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18232B1 - 팔레트 장치, 이를 이용한 벽돌의 적재 및 운반방법 - Google Patents

팔레트 장치, 이를 이용한 벽돌의 적재 및 운반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18232B1
KR102218232B1 KR1020190082693A KR20190082693A KR102218232B1 KR 102218232 B1 KR102218232 B1 KR 102218232B1 KR 1020190082693 A KR1020190082693 A KR 1020190082693A KR 20190082693 A KR20190082693 A KR 20190082693A KR 102218232 B1 KR102218232 B1 KR 10221823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pport
pallets
pallet
binding
brick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8269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10006721A (ko
Inventor
김승용
Original Assignee
김승용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승용 filed Critical 김승용
Priority to KR102019008269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18232B1/ko
Publication of KR2021000672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0672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1823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1823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19/00Pallets or like platforms, with or without side walls, for supporting loads to be lifted or lowered
    • B65D19/38Details or accessories
    • B65D19/44Elements or devices for locating articles on platform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19/00Pallets or like platforms, with or without side walls, for supporting loads to be lifted or lowered
    • B65D19/0004Rigid pallets without side walls
    • B65D19/0053Rigid pallets without side walls the load supporting surface being made of more than one element
    • B65D19/0055Rigid pallets without side walls the load supporting surface being made of more than one element forming a continuous plane contact surface
    • B65D19/0057Rigid pallets without side walls the load supporting surface being made of more than one element forming a continuous plane contact surface the base surface being made of a single element
    • B65D19/0059Rigid pallets without side walls the load supporting surface being made of more than one element forming a continuous plane contact surface the base surface being made of a single element forming a continuous plane contact surfac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519/00Pallets or like platforms, with or without side walls, for supporting loads to be lifted or lowered
    • B65D2519/00004Details relating to pallets
    • B65D2519/00258Overall construction
    • B65D2519/00263Overall construction of the pallet
    • B65D2519/00273Overall construction of the pallet made of more than one piec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519/00Pallets or like platforms, with or without side walls, for supporting loads to be lifted or lowered
    • B65D2519/00004Details relating to pallets
    • B65D2519/00258Overall construction
    • B65D2519/00283Overall construction of the load supporting surface
    • B65D2519/00293Overall construction of the load supporting surface made of more than one piec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519/00Pallets or like platforms, with or without side walls, for supporting loads to be lifted or lowered
    • B65D2519/00004Details relating to pallets
    • B65D2519/00258Overall construction
    • B65D2519/00283Overall construction of the load supporting surface
    • B65D2519/00308Overall construction of the load supporting surface grid type, e.g. perforated plat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519/00Pallets or like platforms, with or without side walls, for supporting loads to be lifted or lowered
    • B65D2519/00004Details relating to pallets
    • B65D2519/00547Connections
    • B65D2519/00552Structures connecting the constitutive elements of the pallet to each other, i.e. load supporting surface, base surface and/or separate spac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519/00Pallets or like platforms, with or without side walls, for supporting loads to be lifted or lowered
    • B65D2519/00004Details relating to pallets
    • B65D2519/00736Details
    • B65D2519/00776Accessories for manipulating the pallet
    • B65D2519/00796Guiding means for fork-lif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onveying And Assembling Of Building Elements In Situ (AREA)

Abstract

팔레트 장치, 이를 이용한 벽돌의 적재 및 운반방법을 개시한다.
일 실시예에 따른 팔레트 장치는 복수의 팔레트; 복수의 상기 팔레트 사이를 수평방향으로 상호 지지되도록 연결하고, 상기 팔레트로부터 분리 가능하게 마련되는 복수의 지지대;를 포함하고, 복수의 상기 지지대는, 상기 팔레트 사이를 제1방향으로 연결하는 제1지지대; 상기 팔레트 사이를 상기 제1방향과 교차하는 제2방향으로 연결하는 제2지지대;를 포함하고, 상기 제1지지대와 제2지지대는 상호 결속 가능하게 마련되되, 서로 결속된 상태에서 복수의 팔레트 사이가 수직방향으로 상호 분리되는 것을 차단하고, 서로 간의 결속이 해제된 상태에서 복수의 팔레트 사이가 수직방향으로 상호 분리되는 것을 허용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Description

팔레트 장치, 이를 이용한 벽돌의 적재 및 운반방법{pallet device, method of loading and transporting bricks using the same}
물품의 적재 및 적재된 물품의 분할 운반이 용이한 팔레트 장치, 이를 이용한 벽돌의 적재 및 운반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팔레트(pallet)란 각종 화물을 취급하는 창고, 공장, 건설현장 등에서 사용되며, 화물 운반 시 지게차와 같은 운송수단을 이용하여 대량의 화물을 신속하고 간편하게 운반함과 동시에 안전하게 적재 및 보관할 수 있도록 구성된 받침대를 말한다.
