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42715Y1 - 케이블 코넥터 - Google Patents

케이블 코넥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42715Y1
KR200342715Y1 KR20-2003-0034808U KR20030034808U KR200342715Y1 KR 200342715 Y1 KR200342715 Y1 KR 200342715Y1 KR 20030034808 U KR20030034808 U KR 20030034808U KR 200342715 Y1 KR200342715 Y1 KR 200342715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se
cable
socket housing
protector
lock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3-0034808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배광호
Original Assignee
삼원액트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원액트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원액트 주식회사
Priority to KR20-2003-0034808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42715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42715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42715Y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9/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e.g. terminal strips or terminal blocks; Terminals or binding posts mounted upon a base or in a case; Bases therefor
    • H01R9/03Connectors arranged to contact a plurality of the conductors of a multiconductor cable, e.g. tapping connections

Landscapes

  • Details Of Connecting Devices For Male And Female Coupling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케이스가 케이블이 인입되는 수평부와 수평부로부터 수직되게 소켓하우징을 설치하도록 하는 록킹수단이 형성되어 케이블이 인입되는 방향과 소켓하우징이 설치된 방향이 결국 수직되도록 한 케이블 코넥터를 제공한다.
상기 목적을 위하여 본 고안에는 케이블 심선의 외피를 절개시켜 심선의 도전체와 접촉되는 절개핀이 설치된 소켓 하우징; 상기 소켓 하우징의 상기 절개핀이 삽입되는 삽입공이 형성되어 상기 절개핀이 삽입공에 삽입되어 접촉되되, 상기 케이블의 단부를 상기 소켓하우징에 개재시켜 고정시키는 프로텍터; 상기 케이블이 인입되는 수평방향에 대하여 대략 연직 하방으로 양단부에 상기 소켓 하우징, 상기 프로텍터를 결착시키는 록킹수단들이 형성되는 케이스를 포함하는 기술구성이 개시된다.

