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42927Y1 - 판재의 홀부근 맞춤선 측정장치 - Google Patents

판재의 홀부근 맞춤선 측정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42927Y1
KR200342927Y1 KR20-2003-0038006U KR20030038006U KR200342927Y1 KR 200342927 Y1 KR200342927 Y1 KR 200342927Y1 KR 20030038006 U KR20030038006 U KR 20030038006U KR 200342927 Y1 KR200342927 Y1 KR 200342927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easuring
main body
center line
center
slot ho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3-0038006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조기조
곽태옥
정하택
김점도
Original Assignee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Priority to KR20-2003-0038006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42927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42927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42927Y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CMEASURING DISTANCES, LEVELS OR BEARINGS; SURVEYING; NAVIGATION; GYROSCOPIC INSTRUMENTS; PHOTOGRAMMETRY OR VIDEOGRAMMETRY
    • G01C9/00Measuring inclination, e.g. by clinometers, by levels
    • G01C9/12Measuring inclination, e.g. by clinometers, by levels by using a single pendulum plumb lines G01C15/10
    • G01C9/14Measuring inclination, e.g. by clinometers, by levels by using a single pendulum plumb lines G01C15/10 movable in more than one direction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BMEASURING LENGTH, THICKNESS OR SIMILAR LINEAR DIMENSIONS; MEASURING ANGLES; MEASURING AREAS; MEASURING IRREGULARITIES OF SURFACES OR CONTOURS
    • G01B21/00Measuring arrangements or details thereof, where the measuring technique is not covered by the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unspecified or not relevant
    • G01B21/22Measuring arrangements or details thereof, where the measuring technique is not covered by the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unspecified or not relevant for measuring angles or tapers; for testing the alignment of axes
    • G01B21/24Measuring arrangements or details thereof, where the measuring technique is not covered by the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unspecified or not relevant for measuring angles or tapers; for testing the alignment of axes for testing alignment of axe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BMEASURING LENGTH, THICKNESS OR SIMILAR LINEAR DIMENSIONS; MEASURING ANGLES; MEASURING AREAS; MEASURING IRREGULARITIES OF SURFACES OR CONTOURS
    • G01B5/00Measuring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mechanical techniques
    • G01B5/24Measuring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mechanical techniques for measuring angles or tapers; for testing the alignment of axes
    • G01B5/25Measuring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mechanical techniques for measuring angles or tapers; for testing the alignment of axes for testing the alignment of ax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BROLLING OF METAL
    • B21B37/00Control device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metal-rolling mills or the work produced thereby
    • B21B37/68Camber or steering control for strip, sheets or plates, e.g. preventing meandering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Radar, Positioning & Navigation (AREA)
  • Remote Sensing (AREA)
  • A Measuring Device Byusing Mechanical Method (AREA)
  • Length-Measuring Instruments Using Mechanical Mean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판재의 홀부근 맞춤선 측정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부재의 슬롯홀에 삽입하여 상기 슬롯홀의 직경 및 원주를 측정할 수 있도록 원형판 형상으로 형성된 지름측정부와, 상기 지름측정부에 나사를 매개로 체결된 본체의 일단이 상기 본체의 중심으로부터 150㎜ 이격되어 형성됨과 더불어 마킹홈이 형성되어 상기 지름측정부가 슬롯홀에 삽입된 상태에서 150㎜ 지점을 측정하도록 된 마킹부와, 상기 본체의 일측부에 본체 중심선으로부터 2㎜~10㎜ 이격된 지점이 절단되어 상기 슬롯홀에 지름측정부가 삽입된 상태에서 상기 슬롯홀 부근에 접합되는 또 다른 부재의 폭을 측정하도록 된 폭측정부와, 상기 본체의 타측부에 상기 본체의 중심선과 부재의 중심선 또는 외곽선이 일치하는 지를 측정하도록 절단된 중심선측정부가 형성되어, 상기 부재의 슬롯홀, 중심과 이격지점, 접하는 부재의 폭, 중심선에 대한 맞춤선을 측정 및 표기하도록 된 것이다.

