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42924Y1 - 이동통신 단말기의 마이크로폰 접속구조 - Google Patents

이동통신 단말기의 마이크로폰 접속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42924Y1
KR200342924Y1 KR20-2003-0037831U KR20030037831U KR200342924Y1 KR 200342924 Y1 KR200342924 Y1 KR 200342924Y1 KR 20030037831 U KR20030037831 U KR 20030037831U KR 200342924 Y1 KR200342924 Y1 KR 200342924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icrophone
connector
circuit board
fastening groove
termi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3-0037831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백운철
정성국
Original Assignee
신안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신안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신안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20-2003-0037831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42924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42924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42924Y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38Transceivers, i.e. devices in which transmitter and receiver form a structural unit and in which at least one part is used for functions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Details Of Audible-Bandwidth Transducers (AREA)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Abstract

본 고안은 휴대전화등의 이동통신 단말기에 내장하는 마이크로폰을 인쇄회로기판에 접속하는 기술에 관한 것으로 이동통신 단말기의 회로기판에 마이크로폰을 부착함에 있어서, 마이크로폰을 회로기판에 직접 부착하지 않고 회로기판에 부착하는 커넥터는 회로기판에 체결홈을 미리 형성하고 체결홈 내측에 반정도 커넥터가 매립되는 상태로 부착하여 이에 끼워 결합되는 마이크로폰의 높이를 최대한으로 낮출 수 있도록 한 것이다.
보다 구체적으로 본 고안을 사용하면 회로기판에 커넥터가 결합되는 체결홈을 미리 마련하여 그 양측에는 회로기판측 접지단자를 가지며, 상기 체결홈 양옆에 커넥터측 단자를 갖는 커넥터를 끼워 넣으며, 양단자는 서로 납땜 접합하여 커넥터 내측으로 마이크로폰을 끼워넣어 마이크로폰을 회로기판과 전기적으로 접속되도록 하는 것으로, 마이크로폰을 직접 납땜 접합하지 않아 납땜 발생되는 고열에 의해 마이크로폰이 손상받는 일이 없으며, 마이크로폰의 교체가 용이하며 기판에 부착되는 마이크로폰의 높이가 낮아 얇은 두께의 인쇄회로기판을 얻을 수 있게 되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마이크로폰 접속구조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이동통신 단말기의 마이크로폰 접속구조{Microphone attachment structure of cellular phone}
본 고안은 휴대전화기, 무전기, 개인정보통신 기기등과 같은 이동통신 단말기에 내장하는 마이크로폰을 인쇄회로기판에 접속하는 기술에 관한 것으로, 특히 이동통신 단말기의 회로기판에 마이크로폰을 부착함에 있어서, 마이크로폰을 회로기판에 직접 부착하는 것이 아니라 회로기판에 미리 부착하는 커넥터로 간접적으로 부착토록 하며, 회로기판에 커넥터를 결합하는 체결홈을 갖도록 한 마이크로폰을 부착하는 구조에 관한 것이다.
종래 이동통신 단말기등에 마이크로폰을 부착하는 방법으로는 도7,8,9에서 보는 바와 같이 인쇄회로기판(51)에 마이크로폰(53)의 +,- 단자(54)를 끼워 결합하는 접속구멍(52)을 형성하고, 이에 마이크로폰(53)의 +,- 단자(54)를 끼워 넣은 후 납땜(56)하여 마이크로폰(53)의 +,-단자와 기판(51)을 전기적 및 기계적으로 접속 고정하는 것을 볼 수 있다.(도7,8,9 참조)
이와 같이 마이크로폰을 인쇄회로기판에 납땜으로 직접 부착하는 부착방식은 납땜시 발생되는 고온이 마이크로폰에 가해져서 마이크로폰의 성능저하를 발생하게 되며, 마이크로폰의 고장시 이를 교체하고자 할 경우 납땜 접합된 +,- 단자선을 재차 가열하여 녹인 후에야만 비로서 교체가 가능하는 등 용이하게 마이크로폰을 교체할 수 없으며, 교체에 있어 많은 시간과 노력이 수반되는 단점을 갖게 된다.
또한 기판상위에 마이크로폰을 부착함으로 인해 그 두께가 높아져서 이동통신 단말기의 두께가 두꺼워지는 문제점을 갖게 되는 것을 볼 수 있다.