Description

케이블 코넥터{cable connector}
본 고안은 케이블이 인입되는 방향과 소켓하우징이 설치된 방향이 수직이 되도록 한 케이블 코넥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케이스가 케이블이 인입되는 수평부와 수평부로부터 수직되게 소켓하우징을 설치하도록 하는 록킹수단이 형성되어 케이블이 인입되는 방향과 소켓하우징이 설치된 방향이 결국 수직되도록 한 케이블 코넥터에 관한 것이다.
케이블 코넥터는 전기, 전자제품의 신호전송, 전원공급 등을 위하여 필수적인 부품이라고 할 수 있으며, 케이블 코넥터는 그 부피가 크며, 설치작업이 용이하지 않기 때문에 부피를 줄이기 위한 노력과 설치시 간편하도록 하는 연구개발이 이루어져 왔다.
도 1은 종래의 케이블 코넥터를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다.
도 1에 도시된 케이블 코넥터(100)는 컴퓨터 등의 전기, 전자 제품에 사용되는 통상의 것을 도시하는 것으로, 케이블(20)은 외피 내에 많은 수의 케이블 가닥이 수용되어 있어 케이스(300)의 후두부의 인입부를 통하여 인입되어 케이스 내에 고정수단들에 의하여 고정되고, 복수의 케이블 가닥의 전단부는 케이스(300)의 전단부에 설치되는 소켓 하우징(10)의 단자들에 접속된다. 소켓 하우징(10)에는 복수의 슬롯이 형성되어져 있어 타 케이블 커넥터의 접속용 핀단자가 삽입 고정됨으로써 전기신호 또는 전원들이 케이블 커넥터(100)의 케이블 가닥과 타 케이블 커넥터의 접속용 핀단자들간에 연결, 공급되게 된다. 이때, 케이스(300)는 두 개의 케이스편들이 조립되어 이루어지며, 외형상 평판형상을 갖기 때문에 타 케이블 커넥터가 컴퓨터들의 외면에 설치되고, 도시된 케이블 커넥터(100)가 타 케이블 커넥터에 접속되게 될 때, 케이블 커넥터(100)가 외부로 돌출되는 폭이 크기 때문에 컴퓨터가 벽면에 설치되는 경우등 설치공간이 협소한 경우에 케이블 커넥터(100)를 타 케이블 커넥터에 접속 및 설치하기가 어렵고, 이러한 상황은 기기내부에서도 케이블 코넥터(100)가 설치됨으로써 돌출되는 폭이 크기 때문에 공간을 많이 차지하게 되어 기기의 소형화를 어렵게 한다.
본 고안은 상기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본 고안의 목적은 케이블 인입부를 고정시키는 수평부와 수평부로부터 절곡되는 절곡부로 케이스를 형성함으로써 케이스의 설치폭을 축소시켜 케이블 코넥터의 설치공간을 줄이도록 하여 케이블 코넥터의 설치를 용이하게 하며, 기기를 소형화하기 위한 것이다.
또한,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케이블 코넥터의 구조를 개량함으로써 조립이 용이하고, 소형화할 수 있으며, 심선을 보호할 수 있는 케이블 코넥터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도 1은 종래의 케이블 코넥터를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고안의 일실시예를 도시하기 위한 분해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2의 케이스편의 배면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2에 도시된 케이스편의 측면도이다.
도 5는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의 특징은 복수의 심선들의 도전체와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단자들과 상기 단자들에 타 심선들이 전기적으로 접속되도록 인입부가 형성된 소켓하우징과 상기 심선들을 수용하며 상기 소켓하우징을 결착시키기 위한 케이스들을 포함하는 케이블 코넥터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는 상기 케이블이 인입되는 방향에 대하여 수평으로 설치되고, 상기 소켓하우징은 상기 케이스에 결착되되 상기 수평방향에 대하여 대략 수직방향으로 설치되는 것이다.
또한, 본 고안의 다른 특징은 케이블 심선의 외피를 절개시켜 심선의 도전체와 접촉되는 절개핀이 설치된 소켓 하우징; 상기 소켓 하우징의 상기 절개핀이 삽입되는 삽입공이 형성되어 상기 절개핀이 삽입공에 삽입되어 접촉되되, 상기 케이블의 단부를 상기 소켓하우징에 개재시켜 고정시키는 프로텍터; 상기 케이블이 인입되는 수평방향에 대하여 대략 연직 하방으로 양단부에 상기 소켓 하우징, 상기 프로텍터를 결착시키는 록킹수단들이 형성되는 케이스를 포함하는 것이다.
