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41483Y1 - 빙과 용기 - Google Patents

빙과 용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41483Y1
KR200341483Y1 KR20-2003-0037203U KR20030037203U KR200341483Y1 KR 200341483 Y1 KR200341483 Y1 KR 200341483Y1 KR 20030037203 U KR20030037203 U KR 20030037203U KR 200341483 Y1 KR200341483 Y1 KR 200341483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ce cream
container
ice
support plate
movable bod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3-0037203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안태덕
차상록
Original Assignee
안태덕
차상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안태덕, 차상록 filed Critical 안태덕
Priority to KR20-2003-0037203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41483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41483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41483Y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1/0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 B65D81/36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3/00Containers or packages with special means for dispensing contents
    • B65D83/0005Containers or packages provided with a piston or with a movable bottom or partition having approximately the same section as the container
    • B65D83/0011Containers or packages provided with a piston or with a movable bottom or partition having approximately the same section as the container moved by a screw-shaf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5/0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 B65D85/7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for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5D85/72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for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edible or potable liquids, semiliquids, or plastic or pasty materials
    • B65D85/78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for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edible or potable liquids, semiliquids, or plastic or pasty materials for ice-cream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ackging For Living Organisms, Food Or Medicinal Products That Are Sensitive To Environmental Conditiond (AREA)
  • Confectionery (AREA)

