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41647Y1 - 통조림 - Google Patents

통조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41647Y1
KR200341647Y1 KR20-2003-0034973U KR20030034973U KR200341647Y1 KR 200341647 Y1 KR200341647 Y1 KR 200341647Y1 KR 20030034973 U KR20030034973 U KR 20030034973U KR 200341647 Y1 KR200341647 Y1 KR 200341647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ents
canning
support member
present
withdraw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3-0034973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류성원
Original Assignee
류성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류성원 filed Critical 류성원
Priority to KR20-2003-0034973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41647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41647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41647Y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17/00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specially constructed to be opened by cutting or piercing, or by tearing of frangible members or portions
    • B65D17/28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specially constructed to be opened by cutting or piercing, or by tearing of frangible members or portions at lines or points of weakness
    • B65D17/401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specially constructed to be opened by cutting or piercing, or by tearing of frangible members or portions at lines or points of weakness characterised by having the line of weakness provided in an end wall
    • B65D17/4011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specially constructed to be opened by cutting or piercing, or by tearing of frangible members or portions at lines or points of weakness characterised by having the line of weakness provided in an end wall for opening completely by means of a tearing tab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5/00Details of other kinds or types of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 B65D25/02Internal fitting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3/00Containers or packages with special means for dispensing cont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ontainers Opened By Tearing Frangible Portion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통조림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내부에 내용물(3)이 저장되는 수용공간(1a)이 형성되고 이 수용공간(1a)의 상부로 뚜껑(2)에 의해 개폐되는 통조림 용기(1)와, 받침부재(12)와 인출부재(14)로 구분되고 받침부재(12)는 통조림 용기(1)의 수용공간(1a) 바닥에 설치되며 인출부재(14)는 받침부재(12)의 일측에서 상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되 인출부재(14)의 상단에는 상기 뚜껑(2)을 열었을 때 내용물(3)의 상면에 노출되는 손잡이(16)가 일체로 형성된 인출대(10)를 포함해서 구성된다.
본 고안은 통조림 내에 구비된 인출대를 잡아당겨 내용물을 용이하게 꺼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과일 통조림과 같은 통조림에 적용하면 과일과 액체를 분리시켜 과일만을 용이하게 꺼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야외에서 요리를 할 경우에는 인출부재를 바닥면에 눕혀 도마 대용으로 사용할 수 있는 효과도 있다.