또한, 본 고안에서 상기 소켓 하우징의 양단부에는 관통 홈이 형성되며, 상기 프로텍터의 양단부에는 상기 관통홈에 삽입되되 상기 관통홈의 중심으로 상기 록킹수단의 하부에 형성된 걸림턱을 삽입시킬 수 있는 삽입홈이 형성된 삽입고리가 형성되며, 상기 삽입고리를 상기 관통홈에 삽입시킨 후 상기 록킹 수단의 걸림턱을 상기 삽입홈을 따라 밀어넣어 상기 관통홈을 형성하는 외벽 저면에 걸림턱이 걸리도록 함으로써 상기 케이스편, 상기 프로텍터, 상기 케이스를 결합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고안에서 상기 케이스는 두 개의 케이스편들로 이루어지고, 상기 케이스편들 중 하나의 케이스편의 양단에 케이스편과 절곡되게 상기 록킹수단들이 돌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고안에서 상기 케이스편들 중 하나에는 걸림턱을 갖는 관통홈들이 형성되며, 다른 하나의 케이스편에는 상기 걸림턱에 걸리는 록킹핀이 형성됨으로써 상기 케이스편들을 압착하여 결합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고안에서 상기 케이스편 중 하나에는 상기 케이블을 고정시키기 우한 고정판이 결합되고, 다른 하나의 케이스편에는 상기 고정판의 결합시 돌출된 부분이 수용 삽입되는 관통홈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고안의 또 다른 특징은 에서 케이블이 인입되어 케이블 내의 심선들이 고정 설치되는 소켓 하우징이 케이스 단부에 설치되는 케이스를 포함하는 케이블 코넥터에 있어서: 상기 소켓 하우징이 설치된 상기 케이스 단부와 상기 케이블이 인입되는 상기 케이스의 케이블 인입부가 절곡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 첨부된 도면에 따라서 본 고안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2는 본 고안의 일실시예를 도시하기 위한 분해 사시도이고, 도 3은 도 2의 케이스편의 배면 사시도이고, 도 4는 도 2에 도시된 케이스편의 측면도이다.
도시된 실시예의 케이블 코넥터(200)는 하부 케이스편(1), 단부에 절곡된 방향으로 형성된 록킹핀(210), (211)을 구비한 상부 케이스편(2), 하부, 상부 케이스편(1), (2)에 인입되어 수납되는 케이블(20), 록킹핀(210), (211)에 의하여 고정되는 프로텍터(30)와 소켓 하우징(10)으로 이루어지며, 케이블(20)은 케이블의 외피(22) 단부로부터 인출된 케이블 심선들이 넓게 분포되어 프로텍터(30)와 소켓 하우징(10) 사이에 개재된다.
소켓하우징(10)의 하면에는 케이블의 터미널이 삽입될 수 있도록 한 삽입홀들이 형성되고, 상면에는 2열로 배치된 절개핀(110)들이 설치되고, 양 측부에는 프로텍터(30)의 삽입고리(301), (302)가 삽입되는 사각형상의 관통 홈(111), (112)이 형성되며, 관통 홈(111)을 형성하는 외측벽(113)은 저면으로부터 일정 높이만큼 절개되어져 있어 관통 홈(111)이 하부에서 외측으로 개방된다.
프로텍터(30)에는 소켓하우징(10)의 절개핀(110)들이 삽입되는 삽입공들이 하면으로부터 상면쪽으로 형성되고, 양측부에는 상기 록킹홀(111)에 삽입되는 삽입고리(301), (302)가 형성된다. 삽입고리(301), (302)는 프로텍터(30)의 양측부의 저면에는 돌출턱이 형성되고, 돌출턱으로부터 각형의 고리 형상으로 이루어진다.프로텍터(30)의 외측부는 상부가 넓고, 하부가 좁되 하부의 폭이 삽입고리(301), (302)의 상부 공간과 연결되는 테이퍼 홈(303)이 형성된다.
케이스 편(2)은 판면(212)과 판면(212)의 양 측부의 테두리를 따라 절곡된 양측면들(213), (214)과, 케이블(20)의 인입부가 형성된 인입측 테두리를 따라 절곡된 인입 측면(216)과, 양측면들(213), (214)의 전단에는 하향되게 형성된 경사측면(220), (221)이 형성되고, 경사측면(220), (221)의 양단간에는 하부에 연설되는 록킹수단(210), (211)을 지지하기 위한 지지대(215)가 일정폭과 두께로 판면에 돌설된다. 이때, 소켓 하우징(10)과 프로텍터(20)를 록킹하기 위한 록킹수단(210), (211)은 지지대(215)의 양 단부 저면에 판면(212)과 수직방향으로 형성된다. 또한, 양측면들(213), (214)과 인입측면(216)들은 하부 케이스(1)와 맞춰질 수 있도록 단차지게 형성된다. 