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42238Y1 - 바른 자세 유지 의자용 좌판 - Google Patents

바른 자세 유지 의자용 좌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42238Y1
KR200342238Y1 KR20-2003-0028906U KR20030028906U KR200342238Y1 KR 200342238 Y1 KR200342238 Y1 KR 200342238Y1 KR 20030028906 U KR20030028906 U KR 20030028906U KR 200342238 Y1 KR200342238 Y1 KR 200342238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hair
seat plate
present
central portion
curv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3-0028906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홍렬
Original Assignee
이홍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홍렬 filed Critical 이홍렬
Priority to KR20-2003-0028906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42238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42238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42238Y1/ko
Priority to PCT/KR2004/002251 priority patent/WO2005023055A1/en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7/0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chairs or stools
    • A47C7/02Seat parts
    • A47C7/029Seat parts of non-adjustable shape adapted to a user contour or ergonomic seating posi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9/00Stools for specified purposes
    • A47C9/002Stools for specified purposes with exercising means or having special therapeutic or ergonomic effects

Landscapes

  • Orthopedics, Nursing, And Contraception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바른 자세를 유지할 수 있는 의자용 좌판의 구조를 제공한다.
본 고안은 둔부가 안착되는 중앙부의 바깥쪽으로부터 대퇴근의 안쪽에 접촉하도록 앞쪽을 향하여 점차 좁아지게 형성되며, 중앙부로부터 앞쪽을 향하여 만곡된 곡면으로 연결되는 돌출부가 형성되고, 상기 중앙부의 상부면으로부터 측면으로 연속되는 경사면이 만곡된 곡면으로 형성되어 의자를 구성하는 좌판의 모양이 인체의 근육과 골격에 부합되는 인체공학적인 설게에 따라 제작되어 척추와 골반부 자세를 바르게 유지시켜 주어 척추 질환이나 자세의 흐트러짐을 방지할 수 있다.