Description

통조림{can}
본 고안은 통조림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통조림 내에 인출대를 구비하여 내용물을 보다 쉽고 간편하게 꺼낼 수 있도록 하는 통조림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육류 가공통조림의 내용물을 꺼내어 요리를 할 경우 내용물의 보관 상태가 냉장이나 냉동 등 상온이 낮은 온도를 유지하는 계절에는 지방조직이 경화되는 특성과, 육류 가공통조림의 내용물을 충전 후 압착하여 통조림 용기에 충전시키기 때문에 내용물을 쉽게 꺼낼 수 없어 포크나 젓가락 등으로 내용물을 잡아당겨 꺼내는 방법과, 가스불 위에 통조림을 가열을 하여 내용물을 꺼내거나, 도마 등에 쳐서 내용물을 꺼내어 요리를 하였다.
그러나, 이와 같이 포크나 젓가락 또는 가스불을 이용하여 통조림의 내용물을 인출할 경우 부주의로 인하여 손등과 같은 신체의 일부가 다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도마 등에 쳐서 꺼낼 경우에는 도마가 손상되거나, 내용물이 바닥에 떨어져 못 쓰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고안은 상술한 바와 같이 제반 되는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한 것으로, 그 목적은 받침부재와 인출부재로 구성된 인출대를 구비하여 통조림 용기의 내부에 저장되어 있는 내용물을 보다 용이하게 꺼낼 수 있도록 한 통조림을 제공하는데 있다.
또한,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과일 통조림과 같은 액체를 포함하는 제품의 경우에는 내용물을 꺼낼 때 액체를 바닥에 흘리지 않으면서 깨끗하게 내용물을 꺼낼 수 있도록 한 통조림을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 목적 및 다른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에 따른 통조림은 내부에 내용물이 저장되는 수용공간이 형성되고 이 수용공간의 상부로 뚜껑에 의해 개폐되는 통조림 용기와, 받침부재와 인출부재로 구분되고 받침부재는 통조림 용기의 수용공간 바닥에 설치되며 인출부재는 받침부재의 일측에서 상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되 인출부재의 상단에는 상기 뚜껑을 열었을 때 내용물의 상면에 노출되는 손잡이가 일체로 형성된 인출대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도 1은 본 고안인 통조림을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에서 인출대 만을 발췌해서 나타낸 사시도,
도 3은 본 고안의 사용 상태를 나타낸 사용상태도,
도 4는 본 고안인 인출대가 도마로 사용되는 상태를 나타낸 사용상태도,
도 5는 본 고안인 통조림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사시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 통조림 용기 1a: 수용공간
2: 뚜껑 3: 내용물
10: 인출대 12: 받침부재
12a: 관통홀 14: 인출부재
14a: 리브 16: 손잡이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고안에 대해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고안인 통조림을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고안에서 인출대 만을 발췌해서 나타낸 사시도이며, 도 3은 본 고안의 사용 상태를 나타낸 사용상태도이고, 도 4는 본 고안인 인출대가 도마로 사용되는 상태를 나타낸 사용상태도이다.
이를 참조하면, 본 고안은 통조림 용기(1)와 인출대(10)로 구성되어 있다.
통조림 용기(1)는 내부에 내용물(3)이 저장될 수 있는 수용공간(1a)이 형성되고, 이 수용공간(1a)은 상부로 개구되어 있으며, 이 개구부는 뚜껑(2)에 의해 개폐되도록 구성된다.
인출대(10)는 플라스틱과 같은 합성수지 재질로써, 받침부재(12)와 인출부재(14)로 구성된다.
상기 받침부재(12)는 통조림 용기(1)의 내부 저면에 위치하고, 이 받침부재(12)는 복수개의 관통홀(12a)이 형성되며, 받침부재(12)의 상단에 내용물(3)이 안착된다.
받침부재(12)의 관통홀(12a)이 형성된 것은 육가공 제품일 경우 통조림 용기(1)에 접하는 표면 면적을 적게하여 표면 마찰력을 작게 함으로서 가공물(20)을 쉽게 꺼낼 수 있게 한 것이다.
상기 인출부재(14)는 받침부재(12)의 일측과 연결되고 인출부재(14)는 통조림용기(10)의 개구부 방향으로 연장 형성된다.
즉, 통조림 용기(1)의 내부 측면과 밀착되도록 상기 인출부재(14)를 배치하여 내용물(3)이 받침부재(12)와 인출부재(14)의 사이에 위치되는 것이다.
인출부재(14)의 상단에는 손잡이(16)가 형성된다. 이 손잡이(16)는 절첩이 가능하며, 주름부를 형성하여 통조림의(10) 내용물(3)을 인출할 때 손이 미끄러지지 않도록 하는 것이 한다.
또한, 인출부재(14)의 이면에는 복수개의 리브(14a)를 형성하여 내용물(3)을 꺼낼시 충분한 강성을 지니도록 한다.
이제, 이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사용방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상기 받침부재(12)와 인출부재(14)에 가공물(20)이 밀착되어 상기 통조림 용기(1)의 내부에 수용된 형태로 제품이 출시된다. 이후 사용자가 통조림(10)의 개구부를 개방한 후, 굽혀져 있는 손잡이(16)를 펴서 잡아당긴다.
이때, 인출부재(14)는 통조림 용기(1)의 바닥면에 마련되어 있는 받침부재(12)와 연결이 되어 있기 때문에 인출부재(14)를 잡아당기면, 받침부재(12)가 상승하게 되고, 받침부재(12)상에 놓여져 있는 내용물(3)이 함께 꺼내진다.
그러므로 내용물(3)을 별도의 도구를 사용하지 않고도 쉽게 꺼낼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인출부재(14)를 도마 대용으로 사용할 수 있기 때문에 내용물(3)을 별도의 도마를 사용하지 않으면서 사용자가 원하는 크기로 쉽게 절단하여 요리를 할 수 있다. 이처럼 야외에서 더욱 효과가 좋다.
한편, 첨부된 도 5에는 본 고안인 통조림의 다른 실시예가 도시되어 있다.
이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고안의 통조림은 육류가 저장된 통조림이 아닌 과일 통조림이나 그 밖의 통조림에 적용될 수 있다.
여기서,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는 통조림의 모양에 따라 받침부재(12)의 디자인만 상이할 뿐 제품의 구성 및 작용 효과는 동일하므로 상이한 점만을 설명한다.
우선, 인출부재(14)의 상단에 마련된 손잡이(16)는 주름이 형성된 손잡이(16) 뿐만 아니라 링 모양으로 만들어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인출대(10)의 받침부재(12)는 통조림의 형상에 따라 원형 또는 삼각의 형상 어느 형상으로도 변형이 가능하며, 과일의 종류에 따라 관통홀(12a)의 넓이를 달리할 수 있다.
과일 통조림 및 액체를 많이 함유한 통조림의 경우 그 사용방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일반적으로, 액체가 혼합된 과일류의 통조림은 상부를 개방한 후 그릇에 붓는게 일반적이다.
이때, 그릇의 외부로 액체가 틔는 문제점이 발생되는데, 본 고안에서와 같이 통조림의 상부 개구부를 개방한 후 인출대(10)에 형성된 손잡이(16)를 잡고 위로 올리면, 인출대(10)가 상부로 천천히 올라오게 된다.
이때, 상기 받침부재(12)에 형성된 관통홀(12a)로 인해 액체는 통조림 용기(1)에 남게되고, 내용물(3)만 올라온다. 이후, 사용자가 숟가락이나 각종 주방기기를 통해 그릇에 옮길 수 있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고안은 통조림 내에 구비된 인출대를 잡아당겨 내용물을 용이하게 꺼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과일 통조림과 같은 통조림에 적용하면 과일과 액체를 분리시켜 과일만을 용이하게 꺼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야외에서 요리를 할 경우에는 인출부재를 바닥면에 눕혀 도마 대용으로 사용할 수 있는 효과도 있다.

