7목적은 납골함 내부에 흙층을 구비하여 흙에서 태어나 흙으로 돌아간다는 이치를 구현할 수 있도록 한 것 이고 제8목적은 이로 인해 제품의 품질과 신뢰성을 대폭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한 고인의 실물형상이 구비된 납골함을 제공한다.
이러한 목적 달성을 위하여 본 고안은 내부에 유골 또는 유골의 결정체(영옥)가 수납되게 일정 크기의 공간부가 형성되는 납골함; 상기 납골함의 내부 바닥면에 설치되는 숯가루층; 상기 숯가루층의 상면에 구비되는 동판층; 상기 동판층의 상면에 구비되는 흙층; 상기 흙층 상면에 구비되는 비단천; 상기 납골함의 상단에 구비되어 입구를 개폐시키는 뚜껑; 및 상기 뚜껑의 상면에는 고인의 평소 모습과 유사한 형상;이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고인의 실물형상이 구비된 납골함을 제공한다.
이하에서는 이러한 목적 달성을 위한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에 따라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 은 본 고안에 적용된 고인의 실물형상이 구비된 납골함의 분해 사시도.
도 2 는 본 고안에 적용된 고인의 실물형상이 구비된 납골함의 단면도.
도 3 은 본 고안에 적용된 고인의 실물형상이 구비된 납골함의 다른 실시예
의 단면도.
도 4 의 (a)는 본 고안에 적용된 흉상의 다른 실시예의 배면도이고,
(b)는 본 고안에 적용된 흉상의 또 다른 실시예의 저면 사시도이다.
도 5 는 본 고안에 적용된 납골함의 다른 실시예의 배면 사시도.
도 6 은 본 고안에 적용된 납골함의 또 다른 실시예의 배면 사시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납골함 12: 도어
15,15a: 제1,2서랍 20: 숯가루층
21: 동판 22: 비단천
30: 표시부 31: 센서
32: 방향제분사구 33: 스피커
40: 보석함 50: 뚜껑
60: 고인의 형상 90: 제어부
본 고안에 적용된 고인의 실물형상이 구비된 납골함은 도 1 내지 도 6 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구성되는 것이다.
하기에서 본 고안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고안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상세한 설명은 생략할 것이다.
그리고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고안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설정된 용어들로서 이는 생산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으므로 그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먼저, 본 고안에 적용된 부호 10은 내부에 유골의 분말 또는 유골의 결정체(영옥)가 수납되게 일정 크기의 공간부(11)가 형성된 납골함(안치단 포함)으로, 이때 이 납골함(10)은 목재, 금속재, 석재, 크리스탈, 유리, 아크릴, 플라스틱, 도자기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의 재질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구성됨은 물론 필요에 따라서는 이 외의 재질로 구성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그리고 상기 납골함(10)의 내부 바닥면에는 "방부효과, 여과효과, 습도조절효과, 음이온발생효과, 유해전자파/방사선<라돈>차단효과, 냄세제거효과, 원적외선방사효과, 항균 및 해독효과, 집먼지 및 진드기 제거효과"가 있는 숯가루층(20)이 구비된다.
또한 상기 숯가루층(20)의 상면에는 지하에서 올라오는 수맥파의 차단은 물론 공중에 있는 수맥파도 어스(earth 접지)역활을 해서 땅으로 돌려 보내는 동판층(21)이 구비된다.
더 나아가서 상기 동판층(21)의 상면에는 흙에서 태어나 흙으로 돌아간다는 이치를 구현하는 흙층(21a)을 구비하며 수분을 빨리 흡수 배출하고 자외선을 차단하며 곰팡이를 억제하는 항균성과 항독성이 있는 비단천(22)이 구비된다.
본 고안은 또한 상기 납골함(10)의 내부에 유골의 분말, 결정체(영옥)를 수납하는 보석함(40)이 더 구비됨을 특징으로 구성되는 것으로, 상기 보석함(40)은 단순히 목재, 금속, 석재, 크리스탈, 유리, 도자기등의 박스형태로 구성할 수 있음은 물론 전술한 바와 같이 보석함(40)의 내부에 숯가루층(20)과 동판층(21) 그리고 흙층(21a)과 비단천(22)이 구비되게 구성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또한 본 고안은 상기 납골함(10)의 전면에 고인의 간단한 약력(예: 본관, 성명, 나이, 출생 및 사망 년도, 특히사항 등...)이 소개된 표시부(30)가 구비된다.