또한, 양측면들(213), (214)의 내측의 판면(212)에는 사각형의 관통홈(218)들이 형성되고, 관통홈의 측벽에는 걸림턱이 형성된다. 또한, 인입측면(216)의 중심에는 반원형상의 홈이 형성되고, 반원형상의 홈의 양측의 내측 판면에는 나사홈이 중심에 형성된 돌출부가 돌출 형성되어져 있어, 케이블(20)을 고정판(23)과 나사(24)를 이용해 결합하여 돌출부에 결합시킴으로써 케이블(20)을 케이스편(2)에 고정시킬 수 있다. 이때 고정판(23)은 중심에 융기되어 케이블(20)을 압박하는 수평으로 형성되는 수평부와 수평부 양쪽으로 경사지게 형성된 경사부와 경사부에 연설되어 나사 관통공이 형성된 결합부로 이루어지며, 수평부는 후술되는 하부 케이스(1)의 관통 홈 내로 삽입되어 상, 하 케이스를 결착시에 결착된 케이스 두께를 최소화하도록 한다. 또한, 인입측면(216)과 돌출부 사이에는 가이드홈(219)이 형성되어져 후술되는 하부 케이스편(1)의 가이드편이 삽입된다.
록킹핀(210), (211)은 상부에서 하부로 향할수록 그 폭이 좁아지는 테이퍼져 프로텍터의 테이퍼 홈(303)에 삽입되는 두부(222), 두부(222)의 하면으로부터 연설되는 직선상부(222)와 직선상부(222)로부터 연설되되 단차진 턱을 갖는 직선하부(223)로 이루어지되 직선하부의 단부에는 외측으로 걸림턱(224)이 형성된다.
또한, 상부 케이스편(2)에 결합되는 하부 케이스편(1)은 판면(120)과 판면의 케이블 인입측의 테두리에서 절곡된 인입측면(121), 양측면들(122), (123)로 이루어진다. 이때, 인입측면(121)의 중심에는 케이블(20)을 인입할 수 있는 반원형 홈이 형성되며, 인입측면(121)의 내측으로는 케이스편(2)의 가이드홈(216)에 삽입되는 가이드 편(124)들이 형성된다. 양측면들(122), (123)의 내측으로, 판면(120)으로부터 사각형의 관통홈(218)들의 걸림턱에 걸려 록킹되는 록킹 핀들(125)이 형성된다. 또한, 양측면들(112), (113)의 전단부에는 전단으로 향할수록 높이가 낮아지는 경사면이 형성되어져 있다. 또한, 하부 케이스(1)의 판면(120)에는 케이블(20)을 상부케이스(2)에 고정시 돌출되는 고정판(23)의 수평부가 삽입되도록 하는 관통홈(126)이 형성된다.
이하, 첨부된 도면에 따라서 본 고안의 조립과정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케이블 심선을 절곡시켜 단부가 소켓 하우징(10)의 절개핀(11)들에 절개될 수 있도록 위치를 선정시키고, 프로텍터(30)의 삽입고리(301), (302)를 소켓 하우징(10)의 사각형상의 관통 홈(111), (112)에 밀어넣으며, 프로텍터(30)와 소켓 하우징(10)을 압착시키면, 케이블 가닥이 절개핀(11)에 의하여 외피가 벗겨지며, 절개핀(11)은 프로텍터(30)의 삽입홈에 삽입되게 된다. 프로텍터(30)와 소켓 하우징(10)이 결합된 상태에서 프로텍터(30)의 테이퍼 홈(303)에 록킹 핀(210), (211)을 밀어넣으면, 간단히 프로텍터(30), 소켓하우징(10) 및 케이스편(2)은 일체로 결합되게 되며, 록킹핀(210), (211)의 직선하부는 프로텍터 삽입고리(301), (302)를 따라 삽입되고, 직선하부의 단부에 형성된 걸림턱(216)은 소켓 하우징(10)의 록킹홀(111)의 외측벽(113)의 저면에 걸리게 되어 결합된다. 이와 같은 상태에서 케이블(20)을 고정판(23)과 나사(24)를 이용하여 결합시킨다.
또한, 케이블(20)이 케이스편(2)에 결합된 후에는 타 케이스편(1)의 가이드편(124)을 케이스편(2)에 형성된 가이드홈(216)에 밀어넣고, 케이스편들(1), (2)에 압력을 가하면, 케이스편(2)의 사각형의 관통홈(218)의 걸림턱에 록킹핀들(115)이 걸려 록킹된다.
도 5는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다.
도 5에 도시된 실시예는 케이블(20)이 인입되는 케이스의 인입부(50)와 케이블 심선들이 고정되는 소켓 하우징, 프로텍터가 결착되는 케이스의 결착부(60)가 서로 직각되게 절곡되어 있는 것이다. 이때, 케이스의 결착부(60)에 소켓 하우징 및 프로텍터가 결착되는 방법은 종래의 방법들이 구현될 수 있다.
상기의 목적과 구성을 갖는 본 고안에 따르면, 케이블의 인입방향과 소켓 하우징의 설치방향이 수직방향으로 되어 케이블 코넥터의 설치높이가 낮아지게 된다. 따라서 컴퓨터등의 후면에 여유공간이 없는 경우에 설치공간을 적게 차지하게 되고, 기기 내부에서 설치높이가 제한되어 있는 경우라도 공간의 구애를 받지 않고 케이블 코넥터를 설치할 수 있다.