Abstract

본 고안의 목적은 빙과 용기의 내부에 포장된 빙과류를 먹기 편리하도록 위로 상승시킬 수 있도록 구성함과 아울러 내부에 포장된 빙과류를 모두 먹고 난 후에는 화분으로서 재활용이 가능하도록 한 빙과 용기를 제공함에 있다.
이러한 본 고안은 빙과류를 포장할 수 있도록 한 빙과 용기에 있어서, 바닥면에는 작동공이 형성됨과 아울러 그 작동공의 내측으로는 돌출편이 구비된 상부가 개방되어 있는 원통 형상의 용기 본체와, 상기 용기 본체의 내부에 설치되어 상부에 빙과류를 안착할 수 있도록 된 받침판을 구비하고 상기 받침판의 하부로 돌출 형성되며 상기 돌출편에 끼움 결합될 수 있는 작동홈이 형성되고 외주면에는 숫나선부가 형성된 돌출봉을 갖는 가동체와, 상기 돌출봉에 형성된 숫나선부와 대응되는 암나선부를 구비하여 상기 돌출봉이 나사 결합됨과 동시에 상기 용기 본체의 하부에 제자리 회전되게 결합되어 상기 가동체를 상하 방향으로 승하강 시키도록 하는 회전체, 및 상기 용기 본체의 상부에 탈착되게 결합되는 뚜껑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빙과 용기{a ice creams case}
본 고안은 빙과 용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내부에 포장된 빙과류를 먹기 편리하도록 위로 상승시킬 수 있도록 구성함과 아울러 내부에 포장된 빙과류를 다 먹고 난 후에는 화분으로서 재활용이 가능하도록 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빙과 용기는 내부에 아이스크림과 같은 종류의 빙과류가 포장되어 있다. 이러한 빙과류를 먹기 위해서는 별도로 구비된 스푼 등을 이용하여 내부에 포장된 빙과류를 먹도록 되어 있다.
따라서, 내부에 포장된 빙과류를 먹기 위해서는 반드시 별도의 스푼 등이 필요함에 따라 먹기에 매우 어려운 점이 있었다.
또한, 종래의 빙과 용기는 내부에 포장된 빙과를 모두 먹고 난 후에는 빙과 용기가 재활용되지 않고 그대로 버려지게 됨에 따라 환경 등을 오염시키는 요인이 되었다.
본 고안의 목적은 빙과 용기의 내부에 포장된 빙과류를 먹기 편리하도록 위로 상승시킬 수 있도록 구성함과 아울러 내부에 포장된 빙과류를 모두 먹고 난 후에는 화분으로서 재활용이 가능하도록 한 빙과 용기를 제공하는데 있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빙과 용기에 대한 분리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빙과 용기의 결합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3은 도 2의 A-A선 단면도이고,
도 4는 도 3의 B-B선 단면도이고,
도 5는 도 3의 "C"부 확대도이고,
도 6은 본 고안에 따른 빙과 용기에 대한 작동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이고,
도 7은 본 고안에 따른 빙과 용기를 화분으로써 이용하는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 빙과류 100 - 빙과 용기
110 - 용기 본체 120 - 가동체
130 - 회전체 140 - 뚜껑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은 빙과류를 포장할 수 있도록 한 빙과 용기에 있어서, 바닥면에는 작동공이 형성됨과 아울러 그 작동공의 내측으로는 돌출편이 구비된 상부가 개방되어 있는 원통 형상의 용기 본체와, 상기 용기 본체의 내부에 설치되어 상부에 빙과류를 안착할 수 있도록 된 받침판을 구비하고 상기 받침판의 하부로 돌출 형성되며 상기 돌출편에 끼움 결합될 수 있는 작동홈이 형성되고 외주면에는 숫나선부가 형성된 돌출봉을 갖는 가동체와, 상기 돌출봉에 형성된 숫나선부와 대응되는 암나선부를 구비하여 상기 돌출봉이 나사 결합됨과 동시에 상기 용기 본체의 하부에 제자리 회전되게 결합되어 상기 가동체를 상하 방향으로 승하강 시키도록 하는 회전체, 및 상기 용기 본체의 상부에 탈착되게 결합되는 뚜껑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가동체의 받침판에는 소정 위치에 구멍을 형성할 수 있게 받침판의 두께 보다 얇은 두께를 갖는 절취홈들이 더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회전체의 외주면에는 그 회전체를 용이하게 회전시킬 수 있게 외주면을 따라 요철부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빙과 용기에 대한 분리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빙과 용기의 결합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3은 도 2의 A-A선 단면도이고, 도 4는 도 3의 B-B선 단면도이고, 도 5는 도 3의 "C"부 확대도이고, 도 6은 본 고안에 따른 빙과 용기에 대한 작동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이고, 도 7은 본 고안에 따른 빙과 용기를 화분으로써 이용하는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빙과 용기(100)는 상부가 개방되어 있는 원통 형상의 용기 본체(110)가 구비되어 있다. 이 용기 본체(110)의 바닥면(112)에작동공(114)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작동공(114)의 내측으로는 돌출편(116)이 구비되어 있다.