부호 50은 상기 납골함(10)의 상단에 구비되어 입구를 개폐시키는 뚜껑으로, 이 뚜껑(50)의 상면에는 고인의 평소 모습과 유사한 형상(60)이 구비된다.
이때 상기 고인의 형상(60)은 흉상(胸像), 반신상(半身像), 전신상(全身像)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의 형상으로 형성됨이 바람직하고, 상기 고인의 형상(60)은 목재, 금속, 석재, 크리스탈, 유리, 도자기, 아크릴, 플라스틱으로 제작하며 필요할 때 선택하여 외주면에는 금, 은, 동, 주석, 석재분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의 재질로 코팅 처리됨을 특징으로 구성된다.
또한 본 고안은 다른 실시예로 상기 고인의 형상(60) 내부에 유골 또는 유골의 결정체(영옥)를 수납하게 공간부(61)가 형성되는 것으로, 이 공간부(61)는 배면에 형성된 도어(62)와 상호 연통되게 구성됨을 특징으로 구성되고 또한 상기 고인의 형상(60) 저면에는 공간부(61)와 상호 연통되게 회전형 개폐 마개(63)가 구비됨을 특징으로 구성된다.
본 고안은 또한 상기 뚜껑(50)의 상부 모서리에는 고인의 형상(60)을 비춰주는 조명등(51)이 더 구비되어 구성된다.
한편 본 고안은 상기 납골함(10)의 전면에 사물을 감지하는 센서(31)가 더 구비됨은 물론 상기 납골함(10)의 상부 전면 양측에는 사물이 설정 위치에 근접하면 센서(31)가 이를 감지하여 자동으로 고인의 생전 음성이 출력되도록 함은 물론 도난방지를 위해 사물이 그 설정범위 내로 진입하면 스피커(33)를 통해 싸이렌이 경보음을 울리도록 구비되고, 또한 상기 납골함(10)의 하부 전면 양측에는 센서(31)가 사물을 감지함에 따라 자동으로 방향제가 발산되게 방향제분사구(32)가 구비된다.
그리고 본 고안의 또 다른 실시예로는 상기 납골함(10)의 배면에 유골 또는 유골의 결정체(영옥)를 수납시킬 수 있도록 경첩(13)을 중심을 개폐되는 도어(12)와 이 도어(12)를 열지 못하게 잠금부(10b)가 구비된다.
더 나아가서 본 고안은 상기 납골함(10)의 배면 양측에 각각 제1,2서랍(15)(15a)이 구비되되, 이 제1,2서랍(15)(15a)에는 상기 방향제분사구(32)와 연결되어 방향제를 공급하는 방향제수납통(80)이 구비된다. 그리고 상기 제1서랍(15)에는 습기를 제거하는 제습제(70)와 각종 벌레를 퇴치하는 해충퇴치제(71)가 구성된다. 또한 상기 제2서랍(15a)에는 상기 센서(31), 스피커(33), 방향제분사구(32), 조명등(51)을 제어하는 제어부(90)가 더 구비되어 구성된다. 물론 상기 제어부(90)에는 밧데리 및 각종 부품 및 회로기기가 내장됨은 물론이다.
또한 본 고안은 사람이 납골함(10)의 근방에 근접하면 이를 센서(31)가 감지한 후 제어부(90)로 신호를 보내면 이 제어부(90)는 납골함(10) 주위에 설치된 모니터(도면상 미 도시함)를 자동으로 'ON'시켜 고인의 살아 생전의 모습과 활동상이 추모의 글과 화상이 모니터를 통해 보여질 수 있도록 구성된다.
본 고안은 또한 상기 납골함(10)의 하단부에는 위치변동감지센서(13)가 있어 납골함(10)의 임의 이동시 감지센서(13)가 이를 감지하여 스피커(33)를 통해 경보 싸이렌이 울리고 계약된 방범회사에 통보를 함을 특징으로 구성된다.