Claims (3)

  1. 내부에 내용물(3)이 저장되는 수용공간(1a)이 형성되고, 이 수용공간(1a)의 상부로 뚜껑(2)에 의해 개폐되는 통조림 용기(1)와,
    받침부재(12)와 인출부재(14)로 구분되고, 받침부재(12)는 통조림 용기(1)의 수용공간(1a) 바닥에 설치되며, 인출부재(14)는 받침부재(12)의 일측에서 상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되, 인출부재(14)의 상단에는 상기 뚜껑(2)을 열었을 때 내용물(3)의 상면에 노출되는 손잡이(16)가 일체로 형성된 인출대(10)를 포함해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조림.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받침부재(12)에는 다수개의 관통홀(12a)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조림.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인출부재(14)의 측면에는 강성을 보강하기 위해 복수개의 리브(14a)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조림.
KR20-2003-0034973U 2003-11-07 2003-11-07 통조림 KR200341647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3-0034973U KR200341647Y1 (ko) 2003-11-07 2003-11-07 통조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3-0034973U KR200341647Y1 (ko) 2003-11-07 2003-11-07 통조림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41647Y1 true KR200341647Y1 (ko) 2004-02-14

Family

ID=4934323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3-0034973U KR200341647Y1 (ko) 2003-11-07 2003-11-07 통조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41647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200305645A1 (en) Devices and methods for supporting and preparing foods
US3384260A (en) Sectional tray
US4908487A (en) Egg poacher for microwave oven
US9045277B1 (en) Biodegradable microwavable container
US20180049590A1 (en) Devices and methods for supporting and preparing foods
US2367448A (en) Food frying unit
WO2008092141A1 (en) Frame having peeler and grater in cutting board support platform
US20110247504A1 (en) Perforated vessel for food preparation
US2850392A (en) Frozen food package
US4077685A (en) Combination cutting board and drawer
US2260858A (en) Dispensing device for making aromatic beverages
US4390551A (en) Heating utensil and associated circuit completing pouch
KR100929785B1 (ko) 밀폐용기용 탈수대
KR200341647Y1 (ko) 통조림
KR200432952Y1 (ko) 주방용 도마 및 도마 세트
JP5351501B2 (ja) 串処理具
JPH10291572A (ja) 蒸し器兼用食品包装容器
US3964602A (en) Multi-purpose receptacle
EP2927148A1 (en) Multifunctional shelf of a refrigerator cavity, and refrigerator provided with such shelf
KR200253323Y1 (ko) 식품 저장용기
KR200333039Y1 (ko) 고형 내용물 인출수단을 구비한 식품 포장용기
US20130220916A1 (en) Device for easily removing products from vessels
KR200266665Y1 (ko) 체반용기
KR102626807B1 (ko) 주름진 측벽을 가진 음식물 취출 용기
KR200479353Y1 (ko) 식재료 손질을 위한 조리대의 공간을 활용할 수 있는 도마세트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T601 Decision on revocation of utility model registr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