한편, 팔레트에 적재되어 운반되는 물품 중에는 벽돌과 같이 운반경로가 협소하거나 복잡하여 물품의 최종 운반지까지 물품을 팔레트에 적재시킨 상태로 운반하기 어려운 것들이 있다.
공사현장에서 사용되는 벽돌이 그렇다. 공사 현장 내에서는 운반 경로가 좁고 협소하기 때문에, 벽돌은 팔레트에 적재된 상태 그대로 최종 사용처로 운반이 어려운 경우가 많다.
이에 따라 대부분의 공사 현장에서 벽돌은 팔레트에 적재된 상태로는 최종 운반지 근처까지만 운반되고, 이 상태에서 수레나 다른 들것 등에 옮겨 실어진 상태에서 최종 사용처로 운반되고 있는 실정이다.
따라서 최근에는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물품의 적재 및 적재된 물품의 분할 운반이 용이한 팔레트 장치에 대한 개발이 이루어지고 있다.
본 출원인이 출원하여 공개된 공개실용신안공보 제20-2012-0003690호는 이러한 팔레트 장치의 일례를 개시하고 있다.
상기 공보에 개시된 팔레트 장치는 사이즈가 큰 하부 팔레트와, 하부 팔레트 상부에 탑재되는 사이즈가 적은 복수의 상부 팔레트를 구비한다. 이러한 팔레트 장치는 상부 팔레트를 물품이 적재된 상태에서 하부 팔레트로부터 분리하여 이동시킴에 따라 적재 상태의 물품을 분할하여 운반할 수 있게 된다.
그러나 이와 같은 팔레트 장치는 하부 팔레트와 상부 팔레트의 적층 구조로 인해 전체적인 장치의 높이가 높아지기 때문에, 제한된 공간 내에서 물품의 적재용량이 감소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공개실용신안공보 제20-2012-0003690호(2012.05.29)
물품의 적재용량이 감소할 우려가 없이도 물품의 적재 및 분할을 위해 수평방향으로 상호 지지되는 복수의 팔레트 사이를 용이하게 연결 및 분리할 수 있는 팔레트 장치, 이를 이용한 벽돌의 적재 및 운반방법을 제공하고자 한다.
일 실시예에 따른 팔레트 장치는 복수의 팔레트; 복수의 상기 팔레트 사이를 수평방향으로 상호 지지되도록 연결하고, 상기 팔레트로부터 분리 가능하게 마련되는 복수의 지지대;를 포함하고, 복수의 상기 지지대는, 상기 팔레트 사이를 제1방향으로 연결하는 제1지지대; 상기 팔레트 사이를 상기 제1방향과 교차하는 제2방향으로 연결하는 제2지지대;를 포함하고, 상기 제1지지대와 제2지지대는 상호 결속 가능하게 마련되되, 서로 결속된 상태에서 복수의 팔레트 사이가 수직방향으로 상호 분리되는 것을 차단하고, 서로 간의 결속이 해제된 상태에서 복수의 팔레트 사이가 수직방향으로 상호 분리되는 것을 허용하도록 마련된다.
상기 팔레트는, 상호 이격되게 배열된 복수의 상판을 구비하는 상판부; 상기 상판부를 저부에서 지지하도록 상기 상판의 배열방향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상호 이격되게 배열된 복수의 하판을 구비하는 하판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지지대는 상기 상판의 배열방향으로 인접한 복수의 팔레트의 상판부의 저부를 지지하도록 상기 하판들 사이사이로 배치되는 복수개로 마련되며, 상기 제2지지대는 상기 하판의 배열방향으로 인접한 복수의 팔레트의 하판부 상부를 지지하도록 상기 상판들 사이사이로 배치되는 복수로 마련되고, 상기 제1지지대와 제2지지대 사이의 결속을 위해 상기 제1지지대와 제2지지대 중 어느 하나가 끼워지는 체결공을 구비하여 상기 제1지지대와 제2지지대 중 다른 하나에 고정되는 체결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체결부는 상기 상판 사이 또는 상기 하판 사이에 위치하도록 상기 제1지지대의 상부 또는 상기 제2지지대의 하부에 마련될 수 있다.