마지막으로 본 고안은 상기 납골함(10)의 내부에 수신칩(10a)이 내장되어 분실시 GPS시스템을 이용하여 납골함의 위치를 정확히 파악하여 되찾을 수 있도록 구성된다. 상기 GPS는 위성항법장치 [ 衛星航法裝置 , global positioning system ]로 비행기·선박·자동차뿐만 아니라 세계 어느 곳에서든지 인공위성을 이용하여 자신의 위치를 정확히 알 수 있는 시스템이며, 이러한 기술은 일반적을 알려진 기술이기 때문에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하겠다.
한편 본 고안은 상기의 구성부를 적용함에 있어 다양하게 변형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를 취할 수 있다.
그리고 본 고안은 상기의 상세한 설명에서 언급되는 특별한 형태로 한정되는 것이 아닌 것으로 이해되어야 하며, 오히려 첨부된 청구범위에 의해 정의되는 본 고안의 정신과 범위 내에 있는 모든 변형물과 균등물 및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 고인의 실물형상이 구비된 납골함의 작용 효과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우선, 본 고안은 도 1, 2 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납골함(안치단 포함)(10)의내부에 고인의 유골 또는 고인의 유골 결정체를 수납하는 것으로, 상기 유골 결정체는 본인이 선 출원한 특허고안에 공지된 기술로, 특히 분골 형태의 유골을 고온에서 용융시킨 후 서서히 냉각하여 결정체(영옥)로 제조하는 것으로 이미 공지된 기술이다.
상기와 같이 본 고안에 적용된 납골함(10)의 내부에 골분 또는 유골의 결정체를 보관하게 되면 골분 및 결정체를 장시간 변질 없이 보관할 수 있게 된다.
즉, 납골함(10)의 내부에는 숯가루층(20), 동판층(21), 흙층(21a) ,비단천(22)이 순차적으로 구비되는 것으로, 상기 숯가루층(20)은 이미 알려진 바와 같이 방부효과, 여과효과, 습도조절효과, 음이온발생효과, 유해전자파/방사선<라돈>차단효과, 냄세제거효과, 원적외선방사효과, 항균 및 해독효과, 집먼지 및 진드기 제거효과를 제공하게 되고 또한 동판층(21)은 지하에서 올라오는 수맥파의 차단은 물론 공중에 있는 수맥파도 어스(earth 접지)역활을 해서 땅으로 돌려 보내는 역할을 하게 되며 또한 흙에서 태어나 흙으로 돌아간다는 이치를 구현하는 흙층(21a), 그리고 비단천(22)은 수분을 빨리 흡수 배출하고 자외선을 차단하며 곰팡이를 억제하는 항균성과 항독성이 있도록 한 효과를 발휘하게 되어 골분 및 유골의 결정체를 장기간 보관하게 되도 변질이 없도록 한 것이다.
본 고안은 도 3 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납골함(10)의 내부에 보석함(40)을 수납하여 보관할 수 있는 것으로, 상기 보석함(40)에도 전술한 바와 같이 유골 또는 유골의 결정체를 수납하여 보관하게 된다. 이때 본 고안은 보석함(40)의 내부에도 전술한 바와 같이 숯가루층, 동판층, 흙층, 비단천을 순차적으로 구비하여 유골 및유골의 결정체를 장시간 변질 없이 보관시킬 수 있도록 함은 물론 상기 보석함(40)을 단지 간단한 박스형태로 구비하되, 외부를 멋지게 꾸며 납골함(10)의 내부에 보관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함은 물론이다.
그리고 상기한 본 고안의 특징은 상기 납골함(10)의 상부에 고인의 평소 모습과 유사한 형상(60)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한 것으로, 추모객들은 고인의 형상(60)을 보면서 참배하게 되어 더욱 뜻 깊은 참배를 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이때 상기 고인의 형상(60)은 흉상(胸像), 반신상(半身像), 전신상(全身像)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의 형상으로 형성됨이 바람직하고, 상기 고인의 형상(60)은 목재, 금속재, 석재, 크리스털, 유리, 아크릴, 플라스틱, 도자기로 제작하며 필요시 선택하여 외주면에는 금, 은, 동, 주석, 석재분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의 재질로 코팅 처리하여 외관을 더욱 미려하게 보일 수 있도록 하였다.