이와 같이 마이크로폰을 직접 인쇄회로기판에 납땜 부착함에 있어서 발생되는 문제점을 해결하는 것으로는 특허등록 제10-0377924호 "일렉트렛 콘덴서 마이크로폰 및 일렉트렛 콘덴서 마이크로폰의 출력단자와 정보통신 기지에 있어서의 인쇄회로기판의 입력단자를 접속하는 방법" 을 볼 수 있다.
상기 특허에서는 마이크로폰의 단자와 인쇄회로기판의 단자를 납땜 부착이 아니라 마이크로폰의 단자와 인쇄회로기판의 단자에 전도성 양면 점착 테이프를 이용하여 각각 단자를 구성하고 자성에 의해 양단자를 접합하는 것으로 납땜 접합과 같이 열이 수반되지 않아 이로 발생되는 문제점은 해결되나, 진동에 의해 접착부의 접속력이 떨어지는 단점과 납땜 접속과 같이 견고한 접속력을 갖지 못하며 두께가 두꺼워지는 단점을 갖게 된다.
또한 실용신안등록 제20-0290964호 "마이크로폰용 커넥터"에서 보는 바와 같이 마이크로폰을 인쇄회로기판에 부착함에 있어서, 마이크로폰의 단자와 인쇄회로기판의 단자를 직접 부착하지 않고 커넥터로 간접 부착하는 마이크로폰 접속 부착 수단을 볼 수 있다.
이와 같이 마이크로폰용 커넥터는 마이크로폰의 단자와 인쇄회로기판의 단자와의 접속력을 증진시키기 위해 커넥터의 연결단자를 스프링단자 형태를 취한 것을 볼 수 있는데 이와 같은 마이크로폰용 커넥터는 마이크로폰을 인쇄회로기판에 전기적으로 안정된 접속력을 제공할 줄은 모르지만 마이크로폰이 인쇄회로기판 위로 너무 높게 돌출되는 단점을 갖게 된다.
본 고안은 휴대전화기와 같은 이동통신 단말기에 있어서 음성신호를 전기적신호로 변환하는 마이크로폰을 회로기판에 용이하게 부착할 수 있는 구조를 제공토록 하는 것으로, 인쇄회로기판에 마이크로폰을 직접 부착하는 것이 아니라 인쇄회로기판에 마이크로폰용 커넥터를 미리 납땜등에 의해 부착한 다음 마이크로폰용 커넥터에 마이크로폰을 끼워넣어 마이크로폰을 인쇄회로기판에 부착토록 하여 직접 납땜하여 부착할 때와 같이 납땜열이 마이크로폰에 가해지지 않아 이로 말미암아 발생되는 문제점을 해결토록 하며, 또한 굳은 결속력을 얻게 되며 마이크로폰의 고장시 교체를 용이하게 하는 효과를 갖도록 한 것으로, 특히 인쇄회로기판의 마이크로폰용 커넥터가 부착되는 커넥터 체결홈을 형성하고 커넥터를 끼워 넣음으로 마이크로폰의 부착 높이를 최대한으로 줄여 주어 얇은 이동통신 단말기의 생산을 가능토록 한 것이다.
도1 - 본 고안의 분해사시도.
도2 - 본 고안에 있어 회로기판에 커넥터가 부착되고 이에 마이크로폰을 결합하는 것을 보인 분해사시도.
도3 - 본 고안에 있어 회로기판에 마이크로폰을 결합한 것을 보인 사시도.
도4 - 본 고안에 있어 커넥터에 마이크로폰을 결합하는 것을 보인 부분단면도.
도5 - 본 고안에 있어 커넥터에 마이크로폰을 결합한 것을 보인 부분단면도.
도6 - 본 고안에 있어 커넥터에 마이크로폰을 결합하는 것을 보인 다른각도의 부분단면도.
도7 - 종래 회로기판에 마이크로폰을 결합하는 것을 보인 분해사시도.
도8 - 종래 회로기판에 마이크로폰을 결합한 후의 사시도.
도9 - 종래 마이크로폰을 회로기판에 마이크로폰을 끼워 결합하고 납땜 접합한 것을 보인 부분단면도.
휴대전화기등의 이동통신 단말기를 구성하는 회로기판과 이에 음성신호를 전기적 신호로 바꾸어 주는 마이크로폰을 부착 접속함에 있어서, 회로기판(11) 하방에 커넥터 체결홈(12)을 형성하며, 상기 커넥터 체결홈(12) 양 옆에 회로기판측 접지단자(13)를 가지며, 상기 커넥터 체결홈(12) 내측으로 마이크로폰(21)을 끼워 고정하는 커넥터(31)를 끼워 넣으며, 커넥터(31) 양 옆 밖으로 돌출된 커넥터측 단자(32)를 접지단자(13)에 납땜 접속토록 하는 것이다.