상기 체결부는 상기 제1지지대에 고정되고, 상기 팔레트 사이의 경계에 인접하여 양측으로 배치되는 한 쌍의 상기 제1지지대 사이는 상기 체결부를 통해 상호 일체로 연결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팔레트 장치를 이용한 벽돌의 적재 및 운반방법은 상기 제1지지대와 제2지지대 사이가 결속된 상태에서 수평방향으로 상호 지지되도록 연결된 복수의 상기 팔레트에 벽돌을 적재하고, 벽돌이 적재된 복수의 상기 팔레트를 상호 연결된 상태에서 소정의 위치로 운반하고, 상기 소정의 위치에서 상기 제1지지대와 제2지지대 사이의 결속을 해제하고, 복수의 상기 팔레트 사이를 각각 벽돌이 적재된 상태로 분할하여 개별 사용처로 운반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 있어서 팔레트 장치는 복수의 팔레트; 복수의 상기 팔레트 사이를 수평방향으로 상호 지지되도록 연결하는 연결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팔레트는, 상면과 하면 사이의 상부에 마련되는 상부결속공; 상면과 하면 사이의 하부에 상기 상부결속공과 교차하도록 마련되는 하부결속공;을 포함하고, 상기 연결유닛은, 복수의 상기 팔레트의 상기 상부결속공에 분리 가능하도록 체결되는 상부결속바; 복수의 상기 팔레트의 상기 하부결속공에 분리 가능하도록 체결되는 하부결속바;를 포함한다.
상기 팔레트는, 둘레를 따라 마련된 복수의 포크삽입구;를 더 포함하고, 상기 상부결속공과 하부결속공은 상기 포크삽입구의 상부와 하부의 위치를 회피하여 상기 포크삽입구의 측방 또는 상기 포크삽입구 사이에 마련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의한 팔레트 장치, 이를 이용한 벽돌의 적재 및 운반방법에 따르면, 복수의 팔레트 사이를 직접적으로 연결하여 지지하는 지지대를 통해 팔레트 사이가 연결되거나 분리될 수 있게 되므로, 벽돌을 포함하는 물품의 적재용량이 감소할 우려가 없이도 물품의 적재 및 분할을 위해 수평방향으로 상호 지지되는 복수의 팔레트 사이를 용이하게 연결 및 분리할 수 있다.
도 1은 일 실시예에 따른 팔레트 장치의 사시도로, 복수의 팔레트가 서로 연결되기 전의 상태를 나타낸 것이다.
도 2는 도 1에서 복수의 팔레트가 상호 지지되도록 연결된 상태를 나타낸 것이다.
도 3은 도 2에서 제1지지대와 제2지지대의 결속구조를 강조하여 나타낸 것이다.
도 4는 도 2의 팔레트 장치에 벽돌이 적재된 상태를 나타낸 것이다.
도 5는 도 4의 상태에서 일부 팔레트가 벽돌이 적재된 상태에서 다른 팔레트들로부터 분리되고 있는 상태를 나타낸 것이다.
도 6은 일 실시예에 따른 필레트 장치의 일 변형예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7은 다른 실시예에 따른 팔레트 장치의 사시도이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을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이하에 소개되는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의 사상이 충분히 전달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예로서 제공되는 것이다. 본 발명은 이하 설명되는 실시 예들에 한정되지 않고 다른 형태로 구체화될 수도 있다.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하여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도면에서 생략하였으며 도면들에 있어서, 구성요소의 폭, 길이, 두께 등은 편의를 위하여 과장되어 표현될 수 있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서 동일한 참조번호들은 동일한 구성요소들을 나타낸다.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 실시예에 따른 팔레트 장치(1)는 벽돌과 같이 다량을 적층식으로 적재할 수 있는 물품의 적재 및 운반을 위한 것으로, 복수의 팔레트(10)와, 복수의 팔레트(10) 사이를 수평방향으로 상호 지지되도록 연결하는 복수의 지지대(20)를 구비한다.
지지대(20)는 제1지지대(21)와 제2지지대(22)를 포함한다. 제1지지대(21)와 제2지지대(22)는 각각 복수로 구성되고, 팔레트(20)에 탈착 가능하도록 마련된다.