본 고안은 다른 실시예로 도 4 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어(62)를 통해 고인의 형상(60) 내부 공간부(61)에 골분 또는 유골의 결정체를 수납할 수 있도록 함은 물론 도 4 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회전형 개폐 마개(63)를 선택적으로 정역 회전시키면서 공간부(61)의 내부에 전술한 바와 같이 유골의 골분 또는 결정체를 수납 보관할 수 있도록 하였다.
한편 상기한 상태로 납골당 등에 안치된 납골함(10)은 사람이 전방 몇 미터에 근접하면 센서(31)가 사람을 감지하여 조명등(51)에서 빛이 자동으로 발산되어 고인의 형상을 비취주는 동시에 스피커(33)를 통해서는 평소 고인의 음성이 출력되도록 하여 고인을 더욱 뜻 깊게 참배할 수 있도록 하였다. 그리고 본 고안은 사람이 납골함(10)의 근방에 근접하면 이를 센서(31)가 감지한 후 제어부(90)로 신호를 보내면 이 제어부(90)는 납골함(10) 주위에 설치된 모니터(도면상 미 도시함)를 자동으로 'ON'시켜 고인의 살아 생전의 모습과 추모의 글들이 영상을 통해 보여질 수 있도록 하여 참배객들이 추모의 정을 더욱 깊게 느길 수 있도록 하였다.
본 고안은 더 나아가서 방향제수납통(80)에 저장된 방향제가 납골함(10)의 전방에 구비된 방향제분사구(32)를 통해 배출됨으로 인해 추모객들이 신선한 향이 은은하게 풍겨나는 가운데 참배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또한 본 고안은 상기 제1서랍(15)의 내부에 습기를 제거하는 제습제(70)와 각종 벌레를 퇴치하는 해충퇴치제(71)가 구비되어 납골함(10) 내부의 골분 또는 유골 결정체를 장기간 보관해도 변질이 없도록 한 것이다.
한편 본 고안은 상기 납골함910)의 하단부에 위치변동감지센서(13)를 구비하여 납골함(10)의 임의 이동시 감지센서(13)가 이를 감지하여 스피커(33)를 통해 경보 싸이렌이 울리고 계약된 방범회사에 통보를 하여 납골함(10)의 도난을 방지하게 됨은 물론 상기 납골함910)의 내부에는 수신칩(10a)이 내장되어 분실시 GPS시스템을 이용하여 납골함(10)의 위치를 정확히 파악하여 되찾을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상기에서 상세히 살펴본 바와 같이 본 고안은 고인의 유골 또는 유골의 결정체(영옥)가 담긴 납골함의 상부에 고인의 평소 모습과 유사한 형상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한 것으로, 추모객들이 납골함 근처에 오게 되면 센서가 이를 감지하여 자동으로 조명등이 작동하여 고인의 형상을 비춰주도록 한 것이며, 스피커를 통해서는 고인의 평소 음성이 출력되도록 한 것이고 납골함 곁에 설치된 모니터 화면으로 고인의 생전 활동상과 추모의 글들이 나타나도록 하였으며 추모객이 접근할 때에는 센스가 감지하여 납골함 전방으로는 상큼하고 신선한 향이 은은하게 풍겨나도록 방향제가 발산되도록 한 것이다. 그리고 납골함 내부에 제습제와 해충퇴치제를 구비하여 납골함을 항상 청결하게 보관할 수 있도록 한 것이고 또한 흙에서 태어나 흙으로 돌아간다는 이치를 구현하는 흙층, 그리고 유골함 외부가 석재물과 금속물 일 때 발생할 수 있는 내부 결로 현상을 방지할 수 있게 내부에는 목재로 별도의 함을 설치 후 유골을 안치할 수 있도록 하는 목재함을 설치 하고 이와 같은 효과는 소중한 삶을 사신 고인에 대한 예우를 통해 유족의 못다한 사랑을 표현할 수 있게 하고 고인과의 단절감을 일거에 해소할 수 있도록 한 것이며 이로 인해 제품의 품질과 신뢰성을 대폭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한 매우 유용한 고안인 것이다.