Description

바른 자세 유지 의자용 좌판 {A board to sit on}
본 고안은 의자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는 인체의 근육과 골격계를 올바르게 유지시켜서 잘못된 자제로 인한 부작용을 예방할 수 있는 바른 자세 유지 의자용 좌판에 관한 것이다.일반적으로 의자는 사용자의 둔부와 대퇴부를 받쳐주는 좌판과, 상기 좌판의 뒷쪽에 형성되어 사용자의 등 부위를 받쳐주는 등받이로 이루어지는데, 사용자의 올바른 제세를 유지시켜주기 위하여 기본이 되는 부분은 좌판이다.의자는 사용자가 자신의 신체를 완전히 의지하게 되는데, 특히 좌판은 체중이 직접 전달되고, 좌골을 받쳐주게 됨으로써 인체의 균형을 유지하는데 직접적인 영향을 주게 된다.
일반적으로 좌판이 평상으로 되는 의자는 사용자의 골반부를 장시간 동안 균형을 유지시키는데 불합리하여 쉽게 피로를 느끼게 되며, 좌골과 척추가 비틀어지거나 휘어지게 되는 문제가 발생하는 등 신체기능의 원활한 작용을 억압하여 건강을 해치고, 사무직 근로자들에게는 업무 생산성이 감소하고 학생들의 경우에는 학업 능률을 저하시키게 된다.사용자의 신체적 건강을 도모하기 위한 의자로써 좌판의 앞쪽보다 둔부가 위치하는 안쪽이 오목하게 낮아지게 되고, 앞쪽은 둥근 만곡면을 형성하여 둔부와 대퇴부를 유연하게 받쳐줄 수 있는 구조의 죄판을 구비한 의자가 사용되어 오고 있다.이렇게 만곡된 요입부를 형성하는 좌판은 사용하는 과정에서 다음과 같은 불합리한 점이 나타나게 된다.즉, 통상적으로 좌판 위에 착석하게 되면 양쪽 다리가 자연스럽게 바깥쪽으로 이동하려는 근육의 움직임이 발생하게 되는데, 도 2에서 보는 바와 같이 종래의 의자에 사용되는 좌판(100)은 평면에서의 형상이 사각형으로 형성되면서 둔부를 받쳐주기 위하여 오목하게 들어간 부위 때문에 앞쪽(101)(102) 부위에서는 오히려 대퇴부의 뒷쪽 근육을 압박하게 된다. 이러한 압박력은 처음에 착석할 때에는 대퇴부의 근육을 눌러주게 되어 순간적으로 편안함으로 느낄 수 있지만 시간이 경과할수록 대퇴근의 혈행을 방해하여 피로를 느끼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인체의 구조에서 균형과 올바른 형태를 유지시켜 주는 것은 척추로부터 이루어지며 각종 신경계가 척추선을 따라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척추나 척추로 연결된 골격계에 이상이 발생하여 기형의 형태가 형성되면 골격의 변형이 발생하고, 척추선을 따라 형성되어 있는 각종 신경계가 억압되어 각종 질환이나 형태의 변형을 초래 그 기능이 상실되거나 축소되어 활력있는 생활에 지장을 초래하게 된다.
본 고안은 척추를 바른 자세로 유지시켜주면서, 둔부와 허벅지의 근육을 보다 편안하게 하여 의자를 사용하는 과정에서 발생될 수 있는 척추 이상에 의한 불편함을 해소하여 안락하고 자세를 바르게 유지할 수 있는 의자를 제공하고자 한다.
도 1은 종래 의자의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이 적용된 의자의 사시도
도 3은 본 고안이 적용된 의자의 측면도
도 4는 본 고안 좌판의 평면도
도 5는 도 2의 A-A부 단면도도 6은 도 2의 B-B부 단면도도 7은 도 2의 C-C부 단면도도 8은 도 2의 D-D부 단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좌판 2 : 중앙부
3·3a: 뒤쪽 측면 4·4a : 앞쪽 측면
5 : 돌출부 6 : 상부면7·7a : 경사면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은 의자의 좌판을 형성함에 있어서, 둔부가 안착되는 중앙부의 바깥쪽으로부터 대퇴근의 안쪽에 접촉하도록 앞쪽을 향하여 점차 좁아지게 형성되며, 중앙부로부터 앞쪽을 향하여 만곡된 곡면으로 연결되는 돌출부가 형성되고, 상기 중앙부의 상부면으로부터 측면으로 연속되는 경사면이 만곡된 곡면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본 고안의 특징적인 구조로써 좌판의 앞부분에 형성되는 돌출부는 골반부가 의자 앞쪽으로 밀려 나오지 않고, 자연스럽게 의자 뒷부분에 위치하게 되어 의자 등받이에 척추를 자연스럽게 밀착시켜서 척추의 부담을 줄여 주게 된다.이러한 돌출부는 기존의 의자에서 골반부가 의자 앞으로의 쏠리게 되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는 수단이 없어서 바른 자세를 유지하는데 한계가 있어서 무의식 중에 자세가 흐트러지게 되었던 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