Description

판재의 홀부근 맞춤선 측정장치{A MEASURING INSTRUMENT OF A DATUM LINE}
본 고안은 2개의 판재 등을 서로 접합시킴에 있어, 상기 2개의 판재가 정확한 위치에서 접합되도록 미리 측정하여 표시해 놓는 맞춤선을 측정 및 표시하도록 된 판재의 홀부근 맞춤선 측정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선박의 건조에 있어서 다양한 판재가 상호 접합되어 사용되며, 특히 선박의 내부 구조를 이루는 판재는 다수개의 슬롯홀이 형성된 상태에서 상호 접합되도록 되는 경우가 많다.
여기서, 상기 슬롯홀(slot hole)은 그 일방향 지름이 수직되는 방향의 지름의 길이보다 크게 형성되어 일방향으로 길게 개구되는 통상의 슬롯홀로 구성되며, 2개의 판재에 각각 대략 반 타원의 슬롯홀이 형성되어 상호 맞접하면서 대략 타원형의 슬롯홀을 형성하거나, 2개의 판재가 상호 수직을 이루면서 접합되어 입체적인 타원의 개구를 형성하여 또 다른 부재의 접합을 꾀하도록 된다.
또한, 2개의 판재를 상호 접합시킴에 있어서, 상기 2개의 판재 중에서 어느 한 판재 혹은 2개의 판재 모두 모서리 등의 접합 기준점을 갖지 않는 경우가 많고, 이러한 경우 상기 2개의 판재를 정확한 위치에서 상호 접합시키기 위해 상기 2개의 판재에 정확한 접합 위치를 각각 표시하고, 이 접합 위치 표시들을 상호 맞추면서 상기 2개의 판재를 접합하도록 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여기서, 상기 2개의 판재가 상호 접하는 위치에 대한 표시는 통상 각 판재의 모서리에서 일정한 거리(통상 150㎜) 이격된 위치에 표시를 하고, 이 표시를 상호 맞추면서 상기 2개의 판재를 접합시키는 방법이 사용되어 왔다.
그러나, 종래의 판재 등 부재의 접합 위치 표시방법으로는 판재 등의 부재 중앙부에 슬롯홀이 형성되어 있거나, 부재의 끝단부에 슬롯홀이 형성되어 있는 경우, 상기 부재 접합 위치의 측정은 상기 판재의 중앙 또는 모서리로 예측되는 지점에 직선자를 대고 일정길이 이격된 접합 위치를 표시하는 방법이 사용되어, 상기 예측된 모서리 및 중앙점으로 부터 측정된 접합 위치의 정확도가 현저히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 종래의 부재 접합 위치 표시방법은, 통상 사용되는 모서리 및 중앙점으로 부터 일정한 거리만큼 이격된 직선상의 이격위치에 대한 측정만이 가능하므로, 상기 부재에 형성된 슬롯홀의 직경 및 원주 등에 대한 측정이 불가능하여 상기 슬롯홀에 대한 측정과 접합 위치에 대한 측정이 각각 별도로 시행되어야 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종래의 부재 접합 위치 표시방법으로는, 2개의 부재가 상호 수직을 이루고 접합되도록 상기 2개의 부재가 상호 접하는 위치의 접합두께에 대한 측정이 불가능하여. 상기 어느 한 부재에 수직을 이루고 접합되는 또 다른 부재가 정위치에서 기울어지거나 비뚤어져 접합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제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고안된 것으로, 2개 이상의 부재를 서로 접합시키기 위해 상기 부재들이 상호 정확히 접하는 위치의 맞춤선을 측정 및 표기하도록 된 판재의 홀부근 맞춤선 측정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본 고안의 또 다른 목적은, 부재에 개구된 슬롯홀 또는 홀의 직경 및 원주를측정 및 상기 슬롯홀을 중심점으로 하는 맞춤선을 측정 및 표기하도록 된 판재의 홀부근 맞춤선 측정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부재의 슬롯홀을 중심으로 2개 부재의 접합 위치를 이루는 맞춤선과, 상기 접합되는 부재의 위치에 따른 두께 및 상기 부재들의 중심선을 측정 및 표기하도록 된 판재의 홀부근 맞춤선 측정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본 고안의 또 다른 목적은, 작업자의 1회 조작만으로 슬롯홀을 중심으로 형성되는 다수개의 맞춤선을 일시에 측정 및 표기하도록 된 판재의 홀부근 맞춤선 측정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측정장치의 평면도,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측정장치의 분리 결합사시도,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측정장치의 사용상태도이다.