제1지지대(21)는 팔레트(10) 사이를 제1방향으로 연결하고, 제2지지대(22)는 팔레트(10) 사이를 제1방향과 교차하는 제2방향으로 연결한다. 제1방향과 제2방향 중 어느 하는 횡방향이 되고, 나머지 다른 하나는 종방향이 될 수 있다. 따라서 제1지지대(21)와 제2지지대(22)는 상호 직교하도록 교차될 수 있다.
제1지지대(21)와 제2지지대(22)는 상호 교차된 상태에서 결속 가능하게 마련되어 서로 결속된 상태에서는 수평방향으로 연결된 복수의 팔레트(10) 사이가 수직방향으로 상호 분리되는 것을 차단하고, 서로 간의 결속이 해제된 상태에서는 복수의 팔레트(10) 사이가 수직방향으로 상호 분리되는 것을 허용하도록 마련된다.
따라서 상호 인접하게 배열된 복수의 팔레트(10)는 종횡으로 교차된 상태에서 상호 결속되는 복수의 제1지지대(21)와 제2지지대(22)를 통해 수평방향으로 서로 지지되도록 연결되어 한 몸을 이룰 수 있게 된다.
또 이 상태에서 제1지지대(21)와 제2지지대(22) 사이의 결속이 해제되도록 함에 따라 복수의 팔레트(10)는 서로 분할이 가능하게 된다.
팔레트(10)는 통상의 목재 팔레트와 같은 형태를 구비할 수 있다. 즉 팔레트(10)는 상호 이격되게 배열된 복수의 상판(11a)을 구비하는 상판부(11)와, 상판부(11)를 저부에서 지지하도록 상판(11a)의 배열방향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상호 이격되게 배열된 복수의 하판(12a)을 구비하는 하판부(12)를 포함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하판부(12)에 있어서 하판(12a)들 사이사이의 공간은 팔레트(10)의 운반과정에서 지게차의 포크(3)가 삽입되는 포크삽입구(13)를 형성할 수 있다.
상판(11a)과 하판(12a)은 목재로 마련될 수 있으나, 상판(11a)과 하판(12a)의 재질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판(11a)과 하판(12a)은 전술한 팔레트(10)의 구조를 형성하는 범위 내에서 사출물을 포함하는 다양한 다른 소재를 통해 마련될 수 있다.
제1지지대(21)는 복수개가 상판(11a)의 배열방향으로 인접한 복수의 팔레트(10)의 상판부(11)의 저부를 지지하도록 하판(12a)들 사이사이로 배치되고, 제2지지대(22)는 복수개가 하판(12a)의 배열방향으로 인접한 복수의 팔레트(10)의 하판부(12) 상부를 지지하도록 상판(11a)들 사이사이로 배치될 수 있다.
또한 팔레트 장치(1)는 제1지지대(21)와 제2지지대(22) 사이의 결속을 위해 제1지지대(21)와 제2지지대(22) 중 어느 하나가 끼워지는 체결공(31)을 구비하여 제1지지대(21)와 제2지지대(22) 중 다른 하나에 고정되는 체결부(30)를 더 구비하고, 체결부(30)는 상판(11a) 사이 또는 하판(12a) 사이에 위치하도록 제1지지대(21)의 상부 또는 제2지지대(22)의 하부에 마련될 수 있다. 도면과 같이, 체결부(30)는 제1지지대(21) 상부에 제1지지대(21)와 일체로 고정될 수 있다.
제1지지대(21) 및 제2지지대(22)와 체결부(30)는 각각 소정 길이를 갖는 중공의 파이프소재로 마련되고, 제2지지대(22)는 체결부(30) 내측의 체결공(31)에 끼워질 수 있게 마련될 수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팔레트 장치(1)는 체결부(30)가 일체로 마련된 제1지지대(21)를 먼저 지면에 배치한 상태에서 그 위에 복수의 팔레트(10)를 상호 수평방향으로 인접하게 배치할 수 있다.
이때 복수의 팔레트(10)들은 상판(11a)과 하판(12a)이 동일방향을 향한 상태에서 상호 인접하게 배치되어 전체적으로 장방형을 이루고, 제1지지대(21)는 하판(12a)들 사이사이로 위치하며, 체결부(30)는 상판(11a)들 사이사이로 위치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이 상태에서 복수의 체결부(30)에 복수의 제2지지대(22)를 체결함에 따라 제2지지대(22)들은 팔레트(10)들의 상판(11a)들 사이사이로 위치된 상태에서 제1지지대(21)들과 결속될 수 있게 된다.