본 고안의 또 다른 특징적인 구조로써 종래 사각형 형상의 좌판에서 탈피하여 좌판의 양쪽 옆부분이 면따기가 되면서 앞쪽으로 갈수록 점차 좁아지게 형성되는 형상에 관계되는 것이다.
이러한 구조는 기존의 의자에서 의자 앞부분이 사각형상으로 형성되어 대퇴부 및 하체가 바깥족으로 움직이려는 운동을 억압하여 활동이 자유롭지 못하였던 문제점을 해소하게 되는 것이다.
따라서 본 고안이 적용되는 의자는 대퇴부를 억압하지 않게 되어 하체의 유동성 범위를 증대하게 된다.
또한 좌판의 측면은 상부면으로부터 만곡된 곡면을 형성하게 되어 상기한 하체의 유동성 증대 이외에 다음과 같은 유익성을 제공한다.
즉, 기존의 의자에 있어서는 측면이나 중앙에 있어서의 형성 곡선을 동일하게 두어 하체, 특히 허벅지 부분의 근육에 압박을 주어 하체의 자유로움을 방해하였고 척추와 허벅지, 허벅지와 종아리로 이어지는 형성각이 급하게 형성되어져 혈류의 원활한 이동을 방해 하였다.
그러나 본 고안의 좌판 구조가 적용되는 의자는 좌판의 측면부가 앞쪽으로 진행되면서 만곡된 곡면으로 좁아지게 형성되어 척추와 허벅지, 허벅지와 종아리로 이어지는 인체의 각도를 자연스럽게 하여 혈류의 이동이 원활하게 된다.
이와 같은 본 고안의 특징과 장점들은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설명되는 실시에에 의하여 명확하게 이해될 것이다.
다음에서 본 고안의 실시예를 설명한다.
도 1은 본 고안이 적용되는 의자의 일례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2는 측면도이며, 도 3은 본 고안의 좌판을 예시한 평면도이다.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바른 자세 유지용 의자의 좌판(1)은 둔부가 안착되는 중앙부(2)를 형성하는 뒤쪽 측면(3)(3a)으로부터 앞쪽 측면(4)(4a)으로 갈수록 점차 좁아지는 형상으로 형성된다.또한 상기한 좁아지는 앞쪽 측면(4)(4a)에 의하여 형성되는 선단부는 중앙부(2)보다 높은 돌출부(5)가 형성되어 있다.즉, 도 3에서 보는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좌판은 일반적인 의자의 좌판을 형성하는 임의의 사각형상(S)으로 되는 모양으로부터 전면부와 측면부의 모서리로부터 측면부는 'S1','S2'의 거리 만큼 앞쪽으로 좁아지는 부위가 형성되고, 전면부는 'F1','F2'의 거리 만큼 안쪽에 있는 위치에서 돌출부(5)가 형성된다.도 2에서 보는 바와 같이 중앙부(2)와 돌출부(5)를 연결하는 상부면(6)의 측면에서의 형상은 만곡된 곡면으로 형성되며, 돌출부(5) 또한 전체 면이 만곡된 곡면으로 형성되어 있다.상부면(6)과 앞쪽 측면(4)(4a)을 연결하는 부위는 상부로 볼록하게 되면서 만곡된 경사면(7)(7a)으로 형성된다.상기한 만곡된 곡면의 형상은 도 4 내지 도 5에 의하여 명확하게 파악될 수 있다.도 4 내지 도 7은 본 고안의 주위 부위의 단면도를 각각 보여주고 있다.도 4에서 보는 바와 같이 중앙부(4)는 평면으로 되는 단면으로 형성되어 있다.도 5에서 보는 바와 같이 중앙부(2)와 돌출부(5) 사이의 상부면(6)과 양쪽 경사면(7)(7a)은 만곡된 곡면으로 형성되어 있다.도 6에서 보는 바와 같이 돌출부(5)와 앞쪽 측면(4)(4a)이 이루는 형상은 만곡된 곡면을 형성하고 있다.도 7에서 보는 바와 같이 돌출부(5)의 선단은 돌출부(5)의 상수보다 완만한 만곡면으로 형성되어 있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고안에 의하면 기존의 의자에서 발생하는 각종 부작용으로부터 벗어나 바른 자세를 유지하여 상체와 하체의 혈류의 원활한 소통과 하체의 자유로움을 증대 하였으며 올바른 척추선을 형성. 유지시켜 주어 형태의 변형 및 각종 질환을 예방할 수 있다.

