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42214Y1 - 파레트의 다리 - Google Patents
파레트의 다리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0342214Y1 KR200342214Y1 KR20-2003-0037179U KR20030037179U KR200342214Y1 KR 200342214 Y1 KR200342214 Y1 KR 200342214Y1 KR 20030037179 U KR20030037179 U KR 20030037179U KR 200342214 Y1 KR200342214 Y1 KR 200342214Y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branch pipe
- pallet
- leg
- insertion hole
- clip
- Prior art date
Links
Classificatio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19/00—Pallets or like platforms, with or without side walls, for supporting loads to be lifted or lowered
- B65D19/0004—Rigid pallets without side walls
- B65D19/0006—Rigid pallets without side walls the load supporting surface being made of a single element
- B65D19/0008—Rigid pallets without side walls the load supporting surface being made of a single element forming a continuous plane contact surface
- B65D19/002—Rigid pallets without side walls the load supporting surface being made of a single element forming a continuous plane contact surface the base surface being made of more than one element
- B65D19/0024—Rigid pallets without side walls the load supporting surface being made of a single element forming a continuous plane contact surface the base surface being made of more than one element forming discontinuous or non-planar contact surface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519/00—Pallets or like platforms, with or without side walls, for supporting loads to be lifted or lowered
- B65D2519/00004—Details relating to pallets
- B65D2519/00009—Materials
- B65D2519/00014—Materials for the load supporting surface
- B65D2519/00029—Wood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519/00—Pallets or like platforms, with or without side walls, for supporting loads to be lifted or lowered
- B65D2519/00004—Details relating to pallets
- B65D2519/00009—Materials
- B65D2519/00049—Materials for the base surface
- B65D2519/00064—Woo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allet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물건을 쌓거나 운반할 때 사용되는 파레트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파레트 중 물건등을 안착시키는 상판을 지지하는 다리를 저가의 종이재로 형성함에 있어서, 지관 중앙부에 내측면이 서로 맞닿는 형태로 구성하고, 상기 지관 내에 클립을 삽입시켜, 견고성과 조립성을 동시에 만족하도록 구성된 파레트의 다리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한 본 고안은 상판과 지지체인 다리로 구성된 종이제로 이루어진 파레트에 있어서, 상기 다리(10)는 하나의 종이재로 양 끝단이 내측 중앙에서 서로 맞닿도록 절곡되며, 길이방향으로 다수개의 삽입공(102)이 구비된 지관(100)과, 상기 지관(100)에 형성된 다수개의 삽입공(102)에 삽입되어, 하중을 지탱하는 지지력을 더욱 보강하는 클립(200)으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본 고안은 물건을 쌓거나 운반할 때 사용되는 파레트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파레트 중 물건등을 안착시키는 상판을 지지하는 다리를 저가의 종이재로 형성함에 있어서, 지관 중앙부에 내측면이 서로 맞닿는 형태로 구성하고, 상기 지관 내에 클립을 삽입시켜, 견고성과 조립성을 동시에 만족하도록 구성된 파레트의 다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파레트(pallet)는 잡화 중 봉지 또는 상자포장으로 되어있는 것을 포개거나 쌓아서 운반할 수 있는 것을 말하며, 물건을 쌓은 파레트는 포크리프트(fork lift), 즉 지게차를 이용하여 운반하게 된다.
이러한 파레트는 물건을 놓을 수 있는 상판과 그 상판을 바닥으로부터 이격시키는 지지체인 다리로 이루어져 있다. 또한, 용도에 따라서는 상판과 다리와 그 하부로 하판이 결합되어 있는 파레트도 사용되고 있다.
또한, 파레트는 주로 목재로 사용되어 왔으나 부식문제, 중량문제, 사용 후 폐기처리 문제, 세균 등과 같은 병균 문제 등의 여러 문제점을 가지고 있다.
그리고, 파레트를 철제나 플라스틱으로 만들어 사용하는 경우에도 생산단가의 상승, 무게, 사용 후 폐기 처리 등의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파레트의 재질을 종이로 대체한 종이 파레트의 사용이 늘고 있는 추세며, 이러한 종이 파레트는 파레트의 제작단가가 목재나 플라스틱으로 된 파레트보다 파레트 자체의 가격이 싼 것은 물론이고, 중량도 훨씬 가볍기 때문에 이러한 파레트를 사용할 경우 물건의 운송비를 낮출 수 있는 장점이 있다.