또 이 상태에서 제2지지대(22)들을 체결부(30)로부터 빼내면, 제1지지대(21)들과 제2지지대(22)들 사이의 결속은 해제될 수 있다. 이때 복수의 팔레트(10)는 저부에 배치된 제1지지대(21)들을 그대로 둔 상태에서 개별적으로 상부로 들어올려질 경우, 체결부(30)가 상판(11a)들 사이로부터 이탈하면서 수평방향으로 서로 분할될 수 있게 된다.
다음은 이와 같이 구성되는 팔레트 장치(1)를 이용하여 벽돌(4)을 적재하고 운반하는 과정을 설명한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때는 먼저 제1지지대(21)와 제2지지대(22) 사이가 결속된 상태에서 수평방향으로 상호 지지되도록 연결된 복수의 팔레트(10)에 벽돌(4)을 적층시켜 적재할 수 있다.
이 상태에서 지게차의 한 쌍의 포크(3)를 제1지지대(21)가 없는 양쪽 팔레트(10)의 포크삽입구(13)에 삽입하여 팔레트 장치(1)를 들어올려서 이동시킴에 따라 벽돌(4)이 적재된 복수의 팔레트(10)는 상호 연결된 상태를 유지하면서 1차장소로 운반될 수 있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 상태의 팔레트 장치(1)는 복수의 제2지지대(22)들을 체결부(30)로부터 빼냄에 따라 제1지지대(21)들과 제2지지대(22)들 사이의 결속이 해제되면서 팔레트(10) 사이가 분할이 가능한 상태로 전환된다.
즉 이때 각 팔레트(10)는 포크삽입구(13)에 삽입되는 포크에(3) 의해 상부로 들어올려짐에 따라 체결부(30)가 상판(11a)들 사이로부터 이탈하면서 서로 수평방향으로 분할이 가능한 상태가 된다.
따라서 이 상태에서는 복수의 팔레트(10) 사이를 각각 벽돌(4)이 적재된 상태로 분할할 수 있게 되므로, 각각의 팔레트(10)는 상부에 벽돌(4)이 적재된 상태에서 지게차에 의해 벽돌(4)의 사용처와 같은 2차 장소로 개별적으로 운반될 수 있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 실시예에 따른 일 변형예서 팔레트(10) 사이의 경계에 인접하여 양측으로 배치되는 한 쌍의 제1지지대(21) 사이는 체결부(30´)를 통해 상호 일체로 연결될 수 있다.
즉 체결부(30)는 하나의 제1지지대(21)와 연결되는 제1체결부(30a)와, 복수의 제1지지대(21)와 연결되는 제2체결부(30b)를 포함하도록 구성되어 제2체결부(30b)를 통해 한 쌍의 제1지지대(21) 사이를 일체로 연결할 수 있다.
이러한 제2체결부(30b)는 제2지지대(22)를 제1지지대(21)에 결속시키는 기능은 그대로 유지하면서 팔레트(10) 사이의 경계에서 인접한 팔레트(10) 사이의 결속력을 증대시킴으로써, 일체화 되어 있는 복수의 팔레트(10) 사이가 보다 더 안정적으로 수평상태를 유지하도록 할 수 있다.
본 변형예에 따른 팔레트 장치(2)의 경우에도 벽돌(4)과 같은 물품을 적재하고 운반하는 과정에서 복수의 팔레트(10) 사이가 연결되거나 분리되는 방식은 전술한 팔레트 장치(1)에서와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으므로,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또 다른 실시예가 도시된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팔레트 장치(3)는 팔레트(40)에 결속공(41)이 마련되고, 복수의 팔레트(40)는 사이는 연결유닛(50)을 통해 수평방향으로 상호 기지되도록 연결되며, 연결유닛(50)은 팔레트(40)의 결속공(41)에 직접 체결되는 복수의 결속바(51)를 포함할 수 있다.
팔레트(40)는 수지제로 마련되는 통상의 팔레트와 같이 둘레를 따라 복수의 포크삽입구(42)를 구비하는 형태로 마련될 수 있다.