Claims (20)

  1. 내부에 유골 또는 유골의 결정체(영옥)가 수납되게 일정 크기의 공간부가 형성되는 납골함(10);
    상기 납골함의 내부 바닥면에 설치되는 숯가루층(20);
    상기 숯가루층의 상면에 구비되는 동판층(21);
    상기 동판층의 상면에 구비되는 흙층(21a);
    상기 흙층의 상면에 구비되는 비단천(22);
    상기 납골함의 상단에 구비되어 입구를 개폐시키는 뚜껑(50); 및
    상기 뚜껑의 상면에는 고인의 평소 모습과 유사한 형상(60);이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고인의 실물형상이 구비된 납골함.
  2. 제 1 청구항에 있어서,
    상기 납골함의 내부에는 유골, 유골의 결정체(영옥)를 수납하는 보석함(40)이 더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고인의 실물형상이 구비된 납골함.
  3. 제 1 청구항에 있어서,
    상기 납골함의 전면에는 고인의 간단한 약력과 본관, 성명, 출생일, 사망일 등이 표시된 표시부(30)가 더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고인의 실물형상이 구비된 납골함.
  4. 제 1 청구항에 있어서,
    상기 납골함의 전면에는 사물을 감지하는 센서(31)가 더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고인의 실물형상이 구비된 납골함.
  5. 제 1 청구항에 있어서,
    상기 납골함의 상부 전면 양측에는 사물이 설정 위치에 근접하면 센서가 이를 감지하여 자동으로 고인의 생전 음성이 출력되도록 함은 물론 도난방지를 위해 사물이 그 설정범위 내로 진입하면 스피커(33)를 통해 싸이렌이 경보음을 울리도록 함을 특징으로 하는 고인의 실물형상이 구비된 납골함.
  6. 제 1 청구항에 있어서,
    상기 납골함의 하부 전면 양측에는 센서가 사물을 감지함에 따라 자동으로 방향제가 발산되게 방향제분사구(32)가 더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고인의 실물형상이 구비된 납골함.
  7. 제 1 청구항에 있어서,
    상기 납골함의 배면에는 유골 또는 유골의 결정체(영옥)를 수납시킬 수 있도록 경첩을 중심으로 개폐되는 도어(12)와 이 도어를 열지 못하게 잠금부(10b)가 더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고인의 실물형상이 구비된 납골함.
  8. 제 1 청구항에 있어서,
    상기 납골함의 배면 양측에는 각각 제1,2서랍(15)(15a)이 구비되되, 이 제1,2서랍에는 상기 방향제분사구와 연결되어 방향제를 공급하는 방향제수납통(80)이 더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고인의 실물형상이 구비된 납골함.
  9. 제 8 청구항에 있어서,
    상기 제1서랍에는 습기를 제거하는 제습제(70)가 더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고인의 실물형상이 구비된 납골함.
  10. 제 8 청구항에 있어서,
    상기 제1서랍에는 각종 벌레를 퇴치하는 해충퇴치제(71)가 더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고인의 실물형상이 구비된 납골함.
  11. 제 1 청구항에 있어서,
    상기 형상을 포함한 납골함은 목재, 금속, 석재, 크리스탈, 유리, 아크릴, 도자기, 플라스틱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의 재질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고인의 실물형상이 구비된 납골함.
  12. 제 1 청구항에 있어서,
    상기 고인의 형상은 흉상(胸像), 반신상(半身像), 전신상(全身像)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의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인의 실물형상이 구비된 납골함.
  13. 제 1 또는 제 12 청구항에 있어서,
    상기 고인의 형상 외주면에는 금, 은, 동, 주석, 석재분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의 재질로 코팅 처리됨을 특징으로 고인의 실물형상이 구비된 납골함.
  14. 제 1 청구항에 있어서,
    상기 고인의 형상 내부에는 유골 또는 결정체(영옥)를 수납하게 공간부(61)를 형성하되, 이 공간부는 배면에 형성된 도어(62)와 상호 연통되게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고인의 실물형상이 구비된 납골함.
  15. 제 14 청구항에 있어서,
    상기 고인의 형상 저면에는 공간부와 상호 연통되게 회전형 개폐 마개(63)가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고인의 실물형상이 구비된 납골함.
  16. 제 1 청구항에 있어서,
    상기 뚜껑의 상부 모서리에는 고인의 형상을 비춰주는 조명등(51)이 더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고인의 실물형상이 구비된 납골함.