한편, 목재에 비해 위생적이고, 훈증하는 과정이 필요치 않아, 국제적인 무역의 경우 반드시 종이로 된 파레트를 사용할 것을 규정하고 있는 경우도 점차 늘고 있는 실정이다.
하지만, 기존에 제공된 종이재로 구성된 파레트의 다리는 단순히 종이를 절곡시켜 형성시킨 것으로 사각기둥과 같이 길이방향 또는 원기둥과 같은 국소부위에 적용하는 세로방향등 조립성은 단순하지만, 하중을 지탱하는 지지력이 약하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한 것으로, 종이제로 이루어진 다리에 좀더 과중한 하중이 작용하여도 지탱할 수 있는 지지력을 얻을 뿐만 아니라 조립성을 향상시킨 파레트의 다리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도 1a은 본 고안에 따른 지관의 전개 사시도;
도 1b내지 도1d는 본 고안에 따른 지관 전개도에 따라 절곡되는 상태의 순서를 도시한 사시도;
도 2은 본 고안에 따른 절곡이 완료된 상태의 지관 단면도;
도 3는 본 고안에 따른 지관내에 클립이 삽입되는 과정을 도시한 사시도;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지관에 클립이 삽입된 다리의 단면도;
도 5a는 다른 실시예로써 삽입공이 내측면을 기준으로 사선방향으로 기울기를 가지면 형성됨을 도시한 평면도;
도 5b는 다른 실시예로써 삽입공이 내측면을 기준으로 X자 방향으로 교차되도록 형성됨을 도시한 평면도;
도 6은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다리의 단면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다리 100 ; 지관
101 ; 지관의 전개도 102 ; 삽입공
110 ; 하부면 112a,112b; 제1접이선
120a,120b; 외측면 122a,122b; 제2접이선
130a,130b; 상부면 132a,132b; 제3접이선
140a,140b; 내측면 200 ; 클립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에 따른 상판과 지지체인 다리로 구성된 종이제로 이루어진 파레트에 있어서, 상기 다리는 하나의 종이재로 양 끝단이 내측 중앙에서 서로 맞닿도록 절곡되며, 길이방향으로 다수개의 삽입공이 구비된 지관과, 이 지관에 형성된 다수개의 삽입공에 삽입되어, 하중을 지탱하는 지지력을 더욱 보강하는 클립으로 구성됨을 기술적 구성상의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에 따르면, 지관은 저면에 위치되는 일정폭을 가진 하부면과, 이 하부면을 기준으로 양측으로 대향되게 형성된 제1접이선을 연직 상방으로 절곡시 형성되는 외측면과, 이 외측면에서 연장되어 일정폭을 가지며, 형성된 제2접이선을 내부측으로 절곡시 형성되는 상부면과, 이 상부면에서 연장되어 일정폭을 가지며, 형성된 제3접이선을 연직 하방으로 절곡시 형성되는 내측면 및, 상기 상부면과 내측면사이에 일정 폭을 가진 다수개의 삽입공이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본 고안에 따르면, 지관의 연직하방으로 절곡된 내측면 끝단면이 하부면의 상단과 맞대응되게 면접촉되도록 구성됨이 바람직하다.
본 고안에 따르면, 지관의 삽입공은 상기 삽입공에 삽입되는 클립과 내측면이 서로 교차되게, 내측면을 기준으로 직교로 형성됨이 바림직하다.
본 고안에 따르면, 지관의 삽입공은 상기 삽입공에 삽입되는 클립이 내측면에 비스듬하게 교차되도록 내측면을 기준으로 사선형태로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본 고안에 따르면, 지관의 삽입공은 상기 삽입공에 삽입되는 클립이 내측면에 X로 교차되도록 내측면을 기준으로 X자 형태로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본 고안에 따르면, 지관의 중앙부로 맞대응되는 내측면은 V자 형상으로 이루어짐을 바람직하다.