<도면의 주요부호에 대한 설명>
10 - 주판 11 - 격판
12 - 맞춤선 20 - 측정장치
21 - 본체 22 - 눈금
23 - 중심선 30 - 지름측정부
31 - 나사 32 - 나사홀
33 - 중심구 34 - 손잡이
40 - 마킹부 41 - 마킹홈
50 - 폭측정부 51 - 측정구
60 - 중심선측정부 61 - 세로대
62 - 계측구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은, 직선자 형상을 이루는 본체의 중앙에 슬롯홀의 지름과 동일한 지름을 이루는 원판형상의 지름측정부가 체결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의 다른 특징은, 상기 본체에 슬롯홀의 중심점을 통하는 중심선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의 또 다른 특징은, 상기 본체의 일측에 상기 중심선을 중심으로 상/하방향으로 배열되는 타 부재의 접합두께를 측정할 수 있도록 된 폭측정부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의 다른 특징은, 상기 본체의 일측단에 본체의 중심으로 부터 통상의 길이만큼 이격되어 표시되는 맞춤선을 측정 및 표기하도록 된 마킹부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의 또 다른 특징은, 상기 본체의 타단에 부재 중심선의 비뚤어짐 정도를 측정 및 표기할 수 있는 중심선측정부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의 다른 특징은, 상기 지름측정부가 부재 슬롯홀의 직경에 따라 교체 적용이 가능하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첨부된 예시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판재의 홀부근 맞춤선 측정장치의 각 측정부를 나타낸 것이고,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측정장치(20)의 지름측정부(30)가 탈/착되는 것을 나타낸 것이며,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측정장치(20)를 이용하여 부재의 맞춤선(12)을 측정 및 표기하는 것을 나타낸 것이다.
본 고안은, 본체(21)와, 눈금(22)과, 중심선(23)과, 지름측정부(30)와, 마킹부(40)와, 폭측정부(50)와, 중심선측정부(6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본체(21)는 통상의 직선자 형상과 동일한 형상을 이루도록 일방향으로 길게 형성된 직사각형 판형상으로 형성된다.
상기 눈금(22)은 상기 본체(21)의 일측단과 후술하는 중심선(23) 및 세로대(61)의 일단에 물체의 길이를 측정하도록 길이단위가 표시되어 형성된다.
상기 중심선(23)은 상기 본체(21)의 길이방향으로 직선이 인쇄되어 형성되며, 상기 본체(21)의 길이방향 정 중심을 따라 직선으로 형성된다.
상기 지름측정부(30)는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름측정부(30)와, 나사(31)와, 나사홀(32)과, 중심구(33)와, 손잡이(34)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지름측정부(30)는 원형의 판형상으로 형성되며, 본 실시예에서는 통상의 선박용 판재에 개구되는 슬롯홀의 지름(25㎜, 35㎜, 50㎜)과 동일한 지름을 갖는 다수개의 원형판으로 형성된다.
또, 상기 지름측정부(30)는 원형의 판형상으로 형성됨은 물론, 그 일측 원의 1/4부분이 절단되어 상기 원판 자체로 부재에 형성된 슬롯홀의 지름을 측정하고, 상기 원의 1/4부분 절단부에 형성되는 2개의 직선부를 이용하여 상기 슬롯홀의 직경 및 원의 중심에서 이격된 지점의 길이를 측정할 수 있도록 된다.
상기 나사(31)는 통상의 나사(31)로 형성되며, 상기 지름측정부(30)의 하단면에서 상부로 관통되면서 상기 지름측정부(30)를 상기 본체(21)에 체결하도록 구성된다.
또, 상기 나사(31)가 상기 지름측정부(30)의 하단에서 외측으로 돌출되어 타 부재들과 간섭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상기 나사(31)가 삽입되는 지름측정부(30)의 하단면 중앙에서 상방향으로 상기 나사(31)의 머리부분이 함입되도록 함몰부가 함몰된다.