또한 상기 커넥터 체결홈(12)에 끼워 결합되는 커넥터(31)는 커넥터 하방의 돌출부(33)는 체결홈(12)에 맞닿아 커넥터(31)는 체결홈(12)에 대하여 회전되지 않게 끼워지도록 한 것이다.
이와 같은 구조를 갖는 본 고안을 보다 상세히 살펴봄과 동시에 그 작용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이동통신 단말기의 케이스 내측에 내장되며, 각종 전기전자 부품을 결합하는 회로기판(11)의 하방에 커넥터 체결홈(12)을 형성하고, 커넥터 체결홈(12) 양측에 회로기판측 접지단자(13) 형성하며, 상기 커넥터 체결홈(12) 내측으로 커넥터(31)를 끼워 넣은 후, 커넥터(31) 테두리 양측에 돌출되는 커넥터측 단자(32)와 회로기판측 접지단자(13)을 납땜 접합하며, 커넥터(31) 내측으로 원형의 마이크로폰(21)을 끼워넣어 마이크로폰(21)을 회로기판(11)에 접속되도록 하는 것이다.
상기 회로기판(11) 하방에 형성한 커넥터 체결홈(12)는 도면에서 볼 대 반원형상을 가지나 이는 사각형 또는 마름모 형상등 다양한 형상을 가질 수 있으며, 커넥터 체결홈(12)에 끼워지는 커넥터(31)는 그 저면에 커넥터 체결홈(12)과 일치하는 돌출부(33)를 갖도록 한 것이다.
따라서 커넥터(31)를 커넥터 체결홈(12)에 끼워 넣을 시, 커넥터(31)는 회동되거나 움직이지 않게 되며, 커넥터(31) 테두리 외측의 커넥터측 단자(32)와 회로기판측 접지단자(13)가 서로 일치하게 되며, 양 단자 위를 납땜하여 커넥터(31)를 회로기판(11)상에 부착하게 된다.
그 후 커넥터(31) 내측으로 원형의 마이크로폰(21)을 끼워 넣을 때 마이크로폰(21) 저면의 접지단자와 커넥터(31) 내측의 접지단자와 서로 접합하여 마이크로폰(21)을 회로기판(11)과 전기적으로 접속 부착하게 되는 것이다.
이와 같이 회로기판(11)에 체결홈(12)을 가지며, 이에 커넥터(31)를 끼워 결합하는 본 고안은 마이크로폰(21)이 커넥터(31) 내측으로 결합되며, 커넥터(31)는 회로기판(11) 중간에 결합됨으로 인해 마이크로폰(21)이 회로기판(11) 표면위로 돌출되는 높이를 최소로 되게 하여 이동통신 단말기의 두께 절감에 크게 도움을 주게 되며, 마이크로폰(21)이 고장시 커넥터(31)로 부터 간단히 분리하고 새 마이크로폰으로 교환하여 간단히 고장수리를 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고안은 마이크로폰(21)을 회로기판(11)에 부착함에 있어서, 커넥터(31)에 의한 간접 결합방식으로 마이크로폰(21)을 직접 납땜하여 기판에 부착하는 종래 방식에서 염려되는 납땜시 발생되는 열에 의해 마이크로폰이 손상받는 일이 없어 수명연장은 물론이거니와 깨끗한 통화음질을 제공하게 되는 것이다.
최근 개발 시판되는 휴대전화기는 얇고 가벼우며, 고기능 사양으로 발전되고 있는 것을 볼 수 있다.
이와 같이 두께가 얇은 휴대전화기를 구현함에 있어서는 소재부품의 소형 경량 및 박형형상으로 개발되고 있으며, 이를 중점으로 회로기판이 설계되고 있음을 볼 수 있다.
