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41666Y1 - 표면처리장치 - Google Patents

표면처리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41666Y1
KR200341666Y1 KR20-2003-0035554U KR20030035554U KR200341666Y1 KR 200341666 Y1 KR200341666 Y1 KR 200341666Y1 KR 20030035554 U KR20030035554 U KR 20030035554U KR 200341666 Y1 KR200341666 Y1 KR 200341666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rface treatment
jig
treatment tank
guide rail
convey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3-0035554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용순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티케이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티케이씨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티케이씨
Priority to KR20-2003-0035554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41666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41666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41666Y1/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25ELECTROLYTIC OR ELECTROPHORETIC PROCESSES; APPARATUS THEREFOR
    • C25DPROCESSES FOR THE ELECTROLYTIC OR ELECTROPHORETIC PRODUCTION OF COATINGS; ELECTROFORMING; APPARATUS THEREFOR
    • C25D17/00Constructional parts, or assemblies thereof, of cells for electrolytic coating
    • C25D17/16Apparatus for electrolytic coating of small objects in bulk
    • C25D17/28Apparatus for electrolytic coating of small objects in bulk with means for moving the objects individually through the apparatus during treatment
    • CCHEMISTRY; METALLURGY
    • C25ELECTROLYTIC OR ELECTROPHORETIC PROCESSES; APPARATUS THEREFOR
    • C25DPROCESSES FOR THE ELECTROLYTIC OR ELECTROPHORETIC PRODUCTION OF COATINGS; ELECTROFORMING; APPARATUS THEREFOR
    • C25D17/00Constructional parts, or assemblies thereof, of cells for electrolytic coating
    • C25D17/06Suspending or supporting devices for articles to be coated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Metallurgy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Electroplating Methods And Accessori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도금하는 워크(work)를 반송 가능한 반송수단 또는 지그로 유지되는 이 워크를 표면 처리조 내외로 반입, 반출하는 승강수단을 갖춘 표면처리장치에 관한 것으로, 반송방향에 연속 설치되는 가이드레일(guide rail, 37)에 지지 받는 지그(20)를 이용하고 이 지그(20)에 의해 유지되는 워크(W)를 반송 가능한 반송수단(30)으로, 표면 처리조(10)내에서 워크(W)를 연속 반송하면서 도금 표면처리를 가할 수 있는 표면처리장치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레일(37) 및 반송수단(30)을 표면 처리조(10)의 상부 개구부(10U)의 외측에 설치함과 더불어, 지그(20)를 기단부(21K)로 가이드레일(37)에 지지 가능하면서 선단부(23S)에서 워크(W)를 표면 처리조(10)의 반송방향에 직교하는 방향의 중심에 위치 결정되도록 유지 가능하게 형성되어 있다.

Description

표면처리장치{Plating surface treatment apparatus}
본 고안은 가이드레일에 지지 받는 지그로 유지되는 도금체인 워크(work)를 반송 가능한 반송수단 또는 지그로 유지되어 표면 처리조 내외에 반입·반출 가능한 승강수단을 가지는 표면처리장치에 관한 것이다.
도 5에 도시된 종래 도금 표면처리장치는 반송방향(도 5로 지면에 수직 방향)에 연속 설치되는 가이드레일(37P), 이 가이드레일(37P)에 지지 받는 지그(20P)를 이용하고 해당 지그(20P)에 의해 유지되는 워크(W)를 반송 가능한 반송수단(30P)으로 가지고 표면 처리조(10) 내의 표면 처리액(Q)에서 이 워크(W)를 연속 반송하면서 도금 표면처리를 수행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지그(20P)는 가이드레일(37P)에 습동 가능하게 지지 받는 이동체(32P)에 연결되어 있으며, 표면 처리조(10)가 전해 처리조(예를 들면, 도금 처리조)인 경우에 외부 전원으로부터 가이드레일(37P), 이동체(32P) 및, 지그(20P)를 통하여 워크(W)에 전기를 공급할 수 있는 것이다.