상기 나사홀(32)은 상기 나사(31)가 상기 지름측정부(30)의 중앙을 통해 관통되어 상기 본체(21)와 체결되도록 상기 지름측정부(30)의 중심에 원형으로 개구된다.
상기 중심구(33)는 상기 지름측정부(30)의 나사홀(32)을 통해 관통된 나사(31)가 체결됨과 더불어 상부로 관통되도록 상기 본체(21)의 중심에 원형으로 개구되어 형성된다.
상기 손잡이(34)는 상기 본체(21)의 중심구(33)를 통해 상부로 관통된 나사(31)에 체결되도록 그 하단에 상기 나사(31)의 선단이 삽입되어 고정되도록 그 내측에 나사(31)산이 형성된 홈이 함몰된 원형의 판으로 형성되며, 그 상부는 사용자가 용이하게 파지하도록 사용자의 손으로 잡을 정도의 크기를 이루는 원형판 형상으로 형성된다.
상기 마킹부(40)는 상기 본체(21)의 길이방향 일측단에 형성되며, 마킹홈(41)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마킹부(40)는 선박 판재의 모서리나 슬롯홀을 중심으로 통상 이격시켜 표기하는 150㎜의 맞춤선(12)을 측정 및 표기하도록 상기 본체(21)의 중심에서 상기 마킹부(40)가 형성된 일단까지의 길이가 150㎜로 형성됨과 더불어, 상기 150㎜로 형성된 본체(21)의 일측선단에 상기 마킹부(40)가 형성된다.
상기 마킹홈(41)은 상기 본체(21)의 일측선단에 후술하는 폭측정부(50)의 폭과 같이 상기 중심선(23)에서 소정폭 이격된 다수의 지점이 상기 본체(21)의 내측으로 삼각형 단면형상을 이루고 함몰되어 형성된다.
또, 상기 마킹부(40)는 사용자가 사용하는 필기구를 접해 부재에 정확히 표기하도록 상기 필기구의 선단이 걸쳐지도록 상기 본체(21)의 내측으로 함몰됨과 더불어, 상기 본체(21)의 다른 지점보다 그 두께가 얇게 형성되어 상기 필기구의 선단이 상기 부재에 보다 밀착된 상태에서 표기를 이루도록 한다.
상기 폭측정부(50)는 상기 마킹부(40)가 형성된 본체(21)의 일측부에 형성되며, 측정구(51)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측정구(51)는 상기 본체(21)의 일측부 중심선(23)에서 그 양측으로 2㎜ 이격된 지점에서 부터 상기 중심선(23)에서 상기 본체(21)의 상/하방향으로 10㎜이격된 지점에 이르도록 상기 중심선(23)을 중심으로 그 양측부의 본체(21)가 직사각형 형상을 이루고 절단되어 형성된다.
이에 따라, 상기 폭측정부(50)는 부재의 선단 또는 중심에서 2㎜ 이격된 지점과 10㎜ 이격된 지점을 상기 중심선(23)을 중심으로 상/하방향에서 동시에 측정하게 된다.
상기 중심선측정부(60)는 상기 지름측정부(30)를 중심으로 상기 폭측정부(50)가 형성된 본체(21)의 반대편에 형성되며, 세로대(61)와 계측구(62)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계측구(62)는 상기 본체(21)의 타측부 중심선(23)을 중심으로 상/하방향으로 10㎜씩 이격된 지점에 이르도록 직사각형 형상을 이루고 절단되어 형성된다.
이에 따라, 상기 계측구(62)는 상기 본체(21)의 타측부에 그 상/하폭이 20㎜를 이루는 직사각형 형상으로 절단되어 형성된다.
상기 세로대(61)는 상기 계측구(62)의 양측단에서 소정폭 이격된 위치에 상기 본체(21)의 상/하방향으로 상기 계측구(62)의 상/하단에 걸쳐 고정되는 직사각형 판형상을 이루고 형성된다.
또, 상기 세로대(61)의 전면에는 상기 눈금(22)이 상기 본체(21)의 상/하방향으로 인쇄된다.
다음에는 이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에 따른 판재의 홀부근 맞춤선 측정장치의 사용방법을 설명한다.
본 고안에 따른 판재의 홀부근 맞춤선(12) 측정장치(20)의 사용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판재 등 부재에 형성된 슬롯홀에 본 고안에 따른 측정장치(20)를 대고 상기 각 부재에 접합 위치가 되는 맞춤선(12)을 측정 및 표기한다.