  17. 제 8 청구항에 있어서,
    상기 제2서랍에는 센서, 스피커, 모니터, 방향제분사구, 조명등을 제어하는 제어부(90)가 더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고인의 실물형상이 구비된 납골함.
  18. 제 17 청구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90)는 납골함(10) 주위에 설치된 모니터와 연결되어 고인의 살아 생전의 모습과 할동 모습 그리고 추모의 글과 화상이 영상을 통해 보여 질 수 있도록 함을 특징으로 하는 고인의 실물형상이 구비된 납골함.
  19. 제 1 청구항에 있어서,
    상기 납골함의 하단부에는 위치변동감지센서(13)가 있어 납골함의 임의 이동시 감지센서가 이를 감지하여 스피커를 통해 경보 싸이렌이 울리고 계약된 방범회사에 통보를 함을 특징으로 하는 고인의 실물형상이 구비된 납골함.
  20. 제 1 청구항에 있어서,
    상기 납골함의 내부에는 수신칩(10a)이 내장되어 분실시 GPS시스템을 이용하여 납골함의 위치를 정확히 파악하여 되찾을 수 있도록 함을 특징으로 하는 고인의 실물형상이 구비된 납골함.
KR20-2003-0035131U 2003-11-10 2003-11-10 고인의 실물형상이 구비된 납골함 KR200343043Y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3-0035131U KR200343043Y1 (ko) 2003-11-10 2003-11-10 고인의 실물형상이 구비된 납골함
JP2003394772A JP2005137820A (ja) 2003-11-10 2003-11-25 故人の実物形像が具備された納骨箱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3-0035131U KR200343043Y1 (ko) 2003-11-10 2003-11-10 고인의 실물형상이 구비된 납골함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78995A Division KR20050045054A (ko) 2003-11-10 2003-11-10 고인의 실물형상이 구비된 납골함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43043Y1 true KR200343043Y1 (ko) 2004-02-25

Family

ID=4934368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3-0035131U KR200343043Y1 (ko) 2003-11-10 2003-11-10 고인의 실물형상이 구비된 납골함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43043Y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44874B1 (ko) * 2009-02-06 2010-03-04 안언수 납골함 및 그 제조방법
KR101404605B1 (ko) * 2012-10-31 2014-06-13 정용성 수목장 매립함
KR20170000164U (ko) 2015-07-03 2017-01-11 조선대학교산학협력단 장식등 겸용 수납함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44874B1 (ko) * 2009-02-06 2010-03-04 안언수 납골함 및 그 제조방법
KR101404605B1 (ko) * 2012-10-31 2014-06-13 정용성 수목장 매립함
KR20170000164U (ko) 2015-07-03 2017-01-11 조선대학교산학협력단 장식등 겸용 수납함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729921A (en) Burial marker and display box
US5379499A (en) Cremation urn
USRE47066E1 (en) Cremated remains remembrance and burial system
US20060049938A1 (en) Warning unit
US5774958A (en) Dissolvable urn
US20080116772A1 (en) Wall-mounted urn display cabinet
US20060179623A1 (en) Degradable urn
KR200343043Y1 (ko) 고인의 실물형상이 구비된 납골함
JP2005137820A (ja) 故人の実物形像が具備された納骨箱
KR20050045054A (ko) 고인의 실물형상이 구비된 납골함
KR20170090946A (ko) 반려동물 형상의 기능성 유골함
KR102368952B1 (ko) 반려 동물용 유골함
KR101950936B1 (ko) 2인의 유분을 함께 담아 보존할 수 있는 유골함
KR102026309B1 (ko) 납골 및 청정기능을 가지는 고인 추모함
JP3104174B2 (ja) 動物位牌
KR200228845Y1 (ko) 납골함
KR101844115B1 (ko) 유골함
CN201847035U (zh) 一种多功能防盗行李箱
JP2003116645A (ja) 多機能本棚
KR200173781Y1 (ko) 유골함
JP2006288421A (ja) 可搬式墓
JP3035847U (ja) 仏 壇
JPS62672Y2 (ko)
KR200288315Y1 (ko) 장례용 베개
KR200272756Y1 (ko) 납골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U107 Dual application of utility model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R401 Registration of restor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214

Year of fee payment: 10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