Claims (7)

  1. 복수의 심선들의 도전체와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단자들과 상기 단자들에 타 심선들이 전기적으로 접속되도록 인입부가 형성된 소켓하우징과 상기 심선들을 수용하며 상기 소켓하우징을 결착시키기 위한 케이스들을 포함하는 케이블 코넥터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는 상기 케이블이 인입되는 방향에 대하여 수평으로 설치되고, 상기 소켓하우징은 상기 케이스에 결착되되 상기 수평방향에 대하여 대략 수직방향으로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블 코넥터.
  2. 케이블 심선의 외피를 절개시켜 심선의 도전체와 접촉되는 절개핀이 설치된 소켓 하우징;
    상기 소켓 하우징의 상기 절개핀이 삽입되는 삽입공이 형성되어 상기 절개핀이 삽입공에 삽입되어 접촉되되, 상기 케이블의 단부를 상기 소켓하우징에 개재시켜 고정시키는 프로텍터;
    상기 케이블이 인입되는 수평방향에 대하여 대략 연직 하방으로 양단부에 상기 소켓 하우징, 상기 프로텍터를 결착시키는 록킹수단들이 형성되는 케이스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블 코넥터.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소켓 하우징의 양단부에는 관통 홈이 형성되며, 상기 프로텍터의 양단부에는 상기 관통홈에 삽입되되 상기 관통홈의 중심으로 상기 록킹수단의 하부에 형성된 걸림턱을 삽입시킬 수 있는 삽입홈이 형성된 삽입고리가 형성되며, 상기 삽입고리를 상기 관통홈에 삽입시킨 후 상기 록킹 수단의 걸림턱을 상기 삽입홈을 따라 밀어넣어 상기 관통홈을 형성하는 외벽 저면에 걸림턱이 걸리도록 함으로써 상기 케이스편, 상기 프로텍터, 상기 케이스를 결합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블 코넥터.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는 두 개의 케이스편들로 이루어지고, 상기 케이스편들 중 하나의 케이스편의 양단에 케이스편과 절곡되게 상기 록킹수단들이 돌출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블 코넥터.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편들 중 하나에는 걸림턱을 갖는 관통홈들이 형성되며, 다른 하나의 케이스편에는 상기 걸림턱에 걸리는 록킹핀이 형성됨으로써 상기 케이스편들을 압착하여 결합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케이블 코넥터.
  6.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편 중 하나에는 상기 케이블을 고정시키기 우한 고정판이 결합되고, 다른 하나의 케이스편에는 상기 고정판의 결합시 돌출된 부분이 수용 삽입되는 관통홈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블 코넥터.
  7. 케이블이 인입되어 케이블 내의 심선들이 고정설치되는 소켓 하우징이 케이스 단부에 설치되는 케이스를 포함하는 케이블 코넥터에 있어서:
    상기 소켓 하우징이 설치된 상기 케이스 단부와 상기 케이블이 인입되는 상기 케이스의 케이블 인입부가 절곡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블 코넥터.
KR20-2003-0034808U 2003-11-06 2003-11-06 케이블 코넥터 KR200342715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3-0034808U KR200342715Y1 (ko) 2003-11-06 2003-11-06 케이블 코넥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3-0034808U KR200342715Y1 (ko) 2003-11-06 2003-11-06 케이블 코넥터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78346A Division KR20050043441A (ko) 2003-11-06 2003-11-06 케이블 코넥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42715Y1 true KR200342715Y1 (ko) 2004-02-21

Family

ID=4942524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3-0034808U KR200342715Y1 (ko) 2003-11-06 2003-11-06 케이블 코넥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42715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50903Y1 (ko) * 2008-07-17 2010-11-10 엠비콘넥터 주식회사 케이블 보호튜브 고정구조를 갖는 커넥터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50903Y1 (ko) * 2008-07-17 2010-11-10 엠비콘넥터 주식회사 케이블 보호튜브 고정구조를 갖는 커넥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838811A (en) Modular connector with EMI countermeasure
US9490594B2 (en) Flippable electrical connector
US7540789B2 (en) Plug-and-socket connector for data transmission via electrical conductors
EP0519196B1 (en) A terminal block for printed circuit boards
US6012953A (en) Surface mountable electrical connector system
US6695641B1 (en) Cable connector assembly
US4917629A (en) Electrical connector and termination method thereto
US6280229B1 (en) Plug connector
KR20130008567A (ko) 차폐된 케이블의 단부를 부착하기 위한 접촉 수단
KR101125067B1 (ko) 동축케이블용 커넥터
KR20140022736A (ko) 모듈형 플러그
US4533193A (en) IDC termination for coaxial cable having alignment & stabilizing means
JPH0828252B2 (ja) 電気コネクタ組立体及びその製造方法
JP2001515651A (ja) 性能が向上した電気通信コネクタ
US6699074B1 (en) Cable connector assembly having improved grounding means
EP1385232B1 (en) Electrical connector assembly, plug connector and receptacle connector
US20020031937A1 (en) Cable connector
US7192299B2 (en) Spring clip connector
US6019641A (en) Electric connector
US10971849B2 (en) Connector and connector assembly
KR200342715Y1 (ko) 케이블 코넥터
US6461200B1 (en) Electrical connector assembly
US6672913B1 (en) Plug connector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US6780063B2 (en) Wire connected modular jack and assembling method
JP5289154B2 (ja) コネクタ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U107 Dual application of utility model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G701 Publication of correction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