최초 상기 부재에 형성된 슬롯홀의 직경과 동일한 직경을 이루는 지름측정부(30)를 선택하고, 이 선택된 지름측정부(30)를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나사(31)를 매개로 상기 본체(21)의 하단에 체결하고, 상기 본체(21)의 중심 상단에 상기 나사(31)를 매개로 손잡이(34)를 체결한다.
상기 지름측정부(30)가 체결된 측정장치(20)를 상기 부재의 슬롯홀에 삽입하여 상기 부재에 형성된 슬롯홀의 직경이 지름측정부(30)의 직경과 일치하는 지를 판단하여 상기 슬롯홀의 직경을 측정한다.
또, 상기 지름측정부(30)의 원주와 상기 주재에 형성된 슬롯홀의 원주가 상호 일치하는 지를 판단하여 상기 슬롯홀의 원주가 정확히 절단되었는지를 측정한다.
이때, 상기 부재는 작업자 바닥에 놓이도록 하고, 상기 부재의 슬롯홀에 상기 측정장치(20)의 지름측정부(30)를 삽입하면서 상기 지름측정부(30)의 하단면이 상기 바닥면에 안착되도록 하여 상기 슬롯홀의 측정을 이루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슬롯홀에 상기 지름측정부(30)가 삽입된 상태에서 상기 나사(31)를 축으로 회전되는 본체(21)를 회전시켜 상기 슬롯홀의 중심으로부터 150㎜ 이격된 거리의 맞춤선(12)을 측정 및 표기한다.
여기서, 상기 150㎜ 이격된 거리의 맞춤선(12)은 상기 지름측정부(30)의 나사(31)를 축으로 회전되는 본체(21)의 일단 마킹부(40)의 선단이 상기 슬롯홀의 중심으로부터 150㎜를 이루도록 됨에 따라, 상기 본체(21)가 회전되는 범위 내의 모든 150㎜ 맞춤선(12)을 측정하도록 된다.
또, 상기 마킹홈(41)에 사용자의 필기구 등을 접해 상기 부재의 슬롯홀 중심으로부터 150㎜ 이격된 거리의 맞춤선(12)을 표기한다.
또한, 상기 마킹부(40)를 통해 슬롯홀의 중심에서 150㎜ 이격된 맞춤선(12)을 측정 및 표기함과 동시에, 상기 본체(21) 일측 마킹부(40)의 방향에 개구된 폭측정부(50)를 통해 상기 슬롯홀이 측정장치(20)가 삽입되어 작업자의 바닥면에 놓여진 주판(10) 등의 부재에 수직방향으로 접합되는 또 다른 격판(11) 등의 부재가 상기 주판(10)과 접하는 지점의 상기 격판(11)폭을 측정 및 표기한다.
상기 주판(10)에 접하도록 된 격판(11)의 폭을 상기 주판(10)에 표기하는 것은, 상기 슬롯홀에 지름측정부(30)를 삽입한 상태에서 상기 폭측정부(50)의 측정구(51) 하방향 내측, 즉 상기 본체(21)의 중심선(23) 방향에 절단된 측정구(51)의 일측 내벽면이 상기 주판(10)에 접하는 폭 2㎜ 또는 4㎜ 격판(11)의 일측선단의 위치와 동일한 가를 측정하여 상기 측정구(51)의 일측 내벽면에 접해 필기를 이루어 표기한다.
또, 상기 격판(11)의 폭이 10㎜ 또는 20㎜를 이루는 경우, 상기 측정구(51)의 타측 내벽면, 즉 상기 중심선(23)에서 10㎜ 이격되고 절단되어 형성된측정구(51)의 내벽면을 통해 상기 격판(11)의 폭이 접하는 위치의 맞춤선(12)을 측정 및 표기한다.