본 고안에 따르면, 지관의 삽입공에 삽입되는 단일의 클립은 지관의 양끝단이 서로 맞닿는 부분이 걸림되도록 걸림공이 더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이하 본 고안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a 내지 도 1d는 다리 지관의 전개도 및 절곡 순서를 나타낸 사시도로써, 도 1a는 지관의 전개도로써, 지관(100)의 전개도(101)는 하나의 종이재로 이루어져 있으며, 이점쇄선으로 표시된 부분은 각각의 접이선을 도시한 것이다.
상기 지관(100)의 전개도(101)에 도시된 각각의 접이선을 따라 절곡되는 순서를 도1b 내지 도1d를 참조하고, 이해를 돕기 위해 한쪽 부분만을 절곡한 상태를 도시하였으며, 병기된 도면부호는 타 방향의 도면부호이다.
먼저, 도 1b를 참조로, 하부면(110)을 기준으로 대향되게 형성된 제1접이선(112a)(112b)을 따라 연직 상방으로 절곡하면 외측면(120a)(120b)이 형성된다.
도 1c를 참조로, 상기 외측면(120a)(120b)에서 일정폭을 가지고 형성된 제2접이선(122a)(122b)을 기준으로 내부측으로 수평하게 절곡하면 상부면(130a)(130b)이 형성된다.
도 1d를 참조로, 상기 상부면(130a)(130b)에서 일정폭을 가지고 형성된 제3접이선(132a)(132b)을 기준으로 연직 하방으로 절곡하면 내측면(140a)(140b)이 형성된다.
상기와 같이 각각의 접이선을 따라 절곡된 지관(100)은 도 2를 참조로, 중앙부에 내측면(140a)(140b)이 서로 맞닿는 상태의 사각 형상을 가진다.
상기 절곡된 지관(100)의 하부면(110)과 상부면(130a)(130b)은 서로 평행을 이룸이 바람직하며, 또한 하부면의 밑면의 길이와 각각의 상부면(130a)(130b) 길이의 합이 같거나 또는 적음이 바람직하다.
상기 절곡된 지관(100)의 내측면(140a)(140b)의 높이는 외측면(120a)(120b)의 높이와 같거나 낮게하여, 절곡시 내측면(140a)(140b)의 끝단이 하부면(110)을 벗어나지 않게되고, 바람직하게는 하부면(110)에 내측면(140a)(140b)의 끝단이 면접촉??록 맞대응되어 하중에 의한 지지력이 증가될 수 있도록 한다.
한편, 상기 지관(100)의 길이방향으로는 다수개의 삽입공(102)이 형성되고, 바람직하게는 상부면(130a)(130b)과 내측면(140a)(140b) 사이에 형성되어 있어, 클립(200)을 삽입시 상부면(130a)(130b)을 통해서 삽입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지관(100)에 형성된 삽입공(102)은 내측면(140a)(140b)과 직교 방향으로 형성된다.
또한, 상기 지관(100)의 길이방향에 형성된 삽입공(102)에 삽입되는 클립(200)은 지관(100)의 상단에 안착되는 상판에서 작용하는 하중을 분산시켜 지지력을 보강하는 보강대 역할을 수행할 뿐만 아니라 하나의 종이재로 구성된 지관(100)이 자체 탄성에 의해 해체됨을 방지하도록 서로 맞닿는 부분인 내측면(140a)(140b)을 걸어 자체 해체됨을 방지한다.
상기 클립(200)은 서로 맞닿는 내측면(140a)(140b)을 걸림할 수 있는 걸림공(202)을 형성하여 걸림력을 강화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지지체인 다리의 조립상태를 보면 다음과 같다.
도 3과 같이 지관(100)의 전개도(101)를 통해 각각의 접이선을 따라 절곡시켜, 내측면(140a)(140b)이 서로 맞닿는 사각 기둥형상에 길이방향으로 다수개의 형성된 삽입공(102)에 단일의 클립(200)들을 삽입시키면 된다.