일반적으로 본 고안에 따른 표면처리장치는 설비 레이아웃(layout)적 설계 사상은 표면 처리조 무리가 워크(W)의 반송방향에 따라 열 배치하고 또한 좌우 방향은 반송 궤적을 중심으로 도 5의 좌우방향에 대칭으로 하는 것이다.
즉 반송수단(30P)을 형성하는 가이드레일(37P)은 각 표면 처리조(10)의 좌우방향 중심에 설치되며, 또 표면 처리조(10)의 전해 처리조(예를 들어 도금 처리조)의 경우에는 외부 전원에 접속된 가이드레일(37P)에 왕복 이동하는 이동체(32P)의 집전자(도면생략)를 포함하는 전원 공급부(50)로부터 지그(20)를 매개로 전기가 공급된다.
종래 전해 처리조(예를 들면, 도금 처리조)를 포함하는 표면 처리조(10)에서는 전해 처리조로의 급전을 필수로 하는 것으로부터, 전해 처리조 내의 양측에 설치되는 전극[양극(anode)]과 워크[캐소드(cathode)]와의 거리를 동일하게 하기 위해 전해 처리조의 반송 방향에서 상류 측에 설치되는 전처리조 무리 및 그 하류 측에 설치되는 후처리조 무리에 있어서도, 좌우방향 중심으로 하고 반송수단(30P)과 가이드레일(37P)이 설치되어 있다.
특히, 가이드레일(37P)을 전기공급 레일로 이용한 전기공급 수단(50P)의 경우에는 이 가이드레일(37P)을 반송수단(30P)만으로 이용하는 경우에 비교하면, 가이드레일(37P)과 이동체(32P)측의 집전자(도시 생략)와의 접촉 압력을 크게 할 필요가 있다.
이렇게 어느 표면 처리조(10)에 있어서도, 습동하는 가이드레일(37P)과 이동체[32P(지그(20)P)]의 마찰에 의하여 구성 부품으로부터 진애가 발생하는 동시에 그 진애의 대부분이 표면 처리조(10)의 외부 개구부(10U)로부터 해당 표면 처리액(Q)에 혼입된다.
이러한 진애의 발생은 표면처리 대상제품에 따라서 허용되는 경우와 허용되지 않은 경우가 있는바, 예를 들어 장식품과 같은 것은 허용되어도, 전자부품(예를들면, 프린트 배선 기판)의 경우는 허용되지 않는데, 환언하면 전자부품의 클리닝 룸(cleaning room)에서의 환경(공기 청정)이 상당히 요구되기 때문에 표면처리의 경우에는 이를 고려하여야만 한다.
즉, 종래 장치에서는 구성부품으로부터 생기는 동시에 표면 처리액(Q)에 혼입되는 진애가 제품의 질을 떨어뜨리는 원인이 되고 있었다. 따라서 진애가 없는 고품질의 표면처리 제품이 강하게 요구되는바, 예를 들면, 프린트 배선 기판의 선폭이나 핀(Pin)간 거리의 한 단의 협소화에는 꼭 해결하지 않으면 안돼는 과제로 대두되어 왔다.
이 과제는 상기한 반송수단(30P)과 동시에, 또는 반송수단(30P)이란 독립한 승강수단(40P)을 가지는 표면처리장치의 경우도 마찬가지이다. 여기서 승강 수단(40P)이란, 예를 들면, 가이드레일(37P) 상당의 승강 레일(43P)에 지지 받는 지그(20P)를 이용하고 지그(20P)에 의해 유지되는 워크(W)를 표면 처리조(10) 내외에 반입·반출이 가능하게 작용하는 것이며, 또한 승강수단(40P)이 설치되는 동시에 반송수단(30P)이 설치되지 않은 표면처리장치의 공통 과제로 제기되어 왔다.