또한, 상기 측정구(51)의 양측단에 눈금(22)을 인쇄하여 상기 2㎜~10㎜ 또는 4㎜~20㎜ 폭을 이루는 다양한 폭의 격판(11) 모두를 측정 및 표기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또, 상기 마킹부(40)를 통해 150㎜ 맞춤선(12)을 측정 및 표기하고, 폭측정부(50)를 통해 주판(10)에 수직으로 접하는 격판(11)의 폭을 측정 및 표기함과 더불어, 상기 본체(21)의 타측부에 형성된 중심선측정부(60)를 통해 상기 주판(10)의 중심선을 측정한다.
상기 중심선의 측정은, 상기 슬롯홀 중심을 통하는 중심선(23) 또는 상기 주판(10)의 일단에 개구된 슬롯홀을 통하는 주판(10) 일측선단의 외곽선이 곧게 되어있는지를 측정하게된다.
상기 슬롯홀에 지름측정부(30)가 삽입된 상태에서 상기 지름측정부(30)의 나사(31)를 축으로 회전되는 본체(21)의 타측부에 개구된 중심선측정부(60)를 상기 주판(10)의 중심선 또는 외곽선에 이르도록 이동시킨다.
상기 중심선측정부(60)가 상기 주판(10)의 중심선 또는 외곽선의 위치에 이르도록 이동시킨 후에 상기 중심선측정부(60)의 양측에 인쇄된 본체(21)의 중심선(23) 양단이 상기 주판(10)의 중심선 또는 외곽선과 일치하도록 맞추고, 상기 본체(21)의 중심선(23)이 상기 중심선 또는 외곽선과 일치된 상태에서 상기 중심선측정부(60)의 계측구(62)를 통해 상기 주판(10)의 중심선 또는 외곽선을 관측하여 상기 중심선 또는 외곽선이 일직선으로 형성되었는지를 계측한다.
이때, 상기 주판(10)의 중심선 또는 외곽선이 비뚤어져 있다면, 상기 계측구(62)의 양측단에 체결된 세로대(61)의 눈금(22)을 통해 상기 중심선 또는 외곽선의 비뚤어진 정도를 측정함과 더불어 해당 수치를 표기한다.
따라서, 상기 측정장치(20)를 주판(10) 또는 격판(11)의 슬롯홀에 삽입하는 것으로, 상기 슬롯홀과, 150㎜ 맞춤선(12)과, 주판(10)에 수직으로 접하는 격판(11)의 두께 맞춤선(12)과, 상기 주판(10) 및 격판(11)의 중심선 또는 외곽선의 비뚤어진 정도를 모두 측정 및 표기할 수 있게 된다.
또, 상기 측정장치(20)를 통해 본 실시예에서는 주판(10)과 이 주판(10)에 수직을 이루고 체결되는 격판(11)에 대한 측정을 이룰 수 있음은 물론, 상기 주판(10) 단일체 또는 상기 주판(10)이 상호 접합되는 부분에 대한 측정 등을 이룰 수 있음은 물론이다.
본 실시예의 작용설명을 위해 상기 측정장치(20)를 통해 슬롯홀과, 150㎜ 맞춤선(12)과, 주판(10)에 수직으로 접하는 격판(11)의 두께 맞춤선(12)과, 상기 주판(10) 및 격판(11)의 중심선 또는 외곽선의 비뚤어진 정도의 측정을 순차적으로 이루는 것으로 작용의 설명을 돕기 위해 설명하였으나, 실 작업장에서는 모든 측정과 표시가 동시에 이루지도록 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통상의 선박 내부 구조물로 사용되는 주판(10)과 격판(11)의 접합부에 형성된 슬롯홀을 중심으로 측정하는 측정장치(20)를 설명하였으나, 상기 본체(21)와, 지름측정부(30)와, 폭측정부(50) 및 중심선측정부(60) 등의 크기를달리하여 또 다른 부재들의 측정을 이루도록 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은 상술한 특정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고안의 요지를 벗어남 없이 당해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형의 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그와 같은 변경은 청구범위 기재의 범위 내에 있게 된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의하면, 슬롯홀에 지름측정부를 삽입하는 것으로 슬롯홀, 중심으로부터 이격점, 중심선, 접합 부재의 폭에 대한 맞춤선을 측정 및 표기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고안의 다른 효과는, 마킹홈, 측정구, 계측구를 통해 보다 용이하게 맞춤선을 측정할 수 있음은 물론, 사용자 필기구 등을 통한 표기작업이 보다 용이하게 이루어지도록 되는 효과가 있다.