팔레트(40)에 형성되는 결속공(41)은 팔레트(40)의 상면과 하면 사이의 상부에 마련되는 상부결속공(41a)과, 팔레트(40)의 상면과 하면 사이의 하부에 상부결속공(41a)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마련되는 하부결속공(41b)을 포함할 수 있다. 상부결속공(41a)과 하부결속공(41b)은 종횡으로 교차할 수 있다.
결속공(41)은 성형이 완료된 팔레트(40)에 가공되거나, 팔레트(40)의 성형시 팔레트(40)와 일체로 성형될 수 있다.
팔레트(40)에 있어서 포크삽입구(42) 상부나 하부 쪽에는 결속공(41)을 마련할 충분한 공간이 형성되기 어려울 수 있으므로, 결속공(41)을 용이하게 가공하거나 성형하기 위해 상부결속공(41a)과 하부결속공(41b)은 포크삽입구(42)의 상부와 하부의 위치를 회피하여 포크삽입구(42)의 측방 또는 포크삽입구(42)들 사이사이에 마련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결속바(51)는 복수의 팔레트(40)의 상부결속공(41a)에 분리 가능하도록 체결되는 상부결속바(51a)와, 복수의 팔레트(40)의 하부결속공(41b)에 분리 가능하도록 체결되는 하부결속바(51b)를 포함할 수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팔레트 장치(3)를 이용하여 벽돌(4)을 적재하고 운반할 때는 먼저 상부결속바(51a)와 하부결속바(51b)를 팔레트(40)들의 상부결속공(41a)과 하부결속공(41b)에 결속시켜 수평방향으로 상호 지지되도록 연결된 복수의 팔레트(40)에 벽돌(4)을 적층시켜 적재할 수 있다.
벽돌(4)이 적재되면, 지게차의 한 쌍의 포크(3)를 양쪽 팔레트(40)의 포크삽입구(42)에 삽입하여 팔레트 장치(3)를 들어올려 이동시킴에 따라 벽돌(4)이 적재된 복수의 팔레트(40)는 상호 연결된 상태를 유지하면서 제1 장소로 운반될 수 있다.
이 상태의 팔레트 장치(3)는 복수의 상부결속바(51a)와 하부결속바(51b)를 각각 상부결속공(41a)과 하부결속공(41b)으로부터 빼냄에 따라 복수의 팔레트(40) 사이가 분할이 가능한 상태로 전환된다.
따라서 이 상태의 각 팔레트(40)들은 상부의 벽돌(4)을 지지한 상태로 지게차 등을 통해 벽돌(4)의 사용처와 같은 2차 장소로 개별적으로 운반될 수 있다.
1: 팔레트 장치 10: 팔레트
11: 상판부 11a: 상판
12: 하판부 12a: 하판
20: 지지대 21: 제1지지대
22: 제2지지대 30: 체결부
31: 체결공

Claims (6)

  1. 복수의 팔레트;
    복수의 상기 팔레트 사이를 수평방향으로 상호 지지되도록 연결하고, 상기 팔레트로부터 분리 가능하게 마련되는 복수의 지지대;를 포함하고,
    복수의 상기 지지대는,
    상기 팔레트 사이를 제1방향으로 연결하는 제1지지대;
    상기 팔레트 사이를 상기 제1방향과 교차하는 제2방향으로 연결하는 제2지지대;를 포함하고,
    상기 제1지지대와 제2지지대는 상호 결속 가능하게 마련되되, 서로 결속된 상태에서 복수의 팔레트 사이가 수직방향으로 상호 분리되는 것을 차단하고, 서로 간의 결속이 해제된 상태에서 복수의 팔레트 사이가 수직방향으로 상호 분리되는 것을 허용하는 팔레트 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팔레트는,
    상호 이격되게 배열된 복수의 상판을 구비하는 상판부;
    상기 상판부를 저부에서 지지하도록 상기 상판의 배열방향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상호 이격되게 배열된 복수의 하판을 구비하는 하판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지지대는 상기 상판의 배열방향으로 인접한 복수의 팔레트의 상판부의 저부를 지지하도록 상기 하판들 사이사이로 배치되는 복수개로 마련되며,
    상기 제2지지대는 상기 하판의 배열방향으로 인접한 복수의 팔레트의 하판부 상부를 지지하도록 상기 상판들 사이사이로 배치되는 복수로 마련되고,
    상기 제1지지대와 제2지지대 사이의 결속을 위해 상기 제1지지대와 제2지지대 중 어느 하나가 끼워지는 체결공을 구비하여 상기 제1지지대와 제2지지대 중 다른 하나에 고정되는 체결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체결부는 상기 상판 사이 또는 상기 하판 사이에 위치하도록 상기 제1지지대의 상부 또는 상기 제2지지대의 하부에 마련되는 팔레트 장치.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체결부는 상기 제1지지대에 고정되고,
    상기 팔레트 사이의 경계에 인접하여 양측으로 배치되는 한 쌍의 상기 제1지지대 사이는 상기 체결부를 통해 상호 일체로 연결되는 팔레트 장치.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팔레트 장치를 이용한 벽돌의 적재 및 운반방법에 있어서,
    상기 제1지지대와 제2지지대 사이가 결속된 상태에서 수평방향으로 상호 지지되도록 연결된 복수의 상기 팔레트에 벽돌을 적재하고,
    벽돌이 적재된 복수의 상기 팔레트를 상호 연결된 상태에서 소정의 위치로 운반하고,
    상기 소정의 위치에서 상기 제1지지대와 제2지지대 사이의 결속을 해제하고, 복수의 상기 팔레트 사이를 각각 벽돌이 적재된 상태로 분할하여 개별 사용처로 운반하는 벽돌의 적재 및 운반방법.