이때, 도 4를 참조로, 삽입되는 클립(200)들은 걸림공(202)이 형성되어 있어, 상기 걸림공(202)에는 지관(100)의 서로 맞닿는 내측면(140a)(140b)이 삽입되어 걸림되며, 한편, 지관(100)의 삽입공(102)에 삽입되는 클립(200)은 지관(100)의 외주연으로 돌출되지 않도록 됨이 바람직하다.
상기와 같이 형성된 다리(10)는 필요한 길이만큼 절단하여 사용 가능하며, 길이 방향으로는 횡방향의 하중을 받게되고, 종방향의 하중은 삽입공(102)에 삽입된 클립(200)들에 의해 지지되게 된다.
그러므로, 다리(10)에 안착되는 상판에 하중이 가해지면, 상기 상판을 지지하는 다리(10)의 지관(100)의 상면이 1차 지지하게되고, 또한, 상기 지관(100)의 중앙부에 형성된 내측면(140a)(140b)의 끝단이 하부면(110)에 맞닿는 상태를 유지하게 됨으로 2차로 하중을 지지하는 지지력을 가진다.
특히, 지관(100)의 삽입공(102)에 삽입된 클립(200)들이 지관(100)에 무리한 하중이 가해졌을 경우, 지관(100)이 하중에 의해 찌그러짐을 방지함과 동시에 3차로 하중을 지지하는 지지력을 가져, 결국 적은 종이재의 재료로 과중한 하중을 지지하는 지지력을 가지는 효과가 있다.
도 5a와 도 5b는 지관(100)의 삽입공(102)에 삽입되는 클립(200)의 방향으로써, 도 5a를 참조로, 지관(100)의 삽입공(102)은 내측면(140a)(140b)을 기준으로 사선방향으로 기울기를 가지며, 형성되어 좀더 넓은 범위의 지지력을 받을 수 있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도 5b는 삽입공 위치의 또다른 실시예로써, 지관(100)의 삽입공(102)은 내측면(140a)(140b)을 기준으로 X자 방향으로 교차되도록 하여 지지력을 좀더 넓게 확산하도록 됨이 바람직하다.
도 6는 다른 실시예로써, 지관(100)의 중앙부에서 서로 맞대응되는 내측면(140a)(140b)이 V자 형태로 이뤄 재료의 단축과 함께 하중을 지지하는 지지력을 증가시키게 된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고안은 하나의 종이재를 이용하여 3중의 하중을 지지하는 지지력을 가지므로, 조립성과 견고성을 동시에 만족하며, 조립성이 우수하여 대량생산이 가능함에 따른 생산단가를 낮출 수 있다는 효과가 있다.
상기의 구성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고, 하기의 청구 범위 내에서 변형 가능한 것으로, 예컨대 지관의 단면은 사각형상으로 한정하는 것이 아니라, 가령 각각의 접이선이 일정 폭을 가지도록 진 것이 아니라, 각각의 접이선 개수에 따라 다양한 단면 형상을 가질 수 있는 것으로, 접이선의 개수가 4개일 경우 단면형상이 육각형상을 가지게 된다.
Claims (8)
- 상판과 지지체인 다리로 구성된 종이제로 이루어진 파레트에 있어서,상기 다리(10)는 하나의 종이재로 양 끝단이 내측 중앙에서 서로 맞닿도록 절곡되며, 길이방향으로 다수개의 삽입공(102)이 구비된 지관(100)과;상기 지관(100)에 형성된 다수개의 삽입공(102)에 삽입되어, 하중을 지탱하는 지지력을 더욱 보강하는 클립(200)으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파레트의 다리.
- 제 1항에 있어서,상기 지관(100)은 저면에 위치되는 일정폭을 가진 하부면(110)과,상기 하부면(110)을 기준으로 양측으로 대향되게 형성된 제1접이선(112a)(112b)을 연직 상방으로 절곡시 형성되는 외측면(120a)(120b)과,상기 외측면(120a)(120b)에서 연장되어 일정폭을 가지며, 형성된 제2접이선(122a)(122b)을 내부측으로 절곡시 형성되는 상부면(130a)(130b)과,상기 상부면(130a)(130b)에서 연장되어 일정폭을 가지며, 형성된 제3접이선(132a)(132b)을 연직 하방으로 절곡시 형성되는 내측면(140a)(140b) 및,상기 상부면(130a)(130b)과 내측면(140a)(140b)사이에 일정 폭을 가진 다수개의 삽입공(102)이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파레트의 다리.