본 고안의 목적은 구성 부품으로부터 생기는 진애가 표면 처리조 내의 표면 처리액에 혼입되어 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도금 표면처리장치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본 고안은 반송방향에 연속 설치되는 가이드레일, 이 가이드레일에 지지 받는 지그를 이용하고 이 지그에 의해 유지되는 워크(W)를 반송 가능한 반송수단으로, 표면 처리조 내에서 워크를 연속 반송하면서 도금 표면처리를 가하는 표면처리장치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레일 및 반송 수단을 상기 표면 처리조의 상부 개구부의 외측에 설치함과 더불어, 상기 지그를 기단부에서 상기 가이드레일에 지지 가능하면서 선단부에서 상기 워크를 상기 표면 처리조의 반송방향에 직교하는 방향의 중심에 위치 결정되도록 유지 가능하게 형성되는 표면처리장치이다.
도 1은 본 고안의 실시예 형태에 따른 정면도,
도 2는 본 고안의 측면도,
도 3은 본 고안의 전환기구를 설명하기 위한 정면도,
도 4는 본 고안의 반송수단을 설명하기 위한 측면도,
도 5는 종래 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표면 처리조, 10U : 상부 개구부,
20 : 지그, 21 : 수평부,
21K : 기단부, 23 : 수직부,
23S : 선단부, 30 : 반송수단,
31 : 나사식 왕복 이동기구, 32 : 안티백(anti back) 발톱,
37 : 가이드레일(guide rail), 40 : 승강수단,
41 : 승강레일, 50 : 전기공급,
60 : 분진회수 폐기수단, 61 : 챔버(chamber),
90 : 전환기구, 90V : 상하방향 규제차륜,
92G : 이탈 방지차륜, 92H : 수평방향 규제차륜.
이하, 본 고안의 실시 형태에 관해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본 고안은 도 1~도 4에 나타낸 것처럼, 가이드레일(37) 및 반송수단(39)을 표면 처리조(10)의 상부 개구부(10U)의 외측에 설치함과 더불어, 지그(20)를 기단부(21K, 21V)로 가이드레일(37)에 지지 가능하면서 선단부(32S)로 워크(W)를 표면 처리조(10)의 반송(X)방향이라고 직교하는 방향의 중심에 위치 결정되도록 유지 가능하게 형성되어 있다.
본 고안의 표면처리장치의 기본적 구성, 기능은 반송(X)방향에 연속 설치되는 가이드레일(37)에 지지 받는 지그(20)를 이용하고 해당 지그(20)에 의해 유지되는 워크(W)를 반송 가능한 반송수단(30)을 가지고 표면 처리조(10)내에서 이 워크(W)를 연속 반송하면서 표면 처리를 가할 수 있다.
도 1~도 3에 있어서, 상기 표면 처리조(10)는, 워크(W)의 X방향에 펴지는 반송 궤적(도 1의 지면에 수직방향)을 중심으로 좌우방향이 대칭이 되도록 설치하고 있다. 따라서 표면 처리조(10)가 이 실시 형태처럼 전해 처리조인 경우에는 조내 좌우 양측의 전극(양극)과 워크(캐소드)와의 극사이 거리를 정확히 유지할 수 있다.
반송수단(30)은 도 1에 나타내듯이 표면 처리조(10)의 상부 개구부(10U)의 외측(도면으로 우측)에 설치되어 있으며, 상기 반송수단(30) 및 관련 기기로부터 발생되는 분진 등을 포함하는 진애가 표면 처리액(Q) 내에 혼입(침입)하는 것을 방지한다.
이 반송수단(30)은 도 4에 나타내는 X방향에 연속 설치되는 가이드레일(37)과, 이 가이드레일(37)에 따라 일정 스트로크(stroke)만 왕복이동 가능한 왕복 이동부재(32)와, 이 왕복 이동부재(32)에 일정 피치(pitch)로 장착되는 복수의 안티백(anti back) 발톱(33)과, 왕복 이동부재(32)에 이동력을 부여하는 나사식 왕복 이동기구(31)를 포함하고, 복수의 지그(20)를 일정 피치만 격리시킨 상태로 X방향에 간헐 반송할 수 있다.