본 고안의 또 다른 효과는, 슬롯홀에 끼워진 지름측정부의 나사를 축으로 측정장치가 자유롭게 회전되면서 상기 슬롯홀을 중심으로 다양한 방향의 맞춤선을 모두 측정 및 표기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5)

  1. 일방향으로 긴 직사각형 판형상을 이루고 형성된 본체;
    상기 본체의 길이방향 중심에 형성된 중심선;
    상기 본체의 중심에 나사를 매개로 체결되면서 측정하려는 슬롯홀의 지름과 동일한 지름을 이루는 원판형상으로 형성된 지름측정부;
    상기 본체의 중심에서 일정길이를 이루고 형성된 상기 본체의 일단에 사용자의 필기구가 접하도록 다수부에서 함몰된 마킹홈;
    상기 본체의 일측부에 상기 중심선에서 일정간격을 이루는 2개 지점 사이 부분이 직사각형 형상으로 절단되어 형성된 측정구;
    상기 본체의 타측부가 직사각형 형상으로 절단되어 형성된 계측구; 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판재의 홀부근 맞춤선 측정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측정구가 상기 중심선의 상/하측에 각각 1개씩 절단되어 쌍을 이루고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판재의 홀부근 맞춤선 측정장치.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계측구의 양측에 상기 계측구의 상/하선단에 접해 체결되는 직사각형 판형상의 세로대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판재의 홀부근 맞춤선측정장치.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의 중심선과 상기 세로대의 일단 에 눈금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판재의 홀부근 맞춤선 측정장치.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마킹홈이 상기 측정구의 상/하 내측벽이 상기 중심선과 이루는 폭과 동일한 폭을 이루고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판재의 홀부근 맞춤선 측정장치.
KR20-2003-0038006U 2003-12-05 2003-12-05 판재의 홀부근 맞춤선 측정장치 KR200342927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3-0038006U KR200342927Y1 (ko) 2003-12-05 2003-12-05 판재의 홀부근 맞춤선 측정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3-0038006U KR200342927Y1 (ko) 2003-12-05 2003-12-05 판재의 홀부근 맞춤선 측정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42927Y1 true KR200342927Y1 (ko) 2004-02-19

Family

ID=4942538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3-0038006U KR200342927Y1 (ko) 2003-12-05 2003-12-05 판재의 홀부근 맞춤선 측정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42927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4018117A (zh) * 2021-11-26 2022-02-08 中信戴卡股份有限公司 一种角度检具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4018117A (zh) * 2021-11-26 2022-02-08 中信戴卡股份有限公司 一种角度检具
CN114018117B (zh) * 2021-11-26 2024-05-14 中信戴卡股份有限公司 一种角度检具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543144B1 (en) Multipurpose tool
US6467179B1 (en) Measuring and drafting tool
US6463666B1 (en) Measuring and leveling device and method of using same
US8256125B2 (en) Sliding square for tape measure
US7231720B2 (en) Inside/outside scribe
US6901672B1 (en) Caliper gauge
US2197505A (en) Center punch gauge
JPS60108701A (ja) ノギス
KR200342927Y1 (ko) 판재의 홀부근 맞춤선 측정장치
JP5148408B2 (ja) レールポンチ打設用補助器
JP2008026091A (ja) 罫書き定規
US11148216B1 (en) Table saw depth gauge
US20090188123A1 (en) Positioning Scale Device
US20220193792A1 (en) Cabinet hardware template and method of use
US20060277779A1 (en) Mounting template
US20050223578A1 (en) Spirit level configured with marking indicia for use in determining correct on-center stud locations
JP2008180684A (ja) 巻尺の測定補助器具
CN209763944U (zh) 道路交通标志牌尺寸测量器
JP2001201304A (ja) 面取り寸法測定装置及びこの装置を用いた面取り寸法測定方法
JP2001343202A (ja) テーパーゲージ
JP3554590B2 (ja) けがき定規
CN216433999U (zh) Dac曲线标定器
JP2002188901A (ja) 切断角度検出器
AU2005100994A4 (en) An improved measuring device
CN217303872U (zh) 超声法检测混凝土裂缝深度的换能器定位尺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80204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