  5. 삭제
  6. 삭제
KR1020190082693A 2019-07-09 2019-07-09 팔레트 장치, 이를 이용한 벽돌의 적재 및 운반방법 KR10221823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82693A KR102218232B1 (ko) 2019-07-09 2019-07-09 팔레트 장치, 이를 이용한 벽돌의 적재 및 운반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82693A KR102218232B1 (ko) 2019-07-09 2019-07-09 팔레트 장치, 이를 이용한 벽돌의 적재 및 운반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06721A KR20210006721A (ko) 2021-01-19
KR102218232B1 true KR102218232B1 (ko) 2021-02-22

Family

ID=7423733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82693A KR102218232B1 (ko) 2019-07-09 2019-07-09 팔레트 장치, 이를 이용한 벽돌의 적재 및 운반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18232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229634A (ja) * 1999-02-09 2000-08-22 Sonjin Rin 着脱自在な支持脚を備えた貨物保持パレット
JP3204887B2 (ja) * 1995-11-02 2001-09-04 矢崎総業株式会社 電気接続用コネクタの雌端子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30004160A (ko) * 1991-08-21 1993-03-22 장홍규 보강대를 설치한 파렛트
KR20120003690U (ko) 2010-11-18 2012-05-29 김승용 팔레트 조립체
JP3204887U (ja) * 2016-04-10 2016-06-23 貝里斯商上品開發有限公司 パレット構造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204887B2 (ja) * 1995-11-02 2001-09-04 矢崎総業株式会社 電気接続用コネクタの雌端子
JP2000229634A (ja) * 1999-02-09 2000-08-22 Sonjin Rin 着脱自在な支持脚を備えた貨物保持パレット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06721A (ko) 2021-01-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221580B2 (en) Multiple pallet assembly
US9340322B2 (en) Transport pallet
US7690315B2 (en) Nestable pallet
US10926918B2 (en) Reinforced plastic pallet
JP3204887U (ja) パレット構造
EP0945356A1 (en) Synthetic resin pallet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for
US6997113B1 (en) Pallet
US10099814B2 (en) Pallet
JP2020500788A (ja) パレット棚システムおよび物品をパレット棚システムに保管する方法
US9422085B2 (en) Movable modular system for stacking freight
US10538360B2 (en) Nestable pallet with runners
CA2947988A1 (en) Pallet assembly
JP4539215B2 (ja) 合成樹脂製パレット
KR102218232B1 (ko) 팔레트 장치, 이를 이용한 벽돌의 적재 및 운반방법
EP3634870A1 (en) Quad foot nestable block pallet
KR200476627Y1 (ko) 2-방향 파레트
CN210162438U (zh) 一种便于拆装摆放的管路托盘
KR200476631Y1 (ko) 4-방향 파레트
JP3219511U (ja) パレット用支持棚
JP3226744U (ja) パレット段積み用キットおよび段積み用アタッチメント
CN212074742U (zh) 组合式木托盘
JP2021091465A (ja) パレット
RU6772U1 (ru) Поддон
JP3886034B2 (ja) プラスチック製パレット
KR200476629Y1 (ko) 2-방향 파레트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