상기 안티백 발톱(33)은 왕복 이동부재(32)의 X방향에의 이동중, 즉 왕동시에는 계합하는 지그(20)에 동력을 더하고 이 지그(20) X방향으로 동요할 수 있지만, 복동시에는 지그(20)에 복동력을 부여하지 않고 무저항으로서 통과한다. 즉 1 방향 전송 택트(tact) 반송 기구로 형성되어 있다.
각 지그(20)는 반송수단(30)을 표면 처리조(10, 이 실시 형태에서는 전해 처리조, 도금 처리조)의 옆 바깥쪽에 설치하면서 이 표면 처리조(10) 자체를 종래 예의 경우와 비교하고 크게 변경하지 않아도 되어 있으며, 도 1, 도 2에 그 구조가 도시되어 있다.
도 1에 있어서, 지그(20)는 수평부(21)와 수직부(23)를 L자 형상에 연결한 구조로, 기단부(21K)로 가이드레일(37)에 상대 이동 가능하게 지지시키고,선단부(23S)로 워크(W)를 유지할 수 있다.
상기 기단부(21K)는 기립하는 계지부(21V)를 이용하고 간접적으로 가이드레일(37)에 지지 받고, 선단부(23S)는 도 2에 나타내는 행거(29)를 이용하여 워크(W)를 보유 지지한다.
즉, 각 지그(20)는 전환기구(90)를 이용하고 가이드레일(37)에 지지 받는다. 지그(20)와 가이드레일(37)의 직접 접촉 및 습동에 의한 마찰저항 경감에 근거하고 진애 발생량을 최대로 감소화 시키는 것이다.
상기 전환기구(90) 해당 기구의 틀을 겸하는 지그(20)의 일부인 계지부(21V)에 회전 자유롭게 장착되는 복수의 차륜(92)을 포함하고, 가이드레일(37)에 각 지그(20)를 이 전환기구에 연결시키는 역할을 가진다.
상기 차륜(92)은 지그(20)의 계지부(21V)에 장착되고 도 2에 나타내는 복수의 상하방향 규제차륜(92V)과, 도 3에 나타내는 수평방향 규제차륜(92H)및, 이탈방지 차륜(92G)으로부터 형성되어 있다.
각 상하방향 규제차륜(92V)은, 가이드레일(37)의 도 2에 나타내는 윗면(37U)에 계합되고 지그(20)의 상하방향의 위치를 규제한다. 또 수평방향 규제차륜(91H)은, 가이드레일(37)의 도 3에 나타내는 측면(37S)에 계합되고 지그(20)의 수평방향의 위치를 규제한다.
그리고 이탈방지 차륜(92G)은, 가이드레일(37)의 측면(37S)의 높이 방향 중간에 돌출된 이탈 방지레일(37G)에 수평방향의 양측으로부터 끼워 넣도록 계합되어 있다.
따라서 각 상하방향 규제차륜(92V) 및 수평방향 규제차륜(92H)의 협동으로 지그(20)가 가이드레일(37)로부터 벗어나는 걱정이 없다.
캐소드인 워크(W)에는 도 1에 나타나듯이 해당 지그[20(21, 23)]를 이용하고 전기 공급수단(50)으로부터 마이너스(minus)전원이 공급된다. 양극인 표면 처리조(10)내 양측의 전극은 도시 생략하고 있다.
상기 전기 공급수단(50)은 도 1에 나타내는 표면 처리조(10) 상부에서 외부측에 설치되는 X방향에 늘어나는 전기 공급레일(51)과 외부 전원장치(도시 생략)와 전기 공급레일(51)을 접속하는 전기 공급바(52)와, 계지부(21V)에 스프링식 접촉압 조정수단(56)을 이용하여 장착되는 집전자(55) 및 리드선(59)으로 이루어져 있다.