이러한 작동공(114)은 뒤에서 설명하는 가동체(120)가 상하로 슬라이딩 작동될 수 있게 하기 위한 것으로, 상기 가동체(120)의 안정적인 작동을 위해 좌우 대칭되는 위치에 두 개를 형성함이 좋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빙과 용기(100)는 가동체(120)가 구비되어 있다. 이 가동체(120)는 용기 본체(110)의 내부에 설치되어 상부에 빙과류(10)를 안착할 수 있도록 된 받침판(122)이 구비되며, 상기 받침판(122)의 하부로는 외주면에 숫나선부(126)를 갖는 돌출봉(124)이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돌출봉(124)은 상기 작동공(114)을 통해 하부로 돌출되게 끼움 결합되도록 작동공(114)에 형성된 돌출편(116)에 대응되게 길이 방향으로 작동홈(128)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가동체(120)의 받침판(122)에는 소정 위치에 구멍을 쉽게 형성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그 받침판(122)의 두께 보다 얇은 두께를 갖는 절취홈(123)들이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절취홈(123)들의 제거에 의해 상기 받침판(122)에 쉽게 구멍을 형성할 수 있음으로써, 본 고안에 따른 빙과 용기(100)는 다 먹고 난 후에 도 7에 나타낸 바와 같이 화분으로써의 재활용이 가능하다.
이와 같이 상기 절취홈(123)을 더욱 쉽게 제거하여 구멍을 형성하기 위해서는 끝이 뵤족한 도구를 이용함이 바람직하다.
통상, 화분을 구성하기 위해서는 물이 빠질 수 있는 배출공이 필요하게 되고, 그 배출공으로부터 빠지는 물이 바닥면으로 흘러내려 지저분 해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화분 받침대를 이용하게 된다.
그러나, 종래의 빙과 용기는 화분으로서 재활용하기 위해 별도의 화분 받침대를 구비하기가 매우 어려워 화분으로서의 재활용은 전혀 불가능하였으나, 본 고안에 따른 빙과 용기(100)는 상기 가동체(120)가 승하강됨에 따라 그 가동체(120)에 구비된 받침판(122)이 용기본체(110)의 바닥면(112)으로부터 소정 간격을 이루게 할 수 있다.
따라서, 도 7에 나타낸 바와 같이 화분으로서의 활용이 가능하다. 즉, 상기 가동체(120)에 구비된 받침판(122)과 용기 본체(110)에 구비된 바닥면(112)의 소정 간격을 이루게 함과 아울러 상기 받침판(122)에는 절취홈(123)에 의해 구멍이 형성되게 함으로써 화분으로서의 이용이 가능하다.
이와 같이 화분으로 이용할 경우 상기 절취홈(132)들에 의해 쉽게 형성된 구멍을 통해 물은 하부로 배출되어 용기 본체(110)의 바닥면(112), 혹은 회전체(130)의 내부에 고이게 됨에 따라 본 고안의 빙과 용기(100)의 외부로는 물이 흘러나오지 않으면서도 가동체(120)에 구비된 받침판(122)에는 물의 배출이 용이하여 화분에 심은 식물(꽃)의 뿌리 썩는 것을 방지한다. 물론, 이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빙과 용기(100)를 화분으로 이용할 경우에는 모종 등에 활용함이 바람직하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빙과 용기(100)는 회전체(130)가 구비되어 있다. 이 회전체(130)는 상기 가동체(120)를 상하 방향으로 슬라이딩 작동시키기 위한 것으로, 상기 돌출봉(124)에 형성된 숫나선부(126)와 대응되는 암나선부(132)가 구비되어 상기 돌출봉(124)이 나사 결합된다.
또한, 상기 회전체(130)는 용기 본체(110)의 하부에 제자리 회전되게 결합되는데, 이러한 회전체를 용이하게 회전시킬 수 있도록 하기 위해 그 회전체(130)의 하단부 외주면에는 요철부(134)를 형성함이 좋다. 이러한 요철부(134)에 의해 상기 회전체(130)를 용이하게 회전시킬 수 있는 것으로, 상기 회전체(130)를 회전시킬 때 상기 요철부(134)에 의해 회전체(130)가 손으로부터 미끄러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어 용이하게 회전시킬 수 있다.
이와 같이 회전체(130)를 제자리 회전시키게 되면, 상기 회전체(130)에 구비된 암나선부(132)가 회전되면서 상기 암나선부(132)에 결합되어 있는 돌출봉(124)의 외주면에 형성된 숫나선부(126)가 회전하려고 한다. 이때 상기 돌출봉(124)에 구비된 작동홈(128)에 돌출편(116)이 끼워지게 결합되어 있음으로서 상기 돌출봉(124)은 회전되지 못하고 승강되게 되므로 상기 가동체(120)가 승강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가동체(120)의 받침판(122) 상부에 안착되어 있는 빙과류(10)가 승강되므로, 그 빙과류(10)를 먹기에 매우 편리해진다(도 6참조).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빙과 용기(100)는 상기 용기 본체(110)의 상부에 탈착되게 결합되는 뚜껑(140)을 구비하고 있다. 이러한 뚜껑(140)은 하부가 개방되는 반구형상으로 이루어짐이 좋은데, 이는 내부에 포장되는 빙과류(10)를 효율적으로 덮어씌울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이상 설명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본 고안에 의하면, 내부에 포장되어 있는 아이스크림과 같은 빙과류를 승강시키면서 먹을 수 있음으로써 빙과류를 먹기가매우 편리한 효과가 있고, 또 상기 빙과류를 다 먹고 난 후에는 본 고안의 빙과 용기를 화분으로서의 재활이 가능함으로서 환경 오염 등을 예방할 수 있는 등의 효과가 있다.