Claims (5)

  1. 의자의 좌판을 형성함에 있어서, 둔부가 안착되는 중앙부(2)의 바깥쪽에 형성되는 뒤쪽 측면(3)(3a)으로부터 대퇴근의 안쪽에 접촉하도록 앞쪽 측면(4)(4a)이 점차 좁아지게 형성되며, 중앙부(2)로부터 앞쪽을 향하여 만곡된 곡면으로 되는 상부면(6)으로 연결되는 돌출부(5)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른 자세 유지 의자용 좌판.
  2. 제 1 항에 있어서, 상부면(6)으로부터 점차 좁아지는 앞쪽 측면(4)(4a)이 만곡된 곡면의 경사면(7)(7a)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른 자세 유지 의자용 좌판.
  3. 삭제
  4. 삭제
  5. 삭제
KR20-2003-0028906U 2003-09-08 2003-09-08 바른 자세 유지 의자용 좌판 KR200342238Y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3-0028906U KR200342238Y1 (ko) 2003-09-08 2003-09-08 바른 자세 유지 의자용 좌판
PCT/KR2004/002251 WO2005023055A1 (en) 2003-09-08 2004-09-06 Chair plate for maintaining correct postur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3-0028906U KR200342238Y1 (ko) 2003-09-08 2003-09-08 바른 자세 유지 의자용 좌판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60053A Division KR20050025892A (ko) 2004-07-30 2004-07-30 바른 자세 유지 의자용 좌판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42238Y1 true KR200342238Y1 (ko) 2004-02-18

Family

ID=3427058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3-0028906U KR200342238Y1 (ko) 2003-09-08 2003-09-08 바른 자세 유지 의자용 좌판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200342238Y1 (ko)
WO (1) WO2005023055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795218B2 (en) 2013-12-04 2017-10-24 P.A.S. Corporation Cushion for chair and chair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202014104828U1 (de) * 2014-10-08 2014-10-27 Aeris Gmbh Stuhl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535495A (en) * 1983-07-25 1985-08-20 Easy Ride, Inc. Back rest cushion
KR940024045U (ko) * 1993-04-12 1994-11-16 강대근 의자용 좌판
KR19980030957U (ko) * 1996-11-30 1998-08-17 황용순 중공부가 형성된 의자용 등받이 좌판
KR19990008869U (ko) * 1997-08-13 1999-03-05 조상연 프라스틱 쿠션의자
KR19990021975U (ko) * 1999-02-08 1999-06-25 김희식 의자좌석의형태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795218B2 (en) 2013-12-04 2017-10-24 P.A.S. Corporation Cushion for chair and chai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05023055A1 (en) 2005-03-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163201B1 (ko) 기능성 의자
US6523202B2 (en) Ergonomic seating cushion
US10918213B2 (en) Ergonomic work station chair
EP2750551B1 (en) An orthopedic chair for treatment and prevention of spinal diseases
US20020175553A1 (en) Set of office chairs
KR101461336B1 (ko) 피멀리스 시트
CN211068928U (zh) 下半身运动器械
EP1232702A2 (en) A chair seat cushion
KR200342238Y1 (ko) 바른 자세 유지 의자용 좌판
KR101690054B1 (ko) 유동좌판식 요추의자
KR102023461B1 (ko) 척추형태로 변형 절곡되는 등받이를 갖는 의자
KR100940126B1 (ko) 포터블 무릎 의자
JP4800633B2 (ja) 椅子
KR20050025892A (ko) 바른 자세 유지 의자용 좌판
CN220024583U (zh) 用于座椅的骶骨支撑件及座椅
JP2022034711A (ja) シートクッション、又はシート
Motavalli et al. Measurement of seating comfort
KR200351308Y1 (ko) 척추교정용 방석
KR20060109602A (ko) 자세교정방석
PL204447B1 (pl) Siedzisko ergonomiczne
CN101088434A (zh) 一种用于腹部依托/支撑的椅靠
JP2008110096A (ja) 福祉用椅子の背もたれおよび着座部
JP3197066U (ja) 脊椎・脊髄疾患を予防するための矯正椅子
KR102597324B1 (ko) 척추교정이 가능한 등받이가 구비되는 좌대로 이루어진 의자.
KR102574254B1 (ko) 탄력적인 입체 지지구조의 요추받침구가 구비된 의자용 등받이 프레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70207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