상기 전기 공급수단(50)도 표면 처리조(10)의 외측에 설치되어 있기 때문에 각 집전자(55)와 전기 공급레일(51)의 습동(직접 접촉)에 의하여 분진 진애가 발생하여도 표면 처리조(10)내에는 침입하지 않는다.
그러나, 상기 전기 공급부(51, 55)를 내포하는 챔버(61)와 하향의 배기관(62)을 포함하고, 발생한 분진을 예를 들면 하방의 피트(pit)내에 회수하면서 외부에 배출·폐기하는 분진회수 폐기수단(60)을 설치하고 있으며, 또한 배기관(62)에 배기덕트를 접속하고 필터를 설치하는 것도 바람직하다.
상기 제 1의 실시 형태에서는 반송(X)방향에 연속 설치되는 가이드레일(37) 및 가이드레일(39)에 지지 받는 지그(20)를 이용하고 해당 지그(20)에 의해 유지되는 워크(W)를 반송 가능한 반송수단(30)이 표면 처리조(10)의 상부 개구부(10U)의 외측에 설치되어 있기 때문에, 반송에 수반하는 가이드레일(37), 지그(20) 및 반송수단(30)의 구성 부품으로부터 생기는 진애가 표면 처리조(10)내의 표면 처리액(Q)에 혼입되는 것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더욱이 상기 지그(20)의 기단부(21K)가 가이드레일(37)에 지지 받는 동시에 지그(20)의 선단부(23S)로 워크(W)를 표면 처리조(10)의 X방향이라고 직교하는 방향(폭 방향)의 중심에 위치결정 유지할 수 있어서 표면 처리조(10)내의 레이아웃을 변경할 필요가 없고, 특별히 표면 처리조(10)안 좌우 양측의 전극(양극)과 캐소드(워크(W))와의 극사이 거리를 정확히 유지시킬 수 있다.
그러나, 이 제 1의 실시에 의하면, 표면 처리조(10)는 종래 장치와 비교하면 큰 구조 변경없이 표면 처래액(Q)을 청정에 유지할 수 있기 때문에 도금체인 워크의 고품질의 표면 처리를 행할 수 있다.
게다가, 반송수단(30)이 표면 처리조(10)의 상부 개구부(10U)의 외측에 설치되는 위에, 지그(20, 기단부 21K…21V)가 가이드레일(37)에 전환기구(90)를 이용하여 이행 가능하게 지지 받고, 또한 구성 부품간의 마찰 증대에 근거하는 진애의 발생량을 최대한으로 감소화할 수 있기 때문에, 제품을 고품질 처리할 수 있다.
상기 반송수단(30)에 관한 것에 대해 승강수단의 구성 부품으로부터 생기는 진애가 표면 처리조(10)내의 표면 처리액(Q)에 혼입되는 것을 미연 방지 가능하게 형성된 것이다.
즉, 승강레일에 지지 받는 지그(20)를 이용하고 해당 지그(20)에 의해 유지되는 워크(W)를 표면 처리조(10) 내외 즉 상하방향에 반입·반출 가능한 승강수단을 가지고, 이 워크(W)를 표면 처리조(10)내에 반입한 상태로 표면 처리를 가하는표면 처리장치에 있어서, 승강레일(4) 및 승강수단(40)을 표면 처리조(10)의 상부 개구부(10U)의 외측에 설치하는 것과 동시에, 지그(20)를 기단부(21K)로 승강레일에 지지 가능하면서 선단부(23S)로 워크(W)를 표면 처리조(10)의 폭 방향의 중심에 위치 결정되도록 유지 가능하게 형성되어 있다.
또한 승강레일(41) 및 승강수단(40)이 표면 처리조(10)의 상부 개구부(10U)의 외측에 설치되어 있기 때문에, 반송에 수반하는 승강레일(43) 및 승강수단(40)의 구성 부품으로부터 생기는 진애가 표면 처리조(10)내의 표면 처리액(Q)에 혼입되는 것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더욱이, 지그(20)의 기단부(21K)가 승강레일(43)에 지지 받는 동시에 선단부(23S)로 워크(W)를 표면 처리조(10) 폭 방향의 중심에 위치 결정되도록 유지할 수 있기 때문에, 표면 처리조(10)내의 레이아웃이 종래 구조와 비교하여도 큰 구조 변경없이 설치가 용이하다.