- 제2항에 있어서,상기 지관(100)의 연직하방으로 절곡된 내측면(140a)(140b) 끝단면이 하부면(110)의 상단과 맞대응되게 면접촉되도록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파레트의 다리.
- 제 2항에 있어서,상기 지관(100)의 삽입공(102)은 상기 삽입공(102)에 삽입되는 클립(200)과 내측면(140a)(140b)이 서로 교차되게, 내측면(140a)(140b)을 기준으로 직교로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파레트의 다리.
- 제 4항에 있어서,상기 지관(100)의 삽입공(102)은 상기 삽입공(102)에 삽입되는 클립(200)이 내측면(140a)(140b)에 비스듬하게 교차되도록 내측면(140a)(140b)을 기준으로 사선형태로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파레트의 다리.
- 제 4항에 있어서,상기 지관(100)의 삽입공(102)은 상기 삽입공(102)에 삽입되는 클립(200)이 내측면(140a)(140b)에 X로 교차되도록 내측면(140a)(140b)을 기준으로 X자 형태로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파레트의 다리.
- 제 2항에 있어서,상기 지관(100)의 중앙부로 맞대응되는 내측면(140a)(140b)은 V자 형상으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파레트의 다리.
- 제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상기 지관(100)의 삽입공(102)에 삽입되는 단일의 클립(200)은 지관(100)의양끝단이 서로 맞닿는 부분이 걸림되도록 걸림공(102)이 더 포함됨을 특징으로 하는 종이제로 구성된 파레트의 다리.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2003-0037179U KR200342214Y1 (ko) | 2003-11-28 | 2003-11-28 | 파레트의 다리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2003-0037179U KR200342214Y1 (ko) | 2003-11-28 | 2003-11-28 | 파레트의 다리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342214Y1 true KR200342214Y1 (ko) | 2004-02-18 |
Family
ID=4942493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20-2003-0037179U KR200342214Y1 (ko) | 2003-11-28 | 2003-11-28 | 파레트의 다리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200342214Y1 (ko) |
-
2003
- 2003-11-28 KR KR20-2003-0037179U patent/KR200342214Y1/ko not_active IP Right Cessation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5950546A (en) | Double deck fold-up pallet | |
US5487345A (en) | Parametrically wrapped pallet member and pallet constructed thereof | |
US6041719A (en) | Material handling pallet | |
US5868080A (en) | Reinforced plastic pallets and methods of fabrication | |
PL170505B1 (en) | Pallet made of corrugated material for cargo handling and storing | |
US4841880A (en) | Skeleton four-way pallet | |
EP1819599B1 (en) | Pallet for storing and transporting goods | |
US20040134390A1 (en) | Nestable pallet | |
US20060113303A1 (en) | Article storage case | |
KR200142364Y1 (ko) | 조립식 파렛트 | |
KR200342214Y1 (ko) | 파레트의 다리 | |
US20100107936A1 (en) | Pallet for storing and transporting goods | |
JPH06329175A (ja) | 緩衝包装材組立体 | |
JP4216402B2 (ja) | 運搬用パレット | |
MXPA04006424A (es) | Unidad de soporte de tarima. | |
KR960006695Y1 (ko) | 팔레트 | |
GB2280420A (en) | Storage and transport pallet | |
KR200494647Y1 (ko) | 다단식 적재 창고용 파레트 지지대 | |
KR102218232B1 (ko) | 팔레트 장치, 이를 이용한 벽돌의 적재 및 운반방법 | |
KR200263820Y1 (ko) | 철재 파레트 | |
BE1013907A3 (nl) | Nestbaar palet. | |
JP3980879B2 (ja) | パレット | |
KR100781948B1 (ko) | 플라스틱제 팰릿 | |
KR200322754Y1 (ko) | 종이 파레트 | |
JP2561613Y2 (ja) | 紙製パレット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REGI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21214 Year of fee payment: 10 |
|
EXPY | Expiration of term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