본 고안은 휴대전화기등의 이동통신 단말기의 인쇄회로기판에 마이크로폰을 부착함에 있어서, 마이크로폰을 커넥터에 의해 간접적으로 부착토록 하여 마이크로폰을 교체가 용이하며, 이로인해 마이크로폰 고장시 이를 간단히 수행할 수 있는 효과를 가지며, 종래와 같이 납땜에 의해 부착하는 것이 아니라 커넥터에 의해 간접부착으로 마이크로폰이 납땜열이 가해지지 않아 마이크로폰의 통화음질 향상의효과를 가지며, 회로기판에 커넥터를 접속 부착함에 있어서, 회로기판에 커넥터가 끼워 들어가는 커넥터 체결홈을 마련하며, 이에 커넥터 몸체를 반이상 끼워 넣어 기판위로 돌출되는 높이가 최소로 되며, 이로 인해 기판에 매립되는 커넥터에 끼워지는 마이크로폰은 기판위로 돌출되는 높이가 낮아져 기판의 높이를 낮출 수 있어 이동통신 단말기의 두께절감에 크게 기여하는 효과를 갖게 되며, 이로인해 이동통신 단말기 사용자는 얇고 가벼우며, 통화음질이 우수한 이동통신 단말기를 사용하게 되며, 제조시에는 마이크로폰의 부착을 용이하는 구조를 제공하는 아주 유용한 고안인 것이다.

Claims (2)

  1. 휴대전화기등의 이동통신 단말기를 구성하는 회로기판과 이에 음성신호를 전기적 신호로 바꾸어 주는 마이크로폰을 부착 접속함에 있어서, 회로기판(11) 하방에 커넥터 체결홈(12)을 형성하며, 상기 커넥터 체결홈(12) 양 옆에 회로기판측 접지단자(13)를 가지며, 상기 커넥터 체결홈(12) 내측으로 마이크로폰(21)을 끼워 고정하는 커넥터(31)를 끼워 넣으며, 커넥터(31) 양 옆 밖으로 돌출된 커넥터측 단자(32)를 접지단자(13)에 납땜 접속토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마이크로폰 접속구조.
  2. 제1항에 있어서, 커넥터 체결홈(12)에 끼워 결합되는 커넥터(31)의 하방돌출부(33)는 체결홈(12)에 맞닿아 커넥터(31)는 체결홈(12)에 대하여 회전되지 않토록 끼워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마이크로폰 접속구조.
KR20-2003-0037831U 2003-12-04 2003-12-04 이동통신 단말기의 마이크로폰 접속구조 KR200342924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3-0037831U KR200342924Y1 (ko) 2003-12-04 2003-12-04 이동통신 단말기의 마이크로폰 접속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3-0037831U KR200342924Y1 (ko) 2003-12-04 2003-12-04 이동통신 단말기의 마이크로폰 접속구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42924Y1 true KR200342924Y1 (ko) 2004-02-19

Family

ID=4942538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3-0037831U KR200342924Y1 (ko) 2003-12-04 2003-12-04 이동통신 단말기의 마이크로폰 접속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42924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673849B1 (ko) 메인보드에 실장되는 콘덴서 마이크로폰 및 이를 포함하는이동통신 단말기
US20040161975A1 (en) Power supply terminal
WO2005020385A1 (ja) 電子部品を内蔵したコネクタ
EP1699258B1 (en) Electro-acoustic transducer with holder
JP2001186595A (ja) コンデンサマイクロホン
KR200342924Y1 (ko) 이동통신 단말기의 마이크로폰 접속구조
CN201226593Y (zh) 可双面焊接的硅麦克风
US20050094842A1 (en) Speaker device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KR100644991B1 (ko) 표면실장형 일렉트렛 콘덴서 마이크로폰 및 그 제조방법
KR100676104B1 (ko) Smd용 콘덴서 마이크로폰 소켓
KR200338964Y1 (ko) 휴대전화기의 마이크로폰용 커넥터
CN111093141A (zh) 一种喇叭单元、电子设备及喇叭单元的制作方法
KR100740460B1 (ko) Smd용 콘덴서 마이크로폰 및 그 제조방법
CN213818181U (zh) 一种耐高温回流的驻极体传声器
KR100418214B1 (ko) 테이프를 이용한 박판부저의 인쇄회로기판과 프레임의접착방법
CN213186549U (zh) 一种mems麦克风的装配结构
CN218101728U (zh) 一种大电流贴片连接器
CN212413516U (zh) 一种电子元器件安装焊锡基板
KR100617192B1 (ko) 이동통신 단말기의 이어잭
CN112218219B (zh) 一种适用高温回流的驻极体传声器
KR20010104072A (ko) 폴더타입 휴대폰용 인쇄회로기판과 플렉시블 프린트서킷과의 결합장치
KR200333728Y1 (ko) 무선전화기용 안테나의 접속구조
KR200333729Y1 (ko) 무선전화기용 안테나의 접속구조
KR100466403B1 (ko) 제품과의 접속을 위한 콘덴서 마이크로폰의 구조
KR200276560Y1 (ko) 전자음향변환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