그러나, 상기 종래 예의 경우에 비교하여도 표면 처리조(10)에 큰 구조 변경없이 표면 처리액(Q)을 청정에 유지할 수 있기 때문에 해당 표면처리를 고품질으로 행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본 고안에 따른 표면처리장치는 구성 부품간의 마찰저항 경감을 근거하고 진애 발생을 극감소화할 수 있기 때문에, 한층 더의 고품질 처리를 행할 수 있다. 또한 표면 처리조에 종래 장치와 비교하여 큰 구조 변경없이 표면 처리액을 청정에 유지할 수 있기 때문에 해당 표면처리를 고품질로 행할 수 있다.

Claims (2)

  1. 반송 방향에 연속 설치되는 가이드레일, 이 가이드레일에 지지 받는 지그를 이용하고 해당 지그에 의해 유지되는 도금체인 워크를 반송 가능한 반송수단을 가지고, 표면 처리조 내에서 이 워크를 연속 반송하면서 표면 처리를 가하는 표면 처리장치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레일 및 반송수단을 상기 표면 처리조의 상부 개구부의 외측에 설치함과 더불어, 상기 지그를 기단부에서 상기 가이드레일에 지지 가능하면서 선단부에서 상기 표면 처리조의 반송방향에 직교하는 방향의 중심에 위치 결정되도록 유지 가능하게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면처리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지그의 기단부가 상기 사이드레일에 전환기구를 이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면처리장치.
KR20-2003-0035554U 2003-11-13 2003-11-13 표면처리장치 KR200341666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3-0035554U KR200341666Y1 (ko) 2003-11-13 2003-11-13 표면처리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3-0035554U KR200341666Y1 (ko) 2003-11-13 2003-11-13 표면처리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41666Y1 true KR200341666Y1 (ko) 2004-02-14

Family

ID=4942459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3-0035554U KR200341666Y1 (ko) 2003-11-13 2003-11-13 표면처리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41666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10107985A (ko) 인라인 도금 장치
CN103774200B (zh) 表面处理装置
TWI750378B (zh) 搬運支架及使用該搬運支架的表面處理裝置
CN111247273B (zh) 表面处理装置和工件保持夹具
KR20060054036A (ko) 전기 도금 장치에 있어서의 워크 행거
KR101917848B1 (ko) 석션 도금장치
CN1250776C (zh) 局部电镀设备
CN110959051A (zh) 工件保持夹具和电镀装置
JP4871480B2 (ja) 弾性材料からなる電気的接触化要素
KR200341666Y1 (ko) 표면처리장치
JP2003013296A (ja) 表面処理装置
CN105543940B (zh) 一种提升vcp电镀线电镀均匀性的装置及方法
KR101329624B1 (ko) Led 리드프레임 도금용 지그장치
KR20090056759A (ko) 도금 장치에 있어서의 급전 방법 및 그 급전 장치
JP3025254B1 (ja) めっき装置およびめっき方法
JP6737527B2 (ja) 表面処理装置
US8950061B2 (en) Electronic component mounting device
KR200341667Y1 (ko) 표면처리장치
CN206345937U (zh) 一种用于电镀pcb板的导电机构
CN104254237B (zh) 电子部件安装方法以及电子部件安装装置
CN212333867U (zh) 一种翻转装置
CN112122025A (zh) 一种控制板助焊剂喷涂装置
DE19736351C1 (de) Verfahren und Vorrichtung zum präzisen Galvanisieren von Werkstücken
CN221052033U (zh) 电镀夹具及水平电镀装置
KR200425044Y1 (ko) 연속 도금장치의 인쇄회로기판용 통전지그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EXTG Extinguishment
T601 Decision on revocation of utility model registr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