Claims (3)

  1. 빙과류를 포장할 수 있도록 한 빙과 용기에 있어서,
    바닥면에는 작동공이 형성됨과 아울러 그 작동공의 내측으로는 돌출편이 구비된 상부가 개방되어 있는 원통 형상의 용기 본체;
    상기 용기 본체의 내부에 설치되어 상부에 빙과류를 안착할 수 있도록 된 받침판을 구비하고 상기 받침판의 하부로 돌출 형성되며 상기 돌출편에 끼움 결합될 수 있는 작동홈이 형성되고 외주면에는 숫나선부가 형성된 돌출봉을 갖는 가동체;
    상기 돌출봉에 형성된 숫나선부와 대응되는 암나선부를 구비하여 상기 돌출봉이 나사 결합됨과 동시에 상기 용기 본체의 하부에 제자리 회전되게 결합되어 상기 가동체를 상하 방향으로 승하강 시키도록 하는 회전체; 및
    상기 용기 본체의 상부에 탈착되게 결합되는 뚜껑을 포함하는 빙과 용기.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가동체의 받침판에는 소정 위치에 구멍을 형성할 수 있게 받침판의 두께 보다 얇은 두께를 갖는 절취홈들이 더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빙과 용기.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체의 외주면에는 그 회전체를 용이하게 회전시킬 수 있게 외주면을 따라 요철부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빙과 용기.
KR20-2003-0037203U 2003-11-28 2003-11-28 빙과 용기 KR200341483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3-0037203U KR200341483Y1 (ko) 2003-11-28 2003-11-28 빙과 용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3-0037203U KR200341483Y1 (ko) 2003-11-28 2003-11-28 빙과 용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41483Y1 true KR200341483Y1 (ko) 2004-02-14

Family

ID=4942447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3-0037203U KR200341483Y1 (ko) 2003-11-28 2003-11-28 빙과 용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41483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189601B1 (ko) 분배 수단을 구비한 식품 용기
USD923406S1 (en) Water and beverage making bottle
USD505839S1 (en) Short, square container comprising a bowl and a lid
EP1972242B2 (en) Collapsible colander & bowl
US2057972A (en) Convertible container
AU629731B2 (en) Kitchen unit
USD539134S1 (en) Food container and the lid for a food container
KR200341483Y1 (ko) 빙과 용기
US20160345509A1 (en) Outdoor planter with open bottom and removable cap
KR200471638Y1 (ko) 일회용 컵용 컵뚜껑
US2027899A (en) Cover for receptacles for safety razors
US6785999B1 (en) Fish containment device
EP1493327B1 (en) Floral display system
JPH07298788A (ja) 二重槽容器
GB2029802A (en) Display Containers
KR200166919Y1 (ko) 수경재배용 미니화분
KR200446453Y1 (ko) 화분 외장용기
US6629870B2 (en) Bubble blower
GB2034564A (en) A plant pot
JP2003047341A (ja) 花 器
JP2004141045A (ja) ボトルキャップ
US20150020446A1 (en) Handheld Bouquet Container
KR200369971Y1 (ko) 이중화분
KR200416497Y1 (ko) 상부에 표시 수단을 구비한 이중 화분
KR20080002196U (ko) 저수조를 갖는 화분 구조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G701 Publication of correc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81226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